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46B1 - Elevator Pit Structure - Google Patents

Elevator Pi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46B1
KR100979546B1 KR1020080003317A KR20080003317A KR100979546B1 KR 100979546 B1 KR100979546 B1 KR 100979546B1 KR 1020080003317 A KR1020080003317 A KR 1020080003317A KR 20080003317 A KR20080003317 A KR 20080003317A KR 100979546 B1 KR100979546 B1 KR 10097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rib
pit support
support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7389A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8000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546B1/en
Publication of KR2009007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며,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을 측방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를 아치형태로 형성하여 압축력을 높임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걸리는 상향수압에 대한 지지력 및 지내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 강도를 가지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피트지지바닥부 및 피트지지벽체의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되도록 보강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하여,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종전에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내측의 바닥설치부로 가해지던 것을,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의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부에 상기 피트지지벽체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을 위주로 담당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자중, 지내력을 담당하게 되어,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시키는 구조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피트하단부를 압축력이 큰 아치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시키는 구조가 가능해져,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pace for checking an elevator, and to install an elevator pit designed to be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of a building by a wall. Rib having a support strength against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elevator pit and bearing strength by increasing the compressive force by transmitting the load of the to the ground through the lateral bottom structure and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pit in the arch shape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tersected in the pit support bottom part and the pit support wall, and the load is transferred from the pit support wall to the pit support bottom part. The load applied from the pit supporting wall is hardly applied to the bottom mounting portion by guiding the bottom mounting portion below the pit lower end to the pit supporting bottom portion below the pit lower end. It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upward buoyancy applied, and it is responsible for the relatively small weight, the bearing strength,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o form the depth of the bottom mounting portion to be muc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and also has a large compression force By forming in an arch shape, the depth of the bottom mounting portion is increased to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e much smaller than that,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Description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Elevator Pit Structure}Ribbed Elevator Pit Structure

본 발명은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며,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을 측방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를 아치형태로 형성하여 압축력을 높임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걸리는 상향수압에 대한 지지력 및 지내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 강도를 가지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pace for checking an elevator, and to install an elevator pit designed to be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of a building by a wall. Rib having a support strength against the upward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elevator pit and bearing strength by increasing the compressive force by transmitting the load of the to the ground through the lateral bottom structure and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pit in the arch shape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통상의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 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normal elevator pit should provide space to check the elevator from below, and for this purpose it is configured at the bottom to have a space of about 2 meters above the bottom of the lowest floor. The elevator pit structure is design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building by the wall, the load of the wal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bottom structure of the lower portion. To this end, a basic structure for supporting it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pit should b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a space for checking the elevator should be secured.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가 제공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10)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지반(1) 위에 배치되는데, 지반(1)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의 하단부가 배치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부(20)를 형성하게 된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structure, an elevator pit support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1 has conventionally been provided. Referring to FIG. 1, an elevator pit 10 is disposed on a ground 1 on which a building is built, and in the ground 1, a bottom is installed through a trench so that a lower end of the elevator pit 10 is disposed. The part 20 will be formed.

상기 바닥설치부(20)의 상측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3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는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elevator pit 10 is disposed above the floor installation portion 20, and concrete is poured around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 forms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를 지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측 둘레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피트지지벽체(40)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pit support wall 4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 so as to enclose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elevator pi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elevator pit 10. It is formed by pouring.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부(20)의 깊이(d)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굴토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Here, the depth (d) of the floor mounting portion 20 is excavated to a depth (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 formed by the concrete is poured concrete inside.

