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121B1 -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 Google Patents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121B1
KR100979121B1 KR1020080028729A KR20080028729A KR100979121B1 KR 100979121 B1 KR100979121 B1 KR 100979121B1 KR 1020080028729 A KR1020080028729 A KR 1020080028729A KR 20080028729 A KR20080028729 A KR 20080028729A KR 100979121 B1 KR100979121 B1 KR 10097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er
probe
shell block
molten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244A (ko
Inventor
이만업
황선춘
김효상
유진태
이규홍
Original Assignee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filed Critical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to KR102008002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12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5Metals in liquid state, e.g. molten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01N1/125Dippers; Dredgers adapted for sampling molten met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용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시료채취 및 온도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에 있어서; 프로브를 구성하는 외피보호관에 끼워지며, 외표면 일부가 개방된 쉘블럭과; 상기 쉘블럭에 내장되고, 세라믹케이스와 냉각판으로 이루어진 시료채취구와; 상기 쉘블럭의 하단면에 편심 설치되고, 센서보호캡에 의해 보호되는 온도 측정용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채취 과정중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시료의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자동화분석에 용이한 원판형 시료를 제공함으로써 분석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도센서와 시료채취기의 조립방법을 표준화할 수 있어 측온편차 등 제품의 품질편차를 줄일 수 있고, 시료채취시 시료인출이 용이하여 시료채취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며, 제작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프로브, 시료채취기, 쉘블럭, 냉각판, 세라믹케이스

Description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A SAMPLER PICKER FOR HOT METAL PROBE}
본 발명은 프로브용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금속의 시료 채취가 용이하고, 시료의 표면건전성이 양호하여 성분정확도가 우수하며, 채취된 시료의 인출도 용이하도록 개선된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브는 철강, 비철금속 혹은 용융 실리콘 등의 생산 공정에서 고온 용융금속의 정보를 얻기 위해 전기로, 정련로, 래들(Ladle) 혹은 토패도카(Topedocar) 등에 침지되어 사용되는 소모형 계측기로서, 보통 온도 및 산소, 탄소, 실리콘 등의 상태를 온라인상에서 분석할 수 있는 분석용 측정센서 혹은 성분분석용 시료채취기를 함께 탑재한 형태로 사용된다.
특히, 시료채취기는 제철소의 제선공정, 용선예비처리공정 등에서 용선의 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용선 시료를 채취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분석된 성분의 피드백을 통해 용탕을 제어하여 보다 고품위의 철강제품을 생산하는데 활용된다.
이렇게 각 공정에서 시료채취기를 통해 채취된 용선 시료는 분석실로 이송되어 시료 표면 연마(통상 0.3~0.5mm) 등의 전처리를 거쳐 성분분석을 실시하게 되 며, 분석방법으로는 시료조제에서 분석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짧고, 분석의 정확도가 높은 형광X선 분석(이하 'X-Ray분석'이라 함)이나, 발광분광 분석(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이하 '발광분석'이라 함)이 주로 사용된다.
이때, 발광분석은 용선의 주요성분인 C(탄소)의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분석은 시료 표면에 Ø 6~9mm크기로 Arc방전 등 전기적 에너지를 부여하면 시료의 증발과 기화가 일어나고, 이때 시료를 구성하는 원자는 여기되어 각 원소마다의 정해진 파장의 광 즉, 스펙트럼(Spectrum)을 발생하는데, 바로 이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와같이 발광분석을 실시하는 경우는 분석면적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시료표면의 일부분만이 양호하더라도 분석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시료의 응고조직이 그라파이트(Graphite)가 정출된 회선조직인 경우 그라파이트로 선택 방전됨에 따른 이상발광 등으로 분석정확도가 극히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광분석용 시료의 경우는 강제적으로 급냉시켜 분석부위의 C가 모두 탄화물(예컨데, Fe3C, 시멘타이트)로 존재하는 칠(Chill)화한 시료 즉, 백선화(흑연정출이 없어 파면이 백색)된 시료이어야만 한다.
