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363B1 - 탈부착형 발광기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발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363B1
KR100982363B1 KR1020070062411A KR20070062411A KR100982363B1 KR 100982363 B1 KR100982363 B1 KR 100982363B1 KR 1020070062411 A KR1020070062411 A KR 1020070062411A KR 20070062411 A KR20070062411 A KR 20070062411A KR 100982363 B1 KR100982363 B1 KR 10098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attery
lamp
light emit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657A (ko
Inventor
손대업
Original Assignee
손대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대업 filed Critical 손대업
Priority to KR102007006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363B1/ko
Priority to EP08766580A priority patent/EP2171344A4/en
Priority to CN200880022104.5A priority patent/CN101730817B/zh
Priority to PCT/KR2008/003621 priority patent/WO2009002082A2/en
Priority to JP2010514614A priority patent/JP2010531534A/ja
Priority to AU2008269783A priority patent/AU2008269783B2/en
Publication of KR2008011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363B1/ko
Priority to JP2013083422A priority patent/JP201317905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형 발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전원 리드선과 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탈부착형 발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발광기는, 하나 이상의 램프를 가지고, 상기 램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기판 및 배터리가 내장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대상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부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회로기판이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할 지라도 발광기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궁극적으로 컴팩트화 및 초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의 전원 리드선을 회로기판측에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그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형 발광기{ATTACHABLE LANTER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발광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발광기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발광기가 모자챙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화살표 A를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모자챙 10 : 탈부착형 발광기
11 : 케이스 13 : 하부판
15 : 전면부 17 : 후면부
19 : 측면부 19a : 경사면
21 : 상부판 21a,21b : 관통공
25 : 램프브래킷 27 : 빛 확산렌즈
31 : 탈부착유닛 33 : 연장부
35 : 절곡부 41 : 클립
45 : 배터리 51 : 제1정렬가이드
53 : 제2정렬가이드 61 : 후크결합부
65 : 후크부 71 : 회로기판
75 : 주 램프 81 : 보조 램프
85 : 제1스위치 91 : 제2스위치
본 발명은 탈부착형 발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전원 리드선과 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탈부착형 발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낚시, 운동, 여행이나 하이킹, 조깅 등과 같은 레저 및 스포츠 활동시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고, 햇빛을 차광하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모자챙이 전면으로 돌출된 모자를 착용하게 되고, 야간작업장에서도 상기와 같은 모자를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자를 착용하고 등산 및 낚시, 여행 등 주간에 활동하는 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야간에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별도의 발광기, 즉 플래시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등산이나 여행 중 야간에 플래시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고 이동해야 하므로,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빛이 비쳐지는 곳을 따라 시 야를 이동해야 하므로 주의가 산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야간작업장 등과 같이 손은 자유롭고 밝은 빛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한 손에 플래시를 들고 한 손으로만 작업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작업자가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작업자가 플래시를 옆에서 들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 램프가 달린 밴드를 머리에 두르거나 클립에 의해 모자챙 등에 착탈되는 발광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발광기는 배터리와 회로기판의 배치관계가 복잡하여 램프의 전원 리드선을 회로기판측에 용접시키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였고, 램프의 전원 리드선을 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어려워 생산성이 극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광기는 그 전원을 주로 비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비충전식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매우 저하되고, 그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입력잭을 매개로 전원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충전식 배터리가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충전식 배터리가 적용될 경우 발광기의 부피 및 중량이 대폭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여전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발광기의 중량이 커지게 되면 발광기를 모자챙 등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중량에 의해 모자챙이 전방으로 치우쳐 그 사용편의성이 매우 저하되고, 또한 발광기의 부피가 커지게 되면 발광기에 의해 시야가 가려짐으로써 발광기의 원 목적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의 발광기는 비충전식 배터리의 사용에 의해 쉽게 버려지는 배터리로 인해 환경 오염의 문제가 야기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회로기판이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할 지라도 발광기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궁극적으로 컴팩트화 및 초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탈부착형 발광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의 전원 리드선을 회로기판측에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그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탈부착형 발광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발광기는,
하나 이상의 램프를 가지고, 상기 램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기판 및 배터리가 내장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대상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부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3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램프의 전원 리드선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용접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발광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발광기(10)는 케이스(11) 및 모자챙(3) 등과 같은 대상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탈부착유닛(31)을 포함한다.
