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455B1 -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455B1
KR100983455B1 KR1020080079737A KR20080079737A KR100983455B1 KR 100983455 B1 KR100983455 B1 KR 100983455B1 KR 1020080079737 A KR1020080079737 A KR 1020080079737A KR 20080079737 A KR20080079737 A KR 20080079737A KR 100983455 B1 KR100983455 B1 KR 10098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se member
rows
array
back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041A (ko
Inventor
최규철
정대영
송용식
최완선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Priority to KR102008007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4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를 램프 소켓에 결합하기 위한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를 상기 램프 소켓에 삽입시키기 위한 램프삽입부; 및 상기 램프삽입부가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선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다수의 램프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회전중심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배치열 및 제2배치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배치열은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배치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거나, 상기 제1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과 상기 제2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lamp of back 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램프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른 다양한 기종의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호환성 있게 램프를 램프 소켓에 결합할 수 있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배치에 따라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direct downward type back light assembly) 및 에지(edge)형 백라이트 유닛(edge type back light assembly)으로 구분된다.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 램프(CCFL)가 대표적이고, 냉음극 형광 램프가 채용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수납용기의 바닥판 상에 램프들을 고정하기 위해 램프 소켓을 포함한다.
도 1은 램프 및 램프 소켓의 일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램프 소켓을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램프(10)는 빛을 발광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양단부에 전극부(14)를 포함한다. 램프 소켓(20)은 몸체부(22)와, 몸체 부(22) 내부에 마련되며 전극부(14)를 통해 램프(10) 측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접속단자(24)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접속단자(24)들은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램프(10)를 접속단자(24)들의 접촉부분(25)에 위치시킨 후, 하측으로 램프(10)를 눌러 램프(10)와 램프 소켓(20)을 결합한다. 램프(10)의 전극부(14)가 램프 소켓(20)의 접속단자(24)들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됨으로써, 램프(10)와 램프 소켓(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백라이트 유닛의 바닥판 상에 램프(10)가 고정된다.
백라이트 유닛에는 다수의 램프(10)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램프(10) 양단부에도 램프(1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소켓(20)이 일렬로 배치된다. 다만 액정표시장치의 크기나 기종에 달라짐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에 배치되는 램프의 수량과 이웃하는 램프 사이의 간격이 다소 차이가 있다.
종래 백라이트 유닛의 생산현장에는 다수의 램프를 다수의 램프 소켓에 동시에 결합하기 위한 장치가 존재했지만, 백라이트 유닛의 크기 또는 기종이 변경되었을 때, 즉 배치되는 램프의 수량 또는 이웃하는 램프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었을 때 종래의 장치는 그러한 변경에 대응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결합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구매 비용, 유지 비용, 생산현장에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램프삽입부 간의 피치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었더라도, 모델 변경에 따라 피치 조정하는 작업에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의 크기 또는 기종이 변경되어 그 내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수량 또는 이웃하는 램프 간의 간격이 변경되더라도, 단시간 내에 그리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변경된 백라이트 유닛에 대응하여 램프를 램프 소켓에 결합할 수 있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를 램프 소켓에 결합하기 위한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를 상기 램프 소켓에 삽입시키기 위한 램프삽입부; 및 상기 램프삽입부가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선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다수의 램프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회전중심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배치열 및 제2배치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배치열은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배치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거나, 상기 제1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과 상기 제2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램 프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회전중심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3배치열 및 제4배치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3배치열은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배치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4배치열은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배치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3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4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거나, 