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405B1 -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405B1
KR100983405B1 KR1020100003582A KR20100003582A KR100983405B1 KR 100983405 B1 KR100983405 B1 KR 100983405B1 KR 1020100003582 A KR1020100003582 A KR 1020100003582A KR 20100003582 A KR20100003582 A KR 20100003582A KR 100983405 B1 KR100983405 B1 KR 10098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ever
door
inside handle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림프라스틱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림프라스틱공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림프라스틱공업
Priority to KR102010000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활한 작동력을 보장하면서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배제하여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홀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정 폭을 유지시켜 돌출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도어 개방작동을 위한 레버와 세이프티노브를 유지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개재하여 레버에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시 스프링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고 소음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잡아주기 위한 스프링유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INSIDE HANDLE OF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핸들을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 시키면서 원활한 작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개선한 핸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은 자동차는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주로 도어트림의 후미 상부에 설치하게 되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은 도어 중간위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어셈블리와 연결한다.
상기 인사이드 핸들에는 외부에서 타인이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세이프티노브를 함께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인사이드 핸들의 구성을 도 4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인사이드 핸들(1)은 도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공을 가지는 베이스(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2)에는 일정 폭을 유지시켜 브라켓(3)을 돌출시킨다.
상기 브라켓(3)에는 도어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개방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레버(4)와 외부에서 해제작동을 방지하면서 실내에서 인위적으로 잠금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세이프티노브(5)를 힌지핀(6)으로 유지하고 있다.
상기 레버(4) 위치의 힌지핀(6)에는 스프링(7)을 개재하여 레버(4)가 작동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레버(4)에 소정의 힘(작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레버를 관통하여 힌지핀에 토셔널 타입의 스프링을 개재시킨 후, 스프링의 일단은 베이스에 걸림 되도록 하고 타단은 레버에 걸림시켜 도어 개방을 위하여 이용자가 레버를 당길 때 적당한 힘(작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어가 개방되어 레버를 놓으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인사이드 핸들의 레버를 유지하는 힌지핀의 직경보다 스프링의 직경을 크게 하여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 작동시 스프링이 비틀리면서 직경이 미세하게 축소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힌지핀과 스프링의 직경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스프링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 심하게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이 편중 변형되는 것이 반복됨으로써 피로도의 가중으로 인하여 스프링이 쉽게 손상되는 원인이 되고, 스프링의 과도한 변형으로 스프링과 힌지핀이 접촉하는 것은 물론, 스프링과 레버의 어느 한 부위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작동 이음이 발생하게 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스프링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가지는 고유의 힘(설계과정에서 의도된 힘)이 발생하지 못하기 때문에 레버의 작동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어 절도감 있는 작동력을 부여하지 못하고 도어을 쉽게 개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레버 작동 과정에서 스프링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작동력의 저하와 소음발생 등으로 인한 인사이드 핸들의 품질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고정홀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정 폭을 유지시켜 돌출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도어 개방작동을 위한 레버와 세이프티노브를 유지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개재하여 레버에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시 스프링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고 소음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잡아주기 위한 스프링유지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원활한 작동력을 보장하면서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배제하여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인사이드 핸들을 구성하는 베이스에 레버를 연결하는 힌지핀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강구하여 레버 작동 과정에서 스프링이 과도하게 비틀리거나 편중된 변형을 방지하여 의도한 작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동 과정에서의 소음을 배제하여 인사이드 핸들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100)은 도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홀(101)을 가지는 베이스(10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02)에는 일정 폭을 유지시켜 브라켓(103)을 돌출시킨다.
상기 브라켓(103)에는 도어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개방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레버(104)와 외부에서 해제작동을 방지하면서 실내에서 인위적으로 잠금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세이프티노브(105)를 힌지핀(106)으로 유지한다.
상기 힌지핀(106)에는 일단(107)이 베이스(102)에 걸림 되고 타단(108)은 레버(104)에 걸림 되어 레버(104)에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10)을 개재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버(104) 작동시 스프링(11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고 소음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스프링(110)을 잡아주기 위한 스프링유지수단(11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유지수단(111)은 레버(104)에 일체로 형성하여 돌출시킬 수도 있으나, 성형의 용이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레버(104)와 별도로 형성하여 힌지핀(106)에 삽입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스프링유지수단(111)은 힌지핀(10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핀홀(112)을 형성하고, 스프링(110)의 내경(D)보다 작은 직경(D1)을 가지도록 힌지핀(106)에 삽입되는 관체 형상의 유지바디(113)를 형성한 부싱 형태의 것이 좋다.
상기 유지바디(113)의 직경(D1)은 스프링(110)이 최대한 작동하였을 때 수축된 내경(D)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스프링(110)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스프링(110)이 최대로 수축되더라도 그 범위는 크지 않는 데, 실제 인사이드 핸들에 개재되는 스프링의 직경이 10∼13㎜정도이기 때문에 미세한 치수를 가지게 된다.
상기 유지바디(113)의 일측에는 스프링(110)의 일단(107)이 레버(104)와 연접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114)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지바디(113)에는 스프링(104) 작동으로 직경 축소시 스프링(104) 내경과의 연접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 다수개의 미세한 돌기(115)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스프링유지수단(111)의 전체 길이(L)는 레버(104)의 내폭(B)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립 공차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조립 후 작동 과정에서 스프링유지수단(111)이 과도하게 유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100)의 레버(104)를 작동시킬 때 스프링유지수단(111)이 스프링(110)을 유지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 또는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레버(104)를 잡고 당기게 되면 레버(104)와 연결된 도어래치어셈블리가 작동하여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도어를 개방 또는 실내에서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버(104)를 잡고 당기면 스프링(110)의 일단(107)과 양단(108)이 근접되면서 스프링(110)의 내경(D)이 수축되는 데, 이 과정에서 힌지핀(106)에 더 결합 된 스프링유지수단(111)에 의하여 스프링(11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힌지핀(106)과 스프링(11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유지수단(111)의 유지바디(113)가 수축되는 스프링(110)의 내경(D1)을 안정되게 받쳐주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즉, 힌지핀(106)과 스프링(110) 사이에 스프링유지수단(111)이 없을 경우에는 스프링(110)이 작동과정에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데,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어 과도한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프링유지수단(111)이 개재되어 스프링(110)이 작동하더라도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므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프링(110)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설계시 의도한 스프링(110)의 힘을 그대로 발휘하여 최적의 작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작동 과정에서 레버(104) 또는 힌지핀(106)과 마찰 및 간섭에 의한 소음발생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레버의 원활한 작동력을 보장하면서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배제하여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고, 인사이드 핸들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인사이드 핸들
104; 레버
110; 스프링
111; 스프링유지수단

