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616B1 -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616B1
KR100979616B1 KR1020087017226A KR20087017226A KR100979616B1 KR 100979616 B1 KR100979616 B1 KR 100979616B1 KR 1020087017226 A KR1020087017226 A KR 1020087017226A KR 20087017226 A KR20087017226 A KR 20087017226A KR 100979616 B1 KR100979616 B1 KR 10097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terminal
mobility
parameter
connection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039A (ko
Inventor
서지 하우몬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8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이동성 프로토콜을 통해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성 게이트웨이 및 단말기가 공통 이동성 세션을 공유하고, 상기 공통 이동성 세션은 상기 상이한 이동성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고, 각각의 이동성 프로토콜은 등록 동안에 모든 다른 이동성 프로토콜과 연관된 상기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 게이트웨이, 단말기 및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COMBINING IP AND CELLULAR MOBILITY}
본 발명은 상이한 타입의 접속 세션(connection session)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어 노드, 터미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 액세스(multi-access) 및 이동성(mobility)에 관한 것이다. 3GPP는 현재 MA(Mobile Access) 이동성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논의중이다.
현재, 여러 이동성 솔루션을 사용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 각각의 이동성 솔루션은 자신의 게이트웨이를 갖는다. 트래픽은 전형적으로 여러 게이트웨이(가령, GGSN 및 HA)를 거치게 된다.
- 각각의 이동성 솔루션은 몇몇 종류의 터널링(tunnelling)을 사용한다. 여러 터널링을 갖는 것은 특히 셀룰러 액세스를 통하는 경우에 최적은 아니다.
- 각각의 이동성 솔루션은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기 위한 자신의 메카니즘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동일한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기란 곤란하다.
또한, 모바일 IPv4는 클라이언트를 구성하는 메쏘드(method)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접속 세션의 처리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며 상이한 이동성 솔루션이 게이트웨이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에도 이동성 및 세션 연속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은 다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지원 유닛과, 접속 세션을 터미널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공 유닛과, 상기 터미널에 대한 접속 세션과 파라미터를 연관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관 유닛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달성된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은 다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지원 유닛과, 게이트웨이에 접속 세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공 유닛과,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관된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터미널에 의해 달성된다.
또다른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은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방법은 접속 세션을 터미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에 대한 접속 세션과 파라미터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은 다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할 수 있는 터미널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방법은 게이트웨이에 접속 세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관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이동성 프로토콜을 통해 터미널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 이동성 게이트웨이 및 터미널은 공통 모바일 세션을 공유한다.
- 상기 공통 이동성 세션은 상기 상이한 이동성 프로토콜들 중의 임의의 것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 각각의 이동성 프로토콜은 등록 동안 다른 모든 이동성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터미널에 제공한다.
따라서, 터미널이 접속의 타입을 네트워크 제어 요소로 변경(가령, WLAN에서 GPRS로)시키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접속 세션은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이동성 솔루션(상이한 접속 세션 타입)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이동성 및 세션 연속성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다중 이동성 기술이 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다중 이동성 기술을 통한 세션 연속성이 허용되는 이동성 솔루션을 제공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GPRS 접속 세션 타입을 이용하여 통합된 이동성 세션 제 1 파워 온을 이용하는 단자에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속 세션 타입으로서 모바일 IP를 이용하여 통 합된 이동성 세션 제 1 파워 온을 이용하는 단자에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단자 및 게이트웨이에서의 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GPRS 접속 세션 타입으로서 GPRS로 통합된 이동성 세션 제 1 파워 온을 이용하는 단자에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속 세션 타입으로서 모바일 IP로 통합된 이동성 세션 제 1 파워 온을 이용하는 단자에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GPRS 접속 세션 타입으로서 GPRS로 통합된 이동성 세션 제 1 파워 온을 이용하는 단자에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속 세션 타입으로서 모바일 IP로 통합된 이동성 세션 제 1 파워 온을 이용하는 단자에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통합된 이동성 솔루션을 제안하는데, 여기서 하나의 게이트웨이(이동성 게이트웨이 또는 통합된 이동성 게이트웨이라고도 함)는 2 이상의 이동성 기술을 통해 단일 이동성 세션을 지원하고, 이동성 기술이 이용되는 경우 모바일 노드(mobile node : MN)가 이러한 동일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채로 유지될 것임을 보장하기 위해 MN 구성 파라미터 또는 세션 파라미터를 리 턴(return)할 수 있다. 특히, 이동성 기술이 세션 동안 변경될 때 게이트웨이는 MN에 동일한 홈 어드레스를 할당하므로, 이동성 기술의 변경은 대응하는 노드에서 볼 수 없다.
