KR100984127B1 -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127B1
KR100984127B1 KR1020080017464A KR20080017464A KR100984127B1 KR 100984127 B1 KR100984127 B1 KR 100984127B1 KR 1020080017464 A KR1020080017464 A KR 1020080017464A KR 20080017464 A KR20080017464 A KR 20080017464A KR 100984127 B1 KR100984127 B1 KR 10098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ariable frame
conveyor
width
convey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132A (ko
Inventor
유일상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1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 상기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되어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벨트(20) 및 인쇄회로기판(12)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판 이송용 모터(24)가 구비된 콘베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14)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된 센서(30);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 중 하나의 리드 스크류(18, 18')에 연결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폭 조정용 모터(22); 및 상기 센서(30)와 폭 조정용 모터(22)에 연결설치되어 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폭 조정용 모터(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 콘베어, 센서, 폭, 조절

Description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Conveyor Apparatus with Automatically Adjusting Conveyor Width}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이송하는 콘베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다수개 연결설치되는 콘베어 장치의 일측에 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시켜 최초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의 폭의 변화에 따라 후단에 연결설치되는 콘베어 장치의 폭이 순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콘베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전자 제품의 개발에 있어서 그 추세는 전자부품의 고밀도화, 소형화 및 다양화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전기/전자부품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생산에 표면실장기를 이용한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에 대한 기술개발은 날이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표면실장기는 표면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 조립장비의 핵심장비로서, 각종 표면실장부품을 부품공급기로부터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실장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한다.
특히, 전술한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를 포함한 모든 주변기기에는 기판 이송용 콘베어 장치가 사용되는바, 이러한 콘베어 장치는 다수의 콘베어 장치를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라인을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수개의 콘베어 장치로 하나의 이송라인을 구성하는 경우, 이송하고자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콘베어 장치 폭을 알맞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콘베어 장치의 폭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다수의 콘베어 장치의 폭을 각각 조절하거나 인쇄회로기판 등의 크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입력된 값을 기준으로 서보 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를 작동시켜 콘베어 장치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콘베어 장치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은 콘베어의 기준점을 초기에 설정한 후 기준점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 크기까지의 거리만큼 폭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러한 일례로서, 대한민국실용신안공고 1996-0004106호에는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폭 조정용 모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이송부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칩 마운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부의 폭 자동조정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 민국실용신안공고 1992-0002937호에는 PCB를 타이밍 밸트로 이동시키고 이송나사로서 폭을 조정하는 PCB 자동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목표값을 모든 콘베어 장치에 개별적으로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콘베어 장치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콘베어 장치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모터를 제어할 경우 네트워크 구축비용이 증가하고 각각의 콘베어 장치를 별도로 교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대한민국특허공개 2000-0055984호에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대응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마킹부가 형성된 가이드, 상기 각각의 가이드에 양단부가 설치된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연결설치하여 콘베어의 폭이 움직인 양을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와 상기 가이드의 양단에 설치되고 일정피치가 형성된 리드 스크류로 이루어진 콘베어 폭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별도로 콘베어 장치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거리를 입력한 후 입력된 콘베어 장치의 폭만큼 모터를 구동시키고, 구동된 모터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해 별도로 엔코더를 하여 이를 근거로 오차범위를 축소시켜 콘베어 장치의 폭을 미세조정하므로, 콘베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를 위해 콘베어 장치에 콘베어 장치의 폭을 측정하기 위한 마킹부를 구비시켜야 하며, 별도로 변경된 콘베어 장치의 폭을 인위적으로 입력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특히, 종래의 고가 콘베어 장치의 경우 자체에 저장매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가 구비되어 이미 사용되었던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값을 읽어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은 콘베어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사용자의 사전교육이 필요하며, 콘베어 장치가 불량일 경우 다른 모델의 콘베어 장치로 변경한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콘베어 