이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 하단부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40)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설치부(20)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10)의 하단부도 가해 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 강도를 가지도록 두껍게 형성되거나, 2중바닥 구조로 형성되었다.This, in order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rigid buoyancy that can withstand the upward buoyancy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pit 10 and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pit support wall 40, the bottom mounting portion 20 It should be formed to a depth (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it support bottom (30).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pit 10 is also formed thick or have a double bottom structure to have a supporting strength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상기 바닥설치부(20)의 두께를 하방에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방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모두 견디도록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굴토하여야 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의 하단부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2중 구조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form the thickness of the bottom mounting portion 20 to withstand both the upward buoyancy applied from below and the load transmitted from above, it must be excavated to a depth (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pit 10 should be formed thick or manufactured in a double structure, the work is cumbersome, and thus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become long.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체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바닥설치부(20)의 깊이(d)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시키면서, 엘리베이터 피트(10)의 하단부 저면에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4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지지 강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However, whe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depth d of the bottom mounting portion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 and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pit 10. Since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e of the support buoyancy to withstand the upward buoyancy 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pit support wall 4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thereb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트지지바닥부 및 피트지지벽체의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되도록 보강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하여, 피트지지벽체에서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의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되고, 바닥설치부에 상기 피트지지벽체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을 위주로 담당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자중, 지내력을 담당하게 되며, 또한 상기 피트하단부를 압축력이 큰 아치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시킬 수 있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concrete is placed in the reinforcing arrangement state so that the support reinforcement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tersecting in the interior of the pit support bottom and the pit support wall to form a pit in the pit support wall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upport bottom portion is guided to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below the pit lower end portion, and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pit support wall is hardly applied to the bottom mounting portion, and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upward buoyancy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Provides a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that can bear a small weight, bearing strength, and can form the bottom portion of the pit in the shape of a high compression force, the depth of the bottom mounting portion can be formed muc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Has its purpose.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하부가 아치형태를 이루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아치형 피트하단부;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 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for forming an elevator pit and a support wall below the floor of the lowest floor of a building by distributing its weight to the ground. An arch pit having an arch shap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being ope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Lower end; A floo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arcuate pit bottom portion is disposed; A pit support bottom portion surrounding the arcuate pit bottom portion while concrete is poured on the ground to form a bottom floor of a building; And a pit support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it support bottom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vator moving space, wherein the pit support bottom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reinforced therein. Cross-placed, concrete is pou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pit support wall to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is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pit lower end.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외측 또는 내측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보강형 리브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p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는, 다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각각 경계부를 가지며, 상호 체결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arcuate p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each having a boundar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and assembly are formed.

상기 경계부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플랜지가 연장형성되어 맞닿아 상호 체결조립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oundar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extended to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is contacted and assembled to each other.

상기 플랜지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flang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haracterized in that assembled by the fastening means.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상기 피트하단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담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is characterized by sharing the load transmitted to the pit lower end portion.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상단에는 내부로 수용공간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upper end of the arched pit bottom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o have a receiving space therein.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 및 형틀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상단과 상기 형틀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arcuate pit lower end and the mold in a st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upling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and the mold, respectively.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 및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bent with respect to the arched lower pit and the mold,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ther in a superimposed or abutment state.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관통하는 체결수단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through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means integrally.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upling by welding.

본 발명은 상기 피트지지바닥부 및 피트지지벽체의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되도록 보강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하여,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종전에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내측의 바닥설치부로 가해지던 것을,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의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부에 상기 피트지지벽체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을 위주로 담당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자중, 지내력을 담당하게 되어,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시키는 구조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피트하단부를 압축력이 큰 아치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부의 깊이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두께보다 훨씬 작게 형성하는 구조가 가능해,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tersected in the pit support bottom part and the pit support wall, and the load is transferred from the pit support wall to the pit support bottom part. The load applied from the pit supporting wall is hardly applied to the bottom mounting portion by guiding the bottom mounting portion below the pit lower end to the pit supporting bottom portion below the pit lower end. It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upward buoyancy applied, and it is responsible for the relatively small weight, the bearing strength,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o form the depth of the bottom mounting portion to be muc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and also has a large compression force By forming in an arch shape, the depth of the bottom mounting portion is increased to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e much smaller than that,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아치형 피트하단부(100), 바닥설치부(200), 피트지지바닥부(300) 및 피트지지벽체(40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p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cuate pit bottom end 100, a floor mounting part 200, a pit support bottom part 300, and a pit support wall 400. Include.

아치형 피트하단부(1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부가 아치형태를 이루면서, 상방으로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하부면을 압축력이 큰 아치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같은 두께의 종래의 피트하단부에 비해, 가해지는 압력을 견디는 지지 강도가 커지고, 간단한 시공으로 품질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lower end of the arch pit 100 is formed to have an inner space by ope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pit in an arch shape, by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rch pit lower end 100 into an arch structure having a high compression for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ower pit of the thickness, the supporting strength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is increased, and the quality improvement effect can be obtained by simple construction.