케이스(11)는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판(13) 및 이 하부판(13)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상부판(21)을 포함한다.
하부판(13)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대향 배치되어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5) 및 후면부(17)를 구비하고, 전면부(15) 및 후면부(17)에는 한 쌍의 측면부(19)가 배치된다.
전면부(15)에는 주 램프(75)가 지지되는 램프브래킷(25)이 결합되고, 램프브래킷(25)에는 반사면(25a)을 가지며, 램프브래킷(25)의 전방에는 주 램프(75)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확산하는 빛 확산렌즈(27)가 마련되어 있다.
측면부(19)는 전면부(15)에 후면부(17)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19)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19)에는 보조램프(81)가 장착되며, 보조램프(81)의 주변에는 반사면(8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판(21)은 하부판(13)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상부판(21)은 상기 하부판(19)에 대응하여 그 좌우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1)는 그 좌우 양측면에 경사면(19)을 가짐으로써, 전면부(15)측에 배치되는 주 램프(75) 및 보조램프(81)의 발광신호는 외부에 보다 넓은 범위로 확산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야간에 외부로부터의 안전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각종 경광등, 수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주 램프(75) 및 보조램프(81)는 그 발광 색상을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각종 경고신호, 수신호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부판(21) 및 하부판(13) 사이에는 충전식 배터리(45) 및 회로기판(71)이 개재되고, 배터리(45)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회로기판(71)은 배터리(45)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케이스(11) 내에는 주 램프(75) 및 보조램프(8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71)이 수용되어 있다. 회로기판(71)은 배터리(45)의 둘레 일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이 회로기판(71)은 그 일측에 입력단자(76)를 가지고, 이 입력단자(76)에는 입력잭(45a)이 접속되며, 이 입력잭(45a)에 의해 외부전원이 충전식 배터리(45)에 충전된다. 그리고, 회로기판(71)은 그 타측에 출력단자(77)를 가지고, 이 출력단자(77)에는 출력잭(45b)이 접속되며, 이 출력잭(45b)을 통해 배터리(45)에 충전된 전원을 네비게이터, 휴대폰, MP3 등과 같은 외부의 전자제품을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발광기에 사용이 되어지는 전원은 비충전식 배터 리도 사용이 가능하나, 비충전식 배터리의 사용으로 인해 야기되는 잦은 배터리의 교체 문제 및 그 교체에 따른 비용증가, 버려지는 배터리에 의해 초래되는 환경문제 등을 고려하여 충전식 배터리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을 입력잭을 통하여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시켜 배터리를 교환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가 있게 한다.
한편, 회로기판(71)은 충전식 배터리(45)의 주변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3 가장자리(71a, 71b, 71c)를 가지고, 제1가장자리(71a)의 단부에는 끼움홈(71d)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71d)에는 후크결합부(61)가 끼워져 회로기판(71)의 안착 내지 장착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회로기판(71)이 배터리(45)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의 높이를 최소화한 저상형구조(low profile)를 구현하여 그 전체 사이즈를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기판(71)이 배터리(45)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에 의해, 회로기판(71)은 그 회로패턴이 보다 단순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주 램프(75) 또는 보조 램프(81)의 전원리드선(79)을 회로기판(71)측에 용접하는 경우 별도의 보조전선 또는 그외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고, 직접적으로 전원리드선(79)을 회로기판(71)측에 용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그 용접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주 램프(75)의 전원리드선(79)은 회로기판(71)의 제1가장자리(71a)에 인접하여 직접 용접됨으로써 용접작업 시간의 단축 및 전원리드선(79) 및 회로기판(71)의 용접구조가 개선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주 램프(75)는 케이스(11)의 전면부(15)에 배치된 램프브래킷(25)에 지지되어 케이스(11)의 전방으로 빛을 발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주 램프(75)가 도시되어 있지만, 주 램프(75)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주 램프(75)의 발광에 의해 보행 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조 램프(81)는 케이스(11)의 경사면(19a)에 배치되며, 그 전원리드선이 회로기판(71)의 양측에 용접된다. 보조 램프(81)는 배터리(45)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멸한다. 이에, 케이스(11)의 양측에 위치한 보조 램프(81)의 점멸에 의해 위급한 상황이나 유사시 자신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감지토록 해주어 야간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주 램프(75) 및 보조 램프(81)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발광기(10)는 배터리(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 램프(75) 및 보조 램프(81)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제1스위치(85)와, 제1스위치(8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85)의 작동을 단속하는 제2스위치(91)를 가진다. 여기서, 제1스위치(85)는 푸시 버튼 스위치이고, 제2스위치(91)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됨이 예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85, 91)는 상부판(21)의 각 관통공(21a,21b)을 관통하여 상부판(2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스위치(91)가 온(on)된 상태에서 제1스위치(85)가 온(on) 될 때, 배터리(45)의 전원이 주 램프(75) 및 보조 램프(81)로 동시에 공급되어, 주 램프(75)와 보조 램프(81)는 동시에 발광된다.
