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70U -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70U
KR20110004770U KR2020090014469U KR20090014469U KR20110004770U KR 20110004770 U KR20110004770 U KR 20110004770U KR 2020090014469 U KR2020090014469 U KR 2020090014469U KR 20090014469 U KR20090014469 U KR 20090014469U KR 20110004770 U KR20110004770 U KR 20110004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helmet body
lighting unit
hard ha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476Y1 (ko
Inventor
김무석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7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42B3/0446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intended to light the way a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안전모가 개시된다. 이 안전모는 안전모 몸체; 상기 안전모 몸체의 전방 영역에 부착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안전모 몸체의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와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선을 안전모 몸체의 상부 중앙을따라 배치시킴으로써, 전선의 무게에 의한 안전모 몸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모, 조명부, 컬코드

Description

안전모{Safety cap}
본 고안은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헤드 램프가 부착된 안전모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모는 헤드 램프와 베터리를 연결하는 전선이 헤드램프의 측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전선의 무게로 인해 안전모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선의 신축성이 부족하여 사용자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제약이 있었다.
또한, 헤드 램프를 안전모 몸체 고정하기 위해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헤드 램프를 걸 수 있는 치구를 헤드 램프에 부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안전모 몸체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안전모 몸체의 안전성을 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에 의한 안전모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전모 몸체의 안전성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모 몸체; 상기 안전모 몸체의 전방 영역에 부착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안전모 몸체의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와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안전모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모 몸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을 상기 안전모 몸체에 대해 지지하는 전선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지지부는, 일측면이 상기 안전모 몸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의 일 영역은 컬코드(Curl-cor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명부와 상기 안전모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명부를 상기 안전모 몸체에 대해 부착시키는 벨크로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모 몸체의 전방 영역을 지나도록 상기 안전모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띠 몸체와, 상기 띠 몸체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안전모 몸체의 일 측과 결합하는 띠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부착띠; 및 상기 조명부의 후방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띠 몸체와 결합 가능한 조명부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양측부에 상기 안전모 몸체의 좌우측부와 결합하는 브라켓 고정클립을 구비하고, 전방측부에 상기 안전모 몸체의 후방측부가 지지되는 조명부 지지부를 구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을 안전모 몸체의 상부 중앙을따라 배치시킴으로써, 전선의 무게에 의한 안전모 몸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일 영역이 컬코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활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몸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조명부를 안전모 몸체의 전방 영역에 부착함으로써, 안전모 몸체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 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0)는 안전모 몸체(110)와, 조명부(120)와 배터리(130)과 전선(140)을 포함한다.
안전모 몸체(110)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한다. 안전모 몸체(110)의 전방 영역에 조명부(120)가 부착된다. 조명부(120)는 작업공간을 밝히는 빛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0)는 조명부(120)와 안전모 몸체(110) 사이에 개재되는 벨크로 테이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조명부(120)는 안전모 몸체(110)에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로 안전모 몸체(110)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안전모 몸체(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각도조절 가능한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 메커니즘은 일반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명부(120)는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조명부(120)와 배터리(130)는 전선(1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140)은 안전모 몸체(110)의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전선(140)이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전선(140)의 무게는 안전모 몸체(110)의 중앙에 집중될 수 있고, 전선(140)에 의한 안전모 몸체(110)의 기울어 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140)의 일 영역(K)은 컬코드(curl-cor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모(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목을 돌리는 등의 운동을 할 때 전선(140)의 일 영역(K)이 이완과 수축을 함으로써, 안전모(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0)는 전선(140)을 안전모 몸체(110)에 대해 지지하는 전선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에 포함된 전선 지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선 지지부(150)는 베이스부(152)와 수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52)는 일측면이 안전모 몸체(110)의 상부 중앙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52)는 안전모 몸체(110)에 접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152)의 타측면에 수용부(154)가 마련된다. 수용부(154)는 일 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개방부를 통해 전선(14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154)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전선(140)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개방부가 탄성운동 할 수 있다.
전선 지지부(150)는 안전모 몸체(110)의 상부 중앙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거나 단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200)는 안전모 몸체(210)와, 조명부(220)와 배터리(230)과 전선(2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220)는 조명부(220)를 안전모 몸체(210)에 부착시키는 방법과 관련하여 앞선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20)와 차이가 있다.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2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220)는 부착띠(270)와 조명부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착띠(270)는 망형태로 연결된 띠 몸체(272)가 안전모 몸체(21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띠 몸체(272)의 적어도 일부는 안전모 몸체(210)의 전방 영역을 지난다.
띠 몸체(272)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띠 몸체(272)가 안전모 몸체(210)의 외주면에 타이트하게 접촉되어 배치된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해 띠 몸체(272)의 일부를 안전모 몸체(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띠 몸체(272)의 단부에 띠 고정 클립(274)이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띠 고정 클립(274)은 안전모 몸체(210)의 일 측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부(220)의 후방측부에 조명부 클립(2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 클립(280)은 안전모 몸체(210)를 지나는 띠 몸체(272)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부(220)는 안전모 몸체(210)에 손상을 주지 않은 상태로 안전모 몸체(210)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300)는 안전모 몸체(310)와, 조명부(320) 와 배터리(330)과 전선(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300)는 조명부(320)를 안전모 몸체(310)에 부착시키는 방법과 관련하여 앞선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20, 230)와 차이가 있다.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32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300)는 안전모 몸체(310)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조명부(320)과 결합하는 브라켓(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390)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측부에 안전모 몸체(310)의 측부와 결합하는 브라켓 고정 클립(39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 고정 클립(392)에 의해 브라켓(390)은 안전모 몸체(310)에 손상을 주지 않은 상태로 안전모 몸체(210)의 전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B-B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390)의 전방측부에 조명부(320)의 후방측부가 지지되는 조명부 지지부(394)가 마련된다. 이 경우, 조명부 지지부(394)는 조명부(320)의 후방측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명부(320)의 후방측부는 조명부 지지부(394)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브라켓(390)에 의해 조명부(320)가 안전모 몸체(310)에 부착되기 때문에 안전모 몸체(310)에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로 조명부(320)를 안전모 몸체(310)에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 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에 포함된 지지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안전모 몸체 120 : 조명부
130 : 배터리 140 : 전선
150 : 전선 지지부 160 : 벨크로 테이프