또한, 단자(즉, 모바일 노드(MN))는 단일 이동성 세션을 갖고 있으며, 사용 중인 액세스에 따라 상이한 프로토콜(3GPP 메커니즘, 모바일 IP, 모바이크(Mobike))을 통해 이러한 이동성 세션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또한,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해 액세스한 이후에, MN은 구성/세션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이동성 세션의 다른 프로토콜 부분을 구성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신호 흐름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다 세부적인 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 (GGSN-MIPv4 홈 에이전트를 결합하는) 지능형 서비스 노드(intelligent service node : ISN)가 전술한 게이트웨이이며, MS는 먼저 GPRS를 통해 접속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이것은 GPRS에서 파워 온 시에 개시되며, 여기서 GGSN 및 HA의 코로케이션(co-location)이 제공된다.
단계 A1에서, 사용자 엔티티(user entity : UE) 또는 이동국(MS) 또는 모바일 노드(MN)는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 요구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MS가 통합된 MIPv4 이동성이 지원된다는 표시(indication)를 부가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SGSN이 이를 투명하게 전달하도록 프로토콜 구성 옵션에 부가된다. 도 1에서, 지시는 이동성 세션 ID로 구성된다. 특정의 값, 예를 들어, 0000은 이 전의 이동성 세션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후, 통합된 이동성 세션이 ISN에서 생성된다(단계 A2). 이러한 통합된 이동성 세션은 이하 도시된 바와 같이 GPRS 또는 MIP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GPRS 세션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이러한 통합된 이동성 세션이 종료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가능한 모바일 IP 업데이트를 기다릴 것이다.
단계(A3)에서, ISN은 자신의 MIPv4 HA(홈 에이전트) IP 어드레스(및/또는 선택적으로 논리적 명칭 HA NAI 홈 어드레스 네트워크 액세스 식별자, 가령, RFC3846에서 정의됨), 임시 공유 비밀(이 세션 동안 유효함), SPI(보안 파라미터 지수) 및 선택적으로 GGSN 식별자(바람직하게는 APN(액세스 포인트 명칭)으로 코딩됨)을 포함하는 PDP 콘텍스트 수락을 리턴한다. 선택적으로, 고유 이동성 세션 식별자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들은 프로토콜 구성 옵션에 추가되어 SGSN이 이를 투명하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P 콘텍스트 활성화 응답에서 MS로 리턴된 IP어드레스는 이동성 세션의 지속시간 동안 MN 어드레스일 것이라는 점에 유의하라. 따라서, 이것은 또한 이동 IP 홈 어드레스일 것이다.
즉, MS가 GPRS에 머무르는 한, 이는 (이동 IP 관점으로부터) 스스로 홈 네트워크에 있는 것으로 고려하고 이동 IP를 사용하지 않는다. ISN 및 MS는 GPRS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동성 세션 및 임시 공유 비밀(이 세션 동안 유효함), SPI(보안 파라미터 지수)를 갖는다. 활성 MIP 세션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MS는 PDP 콘텍스트 활성화 절차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자신의 이동 IP 스택을 구성한다(HA 어드레스; 홈 어드레스; 공유 비밀; SPI).
단계(A4)에서, 이제 MN은 셀룰러 네트워크, 가령, 홈 WLAN보다 높은 우선권을 갖는 WLAN을 검출한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단계(A5)에서 이는 MIP 등록 요구(RRQ)를 단계(A3)에서 수신된 HA 어드레스로 송신한다. 인증 필드는 임시 공유 비밀 및 단계(A3)에서 수신되는 SPI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또한, RRQ는 GGSN에 의해 단계(A3)에서 할당되는 홈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요구는 또한 (RFC 3846에서 제안되는 바와 같은) HA NAI 및 이동성 세션 ID를 벤더 연장(vendor extension)으로서 포함한다.
