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563A - 헤드 랜턴 - Google Patents

헤드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563A
KR20190114563A KR1020180037470A KR20180037470A KR20190114563A KR 20190114563 A KR20190114563 A KR 20190114563A KR 1020180037470 A KR1020180037470 A KR 1020180037470A KR 20180037470 A KR20180037470 A KR 20180037470A KR 20190114563 A KR20190114563 A KR 2019011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antern
light
led lam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791B1 (ko
Inventor
이상교
Original Assignee
이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교 filed Critical 이상교
Priority to KR102018003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랜턴에 관한 것으로, LED램프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안전모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용단자가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랜턴바디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에 써치렌즈와 광폭렌즈가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결합홈이 형성되는 렌즈커버와;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 방폭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랜턴바디와 렌즈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과;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방전용 배터리, LED램프 및 보조LED램프를 가지며 랜턴바디 내측에 설치되는 LED패널과;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튀는 석탄, 광석, 돌로부터 렌즈커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렌즈커버보다 돌출되게 랜턴바디에 설치되는 테두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과 같이 지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간편하게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탄광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램프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 랜턴{Head Lantern}
본 발명은 헤드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과 같이 지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간편하게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탄광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 방폭 기능을 갖는 헤드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낚시 혹은 캠핑 등의 야간 여가 활동 또는 야간 작업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 전방을 밝게 비추기 위해 헤드 랜턴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의 헤드 랜턴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게 되므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헤드 랜턴은 통상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착용밴드 상에 배터리가 내장된 랜턴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랜턴에는 전방의 렌즈부 및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 렌즈부의 회전을 통해 점등 빛에 대한 집중 또는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배터리 역시 충전식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 랜턴은 착용밴드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헤드 랜턴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42788호와 같이 하우징 양단에 외감되며 일단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속구와,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공과 나사공으로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게 제1통공이 형성되어 결속구와 결합되며 양단으로 벨트를 결속하도록 된 벨트결합체와, 상기 벨트결합체에 결합된 결속구가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결속구의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헤드 랜턴의 구조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433185호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광원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상기 광원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을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 상기 광원에서의 빛을 상기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쉐이드와; 상기 쉐이드를 눌러서 상기 프레싱 상태로 사용시 상기 쉐이드가 상기 광원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헤드램프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6-0080765호와 같이 충전용 배터리를 헤드 랜턴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와, 전동공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 중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호환 가능하게 구성한 헤드랜턴을 제공함에 따라 대용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랜턴부의 라이트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의 용량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배터리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헤드 랜턴이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헤드 랜턴은 조명부의 렌즈를 회전시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방법을 통해 점등 빛이 넓은 면적을 비추거나 좁은 면적을 비출 수 있도록 조절하는 방식을 갖고 있어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부를 회전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고, 부득이 헤드 랜턴을 벗어 손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착용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도 매우 큰 것이다
또한, 기존의 헤드 랜턴은 단일 개소의 점등부를 이용하여 확장 또는 집중 조명이 연출되도록 하므로 확장 또는 집중 범위에 대한 한계를 갖고 있는 것이고, 회전식 출몰구조로 인해 지나치게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경제성 역시 저하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기존의 헤드 랜턴은 단순히 머리에 착용하여 시야 전방을 비출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응용 사용하지 못하므로 부득이 헤드 랜턴을 포함하여 손전등이나 걸이식 랜턴 등을 추가로 구매하여 사용하므로 지극히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9271호(2017.04.06. 