장치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초기 콘베어 장치, 즉 가장 첫 번째 콘베어 장치의 폭을 이송하고자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맞게 설정할 경우 후단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된 각각의 콘베어 장치의 폭이 그 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의 폭에 맞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의 콘베어 장치를 연결설치하여도 각각의 콘베어 장치의 폭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는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고정 프레임 및 가변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및 가변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리드 스크류;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되어 한 쌍의 리드 스크류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벨트;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판 이송용 모터;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된 센서;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 중 하나의 리드 스크류에 연결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폭 조정용 모터; 및 상기 센서와 폭 조정용 모터에 연결설치되어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폭 조정용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된 다수개의 콘베어 장치의 폭을 조절할 경우, 최초 위치의 콘베어 장치 폭을 설정하면 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의 폭이 순차적으로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고정 프레임 및 가변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및 가변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리드 스크류;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되어 한 쌍의 리드 스크류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벨트 및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판 이송용 모터가 구비된 콘베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된 센서;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 중 하나의 리드 스크류에 연결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폭 조정용 모터; 및 상기 센서와 폭 조정용 모터에 연결설치되어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폭 조정용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콘베어 장치가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콘베어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콘베어 장치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콘베어 장치는 당업계에서 별도로 "콘베어" 또는 "콘베이어"로 약칭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콘베어" 또는 "콘베이어"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의 연결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의 센서의 연결양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10)는 인쇄회로기판(12)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콘베어 장치(10)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콘베어 장치(10)를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한 후 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10)의 폭이 변경됨에 따라 그 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10)의 폭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콘베어 장치(10)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콘베어 장치(10)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 상기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되어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벨트(20); 인쇄회로기판(12)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판 이송용 모터(24); 상기 가변 프레임(14)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된 센서(30);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 중 하나의 리드 스크류(18, 18')에 연결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폭 조정용 모터(22); 및 상기 센서(30)와 폭 조정용 모터(22)에 연결설치되어 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폭 조정용 모터(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베어 장치(10)를 구성하는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 상기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되어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벨트(20) 및 인쇄회로기판(12)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판 이송용 모터(24)는 인쇄회로기판(12)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콘베어 장치(10)의 구성으로서, 이러한 구성요소는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는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은 콘베어 장치(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 종단에 위치하여 콘베어 장치(10)의 외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사이의 거리를 본 발명에서는 "폭"으로 지칭하며, 인쇄회로기판(12)의 크기에 따라 가변 프레임(14)이 고정 프레임(16)을 기준으로 근접 또는 이격되며 거리, 즉 폭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 사이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가 구비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18, 18')가 회전하며 가변 프레임(14)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는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벨트(20)로 서로 연결설치되어 하나의 리드 스크류(18, 18')를 회전시키면 동기화 벨트(20)로 인해 연결설치된 다른 하나의 리드 스크류(18, 18')가 함께 회전한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10)는 상기 리드 스크류(18, 18') 중 하나의 리드 스크류(18)의 일측에 수동으로 리드 스크류(18)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28)를 연결설치하여 수동조작으로도 콘베어 장치(10)의 폭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30)는 콘베어 장치(10)의 가변 프레임(14)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되어 하나의 콘베어 장치(10)의 전단에 위치하는 다른 콘베어 장치(10)의 가변 프레임(14), 특정적으로 가변 프레임(14)의 