그런데, 용선시료의 칠화 깊이는 주입 온도 및 주형의 냉각속도, 용선중의 C와 Si함량 등에 의해 결정되며, 용선중 C, Si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회선화(C가 흑연으로 정출되어 파면이 회색)가 조장되어 시료의 칠화 깊이는 0.5mm미만 으로 한정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제철현장에서의 발광분석용 시료의 연마깊이는 0.3~0.4mm미만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어 시료 표면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용선의 응고조직은 화학조성 및 용선온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형의 냉각능 조절만으로 칠화층이 양호한 시료를 획득하기란 매우 어렵고, 또한 용선온도가 낮아 주입성이 불량한 경우와 불순물 혼입 등에 의해 시료 표면이 미려하지 않으면 표면결함에 의해 이상발광이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경우, 통상 X-Ray분석을 실시하게 되는데, X-Ray분석은 연마된 시료에 Ø 25~30mm크기의 마스크를 부착한 원형시료의 전면에 X-Ray를 조사하여 회절된 각 성분원소마다의 특성X선을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하지만, 상기 X-Ray분석의 경우는 시료의 분석면 전체가 일정크기 이상의 결함없이 건전하여야만 한다는 점과, 발광분석 방법에 비해 수 초의 시간이 더 소요되는 점, 그리고 용선의 주요성분의 하나인 C를 분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반면, 시료의 응고조직과 무관하게 즉 회선 또는 백선조직에 상관없이 분석을 할 수 있어 분석면이 양호할 때까지 재연마를 하여 분석할 수 있고, 또한 일률적으로 시료의 연마깊이를 깊게 조정할 수 있어 분석 편차와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철소에서는 상기 분석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분석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채택하여 공정조건에 따라 용선시료를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용선 시료 채취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료채취기는 도 1a,b의 도시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a의 경우에는 세라믹케이스(12)와 냉각판(14)으로 이루어진 시료채취구와; 온도센서(T), 보상도선(L), 커넥터(C), 센서보호캡(P)으로 이루어진 측온소자가 프로브의 외관을 구성하는 지관(10) 내부에 배치된 후 주물사로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주물사를 이용하여 측온소자와 시료채취구를 비롯한 내장되는 구성들의 위치를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들 고정작업이 용이치 않고, 조립위치 또한 일정하지 않아 제품의 표준화가 곤란하여 품질편차가 발생되기 쉬운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품질편차의 구체적인 예로, 보상도선과 냉각판이 서로 근접하여 조립되어 보상도선 접속부에서 (+),(-)간의 온도차이가 있으면 이에 상응하는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측온 오차가 발생되며, 온도센서의 돌출 길이에 차이에 의해서도 측온 감지부의 열평형 차이에 의한 측온편차가 발생하기 쉽고, 시료채취구의 밀봉이 완전하지 않으면 프로브의 제작과정에서 작은 입자의 주물사가 시료채취구 내부로 침입되어 시료의 표면불량 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의 문제들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예시된 용선 프로브의 경우 지관 내부에 주물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어 전체를 가열하여 소성하여야 하는 구조이므로 소성된 주물사는 일체화된 덩어리 상태로 내부에 빈공간이 없는 상태가 되게 되어 시료채취 후 프로브 외부를 수회 타격하여도 쉘블럭이 쉽게 분화되지 않아 시료인출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도 있다.
나아가, 용탕에 프로브를 침지하여 보호캡이 소실되어 개공되면 용선의 유입과 함께 지관의 연소된 잔해물 및 그때 발생된 가스 등이 함께 혼입되어 시료의 표면결함을 증가시키는 문제도 있다.
결국, 상기의 경우는 양호한 분석면 확보를 위해 시료 연마를 더 깊게 하여야 건전한 분석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료의 칠화 층이 얇게 형성되는 용탕조건에서는 발광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단점을 갖게 된다.