공고)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은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부에는 작동버튼이 결합되는 랜턴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랜턴본체의 전면에는 엘이디 광원판과 투광커버를 결합하며, 상기 랜턴본체의 배면에는 착용밴드가 결합되게 한 체결구를 형성하되, 상기 투광커버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엘이디 광원판의 점등 빛이 투과되게 하고, 상기 투광커버의 중간부에는 서로 이격된 렌즈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삽입공에 각기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엘이디 광원판의 점등 빛이 투광커버나 볼록렌즈, 오목렌즈를 통해 전체 혹은 확장이나 집중상태로 선택 발광되도록 구성한 다용도 헤드 랜턴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에는 걸이홈을 갖는 별도 구비의 걸이구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체결구의 중간부에는 상기 걸이구가 안치되게 한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의 하단 양측에는 축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걸이구의 하단 양측으로는 회전축을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걸이구가 체결구로부터 회전 전개 및 회전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랜턴본체의 전면으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투광커버에 설치되므로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과 같이 지하 작업환경에서 작업시에 갱도에 돌출된 부분에 부딪히는 경우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파손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랜턴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엘이디 광원판이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그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배터리의 전원을 엘이디 광원판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석탄광산의 갱도 내에 매탄가스와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9271호(2017.04.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과 같이 지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간편하게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탄광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방진, 방수, 방폭 기능을 갖는 헤드 랜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LED램프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안전모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용단자가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랜턴바디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에 써치렌즈와 광폭렌즈가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결합홈이 형성되는 렌즈커버와;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 방폭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랜턴바디와 렌즈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과;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방전용 배터리, LED램프 및 보조LED램프를 가지며 랜턴바디 내측에 설치되는 LED패널과;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튀는 석탄, 광석, 돌로부터 렌즈커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렌즈커버보다 돌출되게 랜턴바디에 설치되는 테두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랜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커버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몸체와; 써치렌즈와 광폭렌즈가 억지 끼움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커버몸체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렌즈결합홈과; LED패널에 설치된 잔량표시램프를 빛을 외부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렌즈결합홈 사이에 투명하게 형성되는 표시돌기와; LED패널에 설치된 보조LED램프의 렌즈커버몸체 전면으로 용이하게 비추어질 수 있도록 커버몸체 내측에 형성되어 빛의 길을 형성하는 보조렌즈돌기와; 테두리커버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렌브커버몸체 외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써치렌즈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LED램프의 빛이 인입되는 제1빛투입공이 형성되고, 제1빛투입공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빛이 산란되지 않고 한곳으로 집중적으로 비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폭렌즈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LED램프의 빛이 인입되는 제2빛투입공이 형성되고, 제2빛투입공의 바닥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이 한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산란시켜 비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과 같이 지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간편하게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탄광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조사되는 렌즈커버의 표면보다 테두리커버가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튀는 석탄, 광석, 돌 등의 부딪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렌즈커버를 보호함은 물론 LED램프가 설치된 LED패널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렌즈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써치렌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광폭렌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렌즈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써치렌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광폭렌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은 LED램프(41)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11), 안전모(60)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6)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용단자(12)가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랜턴바디(10)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에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가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결합홈(22-1)이 형성되는 렌즈커버(20)와,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41)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 방폭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랜턴바디(10)와 렌즈커버(20)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30)과,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방전용 배터리, LED램프(41) 및 보조LED램프(42)를 가지며 랜턴바디(10) 내측에 설치되는 LED패널(40)과,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튀는 석탄, 광석, 돌로부터 렌즈커버(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렌즈커버(20)보다 돌출되게 랜턴바디(10)에 설치되는 테두리커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랜턴바디(10)는 상부에 복수의 LED램프(41)를 한꺼번에 또는 번갈아 가면서 온/오프시키거나 보조LED램프(42)를 온/오프 시킬수 있도록 스위치(11)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11)는 LED패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랜턴바디(10)는 하부에 LED패널(40)의 일측에 설치된 충방전용 배터리에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용단자(12)가 구성되고, 상기 충전용단자(1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보호캡(1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충전용단자(12)는 랜턴바디(10)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중앙을 소정 거리가 이격되는 위치에 접점단자(12-1)가 형성되고, 상기 접점단자(12-1)가 형성된 부분의 충전용단자(12) 저부에 보호캡(13)이 고정될 수 있도록 판 형상의 부착부재(12-2)가 설치되며, 상기 접점단자(12-1)가 설치된 충전용단자(12)의 측면에는 보호캡(13)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캡(13)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이 형성된 바닥 면에는 충전용단자(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13-1)이 설치되고, 상기 자석(13-1)이 설치된 일측에 충전용단자(12)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결합하여 보호캡(13)이 고정되도록 걸리돌기(13-2)가 형성된다.