상기 제3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과 상기 제4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이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삽입부는, 상기 램프의 전극부가 상기 램프 소켓의 한 쌍의 접속단자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단자들에 접촉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제1삽입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삽입핀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램프의 본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본체부를 하측으로 누르기 위한 제2삽입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삽입핀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삽입핀을 상기 베이스 부재 외측으로 탄성 편향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삽입핀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삽입핀을 상기 베이스 부재 외측으로 탄성 편향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삽입핀에 끼워지며 상기 본체부와의 접촉시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완화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배치열 및 상기 제2배치열과 각각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함몰부; 일부분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구형상의 멈춤부재; 및 상기 멈춤부재를 상기 함몰부 측으로 탄성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 내에 배치되는 램프의 수량 또는 이웃하는 램프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었을 때, 새로운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단시간 내에 그리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모델의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단일 수량으로서 결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장치 생산비용, 유지비용 및 생산현장에서 차지하는 공간비용 등의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따르면, 램프삽입부가 램프 소켓의 접속단자를 이격시키는 제1삽입핀과 램프 본체부를 하측으로 누르는 제2삽입핀으로 구성됨으로써, 램프를 램프 소켓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단부에 베 이스 부재의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수단이 마련됨으로써, 램프의 결합작업시 베이스 부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함몰부, 멈춤부재 및 탄성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100)는 서로 다른 기종의 백라이트 유닛에 호환성 있게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램프삽입부(110)와, 베이스 부재(120)와, 프레임(130)과, 멈춤부재(144)와, 탄성부재(146)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삽입부(110)는 램프(10)를 램프 소켓(20)에 삽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삽입핀(111)과, 제2삽입핀(112)과, 충격완화부재(115)와, 제1탄성부재(113)와, 제2탄성부재(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핀(111)은 램프(10)의 전극부(14)가 램프 소켓(20)의 한 쌍의 접속단자(24) 사이에 삽입되도록, 접속단자(24)들을 서로 이격시킨다. 제1삽입 핀(11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120)에 설치되며,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Y자 형태로 맞닿은 접속단자(24)들을 누름으로써 접속단자(24)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킨다. 접속단자(24)들이 벌어지면 그 사이로 램프(10)의 전극부(14)가 삽입되고, 제1삽입핀(111)이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면 접속단자(24)들은 서로 맞닿게 되어 램프(10)와 램프 소켓(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삽입핀(112)은 램프(10)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제1삽입핀(11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램프(10)의 본체부(12)에 접촉하여 본체부(12)를 하측으로 누르기 위한 것이다. 제2삽입핀(112)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120)에 설치되며,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빛을 발광하는 램프(10)의 본체부(12)를 누름으로써 램프(10)가 램프 소켓(20)에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2삽입핀(112)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램프의 본체부(12)와 접촉하게 되므로, 제2삽입핀(112)의 단부에는 본체부(12)와의 접촉시 본체부(1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완화부재(115)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충격완화부재(115)는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13)는 베이스 부재(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단부가 제1삽입핀(111)과 베이스 부재(12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스프링이 이용된다. 제1탄성부재(113)는 제1삽입핀(111)을 베이스 부재(120) 외측으로 탄성 편향시키도록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113)는 일정 간격 이격된 접속단자(24)들에 의해 생성되는 반력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탄성 계수를 가진다. 즉 제1탄성부재(113)는 제1삽입 핀(111)이 하강하여 접속단자(24)들과 접촉되자마자 바로 탄성압축되지 않으며, 램프(10)의 전극부(14)가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접속단자(24)들이 일정 간격 이격될 때까지 탄성압축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제1삽입핀(111)이 계속 하강하게 되면 접속단자(24)들이 필요 이상으로 이격되는데, 과도하게 벌어지는 접속단자(24)들에 의한 반력이 증가하면서 제1탄성부재(113)는 압축되기 시작하며, 접속단자(24)에는 더 이상의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탄성부재(113)는 필요 이상의 과도한 힘이 접속단자(24)들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탄성부재(114) 역시 베이스 부재(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단부가 제2삽입핀(112)과 베이스 부재(12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스프링이 이용된다. 제2탄성부재(114)는 제2삽입핀(112)을 베이스 부재(120) 외측으로 탄성 편향시키도록 설치된다.