바닥설치부(200)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지반(1)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아치형 피트하단부(100)가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굴토되어 형성된다.The floor mounting part 200 is formed by being excavated so that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of the elevator pit is disposed upward on the ground 1 on which the building is built.

이때, 상기 지반(1)의 상부 및 바닥설치부(200)의 상측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도 선택가능하다.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타설시 미리 다수개의 철근을 배치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discarded concrete layer (not show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placing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and bottom mounting portion 200 of the ground (1). When placing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 advance and integrally.

상기 바닥설치부(200)의 상측으로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가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300)를 형성하게 된다.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is disposed above the floor installation part 200, and concrete is poured around the floor installation part 300 to form the pit support bottom part 300.

피트지지바닥부(300)는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둘레를 감싸면서, 지반(1)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게 된다.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0 wraps around the arcuate pit bottom portion 100, and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top of the ground 1 to form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0)에서 수직 상방으로는 피트지지벽체(400)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벽체(400)는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를 지지하도록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측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게 된다.Vertically upward from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0, the pit support wall 400 is formed by concrete pouring. The pit support wall 400 is formed to surround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이때,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0) 및 피트지지벽체(400)의 내부에는 지지철근(S)이 종,횡으로 보강되어 교차배치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0) 및 피트지지벽체(400)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철근(S)에 의해 상호 간에 견고하게 연결결합되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0) 및 피트지지벽체(400)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0 and the pit support wall 400, the support reinforcement (S) is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reinforced and cross placed. The pit support bottom part 300 and the pit support wall part 400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upport bars (S) disposed in the interior, and the pit support bottom part 300 and the concrete being poured on the outside thereof. Pit support walls 400 are formed.

또한, 상기 바닥설치부(200)는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가 배치되는 그 측부 둘레로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넓게 지반에 굴토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부(200)의 내부 상측으로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가 배치되는데, 상기 바닥설치부(200) 내부의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가 배치된 측부 둘레 수용공간에는 상기 지지철근(S)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보강용 지지철근(S')이 추가로 내설되어,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로 가중되는 응력 및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측방에서 가해지는 토압에 더욱 잘 견딜 수 있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loor mounting portion 200 is formed in the ground to be wide in the ground so as to have a receiving space around the side portion where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is disposed, the arcuate pit in the upper side of the floor mounting portion 200 A lower end portion 100 is disposed, and the reinforcing support reinforcement S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ing reinforcement S in the side circumferential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arcuate pit lower end portion 100 is disposed in the bottom mounting portion 200. ) Is additionally built in, so that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to better withst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the earth pressure applied from the side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상기 피트지지벽체(400)의 하중이 종래구조와 같이 상기 바닥설치부(200)로 가해지지 않게 되고, 상기 피트지지벽체(400)에 인접되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0)로 유도되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0)로 분산되거나, 전적으로 피트지지바닥부(300)에서 분담한다.The load of the pit support wall 400 is not applied to the floor mounting portion 200 as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guided to the pit support bottom 300 adjacent to the pit support wall 400, It is distributed to the pit support bottom part 300, or it shares with the pit support bottom part 300 entirely.

그에 따라, 상기 바닥설치부(200)는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만을 감당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자중 및 지내력만을 감당하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구조의 바닥설치부(2)의 깊이(d)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닥설치부(200)의 깊이(d')를 작게 굴토형성할 수 있어,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Accordingly, the floor mounting portion 200 can only bear the upward buoyancy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or can bear only a relatively small weight and bearing strength, the floor installation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The depth d 'of the floor mounting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can be excavated smaller than the depth d of the part 2,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You have an advantage.

또한,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상단에는 내부로 수용공간을 구비하도록 형틀(130)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can be formed to extend the mold 130 to have a receiving space therein.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상단에 형틀(130)이 상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형틀(13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The mold 1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upwards at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concrete is poured out of the mold 130 to form a layer.

상기 형틀(130)은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중앙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상단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형틀(130)에 의하여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 및 형틀(13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형틀(13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으며,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mold 130 is formed upward along the upper end of the arched pit lower end 100 so that a space opened to the center side of the arched pit lower end 100 is formed, and the arched pit lower end is formed by the mold 130. The upper side of the 10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the worker to work, by the arched pit lower end 100 and the mold 130, the load of the building is supported, while at the same time secure the space for the elevator check. In addition, the size and height of the mold 130 may be selectively form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and may be used by cutting to a size suitable for the site.