단계(A6)에서, ISN은 요구를 수신하고, 세션 ID를 사용하여 올바른 세션 콘텍스트를 발견한다(중첩 어드레스 지원이 가정되어, 홈 어드레스는 고유하게 MS를 식별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유의하자). ISN은 MS를 인증하고 요구를 수락한다. 즉, 단계(A6)에서, 이동성 세션은 이동성 세션 ID를 통해 식별되며, 보안 절차는 요구를 유효화하기 위해 수행되고, 업데이트가 ISN에서 수행되어 이 새로운 액세스를 통해 세션을 라우팅한다.
단계(A7)에서, 대응 응답(R Resp)이 MS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이동성 세션 식별자가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하며, APN으로서 코딩되는 GGSN 식별자도 포함된다. MIP 세션이 수립되는데, 예를 들면, IP-in-IP 터널이 생성되고 모든 트래픽이 이제 MS 임시 주소로 라우팅된다.
ISN 및MS는 GTP(GPRS 터널링 프로토콜) 파라미터 및 MIP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동성 세션(고유 이동성 세션 ID에 의해 지칭됨)을 갖는다. 두 세션 모두 활성이다.
그 후, SGSN은 타이머에 기초하여 PDP 콘텍스트를 해제할 수 있다(SGSN인 데이터 트래픽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단계(A8)에서, PDP 콘텍스트는 비활성화된다. ISN에서, GTP 터널에 관련되는 파라미터가 소거된다.
ISN 및 MS는 MIP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동성 세션(고유 이동성 세션 ID에 의해 지칭됨)을 갖는다. 또한, MS는 APN으로서 코딩되는 GGSN 식별자를 포함한다. GTP 세션은 활성이 아니다.
단계(A9)에서, MS가 다시 셀룰러 커버리지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것이 활성 이동성 세션을 가지므로, 자신의 디폴트 APN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지만, 단계(A3 또는 A7)(GGSN ID)에서 수신되지 않을 것이다. 표준 SGSN은 (단 하나만이 이 APN과 관련되므로) 요구를 동일한 ISN으로 라우팅할 것이다. MS는 이동성 세션 ID를 추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프로토콜 구성에 추가되어 SGSN은 이를 투명하게 전송한다.
단계(A10)에서, ISN은 자신의 MIPv4 HA IP 어드레스(및 선택적으로 논리적 명칭 HA NAI RFC3846에서 정의됨), 임시 공유 비밀(아마도 이 세션 동안 새로운 것에 대해 유효함), SPI(보안 파라미터 지수) 및 GGSN 식별자(바람직하게는 APN으로 코딩됨)을 포함하는 PDP 콘텍스트 수락을 리턴한다. 선택적으로, (프로토콜 간단성을 위해) 동일한 이동성 세션 식별자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들은 프로토콜 구성 옵션에 추가되어 SGSN이 이를 투명하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a에 도시된 신호 흐름을 참조하여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 (GGSN-MIPv4 홈 에이전트를 결합한) 지능형 서비스 노드 ISN이 가정되며, MS가 우선 이동 IP를 통해 접속한다고 가정한다.
신호 흐름은 다음과 같은데, 이는 특히 WALN에 전력이 공급된 후 GPRS로 이동하며, GGSN 및 HA 공동 위치 선정이 보장된다.
단계(B1)에서, MN은, 예를 들어, 사전 구성 HA 어드레스로 MIP 등록 요구를 전송함으로써, WLAN을 통해 연결된다. 인증 필드는 사전 구성 공유 비밀(preconfigured shared secret) 및 SPI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또한, RRQ는 MN NAI를 포함하는데, 이는 동적 홈 어드레스 할당을 요구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 그 요구는 벤더 연장(vendor extension)으로서 0000으로 설정된 이동성 세션 ID를 포함한다.
단계(B2)에서, ISN은 그 요구를 수신하고, MN을 인증하고, 그것이 새로운 세션임을 검출하고(이는 세션 ID가 단계(B1)에서 000이기 때문임), 홈 어드레스와 고유 세션 식별자를 동적으로 할당한다. ISN은 수신 메시지 내의 APN으로 코드화된 GGSN 식별자를 리턴한다. MIP 세션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IP-인(in)-IP 터널이 생성되고, 모든 트래픽이 MS 임시 주소(care-of address)로 즉시 라우팅된다.