다른 예로, 도 1b의 경우에는 지관(10') 내부에 한 번의 시료채취를 통해 두가지 용도의 시료(원반형시료, 핀형시료)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세라믹케이스(12")와, 그 하부에 연통설치된 주형(12')과, 보호캡(22)과, 보호캡(22)의해 보호되는 시료유입구(24) 등으로 이루어진 시료채취구가 내장된 후 이들의 틈을 내화시멘트로 밀봉하고, 지관(10') 내부를 주물사로 완전히 채운 상태에서 주물사를 가열 소성하여 이들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일정 강도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칠화 등이 떨어져 시료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시료의 표면건전성이 양호하여 성분정확도가 우수하고, 조립방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양호하며, 시료채취시 시료인출도 용이하고, 용선의 시료채취 및 온도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료채취 및 온도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에 있어서; 프로브를 구성하는 외피보호관에 끼워지고, 상부 외표면 일부에 보상도선 안내홈이 요입 형성되며, 표면 일측부가 개방된 쉘블럭과; 상기 쉘블럭에 내장되고, 세라믹케이스와 냉각판으로 이루어진 시료채취구와; 상기 쉘블럭의 하단면에 편심 설치되고, 센서보호캡에 의해 보호되는 온도 측정용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쉘블럭의 일단에는 프로브의 하단부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보호관이 끼워지는 제1단턱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프로브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지관이 면접밀착됨과 동시에 외부지관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지관이 끼워지는 제2단턱이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틈새에는 내화시멘트가 도포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쉘블럭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시료채취구가 긴밀하게 삽입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형 돌기가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시료채취구는 용탕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삽입되는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에 끼워지는 유입구캡과, 상기 유입구로부터 연장되고 확대된 압탕홈과, 상기 압탕홈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탕도와, 상기 탕도와 연결되고 확대되며 시료가 충전되는 시료실로 이루어진 세라믹케이스와; 상기 세라믹케이스의 시료실 내벽 양측에 설치된 금속제의 냉각판으로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탕도는 압탕홈에서 시료실 방향으로 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채취 과정중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시료의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자동화분석에 용이한 원판형 시료를 제공함으로써 분석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도센서와 시료채취기의 조립방법을 표준화할 수 있어 측온편차 등 제품의 품질편차를 줄일 수 있고, 시료채취시 시료인출이 용이하여 시료채취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며, 제작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기가 장착된 용선 프로브의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기를 구성하는 요부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기의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선 프로브는 온도측정용 센서(110)를 갖는 쉘블럭(100)을 포함한다.
상기 쉘블럭(100)은 외표면 일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시료채취구(200)가 장입된다.
이때, 상기 쉘블럭(100)의 일단면에는 상기 센서(110)가 편심되게 고정설치 되고, 상기 센서(110)는 센서보호캡(112)에 의해 보호된다.
아울러, 상기 센서(110)가 설치된 쪽 쉘블럭(100)의 단부 부근에는 제1단턱(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102)의 대향단 쪽에는 제2단턱(104)이 구비되며, 상기 제2단턱(104)이 형성된 단부는 돌출형성되고, 그 외표면 일부에는 보상도선안내홈(106)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센서(110)로부터 인출된 보상도선(미도시)은 상기 쉘블럭(100)을 관통한 후 상기 보상도선안내홈(106)을 경유하여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내부지관(3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지관(310) 속에 구비된 커넥터(30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부지관(310)은 상기 쉘블럭(100)의 제2단턱(104)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내부지관(310)의 외피를 이루면서 이를 보호하는 외부지관(320)은 상기 제2단턱(104) 면에 면접밀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쉘블럭(100)의 제1단턱(102)에는 외피보호관(330)의 일단이 안착되게 되는데, 통상 상기 쉘블럭(100)이 상기 외피보호관(330)에 끼워지는 형태가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쉘블럭(100)의 개방된 일측 외표면은 내화시멘트(340)에 의해 밀봉된다.
이때, 상기 내화시멘트(340)는 상기 쉘블럭(100)의 개방된 부분의 틈새만을 밀봉하는 것이 아니라 외피보호관(330), 외부지관(320), 내부지관(320) 사이의 틈새도 밀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110)를 상기 쉘블럭(100)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게 배치하고 편심시킴으로써 쉘블럭(100)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측온이 가능토록 하여 열손실에 의한 측온 편차를 없애 측온값의 정확도와 응답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시료채취구(200)는 세라믹케이스(210)와, 상기 세라믹케이스(210)중 시료실(250)의 개방된 양면 및 후술할 압탕홈(230), 탕도(240)의 일면을 밀폐하는 금속제의 냉각판(212)으로 구성되어, 상기 쉘블럭(100)의 내부에 내장된다.