상기 형틀(130)은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The mold 13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or separately with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In the case of the separate coupling type,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mold 130 may or may not be removed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그리고,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 및 상기 형틀(13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상단과 상기 형틀(130)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미도시)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the mold 130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the coupling portion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ld 130,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with each other.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 및 상기 형틀(130)이 결합되는 결합부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 또는 상기 형틀(13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 및 상기 형틀(13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r both of the coupling portions to which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the mold 130 are coupled are formed to be bent with respect to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or the mold 130, respectively, and are superimposed or opposed to each other. Are combined in a loose state. The coupl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bent or bent by the end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the mold 130.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B)을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The coupling parts superimposed or opposed to each other are integrally penetrat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B, such as a bolt, or firmly fixed by weldin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외측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병렬배치되는 보강용 리브(110)가 구비되어,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지지강도를 높이고,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외측으로 콘 크리트가 타설되어 굳어질 때, 결합력를 높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p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and 5, the outer or inner side of the arched pit lower e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ched pit lower end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hen the concrete is cast and hardened to the outside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상기 보강형 리브(110)에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300)에 배치되는 지지철근(S) 및 상기 바닥설치부(200)에 배치되는 보강용 지지철근(S')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철근(S) 또는 보강용 지지철근(S')이 상기 보강형 리브(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결결합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11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S) disposed on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300 and the reinforcing support reinforcement (S ') disposed on the floor installation portion 200 is connected. , The support reinforcement (S) or reinforcing support reinforcement (S ') is coupled to penetrate through the side of the reinforcing rib (110) and concrete is poured,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Can be.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는 세그먼트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may be formed in a segmented manner.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는 각각 경계부(미도시)를 가지도록 다수개롤 분할 형성되고, 상호 체결조립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하거나 설치하는데, 수월한 장점을 갖는다.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lls each having a boundary (not shown), and formed to be fastened and assembled to each other, thereby carrying or installing the arcuate pit lower end 100 to a construction site. .

또한, 분할된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100)의 상기 경계부에는 내측 또는 외측방으로 결합용 플랜지(120)가 연장형성되고, 상호 맞닿은 상태로 체결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120)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 등의 체결수단(B)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flange 120 extends inwardly or outwardly in the boundary portion of the divided arcuate pit lower end 100 and is fastened and assemb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ange 1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t is preferable to be firmly assembled by a fastening means (B) such as bolt coupling or welding coupl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uch,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ordinary technical ideas and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structur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p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p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지반 100: 아치형 피트하단부1: ground 100: lower end of arched pit

110: 보강형 리브 120: 플랜지110: reinforced rib 120: flange

200: 바닥설치부 300: 피트지지바닥부200: floor mounting portion 300: pit support bottom portion

400: 피트지지벽체 500: 형틀400: pit support wall 500: mold

S:지지철근 S': 보강용 지지철근S: Reinforcing bar S ': Reinforcing bar

B: 체결수단B: fastening means

Claims (14)