단계(B3)에서, 그의 이러한 이동성 세션의 지속 기간 동안에 수신된 APN을 갖는 GPRS 구성을 업데이트한다. 이것은, 또한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 그 도면에서는 대응하는 계층 구조(layer structure)가 도시되어 있다. MIP, IP 및 WLAN은 그 설정들을 강조하기 위해 굵게 도시되었다.
계층 구조는 단말기 및 게이트웨이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단말기는 단일 장치(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이거나 많은 다른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이동성 층은 랩탑(laptop) 상에 존재하는 반면, GPRS 계층은 데이터 카드상에 존재할 수 있다.
계층 구조와 관련하여, 상부에 공통 이동성 층이 존재한다.
단말기에 있어서, 이러한 공통 이동성 층은
- 애플리케이션에 가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 MIP와 GPRS간에 공통인 단일 홈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영향없이 GPRS 및 MIP 간의 변경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하며,
- 세션의 시작시 또는 업데이트 동안에, 공통 이동성 층은 다른 스택(예를 들어, MIP)을 통해 수신한 정보(GPRS APN; 공통 세션 ID)를 갖는 하나의 스택(예를 들어, GPRS)을 구성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게이트웨이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명하는데, 그 구조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게이트웨이는, 전형적으로, 많은 이동성 기술을 통합하고 있다.
게이트웨이의 공통 이동성 층은,
- 등록 절차를 제어하고,
- 등록 절차 동안 MS에 전송될 정보(예를 들어, 홈 어드레스 ...)를 생성하고,
- 고유 세션 ID를 생성하고,
- 이동성 프로토콜이 변경되면 그 세션을 유지시키고,
- 임의의 외부 대응 노드에 대해 GPRS와 MIP간의 변경을 은닉하고,
- 세션의 시작시 및 업데이트 동안에, 공통 이동성 층은 다른 스택(예를 들어, MIP)과 관련된 단말기에 전송될 정보(MIP HA 어드레스, 보안 파라미터, HA 이름, 공통 세션 ID)를 가진 하나의 스택(예를 들어, GPRS)을 제공할 것이다.
단계(B4)에서는, MN이 WLAN 접속성을 상실하여, 그것이 현재 GPRS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단계(B5)에서, MN은 단계(B2)에서 수신한 APN을 이용하여 단계(B2)에서 수신한 이동성 세션 ID를 포함하는 PDP 요구를 전송한다. SGSN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DNS(Domain Name Server)를 가진) GGSN을 선택한다. 네트워크의 구성은 이러한 APN이 B1 단계에서 선택된 ISN을 고유하게 지적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성 세션 ID는 프로토콜 구성 선택(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에 추가됨으로써 SGSN이 그것을 투명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B6)에서, ISN은 PDP 콘텍스트 수락(context accept)을 리턴하는데, PDP 콘텍스트 수락은 그의 MIPv4 HA IP 어드레스(및 선택적으로 RFC3846에서와 같이 로컬 이름 HA NAI), 임시 공유 비밀, SPI(Security Parameter Index)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이동성 세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단순히 프로토콜을 위해). 이들은 프로토콜 구성 선택(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에 추가됨으로써, SGSN이 그것을 투명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의 단계(B7 및 B8)는 MS가 MIP 접속으로 이동할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단계(B7)에서, MN은 이동성 세션 ID (예를 들어, 이 경우에는 1111일 수 있음)를 포함하는 MIP PRQ를 ISN에 전송한다. 단계(B8)에서, ISN은 ISN을 정의하는 벤더 연장(즉, APN = "GGSN/HA7"), HoA(Home Agent)의 어드레스 및 이동성 세션 ID를 포함하는 R Resp를 MN에 전송한다.