에지(40)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센서(30)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빛을 이용하여 가변 프레임(14), 특정적으로 가변 프레임(14)의 에지(40)를 감지하는 센서(3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일반적인 콘베어 장치(10)는 콘베어 장치(10)를 제조하는 제조사 및 모델에 따라 콘베어 장치(10)를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16) 및 가변 프레임(14)의 두께 또는 각 프레임(14, 16)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콘베어 장치(10)를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할 경우, 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10)의 가변 프레임(14)과 이와 이웃하게 연결설치되는 다른 콘베어 장치(10)가 서로 알맞게 연결설치되지 못하여 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10)에 연결설치되는 후단의 콘베어 장치(10)에 구비된 센서(30)가 용이하게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콘베어 장치(10)에 구비된 가변 프레임(14)과 다른 콘베어 장치(10)의 가변 프레임(14)에 구비된 센서(30)의 거리가 0.05 내지 0.5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mm로 이격될 때 가장 용이하게 센서(30)가 가변 프레임(14), 특정적으로 가변 프레임(14)의 에지(40)를 감지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프레임(14)에 연결설치되는 센서(30)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전/후/좌/우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10)는 가변 프레임(14)에 연결설치되는 센서(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브래킷(32, 34), 특정적으로 센서(3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 가능한 제 1 브래킷(32) 및 센서(30)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 가능한 제 2 브래킷(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브래킷(32)은 콘베어 장치(10)에 구비되는 가변 프레임(14)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되 가변 프레임(14)이 연결설치되는 일측에 이웃하도록 센서(30)가 연결설치되어 가변 프레임(14)에 구비되는 센서(3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브래킷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고, 그 일측이 가변 프레임(14)에 연결설치되기 위해 제 1 브래킷(32)과 가변 프레임(14)을 서로 연결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36), 예를 들면 볼트 등이 구비되며, 상기 가변 프레임(14)에 연결설치되는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센서(30)가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브래킷(34)은 상기 가변 프레임(14)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되 가변 프레임(14)이 연결설치되는 일측에 이웃하도록 센서(30)가 연결설치되어 센서(30)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 바람직하게는 회전하며 좌/우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브래킷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회전판 형상을 갖고, 그 일측이 가변 프레임(14)에 연결설치되기 위해 제 2 브래킷(34)과 가변 프레임(14)을 서로 연결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38), 예를 들면 볼트 등이 구비되고, 상기 판상의 제 2 브래킷(34) 일측에 센서(30)가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판상의 제 2 브래킷(34)의 외주면에 이웃한 내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관통홈(42)이 형성되어, 관통홈(42)을 관통하도록 고정수단(38)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브래킷(34)이 회전하며 센서(30)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게 된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10)에 구비되는 제 1 브래킷(32) 및 제 2 브래킷(34)은 동시에 설치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가변 프레임(14)의 일측에 위치를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브래킷(32)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제 1 브래킷(32)의 일측에 그 위치를 좌/우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30)가 연결설치된 제 2 브래킷(34)이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브래킷(32)을 고정하는 고정수단(36)은 제 1 브래킷(32)을 가변 프레임(14)의 일측에 고정시키고, 제 2 브래킷(34)을 고정하는 고정수단(38)은 제 2 브래킷(34)을 제 1 브래킷(32)의 일측에 고정시키게 되며, 회전판 형상의 제 2 브래킷(34)의 외주면에 이웃한 내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관통홈(42)이 형성되어, 관통홈(42)을 관통하도록 고정수단(38)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브래킷(34)이 회전하며 센서(30)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폭 조정용 모터(22)는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를 회전시켜 리드 스크류(18, 18')에 연결설치된 가변 프레임(14)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폭 조정용 모터(22)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폭 조정용 모터(22)는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에 각각 연결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리드 스크류(18, 18') 중 하나의 리드 스크류(18)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폭 조정용 모터(22)가 연결설치된 리드 스크류(18)에 대응되는 다른 리드 스크류(18')가 동기화 벨트(20)로 서로 연결설치되어 폭 조정용 모터(22)가 연결설치된 리드 스크류(18)의 회전에 따라 동기화 벨트(20)가 함께 회전하며 다른 리드 스크류(18')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폭 조정용 모터(22)가 하나의 리드 스크류(18)에 연결설치되는 것은 폭 조정용 모터(22)의 구동력이 리드 스크류(18)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어를 이용한 방법, 또는 벨트를 이용한 방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추천하기로는 벨트를 이용하여 폭 조정용 모터(22)와 하나의 리드 스크류(18)를 서로 연결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미도시)는 리드 스크류(18, 18')를 회전시키는 폭 조정용 모터(22) 및 센서(30)에 연결설치되어 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폭 조정용 모터(2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제어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콘베어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10)의 사용양태를 설명을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콘베어 장치(10)를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10)를 임의로 제 1 콘베어 장치로 하고, 그 후단에 위치하는 콘베어 장치를 제 2 콘베어 장치로 하기로 한다.
