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925B1 -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 - Google Patents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925B1
KR100983925B1 KR1020080022131A KR20080022131A KR100983925B1 KR 100983925 B1 KR100983925 B1 KR 100983925B1 KR 1020080022131 A KR1020080022131 A KR 1020080022131A KR 20080022131 A KR20080022131 A KR 20080022131A KR 100983925 B1 KR100983925 B1 KR 10098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vinyl
sticker
adhesive layer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746A (ko
Inventor
여선주
Original Assignee
여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선주 filed Critical 여선주
Priority to PCT/KR2008/0022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33423A1/en
Publication of KR2008009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배관에 막힌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 내부의 압력 변화와 가압력을 통해 오물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양변기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플렉시블한 재질의 비닐지를 구비하고, 상기 비닐지 이면 둘레를 따라 접착층과 추가접착층을 구비하며, 상기 비닐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접착층 이면에 분리 가능하게 커버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비닐스티커에 의해 기밀된 상태에서 양변기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비닐스티커를 가압하므로, 오물을 직접적으로 건드리지 않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악취 요인을 차단하며, 오물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사용 후처리 등이 불필요한 효과도 있다.
양변기, 오물, 비닐, 스티커, 가압력.

Description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Vinyl-sticker for removing night soil clogged in chamber pot}
본 발명은 양변기 배관에 막힌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양변기 내부의 압력 변화와 가압력을 통해 오물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하단 내부의 오수 배관은 대, 소변을 보는 경우 남게 되는 분뇨를 오수정화시설 및 오수탱크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형상을 한두 차례 상, 하부로 절곡 형성하여 양변기 내부에 항상 일정하게 물이 남아 있도록 하여, 양변기 내부에 물이 고이게 됨으로써,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벌레가 올라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수 배관은 양변기 내부에 버려지는 휴지 뭉치나 그 외의 다양한 고체성 오물이 한꺼번에 투입되면 관 내부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막힘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오물이 용해될 수 있는 화공약품을 양변기 내부에 투입하거나, 압축기 등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한 화공약품의 경우에는 그 화공약품 자체가 인체에 유해하고 수질과 관련된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과 함께, 양변기 내부의 수분에 섞여 희석됨으로써, 화공약품의 오물 제거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축기의 경우에는 단순히 하단부의 형상이 반구형의 압축용 고무판으로 형성되고, 이 고무판의 누르는 힘에 의해 오수 배관이 관통되도록 한 것이어서 그 효과가 불확실하고, 잘못 사용하게 되면 변기의 오물이 튀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음은 물론, 특히 사용 중 양변기 내 오물이 난잡하게 섞이게 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고 육안으로 보면서 작업을 하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는 압축기를 청소한 후 보관해야 함으로써, 사용이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중 일부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20682호 "변기뚫기"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단에 마련되고 변기(1)의 굴곡된 배수관(2)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삽입부(2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20)의 회전을 위해 외부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핸들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0)가 오물에 의해 막힌 변기(1)의 배수관(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그 오물을 파고들면서 배수관(2)을 따라 전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부(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변기뚫기" 역시 막힌 배수관을 뚫기 위해 양변기 내부에 삽입부를 삽입하게 됨으로써, 사용 중 양변기 내 오물이 난잡하게 섞이게 되어 악취를 발생시킴은 물론, 비위가 약한 사람의 경우에는 양변기 내부를 육안으로 보면서 작업을 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삽입부를 청소한 후 보관해야 함으로써, 사용이 극히 꺼려지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변기뚫기" 이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192364호 "양변기용 관통장치"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33403호 "오수용 청소용 압축기" 등의 여러 가지 고안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공지되고 있으나, 이들 역시도 전술한 "변기뚫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양변기 내부의 인위적인 압력 상승과 가압력을 통해 오물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하여 청소와 같은 사후처리 작업이 불필요하고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양변기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비닐지를 구비하고, 상기 비닐지 이면 둘레를 따라 접착층을 구비하며, 상기 비닐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접착층 이면에 분리 가능하게 커버지를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지 일부에는 분리선을 절개 형성하여 보조커버지를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비닐지는 