다음은, 모바일 노드 구현을 설명한다. MS를 구현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과 GPRS 스택/MIP 스택 사이에 결합 이동성 층(a combined mobility layer)을 갖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 결합 이동성 층과 접속하고,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것의 홈 어드레스를 수신할 것이다. 결합 이동성 층은 이동 세션에 관한 정보를 콘텍스트 내에 저장하고, 활성 인터페이스(MIP 또는 GPRS)를 추적하며, 활성 이동 세션에 적절한 파라미터를 갖는 MIP 및 GPRS 프로토콜을 구성할 것이다. 이동 세션이 종결되면, 결합 이동성 층은 그 이동 세션에 관한 파라미터를 소거할 것이다. 그 후, GPRS 및 MIP 스택은 접속이 설립되는 다음 시각에 사전구성된 파라미터를 사용할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세션 ID는 접속 세션(예를 들면, 이동 세션 등)을 식별하는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즉, 하나의 MN이 수많은 동시 세션을 가질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이동 세션 ID는 올바른 세션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강인한 방법이다. IP 어드레스는 사설 어드레스가 중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세션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는 없다.
MN 식별은 세션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없지만, 세션의 수를 MN 에 의한 것으로 제한할 것이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이동 프로토콜이 여러 가지 타입의 식별을 사용했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그것은 (UMTS 모뎀 뒤에 접속된 많은 컴퓨터를 갖는) UMTS 라우터와 같은 개념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이동 세션 ID(단지 세션 ID라고도 축약됨)는 통합 이동이 지원되고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단지 000000을 포함하는 세션 ID에 의해 단계(A1)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보안 고려사항(security consideration): 제안된 메커니즘은 일시적 공유 비밀(the temporary shared secret)이 GPRS를 통해서 복원되기 때문에 당연히 안정적이다. 보다 높은 보안성을 위해서, 이 공유 비밀은 암호화된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보안성을 증가시킬 다른 가능성도 많이 존재하지만, 그것은 본 발명의 주요 화제가 아니다.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이전 GGSN 또는 HA는 새로운 필드를 무시할 것이다. MS는 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하고 별도의 GPRS 및 MIP 세션을 가져야 한다.
제 1 접속이 MIP 위에 있다면, MS는 사전구성된 공유 비밀 및 MIP HA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MS는 항상 먼저 GPRS와 접속할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 MS 및 네트워크는 이전 세션으로부터의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다음은, 제 2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GPRS 신호 흐름은 MIP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MIP 신호 흐름은 GPRS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즉, 예를 들어 이동 세션 ID는 PDP 콘텍스트 수락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단계(A3)).
그러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GPRS 신호 흐름은 MIP 파라미터(이동 세션 ID를 포함함)를 GPRS 신호 흐름 내부에서 전송하는 대신에 그러한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MIP 메시지(에이전트 광고)를 트리거한다.
도 3에서, 도 1의 신호 흐름의 대응하는 수정이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계(C1 내지 C10)는 단계(C3, C10)를 제외하고 단계(C3bis, C10bis)를 추가하면 단계(A1 내지 A10)와 동일하다.
단계(C3, C10)에서, 다른 파라미터 없이 PDP 콘텍스트 수락 메시지만이 전송된다. 대신, 단계(C3bis, C10bis)에서, 그러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4에서, 도 2의 시그널링의 대응하는 수정이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계(D1 내지 D8)는 단계(D6)를 제외하고 단계(D6bis)를 추가하면 단계(B1 내지 B8)와 동일하다.
도 3에서와 유사하게, 단계(D6)에서, 다른 파라미터 없이 PDP 콘텍스트 수락 메시지만이 전송된다. 대신, 단계(D6bis)에서, 그러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가 전송된다.
다음은, 식별 파라미터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HA NAI는 ISN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HA NAI의 사용은 하나의 IP 어드레스에 대해 HA의 클러스터가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즉, HA NAI는 HA 중 하나를 고유하게 식별할 것이다. Flexi ISN의 경우, HA NAI는 정당한 서비스 카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HA NAI=GGSN APN이도록 프로토콜이 설계되어 ISN에 고유 식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에 있어서, 단일 논리 명칭이 ISN과 연관된다. 이 명칭은 HA NAI(RFC3846) 또는 GPRS APN(Access Point Name)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점은 표준 MIP 신호 흐름이 사용될 수 있다(APN을 역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벤더 확장(vendor extension)은 없으며, 단지 HA NAI이 전송된다)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는 반환된 논리 명칭을 GPRS 신호 흐름을 위한 APN으로서 사용할 것이다.