자중을 분산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로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와 지지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for forming the elevator pit and the support wall below the floor of the lowest floor of the building in a structure that distributes its weight to the ground, 하부가 아치형태를 이루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아치형 피트하단부;An arched pit lower end of which the lower part forms an arch shape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form an inner space;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바닥설치부;A floo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arcuate pit bottom portion is disposed;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피트지지바닥부; 및A pit support bottom portion surrounding the arcuate pit bottom portion while concrete is poured on the ground to form a bottom floor of a building; And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피트지지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 pit support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pit support bottom and suppor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vator moving space;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 내부에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보강 교차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형성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고, The reinforcing bar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pit support floor, and reinforcing cross is placed in the concrete, and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pit support wall to the pit support floor is l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pit bottom. 상기 바닥설치부는, The floor installation unit,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가 배치되는 그 측부 둘레로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지반에 굴토형성되고, The arch is formed in the ground to have a receiving space around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pit is arranged, 상기 바닥설치부 내부의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가 배치된 측부 둘레 수용공간에 상기 지지철근의 하방으로 보강용 지지철근이 더 내설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피트하단부로 가중되는 응력 및 측방에서 가해지는 토압을 견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The reinforcing support bars are further installed below the support bars in the side circumferential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arcuate pit lower ends are disposed, and concrete is poured to be applied from the side and the stress that is weighted to the lower pit ends. A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withstands earth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외측 또는 내측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보강형 리브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arch p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rib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heigh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는,The lower end of the arched pit, 다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각각 경계부를 가지며, 상호 체결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A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each having a boundary portion, and assembled togeth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경계부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플랜지가 연장형성되어 맞닿아 상호 체결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portion is extended to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is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플랜지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lange, the rib-type elevator pit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ssembled by the fastening means.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피트지지바닥부는,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상기 피트하단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A 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for sharing a load transmitted to the bottom of the pi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상단에는 내부로 수용공간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arched pit form the frame extending to have a receiving space therei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 및 형틀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의 상단과 상기 형틀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cuate pit lower end and the mol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formed respectively at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pit low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mold.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결합부는,The coupling part, 각각 상기 아치형 피트하단부 및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bed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in a shape bent with respect to the arcuate pit lower end and the mold, and are coupled in a state where they are superimposed or opposed to each oth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관통하는 체결수단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means that integrally penetrates.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And the coupling portion is mutually coupled by welding.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 배치되는 지지철근이 상기 보강형 리브에 관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 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einforcing bar disposed in the pit support bottom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rib.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바닥설치부에 배치되는 보강용 지지철근이 상기 보강형 리브에 관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Rib-type elevator pit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support reinforcing bar disposed in the floor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rib.
KR1020080003317A 2008-01-11 2008-01-11 Elevator Pit Structure KR100979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17A KR100979546B1 (en) 2008-01-11 2008-01-11 Elevator Pi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17A KR100979546B1 (en) 2008-01-11 2008-01-11 Elevator Pi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389A KR20090077389A (en) 2009-07-15
KR100979546B1 true KR100979546B1 (en) 2010-09-01

Family

ID=4133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317A KR100979546B1 (en) 2008-01-11 2008-01-11 Elevator Pi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5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716A (en) * 2020-08-31 2022-03-08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573U (en) * 1997-12-22 1999-07-26 이상업 Block-mounted hoist for hoist
KR100489336B1 (en) 2002-08-26 2005-05-12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Metal elevator pit
KR200432040Y1 (en) 2006-09-20 2006-11-29 박옥교 Sump system
KR20090000248U (en) * 2007-07-03 2009-01-08 엄기형 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Pit Low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573U (en) * 1997-12-22 1999-07-26 이상업 Block-mounted hoist for hoist
KR100489336B1 (en) 2002-08-26 2005-05-12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Metal elevator pit
KR200432040Y1 (en) 2006-09-20 2006-11-29 박옥교 Sump system
KR20090000248U (en) * 2007-07-03 2009-01-08 엄기형 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Pit Low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716A (en) * 2020-08-31 2022-03-08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KR102421944B1 (en) * 2020-08-31 2022-07-19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389A (en)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020B1 (en) Composite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01081B1 (en)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545649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ping using permanent form preventing interference of reinforcing bar
KR101064731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315290B1 (en) Precast block of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20160109629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internally confined hollow rc column-foundation connection reinforced with external tub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100966144B1 (en)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 abutment socket and tendon
KR101203318B1 (en) Elevator pit
KR101677668B1 (en) Formed steel beam having bolt connection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CN107313507B (en) Construction method for node structure of fabricated concrete frame overhead core column
KR100979546B1 (en) Elevator Pit Structure
KR101531238B1 (en) Buttre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1358878B1 (en)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KR100979138B1 (en) Elevator pit structure
KR100727683B1 (en) Precast Girder System Having Steel Girders and Concrete Plates
KR101007012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unnel a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0973235B1 (en) Elevator pit structure
CN203947675U (en) Precast wall panel with shearing keyway
KR100973237B1 (en) 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pit easy to install elevator
KR101010109B1 (en) Concrete filled composite lining board of assembly type
KR101609661B1 (en) Hollow composi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0395627Y1 (en)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101405029B1 (en) An arch type slab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101145549B1 (en) A reinforcing structure for joint and method for it
KR20110093325A (en)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