제2탄성부재(114)도 필요 이상의 과도한 힘이 램프(10)의 본체부(12)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삽입핀(112)은 강도가 약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램프(10)의 본체부(12)와 접촉하므로 제2탄성부재(114)의 탄성계수는 제1탄성부재(113)의 탄성 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30)은 후술할 베이스 부재(120)가 결합되며, 그 상측에 공압 실린더(160)와 직선운동 가이드 부재(162)가 설치되어 프레임(130)은 베이스 부재(1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20)는 다수의 램프삽입부(110)가 결합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베이스 부재(120)는 램프의 길이 방향(A)과 교차하는 가상선을 회전중심 축(c)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양단부가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베이스 부재(120)는 프레임(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공압 실린더(160)에 의해 베이스 부재(120)와 프레임(130)은 상하 방향으로 함께 승강한다. 한편,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120)의 양단부는 베이스 부재(120)와 별도로 제작되어, 베이스 부재(120)에 결합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20)는 램프의 길이 방향(A)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직선운동 가이드 부재(150)에 결합되어 램프의 길이 방향(A)으로 이동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에 설치되는 램프(10)의 다양한 길이에 대해서도 대응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100)에 있어서, 한 쌍의 제1삽입핀(111)과 제2삽입핀(112)이 회전중심축(c)을 따라 베이스 부재(12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일렬로 다수 배치되며, 이와 같은 램프삽입부(110)의 열이 베이스 부재(120) 상에 다수 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1삽입핀(111)과 제2삽입핀(112)이 회전중심축(c)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제1배치열(ℓ1)을 형성하고,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제1배치열(ℓ1)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r1)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제1삽입핀(111)과 제2삽입핀(112)이 회전중심축(c)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제2배치열(ℓ2)을 형성한다. 또한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제2배치열(ℓ2)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r2)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제1삽입핀(111)과 제2삽입핀(112)이 회전중심축(c)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제3배치열(ℓ3)을 형성하고,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제3배치열(ℓ3)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r3)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제1삽입핀(111)과 제2삽입핀(112)이 회전중심축(c)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제4배치열(ℓ4)을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배치열(ℓ1), 제2배치열(ℓ2), 제3배치열(ℓ3) 및 제4배치열(ℓ4)은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약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배치열(ℓ1,ℓ2,ℓ3,ℓ4)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110)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르거나, 각각의 배치열(ℓ1,ℓ2,ℓ3,ℓ4)에 배치된 램프삽입부(110)의 수량이 서로 다르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치열(ℓ1)의 램프삽입부(110) 간의 간격(p1)과 제3배치열(ℓ3)의 램프삽입부(110) 간의 간격(p3)은 서로 다르고, 제1배치열(ℓ1) 및 제3배치열(ℓ3)에 배치된 램프삽입부(110)의 수량 또한 서로 다르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의 기종이 변경될 때 변경된 기종에 맞는 램프삽입부(110)의 배열이 램프(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부재(120)를 회전시키는("B" 방향으로 회전) 것만으로, 변경된 기종에 대한 램프 결합장치(100)의 세팅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120)의 양단부 각각에는 베이스 부재(12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142)가 마련된다. 함몰부(142)는 제1,2,3,4배치열(ℓ1,ℓ2,ℓ3,ℓ4)과 각각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치된다. 함몰부(142)는 각 배치열(ℓ1,ℓ2,ℓ3,ℓ4)과 마찬가지로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약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멈춤부재(144)는 일부분이 함몰부(142)에 수용되는 구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탄성부재(146)는 멈춤부재(144)를 함몰부(142) 측으로 탄성 편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부재가 이용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공압 실린더(160)의 로드가 챔버로부터 인출되면 프레임(130)과 베이스 부재(120)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제1삽입핀(111)은 램프 소켓(20)의 접속단자(24)들을 누르게 되고 제2삽입핀(112)은 램프(10)의 본체부(12)를 누르게 된다. 제1삽입핀(111)과 제2삽입핀(112)의 가압에 의해 램프의 전극부(14)는 램프 소켓(20)의 접속단자(24)들 사이에 삽입되고, 램프(10)와 램프 소켓(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공압 실린더(160)의 로드가 챔버로 인입되면 다시 프레임(130)과 베이스 부재(120)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1삽입핀(111) 및 제2삽입핀(112)은 램프(10) 및 램프 소켓(20)으로부터 멀어진다.
램프(10)의 배치 수량 또는 배치 간격이 다른 백라이트 유닛이 램프 결합장치(100)에 유입되면, 그 백라이트 유닛에 대응되는 램프삽입부(110) 배치열이 백라이트 유닛과 마주보도록 베이스 부재(120)를 회전시킨다("B" 방향으로 회전).