이것은 도 5 및 도 6에 예시되어 있으며, 단계(E1 내지 E10) 및 단계(F1 내지 F8)는 도 1 및 도 2의 단계(A1 내지 A10) 및 단계(B1 내지 B8)와 각각 동일하나, 단계(E7,E9,F2,F5,F8)는 예외이다.
도 5에서, 단계(E7)에서, R Resp 메시지에서, HA NAI는 GGSN 식별 대신에 전송된다. 이것은 단계(E9)에서 PDP 컨텍스트 요구용으로 사용된다.
도 6에서, 단계(F2,F5,F8)에서, R Resp는 도 2의 단계(B2,B5,B8)에서와 같이 벤더 확장 대신 HA NAI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접속 세션은 항상 신뢰성 있게 식별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GPRS에 걸쳐 오버헤드를 야기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고, 트래픽은 두 개의 게이트웨이 대신 오직 하나의 게이트웨이만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3GPP 오퍼레이터는 현재 가입자에 대한 제어를 유지하는 방식을 알고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특히, 게이트웨이(1)는 다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지원 유닛(11)과, 단말기에 접속 세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공 유닛(12)과, 단말기로의 접속 세션에 대해 파라미터를 연관시키는 연관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단말기(2)는 다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지원 유닛(21)과, 게이트웨이로의 접속 세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공 유닛(22)과, 게이트웨이와 연관된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술한 이동성 프로토콜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이동성 프로토콜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원리를 따르면, 결합된 이동성 세션은 2 초과의 기본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관련 예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성, GPRS 및 모바이크(Mobike)의 결합이다. 이 경우, IPsec 접속이 모바이크를 통해 수립될 때, 모바이크로의 확장은 ISN의 식별자(또는 2개의 식별자, 즉 LTE에 대한 하나 식별자와 GPRS에 대한 하나의 식별자가 존재할 수 있다) 및 고유 이동성 세션 식별자를 MIN에 제공할 것이다. MS가 3GPP LTE 네트워크 하에서 이동하는 경우, MS는 접속될 ISN의 식별자를 동일한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것이고, 이 게이트웨이는 이동성 세션 식별자를 통해 세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것이다. 동일한 IP 어드레스가 MS에 할당될 것이기 때문에, 외부의 대응 노드는 어떠한 변화도 검출하지 않을 것이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MIPv6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가지 차이점은 보안 파라미터가 MIPv6에서는 약간 다르다는 것이다. MIPv6에서의 다른 차이점은 홈 IPv6 어드레스는 고유하고 세션 ID 파라미터는 몇몇 경우에서는 없어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성 접속 세션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고정된 네트워크 액세스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는 WLAN를 통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지만, 또한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접속될 수도 있다.

Claims (61)

  1. 복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하는 지원 유닛과,
    접속 세션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 유닛과,
    단말기 구성 및 세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기 접속 세션과 연관시키는 연관 유닛을 포함하되,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세션을 식별하는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세션은 이동성 세션(mobility session)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된 파라미터를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포함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packet data protocol)이고, 상기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 메시지에 상기 연관된 파라미터를 포함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된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접속 세션을 식별하는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홈 어드레스 네트워크 액세스 식별자에 의해 상기 장치를 나타내는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 세션 타입은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세션,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 세션, 또는 상기 두 가지 세션 모두를 포함하는
    장치.
  11. 복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하는 지원 유닛과,
    접속 세션을 게이트웨이에 제공하는 제공 유닛과,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관되는, 단말기 구성 및 세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세션에 대한 상기 접속 세션 타입을 변경하는 변경 유닛과,
    상기 변경을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에게 표시하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세션은 이동성 세션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 내에 상기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고, 상기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인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특정 메시지 내에 상기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인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상기 접속 세션을 식별하는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19.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할 수 있음- 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접속 세션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단말기 구성 및 세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접속 세션과 연관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접속 세션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세션은 이동성 세션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이고, 상기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인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특정 메시지 내에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기 접속 세션을 식별하는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홈 어드레스 네트워크 액세스 식별자에 의해 표시되는
    방법.