부착하고자 하는 양변기 상면 넓이보다 전면 및 좌, 우측면을 5~6㎝ 더 길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 후면 일부에는 양변기에 접착이 더욱 더 잘될 수 있도록 추가로 추가접착층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추가접착층은 직선형 및 양변기의 형상에 맞춰 만곡진 라운드 형태로도 구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양변기 내부 공간을 기밀시킨 상태에서 물을 내려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고 양변기에 부착된 비닐스티커에 가압작용을 가하므로, 오물을 직접적으로 건드리지 않고도 양변기 오수 배관에 막혀 있는 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물을 건드리지 않으므로, 오물 제거 중 발생할 수 있는 악취 요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오물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오물 제거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간소화한 비닐스티커의 구성으로 제품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일회용 사용이 가능하여 청소와 같은 사용 후처리가 불필요한 장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스티커와 양변기의 형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스티커의 측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스티커의 커버지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를 이용하여 오물을 배수하는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는 양변기(100)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양변기(100)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플렉시블한 재질의 비닐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즉,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의 넓이는 일정 형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양변기(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넓이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 넓이는 양변기(100) 상면 둘레의 넓이보다 전면 및 좌, 우측면을 각각 대략 5~6㎝ 가량 넓게 형성하여, 비닐스티커(200)가 양변기(100)에 부착되는 경우 비닐스티커(200)의 전면 및 좌, 우측면이 양변기(100) 측면을 감쌀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3a 내지 도 4b는 비닐스티커(200)의 단면 형태와 커버지(230)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 형태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넓이 및 형상으로 비닐지(210)를 구비하고, 상기 비닐지(210) 이면에 접착층(22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접착층(220)은 비닐지(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으 나, 적절하게는 비닐지(210) 이면 둘레만을 따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써, 중앙 부분에 접착층(220)이 없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인이 선출원한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 20-2007-0006844호)는 사용할 때 양변기(100)의 후방 도기 상면 부분의 면적이 협소함으로 인해 접착 상태가 강하지 못하거나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안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층(220) 후면 일부에 양변기(100)에 접착이 더욱 더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가로 양변기(100)의 후방 도기 측면에 접착할 수 있는 추가접착층(225)을 구비하여, 양변기(100)의 후방 도기 상면 부분의 면적이 협소함으로 인해 접착력이 약한 것을 방지하였다.
이때,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접착층(225)은 직선형의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양변기(100)의 형상에 맞춰 만곡진 라운드 형태로도 구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상기 비닐스티커(200)가 양변기(100)에 접착되어 지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접착력이 한층 더 강해지므로 비닐스티커(220)가 양변기(100)에서 떨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밀봉 효과도 한층 더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220) 이면에는 커버지(230)를 부착 구비한다. 이때, 상기 커버지(230)는 비닐지(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고, 접착층(220)의 중앙에 접착제가 없는 것인 경우에는 상기 커버지(230) 중앙 또한 뚫어 진 형태의 것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지(230) 후면 일부에는 분리선(231)을 절개 형성하여 보조커버지(232)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보조커버지(232)를 우선적으로 분리하여 비닐스티커(200)를 보다 깔끔하고 견고하게 양변기(100) 상면에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를 이용하여 양변기(100) 내부의 오수 배관(110)에 막혀 있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닐스티커(200) 후단의 보조커버지(232)를 분리한 후, 보조커버지(232)에 의해 커버되어 있던 접착층(220)을 양변기(100) 상면의 후방 도기 부분에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비닐스티커(200)의 커버지(230)를 분리함과 동시에 커버지(230) 분리작업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접착층(220)과 추가접착층(225) 부분을 양변기(100) 상면 둘레와 후방 도기 부분에 맞닿아 있는 측면 일부를 따라 견고하게 부착하게 되는데, 양변기(100) 상면에 부착된 비닐스티커(200)는 전면 및 좌, 우측면이 소정 간격만큼 넓게 형성되어 있어, 양변기(100) 상면에 부착되고 남은 부분은 양변기(100) 측면 둘레를 따라 견고하게 부착한다.
이때, 상기 비닐스티커(200)는 그 외주면이 호 형태로 이루어진 특성상, 양변기(100) 둘레에 부착되는 경우 다소 겹쳐지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접착층(220) 특유의 강한 접착력과 비닐지(210)의 플렉시블함으로 인해 양변기(10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항은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전혀 무방한 것에 해당될 것이다.
이와 같이, 양변기(100) 상면에 비닐스티커(200)를 커버한 이 후에는, 도 5b와 같이 양변기(100)의 물을 내려 양변기(10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양변기(100)와 접착되지 않은 비닐스티커(200) 중앙 부분을 상부로 볼록지게 변형시킨다.