램프(10)의 결합작업시 베이스 부재(120)는 함몰부(142), 멈춤부재(144) 및 탄성부재(146)에 의해 일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후 백라이트 유닛의 기종이 변경되어 베이스 부재(120)를 회전시키면, 멈춤부재(144)는 함몰부(142)로부터 이탈되고, 베이스 부재(120)의 원주 방향(B)을 따라 회전하다가 이웃하는 다른 함몰 부(142)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램프삽입부(110) 배치열(ℓ1,ℓ2,ℓ3,ℓ4)과 일직선에 위치하는 함몰부(142)에 멈춤부재(144)를 삽입하여 베이스 부재(120)의 회전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램프의 결합작업시에는 베이스 부재(1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는, 램프삽입부의 수량과 간격이 서로 다른 다수의 배치열을 포함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 내에 설치되는 램프의 수량 또는 이웃하는 램프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었을 때 단시간 내에 그리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는, 다양한 모델의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결합장치 하나로 램프 결합작업이 가능하므로, 결합장치의 생산비용, 유지보수 비용 및 생산현장에서 차지하는 공간비용 등의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는, 램프삽입부가 램프 소켓의 접속단자를 이격시키는 제1삽입핀과 램프 본체부를 하측으로 누르는 제2삽입핀으로 구성됨으로써, 램프를 램프 소켓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는, 베이스 부재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부와, 일부분이 함몰부에 삽입되는 멈춤부재와, 멈춤부재를 함몰부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됨으로써, 램프의 결합작업시 베이스 부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램프삽입부는 램프 소켓의 접속단자들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제1삽입핀과 램프의 본체부를 누르기 위한 제2삽입핀으로 구성되지만, 램프삽입부는 제1삽입핀만을 포함하고 제1삽입핀에 의해 접속단자들이 이격된 상태에서 램프의 전극부가 접속단자들 사이로 자유낙하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램프 및 램프 소켓의 일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램프 소켓을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함몰부, 멈춤부재 및 탄성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110: 램프삽입부
111: 제1삽입핀 112: 제2삽입핀
113: 제1탄성부재 114: 제2탄성부재
115: 충격완화부재 120: 베이스 부재
130: 프레임 142: 함몰부
144: 멈춤부재 146: 탄성부재

Claims (8)

  1.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를 램프 소켓에 결합하기 위한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를 상기 램프 소켓에 삽입시키기 위한 램프삽입부; 및
    상기 램프삽입부가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선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삽입부는 복수개가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램프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회전중심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배치열 및 제2배치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배치열은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배치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거나, 상기 제1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과 상기 제2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램프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회전중심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3배치열 및 제4배치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3배치열은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배치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4배치열은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배치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3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4배치열의 이웃하는 램프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거나, 상기 제3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과 상기 제4배치열의 램프삽입부의 수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삽입부는,
    상기 램프의 전극부가 상기 램프 소켓의 한 쌍의 접속단자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단자들에 접촉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제1삽입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삽입핀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램프의 본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본체부를 하측으로 누르기 위한 제2삽입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핀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삽입핀을 상기 베이스 부재 외측으로 탄성 편향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삽입핀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삽입핀을 상기 베이스 부재 외측으로 탄성 편향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핀에 끼워지며 상기 본체부와의 접촉시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완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배치열 및 상기 제2배치열과 각각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함몰부;
    일부분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구형상의 멈춤부재;
    상기 멈춤부재를 상기 함몰부 측으로 탄성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KR1020080079737A 2008-08-14 2008-08-14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KR100983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37A KR100983455B1 (ko) 2008-08-14 2008-08-14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37A KR100983455B1 (ko) 2008-08-14 2008-08-14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041A KR20100021041A (ko) 2010-02-24
KR100983455B1 true KR100983455B1 (ko) 2010-09-24

Family

ID=4209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737A KR100983455B1 (ko) 2008-08-14 2008-08-14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4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774A (ja) 1999-10-29 2006-04-2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6337703A (ja) 2005-06-01 2006-12-1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29023A (ko) * 2006-09-28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KR20080032284A (ko) * 2006-10-09 2008-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774A (ja) 1999-10-29 2006-04-2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6337703A (ja) 2005-06-01 2006-12-14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29023A (ko) * 2006-09-28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KR20080032284A (ko) * 2006-10-09 2008-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041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80129B (zh) 一种板间浮动连接器
KR2010008688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174851B1 (ko) 슬라이딩 구동모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모듈 컨택장치
KR100983455B1 (ko) 백라이트 램프 결합장치
CN105745487A (zh) 拆装式led照明器具
KR102064773B1 (ko) 원터치식 체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픽업 유닛
CN102484345B (zh) 用于楔形灯泡的插座
CN101725808B (zh) 支撑装置
CN102868081B (zh) 阵列激光器的固定装置
KR101690622B1 (ko) 엘이디검사용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콘텍장치
US20070171677A1 (en)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00308A (ko) 프린팅 장치
KR20000071658A (ko) 전지 충방전 검사장치
CN108885405A (zh) 光照射装置
CN114447163B (zh) 微发光装置的键合治具、键合设备及其键合方法
CN101451691A (zh) 背光组件及具有该背光组件的显示装置
CN104061529B (zh) 导光板组件
KR100638891B1 (ko) 렌즈 초점 조정용 노브
CN215523009U (zh) 一种智能教室用黑板灯
CN102570703A (zh) 调平电机
CN101925774B (zh) 液晶显示装置用背光源
CN102938440A (zh) Led封装结构及使用该led封装结构的led灯
JP2006098296A (ja) 表示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JP5097056B2 (ja) 回路基板
KR101105654B1 (ko) 엘이디 시험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