  28.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복수의 접속 세션 타입을 지원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접속 세션을 게이트웨이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관되는, 단말기 구성 및 세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세션에 상기 접속 세션 타입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에게 상기 변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세션은 이동성 세션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 내에 수신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고, 상기 전송 프로토콜 메시지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인
    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특정 메시지 내에 수신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상기 접속 세션을 식별하는 세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 세션 타입은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세션,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 세션, 또는 상기 두 가지 세션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
  37. 삭제
  38.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접속 세션을 단말기에 제공하고, 단말기 구성 및 세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접속 세션과 연관시키도록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접속 세션을 식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접속 세션을 단말기에 제공하고, 단말기 구성 및 세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접속 세션과 연관시키도록 네트워크 내의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성 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5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이동성 프로토콜은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 및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인
    장치.
  57. 제 11 항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 생성 절차 동안에,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파라미터는 홈 에이전트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홈 에이전트 논리적 명칭(NAI) 및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59. 제 11 항에 있어서,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 동안에,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 파라미터가 등록 수락 메시지로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장치.
  60. 제 14 항에 있어서,
    GPRS 파라미터는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를 통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명칭을 포함하는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명칭은 홈 어드레스 네트워크 액세스 식별자(HA NAI)로서 송신되는
    장치.
KR1020087017226A 2006-01-16 2007-01-11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979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00853 2006-01-16
EP06000853.9 2006-01-16
US11/651,013 2007-01-09
US11/651,013 US9094947B2 (en) 2006-01-16 2007-01-09 Combining IP and cellular mo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039A KR20080085039A (ko) 2008-09-22
KR100979616B1 true KR100979616B1 (ko) 2010-09-03

Family

ID=3826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226A KR100979616B1 (ko) 2006-01-16 2007-01-11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094947B2 (ko)
EP (1) EP1985087B1 (ko)
JP (2) JP4954219B2 (ko)
KR (1) KR100979616B1 (ko)
CN (1) CN101390370B (ko)
DK (1) DK1985087T3 (ko)
ES (1) ES2629605T3 (ko)
PL (1) PL1985087T3 (ko)
RU (1) RU2409907C2 (ko)
WO (1) WO2007080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4947B2 (en) * 2006-01-16 2015-07-28 Nokia Corporation Combining IP and cellular mobility
US20070297439A1 (en) * 2006-06-19 2007-12-27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an access layer termination node in a multi-access network environment
US8155078B2 (en) * 2006-10-20 2012-04-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internet mobility protocols with non internet mobility protocols
KR101351032B1 (ko) * 2007-07-04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션 모빌리티 지원 방법
KR101013654B1 (ko) 2007-08-09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프로토콜 선택 및 관리 방법및 장치
US8463926B2 (en) 2007-10-09 2013-06-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providing support for a plurality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WO2009086410A2 (en) * 2007-12-28 2009-07-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mobility management selection
EP2255517B1 (en) * 2008-02-21 2019-04-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retention and lawful intercept for ip services
US8503460B2 (en) * 2008-03-24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home network assignment
WO2009135531A1 (en) * 2008-05-09 2009-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support node
US8984105B2 (en) 2008-05-27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FMC architecture for CDMA network
US8116252B2 (en) * 2008-05-29 2012-02-14 Qualcomm Incorporated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architectures
WO2010022082A1 (en) * 2008-08-18 2010-02-25 Starent Networks, Corp Combined gateway for network communications
JP5607631B2 (ja) 2008-09-15 2014-10-1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バージョン4連結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00071827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의 ip 기반 서비스 연결방법
CN101827411B (zh) * 2009-03-04 2014-02-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选择方法、装置及终端
US9807602B2 (en) 2010-04-07 2017-10-3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5108055B2 (ja) 2010-05-12 2012-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ゲートウェイ
ES2439690T3 (es) * 2011-01-25 2014-01-24 Escaux Nv Una pasarela de abstracción de red y un método correspondiente para abstraer un punto extremo