여기서, 제2스위치(91)가 온(on) 된 상태에서, 제1스위치(85)를 한번 누르면 주 램프(75)만 켜지고, 제1스위치(85)를 한번 더 누르면 보조 램프(81)가 켜지며, 제1스위치(85)를 다시 누르면 주 램프(75)와 보조 램프(81)가 동시에 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위치(85, 91) 중에서 어느 하나만이 온(on) 된 상태일 때, 배터리(45)의 전원은 주 램프(75) 및 보조 램프(81)로 공급되지 않고, 출력잭(77)으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출력잭(77)을 통한 외부의 전자제품을 충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배터리(45)가 안착되는 안착부(47a, 47b)를 가지고, 이 안착부(47a, 47b)에는 격자형상의 보강리브(49a, 49b)가 각각 형성되며, 이 보강리브(49a, 49b)에 의해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은 그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본 발명의 케이스(11)는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하부판(13) 및 상부판(21)는 상호 마주보는 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정렬가이드(51, 53)를 가진다.
이 정렬가이드(51, 53)는 배터리(45) 및 회로기판(71)의 상호 인접하는 면을 정렬하는 하나 이상의 제1정렬가이드(51)와, 후면부(17)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배터리(45)의 일측 장변을 정렬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정렬가이드(53)로 이루어지지고, 제2정렬가이드(53)와 동일선상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부(54)가 돌출되고, 이 결합홈부(54)에는 상부판(21)에서 돌출된 결합돌기(52)가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52)는 십자형의 보강리브(52a)에 의해 그 지지강성이 보강된다. 이러한 결합홈(54) 및 결합돌기(52) 또한 배터리(45) 및 회로기판(71)의 안착위치를 정렬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판(13)에는 제1정렬가이드(51) 및 제2정렬가이드(53)와 함께 배터리(45) 및 회로기판(71)의 안착 위치를 정렬하는 한 쌍의 후크결합부(61)가 하부판(13)의 판면으로부터 상부판(21)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이 후크결합부(61)는 배터리(45) 및 회로기판(71)이 상호 인접하는 부분에 돌출될 수 있다. 후크결합부(61)에는 후크결합부(6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지리브(61a)가 형성되고, 이 지지리브(61a)에 의해 후크결합부(61)는 그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부판(21)에는 후크부(65)가 하부판(13)을 향해 돌출되고, 이 후크부(65)는 하부판(13)의 후크결합부(61)에 맞물림으로써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이 결합된다. 이 후크부(65)에는 후크부(6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지리브(65a)가 형성되고, 이 지지리브(65a)에 후크부(65)는 그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후크부(6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21)의 판면으로부터 하부판(13)를 향해 돌출된 주벽(67)과, 하부판(13)의 후크결합부(61)의 후크공(63)에 맞물리는 걸림턱(69)을 가진다. 걸림턱(69)은 주벽(67)의 말단부에 주벽(67)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69)의 말단부 영역은 상부판(21)를 하부판(13)에 후크 결합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주벽(67)의 말단부로부터 상부 판(21)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 이로써, 후크결합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후크부(65)의 걸림턱(69)의 경사면에 의해 상부판(21)를 하부판(13)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후크부(65)와 후크결합부(61)는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 이외에, 배터리(45)를 배터리 안착부(47a,47b)에 용이하게 안착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은 후크결합부(61) 및 후크부(65), 결합돌기(52) 및 결합홈(65)에 의해 그 결합이 보다 견고해진다. 그리고, 후크결합부(61) 및 후크부(65)는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있더라도 지지리브(61a, 65a)에 의해 그 지지강성이 보강됨으로써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케이스(11)는 그 조립 및 결합구조가 견고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상부판(21) 및 하부판(13)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정렬가이드(51, 53) 등을 통해 배터리(45) 및 회로기판(71)이 상부판(21) 및 하부판(13) 내에서 유격없이 맞춤결합됨으로써 부품 상호간의 피팅성을 매우 양호하게 함과 더불어 내부공간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배터리(45)가 안착되는 안착부(47a, 47b)를 가지고, 이 안착부(47a, 47b)에는 격자형상의 보강리브(49a, 49b)가 각각 형성되며, 이 보강리브(49a, 49b)에 의해 상부판(21) 및 하부판(13)은 그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본 발명의 케이스(11)는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탈부착유닛(31)은 벨크로파스너, 클립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모 자챙(3) 등과 같은 대상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탈부착유닛(31)은 하부판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 이상의 클립(41), 및 상기 클립(41)을 그 이격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33)는 후면부(17)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35)를 가진다.