먼저 두 개의 콘베어 장치(10), 즉 제 1 콘베어 장치 및 제 2 콘베어 장치가 서로 연결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 2 콘베어 장치의 센서(30) 위치는 제 1 브래킷(32) 및/또는 제 2 브래킷(34) 등의 조정을 통하여 제 1 콘베어 장치에 구비된 가변 프레임(14)과의 이격 거리가 0.05 내지 0.5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mm이 되도록 한다.
그 다음, 제 1 콘베어 장치에 구비된 가변 프레임(14)을 동작시켜 인쇄회로기판(12)의 크기에 맞도록 가변 프레임(14)을 이동시켜 폭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 1 콘베어 장치에 구비된 가변 프레임(14)이 최초 위치에서 안쪽, 즉 고정 프레임(1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1 콘베어 장치에 구비된 가변 프레임(14)을 감지하던 제 2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에 연결설치된 센서(30)가 신호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한다.
그 다음, 센서(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그 신호에 따라 제 2 콘베어 장치(10)에 구비된 폭 조정용 모터(22)를 작동, 바람직하게는 회전시켜 상기 폭 조정용 모터(22)에 연결설치된 리드 스크류(18)가 회전하며 제 2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이 고정 프레임(16)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제 2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의 신속한 이동 중 센서(30)가 물체, 즉 제 1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을 감지하면, 그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폭 조정용 모터(22)를 정지시켜 제 2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 다음, 상기 제 2 콘베어 장치의 센서(30)가 제 1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의 안쪽 에지(40)를 감지할 때까지 미세하게 폭 조정용 모터(22)를 회전시켜 제 1 콘베어 장치 및 제 2 콘베어 장치의 폭을 일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콘베어 장치의 폭 조정용 모터(22)의 회전속도에 의해 제 2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이 제 1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의 위치보다 더 고정 프레임(16) 방향으로 이동되어 오버랩 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오버랩 된 제 2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에 구비된 센서(30)가 제 1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14) 바깥쪽 에지(40)를 감지할 때까지 미세하게 폭 조정용 모터(22)를 회전시켜 제 1 콘베어 장치 및 제 2 콘베어 장치의 폭을 일치시킨다.
전술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제 1 콘베어 장치에 구비된 가변 프레임(14)이 최초 위치에서 바깥쪽, 즉 고정 프레임(16)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제 1 콘베어 장치와 제 2 콘베어 장치의 폭이 일치하도록 자동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의 연결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어 장치의 센서의 연결양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베어 12 : 기판
14 : 가변 프레임 16 : 고정 프레임
18, 18' : 리드 스크류 20 : 동기화 벨트
22 : 폭 조정용 모터 24 : 기판 이송용 모터
28 : 손잡이 30 : 센서
32 : 제 1 브래킷 34 : 제 2 브래킷
36, 38 : 고정수단 40: 에지(edge)
42 : 관통홈

Claims (4)

  1.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고정 프레임 및 가변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및 가변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리드 스크류;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되어 한 쌍의 리드 스크류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벨트 및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판 이송용 모터가 구비된 콘베어 장치에 있어서,
    다른 콘베어 장치의 가변 프레임에 이웃하도록 가변 프레임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된 센서; 상기 한 쌍의 리드 스크류 중 하나의 리드 스크류에 연결설치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폭 조정용 모터; 및 상기 센서와 폭 조정용 모터에 연결설치되어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폭 조정용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되 다른 가변 프레임이 연결설치되는 일측에 이웃하도록 센서가 연결설치되어 가변 프레임에 구비되는 센서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브래킷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되 다른 가변 프레임이 연결설치되는 일측에 이웃하도록 센서가 연결설치되어 가변 프레임에 구비되는 센서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브래킷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되 그 