Claims (3)

  1. 고정홀(101)을 가지는 베이스(102)와;
    상기 베이스(102)에 일정 폭을 유지시켜 돌출되는 브라켓(103)과;
    상기 브라켓(103)에 도어 개방작동을 위한 레버(104)와 세이프티노브(105)를 유지하는 힌지핀(106)과;
    상기 힌지핀(106)에 개재하여 레버(104)에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1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100)에 있어서;
    상기 레버(104) 작동시 스프링(11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작동력과 복귀력을 부여하고 소음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스프링(110)을 잡아주기 위한 스프링유지수단(111)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유지수단(111)은 힌지핀(10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핀홀(112)을 형성하여 관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유지바디(113)와;
    상기 유지바디(113)의 일측에 스프링(110)의 일단(107)이 레버(104)와 연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는 플랜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2. 삭제
  3. 삭제
KR1020100003582A 2010-01-14 2010-01-14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0098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82A KR100983405B1 (ko) 2010-01-14 2010-01-14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82A KR100983405B1 (ko) 2010-01-14 2010-01-14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405B1 true KR100983405B1 (ko) 2010-09-20

Family

ID=4301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582A KR100983405B1 (ko) 2010-01-14 2010-01-14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26B1 (ko) * 2011-12-08 2014-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장치
KR20210049515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인사이드 도어 핸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328A (ja) * 2000-05-01 2001-11-0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構造
KR20070117904A (ko) * 2006-06-09 200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328A (ja) * 2000-05-01 2001-11-0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構造
KR20070117904A (ko) * 2006-06-09 200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26B1 (ko) * 2011-12-08 2014-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장치
KR20210049515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인사이드 도어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133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US8602495B2 (en) Fold-and dive structure for vehicle seat
US6095576A (en) Door latch striker
US8297684B1 (en) Folding armrest
KR101786663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래치
JP4248357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WO2006077644A1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EP2082910B1 (en) Armrest structure for vehicle seat
JP2005104192A5 (ko)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CN208486714U (zh) 带有一体化握把的内把手
KR100983405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US20150130194A1 (en) Glove box for vehicle
US6106037A (en) Door latch striker
KR100535762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고정구조
JP4551241B2 (ja) オープンカーにおけるル−フ部材のロック装置および車両用ロック装置
CN110872920A (zh) 用于将车门锁闩线缆连接到车辆的可伸缩的外部车门把手组件的结构
KR20070122300A (ko) 글로브 박스의 락킹 장치
JP2013103610A (ja) スプリング係止具及び車両用シート
CN106218577B (zh) 一种用于车辆安全带的锁止机构
CN104790765B (zh) 门锁
KR102322357B1 (ko) 후드 래치 시스템
JP2005337681A (ja) 冷蔵庫扉のハンドル
CN211765108U (zh) 用于汽车扶手的解锁机构及包括其的汽车座椅
JP7318466B2 (ja) 車両の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