연장부(33)는 이격된 2 이상의 클립(41)을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하부판(13)에 연결시킴으로써 각 클립(41)의 연결면적을 보다 증대시킴으로써 클립(41)이 쉽게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3) 및 절곡부(35)는 그 내측단면(33a, 35a)이 소정반경으로 곡률지게 형성됨으로써 연장부(33) 및 절곡부(35)측에 인가되는 외력을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 그 강도를 보다 보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33)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면 및 하부면(33b, 33c)이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반경 곡률지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외력이 그 곡률진 상부면(33b, 33c)을 따라 분산됨으로써 그 강도를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클립(41)은 절곡부(35)에서 연장되고, 하부판(13)의 바닥면을 향해 탄성부세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 절곡된 부분에 모자챙(3) 등과 같은 대상체와 접촉하는 접촉면(41a)을 가진다.
그리고, 접촉면(41a)은 모자챙(3)과 같은 대상체와의 접촉면적을 보다 넓히도록 그 폭방향으로 소정반경 곡률지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탈부착유닛(31)의 결합력을 대폭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클립(41)은 대상체에 면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그 접촉력 내지는 결합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탈부착유닛(31)은 연장부(33) 및 절곡부(35)의 곡률진 구조(33a, 33b, 33c, 35a)에 의해 그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모자챙(3) 등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이킹 또는 조깅 등과 같은 격렬한 운동을 할 때도 클립(41)에 작용하는 피로강도를 줄여 클립(4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2 이상의 클립(41)이 양측으로 만곡된 모자챙(3)에 결합될 경우, 모자챙(3)에 케이스(11)의 하부판(13)이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모자챙(3)의 외피가 클립(41)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스(11)가 모자챙(3)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초음파 발생기(9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 초음파 발생기(90)는 회로기판(71)측에 접속되며, 상부판(21)의 스피커 홀(91)을 통해 초음파를 전송하여, 모기, 파리 등과 같은 각종 벌레의 접근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음파 발생기(90)는 하나 이상의 파장을 다양한 영역별로 발생시킴으로써 그 퇴치하고자 하는 벌레들을 각 파장의 영역별로 차단하여 그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발광기(10)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41)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한 후, 모자(1)의 모자챙(3)이 발광기(10)의 케이스(11)와 클립(41) 사이에 위치하도록 모자챙(3)에 결합된다.