위치가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브래킷; 및 상기 제 1 브래킷에 연결설치되되 제 1 브래킷이 연결설치되는 일측에 이웃하도록 센서가 연결설치되어 센서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브래킷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KR1020080017464A 2008-02-26 2008-02-26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KR10098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64A KR100984127B1 (ko) 2008-02-26 2008-02-26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64A KR100984127B1 (ko) 2008-02-26 2008-02-26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132A KR20090092132A (ko) 2009-08-31
KR100984127B1 true KR100984127B1 (ko) 2010-09-28

Family

ID=4120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464A KR100984127B1 (ko) 2008-02-26 2008-02-26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314A1 (ko) * 2009-03-02 2010-09-10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4520B1 (ko) * 2013-07-01 2015-03-23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라벨 머신
KR101462423B1 (ko) * 2013-11-13 2014-11-17 한상수 강선 정렬 권취 장치
KR101600304B1 (ko) * 2015-02-25 2016-03-07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라벨 머신
CN105398749A (zh) * 2015-11-18 2016-03-16 无锡市正阳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输送装置
CN108001941A (zh) * 2017-11-24 2018-05-08 苏州赛腾精密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可变式双轨传动线
CN107826654A (zh) * 2017-11-30 2018-03-23 嘉孚朗机器人设备(苏州)有限公司 可调轨道装置
CN107814142A (zh) * 2017-11-30 2018-03-20 嘉孚朗机器人设备(苏州)有限公司 可调接驳装置
CN109178777A (zh) * 2018-10-10 2019-01-11 贵州大学 一种能够避免皮带跑偏的隧道防护用皮带支护装置
CN109809105A (zh) * 2019-03-29 2019-05-28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池输送线
CN110012608A (zh) * 2019-04-30 2019-07-12 上海旭同实业有限公司 自动调宽接驳台
CN110127314A (zh) * 2019-06-04 2019-08-16 深圳市英尚智能技术有限公司 高速多段式滑轮轨道装置
CN110844657A (zh) * 2019-11-19 2020-02-28 徐政贤 一种宽度可调的布料导送装置
CN112278736B (zh) * 2020-10-23 2022-07-05 安徽德基汇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承载性皮带机架
CN112811088A (zh) * 2021-01-04 2021-05-18 广东长虹电子有限公司 一种输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132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127B1 (ko)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WO2010101314A1 (ko) 자동으로 콘베어 폭을 조절하는 콘베어 장치 및 그 방법
JP4882411B2 (ja) フィーダ調整装置、フィーダ調整方法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CN208326487U (zh) 一种宽度可调的pcb板运输轨道装置
US20080159833A1 (en)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apparatus for chip mounter and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5173814B (zh) 一种用于贴片机pcb板输送调宽夹紧装置
EP2975920B1 (en) Production management process for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203794267U (zh) 自动收放及检测软板的设备
CN103508238B (zh) 玻璃布张力调整系统及方法
JP5735047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US6944943B2 (en) Surface mounter for mounting components
KR20140011263A (ko) 인쇄장치
WO2015155817A1 (ja) プリント基板用搬送装置
EP1510485B1 (en) Paper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CN104918475B (zh) 一种电子产品自动装配设备
CN105323975B (zh) 一种贴片机
JP3783260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スルーホール穴明け機
CN215956748U (zh) 一种设有闪拍贴装头的贴片机
JP2002003035A (ja) ウエブの蛇行制御装置およびこの蛇行制御装置を用いた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装置
CN216917577U (zh) 一种用于pcb板平稳翻转的机构
KR20180103614A (ko) 인라인 자동 매거진 언로딩 장치
KR100354104B1 (ko) 엘시디 패널 위치 정렬장치
JP2002370816A (ja) 位置同期制御装置
CN100461999C (zh) 用于提供电气组件的晶片工作台和用于为基底配备电气组件的装置
CN111895909A (zh) 一种石膏板楔形边检测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