이 후, 도 5c와 같이 볼록진 비닐스티커(200) 상면에 힘을 주어 가볍게 가압하게 되면, 증가된 양변기(100) 내부의 공기압이 양변기(100) 내부의 물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오수 배관(110)에 걸려진 각종 오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양변기(100) 상면에 비닐스티커(200)를 부착하여 양변기(100) 내부 공간을 기밀 상태로 유지시킨 후, 물을 내려 양변기(100) 내부 압력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비닐스티커(200)에 가압작용을 가함으로써, 오물을 직접적으로 건드리지 않고도 양변기(100) 오수 배관(110)에 막혀 있는 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는 상기와 같이 순수하게 양변기(100) 내부에 인가되는 압력만을 이용하여 오물을 제거함으로써, 오물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오물 제거 중 발생할 수 있는 악취의 요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오물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오물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는 비닐재의 커버지(230)에 접착층(220)과 추가접착층(225) 및 커버지(230)의 부착을 통해 구성되는 특성상, 제조단가를 획기 적으로 절감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이와 같은 가격경쟁력 향상으로 인해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200)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압축기와 같이 사용 후 청소와 같은 사후처리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변기뚫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스티커와 양변기의 형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스티커의 구조를 부분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스티커의 커버지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도,
도 4b는 도 4a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비닐스티커를 이용하여 오물을 배수하는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양변기 110 : 오수 배관
200 : 비닐스티커 210 : 비닐지
220 : 접착층 225 : 추가접착층
230 : 커버지 231 : 분리선
232 : 보조커버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양변기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비닐지를 구비하고, 상기 비닐지 이면 둘레를 따라 접착층을 구비하며, 상기 비닐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접착층 이면에 분리 가능하게 커버지를 부착한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에 있어서,
    상기 비닐지(210)는 부착하고자 하는 양변기(100) 상면 넓이보다 전면 및 좌, 우측면을 5~6㎝ 더 길게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220) 후면 일부에는 양변기(100)에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가접착층(225)을 더 구비하며, 상기 추가접착층(225)은 직선형 형태나 만곡진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 스티커.
KR1020080022131A 2007-04-25 2008-03-10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 KR10098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259 WO2008133423A1 (en) 2007-04-25 2008-04-22 Vinyl-sticker for removing night soil clogged in chamber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844 2007-04-25
KR20070006844 2007-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46A KR20080095746A (ko) 2008-10-29
KR100983925B1 true KR100983925B1 (ko) 2010-09-30

Family

ID=4015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131A KR100983925B1 (ko) 2007-04-25 2008-03-10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80B1 (ko) * 2014-05-13 2015-05-28 김승일 양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WO2016186250A1 (en) * 2015-05-19 2016-11-24 Seoung Il Kim Adhesive sheet for toil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856A (en) 1995-10-11 1997-02-11 Kang; Kyung T. Toilet blockage remover
US6643854B1 (en) 2002-11-23 2003-11-11 David R. Jens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clogging a toi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856A (en) 1995-10-11 1997-02-11 Kang; Kyung T. Toilet blockage remover
US6643854B1 (en) 2002-11-23 2003-11-11 David R. Jens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clogging a toil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80B1 (ko) * 2014-05-13 2015-05-28 김승일 양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WO2016186250A1 (en) * 2015-05-19 2016-11-24 Seoung Il Kim Adhesive sheet for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46A (ko)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296B2 (en) Disposable sink drain strainer
US7736499B2 (en) Disposable sink drain strainer
US20220047121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use in a sink
KR100983925B1 (ko) 막힌 양변기 통수용 비닐스티커
KR10094871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JPH07300889A (ja) 排水口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ー
KR20130045146A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거름망
KR200454684Y1 (ko) 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US10004368B2 (en) Splash shield for toilet plunger or brush
US11346091B2 (en) Plunger sanitation device
JPH11350560A (ja) 排水口のゴミ取り
KR200301758Y1 (ko) 싱크대 배수구의 일회용 거름망
WO2008133423A1 (en) Vinyl-sticker for removing night soil clogged in chamber pot
KR200438258Y1 (ko) 침출수 제거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69275Y1 (ko) 용변처리 및 항문세척용 비닐백
CN210263260U (zh) 一种直接收集滤渣的洗菜池
KR20190041060A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CN213926567U (zh) 一种无水圈的陶瓷蹲便器
KR20100006750U (ko) 세면대 오물 제거기
US20080066222A1 (en) Plungers Helper
KR200257152Y1 (ko) 배수구용 접착패드
KR200172789Y1 (ko) 목욕실 배수구의 모발 포집 밴드
KR20100087510A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KR200198681Y1 (ko) 1회용 배수구 거름망
KR20090009581A (ko) 좌변기용 밀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