상기 충전용단자(12)는 아답터 또는 USB단자(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가동접점(미도시)과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단자(12-1)가 구성된다. 상기 접점단자(12-1)는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가동접점이 형성된 전원인가단자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랜턴바디(10) 일측에는 브래킷(16)이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홈(14-1)이 형성된 설치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4-1)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30)은 랜턴바디(10)의 개방된 부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가스켓(30)에는 랜턴바디(10)에 형성된 가스켓체결공(15)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31-1)이 형성된 가스켓돌기(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돌기(31)는 3개가 등간격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조를 이루어 측면 방향쪽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렌즈커버(20)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몸체(21)와,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가 억지 끼움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커버몸체(21)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렌즈결합홈(22-1)과, LED패널(40)에 설치된 잔량표시램프(43)의 빛을 외부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렌즈결합홈(22-1) 사이에 투명하게 형성되는 표시돌기(23)와, LED패널(40)에 설치된 보조LED램프(42)의 렌즈커버몸체(21) 전면으로 용이하게 비추어질 수 있도록 커버몸체(21) 내측에 형성되어 빛의 길을 형성하는 보조렌즈돌기(24)와, 테두리커버(5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렌브커버몸체(21) 외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결합돌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몸체(21)의 외측에는 랜턴바디(10)에 형성된 가스켓체결공(15)이 형성된 위치 및 개수가 동일하게 체결공(21-2)이 형성된 체결돌기(21-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21-1)의 체결공(21-2)에는 볼트가 결합되어 커버몸체(21)가 랜턴바디(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렌즈결합홈(22-1)은 렌즈커버(2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돌기(23)는 LED패널(40)에 설치된 잔량표시램프(43)가 밀착되고, 복수의 LED램프(41) 또는 보조LED램프(42)가 온되었을 시에 함께 온되어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커버몸체(21)에 형성된 렌즈결함홈(22-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써치렌즈(26)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LED램프(41)의 빛이 인입되는 제1빛투입공(26-1)이 형성되고, 제1빛투입공(26-1)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빛이 산란되지 않고 한곳으로 집중적으로 비추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폭렌즈(27)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LED램프(41)의 빛이 인입되는 제2빛투입공(27-1)이 형성되고, 제2빛투입공(27-1)의 바닥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이 한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산란시켜 비추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커버(50)는 랜턴바디(10)의 전면 테두리 형상과 같은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원형의 중앙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LED램프(41)에서 발산되는 빛이 써치렌즈(26), 광폭렌즈(27) 또는 보조렌즈돌기(24)를 통해 발산되는 빛을 조사되도록 한다.
또한, 테두리커버(50)는 결합돌기(25)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51-1)을 가지며 렌즈커버(20) 외측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내측커버(51)와, 내측 커버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외측커버(52)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커버(51)는 결합돌기(25)와의 결합력이 증대 될 수 있도록 외측커버(52)의 일측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커버(52)는 외관이 미려하게 함은 물론 렌즈커버(20)의 돌출부(22)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튀는 석탄, 광석, 돌 등의 부딪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렌즈커버(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측커버(51)에는 중앙부 쪽으로 돌출되게 테두리돌기(53)를 형성하여 커버몸체(21)의 전면 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하여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증대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돌기(53)는 커버몸체(21)의 전면 둘레를 따라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튀는 석탄, 광석, 돌이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 랜턴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LED패널(40)의 일측에 설치된 배터리에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랜턴바디(10)의 저부에 설치된 보호캡(13)을 열고 충전용단자(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접점단자에 전원인가단자의 가동접점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가동접점 사이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접점단자(12-1) 사이에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아답터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안전모 전면에 설치된 설치부재(미부호)에 브래킷(16)이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헤드 랜턴을 고정한다.
상기 안전모에 헤드랜턴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랜턴바디(10) 상부에 설치된 스위치(11)를 한번 누르면 복수의 LED램프(41)가 동시에 점등되어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에 동시에 빛을 조사하여 한 곳을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가 스위치(11)를 다시 누르면(2회 작동) 광폭렌즈(27)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41)는 오프되고, 써치렌즈(26) 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41)는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램프(43)와 함께 빛이 발산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스위치(11)를 다시 누르면(3회 작동) 써치렌즈(26)로 빛을 조사하던 LED램프(41)는 오프되고, 광폭렌즈(27)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41)가 온되면서 광폭렌즈(27)를 통해 빛이 넓게 비추어지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스위치(11)를 다시 누르면(4회 작동) 광폭렌즈(27)로 빛을 조사하던 LED램프(41)는 오프되고,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 사이에 형성된 보조렌즈돌기(24)를 통해 보조LED램프의 빛이 조사된다.