US9332426B2 (en) * 2011-09-30 2016-05-03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GB2497316A (en) * 2011-12-06 2013-06-12 Nec Corp Transferring internally at least one information element between first and second base station modules
US9426718B2 (en) 2012-05-16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exchange over common communication links
EP3025540A4 (en) * 2013-07-26 2017-03-15 Intel IP Corporation Signaling interference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assistance
FR3033121B1 (fr) * 2015-02-25 2017-03-24 Dcns Station de base pour 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s et procede de traitement dans une station de ba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5748A1 (en) * 2002-12-30 2004-07-07 France Telecom Sa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of different technologi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490A (en) * 1997-05-08 2000-10-03 Nortel Network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selection of operation from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multiple protocol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6137783A (en) * 1997-12-02 2000-10-24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ed network information handovers
CA2225227A1 (en) 1997-12-18 1999-06-18 Michael Coveley Intelligent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s server
FI108200B (fi) * 1998-09-14 2001-11-30 Nokia Mobile Phones Ltd Yhteyden vaihto matkaviestinverkkojen välillä
FI106825B (fi) * 1998-09-21 2001-04-12 Nokia Networks Oy IP-liikkuvuusmekanismi pakettiradioverkkoa varten
CA2281752C (en) 1998-12-18 2007-07-17 Michael Coveley Communications server performing protocol conversion and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7023820B2 (en) * 2000-12-28 2006-04-04 Nok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in a GPRS network based on a plurality of traffic classes
FI109255B (fi) * 2000-04-07 2002-06-14 Nokia Corp Datapakettien numerointi pakettivälitteisessä tiedonsiirrossa
WO2002028123A2 (en) 2000-09-29 2002-04-04 Lifelink, Inc. Wireless gateway capable of communicating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rotocols
DE10120772A1 (de) * 2001-04-24 2002-11-07 Siemens Ag Heterogenes Mobilfunksystem
JP4034729B2 (ja) * 2001-09-12 2008-01-1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通信装置及び方法
US7315526B2 (en) * 2002-06-20 2008-01-01 Thomson Licensing Dual home mobility management in a wireless telephony/wireless LAN interworking environment
CN1284338C (zh) 2003-04-28 2006-11-08 普天信息技术研究院 一种多协议数据网关通信的实现方法
DE60306754T2 (de) * 2003-05-21 2007-07-12 Siemens S.P.A. Verfahren zum Herunterladen von Software mit Unterstützung von mobilen Sitzungen in Mobilkommunikationssystemen
US8437368B2 (en) 2003-06-04 2013-05-0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ing over a call from a packet-switched network to a circuit-switched network
EP1531645A1 (en) 2003-11-12 2005-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xt transf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plural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KR20050054663A (ko) * 2003-12-05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패킷 서비스 망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및 이를이용한 호 설정 방법
JP2006222616A (ja) * 2005-02-09 2006-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種網間移動制御システム
US9094947B2 (en) * 2006-01-16 2015-07-28 Nokia Corporation Combining IP and cellular mo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5748A1 (en) * 2002-12-30 2004-07-07 France Telecom Sa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of different technolog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5087B1 (en) 2017-05-17
US20070165655A1 (en) 2007-07-19
JP4954219B2 (ja) 2012-06-13
US9094947B2 (en) 2015-07-28
JP2012065370A (ja) 2012-03-29
ES2629605T3 (es) 2017-08-11
RU2008130135A (ru) 2010-02-27
CN101390370A (zh) 2009-03-18
KR20080085039A (ko) 2008-09-22
RU2409907C2 (ru) 2011-01-20
DK1985087T3 (en) 2017-07-03
US20150282225A1 (en) 2015-10-01
JP2009524275A (ja) 2009-06-25
US9686809B2 (en) 2017-06-20
JP5461591B2 (ja) 2014-04-02
CN101390370B (zh) 2015-12-02
PL1985087T3 (pl) 2017-09-29
WO2007080549A1 (en) 2007-07-19
EP1985087A1 (en)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16B1 (ko)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9426719B2 (en) Anchoring services of a mobile station attached to a first service domain at a home agent in a second service domain
EP1634422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support hierarchical mobile ip services
US8671209B2 (en) Mobile terminal management system, network device, and mobile terminal operation control method used for them
JP2009524275A5 (ko)
EP1575238A1 (en) IP mobil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08003334A1 (en) Topology hiding of mobile agents
EP2135421A1 (en) Tunneling support for mobile ip using a key for flow identification
JP5644824B2 (ja) 移動管理システム、ホームエージェント及びそれらに用いる移動端末管理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CN102695236B (zh) 一种数据路由方法及系统
EP22997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obility security in the next generation network
EP2273747A1 (en) Communication of IPv6 packets across a mobile network supporting IPv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