이를 위해, 상기 쉘블럭(100)의 내부에는 상기 시료채취구(200)보다 약간 큰 공간으로 된 수용홈(도면번호 생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 양측면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두께가 점점 증가되는 형태로 약 0.5~1mm 크기의 경사형 돌기(미도시)가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형 돌기는 시료채취구(200) 삽입시 주물사 돌기가 부스러지면서 시료채취구(200)를 구성하는 세라믹케이스와 냉각판이 틈새없이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안내하여 시료채취시 용탕의 정압에 의한 세라믹케이스의 벌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쉘블럭(100)은 모래와 수지계의 바인더가 혼합된 코티드샌드(Coated Sand)를 열로 소성하여 일정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구(200)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세라믹케이스(210)와, 금속제 냉각판(21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세라믹케이스(210)는 시료 실(250)만 양면이 모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냉각판(212)은 상기 시료실(250)의 개방된 양면을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케이스(2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선단이 수평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용탕이 유입되는 유입구(220)와, 상기 유입구(220)와 연결되면서 후방이 확대된 압탕홈(230)과, 상기 압탕홈(230)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하부로 연장되는 탕도(240)와, 상기 탕도(240)의 하단에 형성되며 시료를 수용하여 채취하는 시료실(250)이 일측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시료실(250)만 완전히 뚫린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판(212)은 상기 시료실(250)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시료실(250)의 내부 양측면에 부착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세라믹케이스(210)의 양면에는 용탕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도록 다수의 누기홀(벤트홀)(V)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입구(220)에는 석영관턱(224)이 형성되고, 이에 걸리도록 석영관(226)이 끼워지며, 상기 석영관(226)에는 유입구캡(222)이 장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탕도(240)는 압탕홈(230)에서 시료실(250) 방향으로 단면이 축소되는 즉,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시료채취후 시료를 분리할 때 충격(응력)이 탕도(240)에 집중되어 원판형의 시료와 탕도(240)의 접속부가 깨끗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탕도(240)의 형상과 크기는 용탕의 유입구(220)인 석영관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압탕홈(230)에서 시료실(250)로 용탕이 냉각판을 따 라 서서히 유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난류에 의한 공기의 혼입을 억제하게 된다.
덧붙여, 최근의 제철소에서의 분석기술은 더 한층 분석자동화가 진행되어 시료 이송, 시료 연마, 성분분석 등의 과정이 로봇 또는 기계장치 등에 의해 전자동으로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압탕홈(230) 및 탕도(240)가 미려하게 제거되지 않아 시료의 모서리에 돌출부 등이 있으면 시료의 이송, 연마, 성분분석 등 일련의 과정에서 시료의 파지가 불안정하여 설비 에러를 발생시키므로 분석자동화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분석시 불필요한 시료 부분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그에 최적합되게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즉, 쉘블럭(100) 내부에 냉각판(212)과 세라믹케이스(210)로 구성된 시료채취구(200)를 삽입한 다음, 세라믹케이스(210)의 유입구(220)에 석영관(226)을 고정한 후 외피보호관(330)과 쉘블록(100)의 개방홈 전체를 내화시멘트로 도포하되, 상기 석영관(226)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도포하고 석영관(226)의 입구에 유입구캡(222)을 부착하여 온도측정용 센서(110)와 시료채취구(200) 및 외피보호관(330)으로 구성된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구(220) 주변은 넓은 범위로 내화시멘트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프로브에서와 같이 지관이나 주물사로부터 발생된 가스와 이물질 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시료의 표면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시료 건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쉘블럭(100)의 최외곽 외경은 프로브를 제작하고 취급할 때 작업성을 고려하여 프로브의 최외곽을 이루는 외피보호관(330)의 외경보다 크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단턱(102)은 내측을 향해 완만하게 증가되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소량의 내화시멘트로도 쉽게 지관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를 용탕에 침적시키게 되면, 센서보보호캡(112)이 용융되면서 센서(110)에 의해 용탕의 온도가 측정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쉘블럭(100)의 측면에 부착된 시료채취구(200)의 유입구캡(222) 또한 용탕에 소실되면서 이를 개방함으로써 용탕은 석영관(226)을 통해 유입되면서 시료실(250)로 충전되게 되고, 충전 완료와 함께 시료를 채취하게 된다.