상기 보조LED램프(42)가 온되는 것은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를 통해 동시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상태와 써치렌즈(26) 또는 광폭렌즈(27)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류 잔량이 적어 저출력 상태로 이루어지면 이때 보조LED램프(42)가 온되므로서 배터리의 전류 소모량을 줄여 작업자가 석탄광산, 금속광산을 빠저 나올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헤드랜턴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스위치(11)를 다시 누르면(5회 작동) 배터리를 통해 공급되던 전류가 차단되면서 LED램프(41), 보조LED램프(42) 및 잔량표시램프(43)를 오프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석탄광산, 금속광산 등과 같이 지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6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간편하게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41)가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랜턴바디 11: 스위치
12: 충전용단자 12-1: 접점단자
12-2: 부착부재 12-3: 걸림홈
13: 보호캡 13-1: 자석
13-2: 걸림돌기 14: 설치돌기
14-1: 설치홈 15:가스켓체결공
16: 브라켓 20: 렌즈커버
21: 커버몸체 21-1: 체결돌기
21-2: 체결공 22: 돌출부
22-1: 렌즈결합홈 23: 표시돌기
24: 보조렌즈돌기 25; 결합돌기
26: 써치렌즈 26-1: 제1빛투입공
27: 광폭렌즈 27-1: 제2빛투입공
30: 가스켓 31: 가스켓돌기
31-1: 결합공 40: LED패널
41: LED램프 42: 보조LED램프
43: 잔량표시램프 50: 테두리커버
51: 내측커버 51-1: 결합홈
52: 외측커버 53: 테두리돌기
60: 안전모

Claims (4)

  1. LED램프(41)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11), 안전모(60)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6)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용단자(12)가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랜턴바디(10)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에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가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결합홈(22-1)이 형성되는 렌즈커버(20)와;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전류를 인가하여 빛을 발생하는 LED램프(41)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 방폭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랜턴바디(10)와 렌즈커버(20)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30)과;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방전용 배터리, LED램프(41) 및 보조LED램프(42)를 가지며 랜턴바디(10) 내측에 설치되는 LED패널(40)과;
    석탄광산, 금속광산 내에서 튀는 석탄, 광석, 돌로부터 렌즈커버(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렌즈커버(20)보다 돌출되게 랜턴바디(10)에 설치되는 테두리커버(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랜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커버(20)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몸체(21)와;
    써치렌즈(26)와 광폭렌즈(27)가 억지 끼움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커버몸체(21)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렌즈결합홈(22-1)과;
    LED패널(40)에 설치된 잔량표시램프(43)의 빛을 외부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렌즈결합홈(22-1) 사이에 투명하게 형성되는 표시돌기(23)와;
    LED패널(40)에 설치된 보조LED램프(42)의 렌즈커버몸체(21) 전면으로 용이하게 비추어질 수 있도록 커버몸체(21) 내측에 형성되어 빛의 길을 형성하는 보조렌즈돌기(24)와;
    테두리커버(5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렌브커버몸체(21) 외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결합돌기(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랜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치렌즈(26)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LED램프(41)의 빛이 인입되는 제1빛투입공(26-1)이 형성되고, 제1빛투입공(26-1)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빛이 산란되지 않고 한곳으로 집중적으로 비추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랜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렌즈(27)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LED램프(41)의 빛이 인입되는 제2빛투입공(27-1)이 형성되고, 제2빛투입공(27-1)의 바닥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이 한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산란시켜 비추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랜턴.
KR1020180037470A 2018-03-30 2018-03-30 헤드 랜턴 KR10203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70A KR102034791B1 (ko) 2018-03-30 2018-03-30 헤드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70A KR102034791B1 (ko) 2018-03-30 2018-03-30 헤드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63A true KR20190114563A (ko) 2019-10-10
KR102034791B1 KR102034791B1 (ko) 2019-10-21

Family

ID=6820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470A KR102034791B1 (ko) 2018-03-30 2018-03-30 헤드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6999B1 (en) * 2022-05-09 2023-09-05 Coast Cutlery Co. Headlamp with battery unit and booster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71B1 (ko) 2017-01-05 2017-04-06 (주)프리즘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US20170205046A1 (en) * 2016-01-15 2017-07-20 Wuhan Kinyun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Wearable mining lamp with uniform auxiliary lights
US9874342B1 (en) * 2017-02-13 2018-01-23 Ningbo Kingdun Electronic Industry Co., Ltd. Gas warning head la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05046A1 (en) * 2016-01-15 2017-07-20 Wuhan Kinyun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Wearable mining lamp with uniform auxiliary lights
KR101719271B1 (ko) 2017-01-05 2017-04-06 (주)프리즘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US9874342B1 (en) * 2017-02-13 2018-01-23 Ningbo Kingdun Electronic Industry Co., Ltd. Gas warning head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791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188B2 (en) Light-emitting systems for headgear
KR100719312B1 (ko) 헬멧 장착용 전계발광 위치 표시기
AU2008202285B2 (en) Module adapter for portable light sources
US20060232955A1 (en) Light source for a helmet visor
US7125139B2 (en) Flashlight
KR102034791B1 (ko) 헤드 랜턴
KR200489213Y1 (ko)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US9115887B2 (en) Illuminated water bottle cage
US20180231215A1 (en) Multi-functional pen lights
KR20090022019A (ko) 모자용 랜턴
KR101433185B1 (ko) 헤드 램프
KR200284457Y1 (ko) 걸이등 겸용 손전등
KR20080113655A (ko) 탈부착형 발광기
KR20090041123A (ko) 손목 착용형 램프
KR20190000862U (ko) 헤드랜턴
US8708514B2 (en) Portable device for hands-free illumination
KR102265831B1 (ko) 하나의 라이트로 다양한 발광이 제공되는 안전모
US20240172830A1 (en) Light-emitting systems for headgear
KR100614105B1 (ko) 솔라전지를 갖춘 안전조끼
KR100982363B1 (ko) 탈부착형 발광기
KR200468099Y1 (ko) 엘이디 조명기구
ES1139291U (es) Dispositivo luminoso para caret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