Claims (7)

  1. 안전모 몸체;
    상기 안전모 몸체의 전방 영역에 부착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안전모 몸체의 상부 중앙을 따라 연장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와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몸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을 상기 안전모 몸체에 대해 지지하는 전선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지지부는,
    일측면이 상기 안전모 몸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일 영역은 컬코드(Curl-cord)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상기 안전모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명부를 상기 안전모 몸체에 대해 부착시키는 벨크로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몸체의 전방 영역을 지나도록 상기 안전모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띠 몸체와, 상기 띠 몸체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안전모 몸체의 일 측과 결합하는 띠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부착띠; 및
    상기 조명부의 후방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띠 몸체와 결합 가능한 조명부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부에 상기 안전모 몸체의 좌우측부와 결합하는 브라켓 고정클립을 구비하고, 전방측부에 상기 안전모 몸체의 후방측부가 지지되는 조명부 지지부를 구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KR2020090014469U 2009-11-06 2009-11-06 안전모 KR200460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69U KR200460476Y1 (ko) 2009-11-06 2009-11-06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69U KR200460476Y1 (ko) 2009-11-06 2009-11-06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70U true KR20110004770U (ko) 2011-05-13
KR200460476Y1 KR200460476Y1 (ko) 2012-05-25

Family

ID=4660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69U KR200460476Y1 (ko) 2009-11-06 2009-11-06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76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35Y1 (ko) * 2001-11-22 2002-02-25 유모식 헬멧용 안전표시장치
KR20020065405A (ko) * 2002-05-28 2002-08-13 주식회사 프리즘 조명 전구가 장착된 모자
KR20040080880A (ko) * 2003-05-19 2004-09-20 주식회사 오토스광학 골전도 통신이 가능한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476Y1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472B2 (en) Lighting apparatus for mounting on hat brim
US6932487B2 (en) Lighting device designed to fit on a mounting, particularly textile
KR101861376B1 (ko) 향상된 고정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기 조명 램프
US4991068A (en) Lamp attachment for hat
AU2006276688B2 (en) Clip type lamp detachably coupled with cap
US20060232955A1 (en) Light source for a helmet visor
US8157403B2 (en) Light device with detachable clip member
RU2010116259A (ru) Привязные ремни для переносного привод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20090086468A1 (en) Bicycle helmet mounted safety light
US20130114825A1 (en) Headset with a light emitting neckband
US20130201664A1 (en) Portable LED Lighting Helmet To Illuminate a Cyclist Or A Subject While Riding Or Otherwise in Motion
US6575588B2 (en) Lamp device which is worn on the head
KR20180046589A (ko) 헤드랜턴 모듈
KR20110000343A (ko) 헬멧용 안전램프
KR20190000693U (ko)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KR200460476Y1 (ko) 안전모
US11019869B1 (en) Safety apparatus for use with a helmet
KR101414411B1 (ko) 헤드램프모듈 탈부착형 헬멧
KR20190088954A (ko) 휴대용 조명장치
CN213299662U (zh) 一种便携式安全头灯及照明装置
KR100942318B1 (ko) 탈부착형 발광기
US11206888B2 (en)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JP4489753B2 (ja) 自転車用ヘルメット
EP1394028B1 (en) Bicycle headlamp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a bicycle headlamp
JP3583407B2 (ja) ヘルメット及びシールド板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