이 때, 클립(41)의 자유단부가 케이스(11)의 후면부(17) 상방으로 상향 곡선지게 형성되어 모자챙(3)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발광기(10)를 밀어 넣어 용이하게 모자챙(3)에 결합할 수 있고, 양측이 하향으로 만곡 형성된 모자챙(3)에 케이스(11)의 하부판(13)가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모자챙(3)의 외피가 클립(41)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스(11)의 하부판(13)를 향해 탄성 부세하는 한 쌍의 클립(41)에 의해 케이스(11)가 모자챙(3)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기(10)는 모자(1)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이킹 또는 조깅 등과 같은 격렬한 운동을 할 때도 클립(41)에 작용하는 피로강도를 줄여 클립(4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모자챙(3)에 고정된 발광기(10)의 케이스(11) 상부판(21)에 설치된 제2스위치(91)를 온(on)의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1스위치(85)를 한번 눌러 온(on)시키면, 주 램프(75) 및 보조 램프(81)는 배터리(4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이 때, 주 램프(75)가 모자챙(3)의 말단부에 위치하므로, 주 램프(75)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가로막는 구조물이 없어 그림자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주 램프(75)가 눈의 위치 보다 앞쪽에 위치하게 되어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 램프(75)의 조사각이 눈의 시야각과 일치될 수 있게 되고, 모자(1)를 쓰게 되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고개를 돌리는 위치에 따라 주 램프(75)의 위치 역시 같은 각도로 변하면서 전방을 밝히게 되므로 야간에 용이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배터리(4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보조 램프(81)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게 되고, 이에 모자챙(3)의 전방뿐만 아니라 모자챙(3)의 양측에서도 빛이 발광되므로, 위급한 상황이나 유사시 모자(1) 착용자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스위치(85)가 온 상태에서 제2스위치(91)를 오프(off)의 위치로 조작하면, 배터리(45)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주 램프(75) 및 보조 램프(81)는 소등됨으로써 배터리(45)의 자연방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램프의 전원 리드선을 배터리에 인접하는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용접함으로써, 용접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 램프의 전원 리드선을 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용접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이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할 지라도 발광기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궁극적으로 컴팩트화 및 초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의 전원 리드선을 회로기판측에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그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하나 이상의 램프를 가지고 상기 램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기판 및 배터리가 내장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대상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부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제1 내지 제3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램프의 전원 리드선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발광기.
  2. 삭제
KR1020070062411A 2007-06-25 2007-06-25 탈부착형 발광기 KR100982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11A KR100982363B1 (ko) 2007-06-25 2007-06-25 탈부착형 발광기
EP08766580A EP2171344A4 (en) 2007-06-25 2008-06-25 MOUNTABLE LIGHT
CN200880022104.5A CN101730817B (zh) 2007-06-25 2008-06-25 附着式灯具
PCT/KR2008/003621 WO2009002082A2 (en) 2007-06-25 2008-06-25 Attachable lantern
JP2010514614A JP2010531534A (ja) 2007-06-25 2008-06-25 着脱型発光器
AU2008269783A AU2008269783B2 (en) 2007-06-25 2008-06-25 Attachable lantern
JP2013083422A JP2013179058A (ja) 2007-06-25 2013-04-12 着脱型発光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11A KR100982363B1 (ko) 2007-06-25 2007-06-25 탈부착형 발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57A KR20080113657A (ko) 2008-12-31
KR100982363B1 true KR100982363B1 (ko) 2010-09-14

Family

ID=4037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411A KR100982363B1 (ko) 2007-06-25 2007-06-25 탈부착형 발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3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703Y1 (ko) * 2005-12-20 2006-03-31 손대업 클립형 발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703Y1 (ko) * 2005-12-20 2006-03-31 손대업 클립형 발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57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76688B2 (en) Clip type lamp detachably coupled with cap
US7431472B2 (en) Lighting apparatus for mounting on hat brim
US20070109768A1 (en) Clip type light detachably coupled with cap
US10948171B2 (en) High visibility headlamp
US8157403B2 (en) Light device with detachable clip member
US7125139B2 (en) Flashlight
KR200464373Y1 (ko) 발광 우산
KR100942318B1 (ko) 탈부착형 발광기
KR100982363B1 (ko) 탈부착형 발광기
JP2013179058A (ja) 着脱型発光器
KR20080113656A (ko) 탈부착형 발광기
KR101433185B1 (ko) 헤드 램프
KR20190088954A (ko) 휴대용 조명장치
US11206888B2 (en)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11019869B1 (en) Safety apparatus for use with a helmet
KR101492037B1 (ko) 발광모자
KR102359872B1 (ko) 웨어러블 조명장치
JP2009013538A (ja) 発光体付きヘルメット、発光体付きランドセル、発光体付き腕章、及び、発光体付きストラップ
KR20190114563A (ko) 헤드 랜턴
KR20190042874A (ko) 휴대용 조명장치
KR20110004770U (ko)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