이후, 프로브를 용탕에서 회수하고, 상기 쉘블럭(100)에 타격을 가하여 충전 응고된 시료를 인출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시료채취구(200)는 외부지관(320)과 쉘블록(100)의 개방홈 전체가 내화시멘트로 도포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간단히 1~2회의 타격만으로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시료의 인출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세라믹케이스(210) 내부에는 시료의 냉각능이 양호한 동일한 크기의 냉각판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시료의 백선화가 양호하여 발광분석시 분석의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의 예시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기가 장착된 용선 프로브의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기를 구성하는 요부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채취기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쉘블럭 110....센서
112....센서보호캡 200....시료채취구
310....내부지관 320....외부지관
330....외피보호관

Claims (5)

  1. 시료채취 및 온도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에 있어서;
    프로브를 구성하는 외피보호관에 끼워지고, 상부 외표면 일부에 보상도선 안내홈이 요입 형성되며, 표면 일측부가 개방된 쉘블럭과;
    상기 쉘블럭에 내장되고, 세라믹케이스와 냉각판으로 이루어진 시료채취구와;
    상기 쉘블럭의 하단면에 편심 설치되고, 센서보호캡에 의해 보호되는 온도 측정용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쉘블럭의 일단에는 프로브의 하단부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보호관이 끼워지는 제1단턱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프로브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지관이 면접밀착됨과 동시에 외부지관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지관이 끼워지는 제2단턱이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틈새에는 내화시멘트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쉘블럭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시료채취구가 긴밀하게 삽입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프로 브용 시료채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구는 용탕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삽입되는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에 끼워지는 유입구캡과, 상기 유입구로부터 연장되고 확대된 압탕홈과, 상기 압탕홈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탕도와, 상기 탕도와 연결되고 확대되며 시료가 충전되는 시료실로 이루어진 세라믹케이스와;
    상기 세라믹케이스의 시료실 내벽 양측에 설치된 금속제의 냉각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탕도는 압탕홈에서 시료실 방향으로 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KR1020080028729A 2008-03-28 2008-03-28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KR100979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29A KR100979121B1 (ko) 2008-03-28 2008-03-28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29A KR100979121B1 (ko) 2008-03-28 2008-03-28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44A KR20090103244A (ko) 2009-10-01
KR100979121B1 true KR100979121B1 (ko) 2010-08-31

Family

ID=4153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729A KR100979121B1 (ko) 2008-03-28 2008-03-28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0588D0 (en) * 2015-06-16 2015-07-29 Novacast Systems Ab Apparatus for analysis of met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311A (ja) 1998-10-28 2000-05-12 Metal Science Kk 金属の溶湯の熱分析用試料採取容器
KR200308195Y1 (ko) 2002-11-05 2003-03-26 주식회사 우진 용융금속 측온 및 시료채취용 복합프로브
KR200358340Y1 (ko) * 2004-05-28 2004-08-07 노동일 제선공정의 프로브
KR20060075625A (ko) * 2004-12-28 2006-07-04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로를 가진 식생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311A (ja) 1998-10-28 2000-05-12 Metal Science Kk 金属の溶湯の熱分析用試料採取容器
KR200308195Y1 (ko) 2002-11-05 2003-03-26 주식회사 우진 용융금속 측온 및 시료채취용 복합프로브
KR200358340Y1 (ko) * 2004-05-28 2004-08-07 노동일 제선공정의 프로브
KR20060075625A (ko) * 2004-12-28 2006-07-04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로를 가진 식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44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952B2 (ja) ホットメタル用のサンプラー
JP6723978B2 (ja) ヒートシンクを有する直接分析サンプラー
RU2670872C9 (ru) Пробоотборник прямого анализа
RU2680482C1 (ru) Пробоотборник прямого анализа
RU25175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или для отбора проб расплавов железа или стали
US4699014A (en) Molten metal sampler with sand cast mold part
JP7355788B2 (ja) 改良溶湯サンプラー
RU2712618C1 (ru) Пробоотборники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для применений с высоким и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кислорода
KR100979121B1 (ko) 용선 프로브용 시료채취기
KR100668079B1 (ko) 일체형 복합 프로브
RU26726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расплавов стали с одновременным отбором пробы
TW202331219A (zh) 用於熔融金屬之改良樣本室
KR20120033054A (ko) 듀얼 샘플러 복합 프로브
JPH034935Y2 (ko)
RU453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ятия проб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в конвертере
KR20110026283A (ko) 개재물 분석용 자동 샘플러
JPH0792158A (ja) 溶融金属の試料採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