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922B1 -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922B1
KR100978922B1 KR1020090109221A KR20090109221A KR100978922B1 KR 100978922 B1 KR100978922 B1 KR 100978922B1 KR 1020090109221 A KR1020090109221 A KR 1020090109221A KR 20090109221 A KR20090109221 A KR 20090109221A KR 100978922 B1 KR100978922 B1 KR 10097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ntainer
quail
feed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738A (ko
Inventor
이수웅
Original Assignee
박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순 filed Critical 박정순
Publication of KR2010005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4Feed troughs; Feed thr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메추리를 수용하도록 다수 열로 배치된 복수의 사육장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먹이통과; 먹이통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와; 호퍼와 먹이통을 순환 이동되게 설치되며, 먹이통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호퍼의 사료를 먹이통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퍼트리고, 먹이통의 내측면에 달아 붙은 사료를 털어내는 사료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메추리, 알, 사료, 먹이통, 분산

Description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A feed suplling appatatus for common quail}
본 발명은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메추리용 사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을 얻기 위해서 닭을 사육하는 양계장에서는 닭에게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양계장에 설치되어 있는 장방형의 먹이통에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닭을 쉽게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호퍼(1)로부터 투입된 사료는 공급장치의 몸체(2)로 공급되고, 그 몸체(2)에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이송수단(6, 7)에 의해 공급관(3)을 통해서 닭장(4)의 앞에 배열된 먹이통(5)으로 자동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6, 7)은 이송스크류(6)와, 상기 이송스크류(6)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7)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는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먹이통(5)에 적당량의 사료를 일률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몸체(2)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롤러(8)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롤러(8)에 의해 몸체(2)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이송스크류(6)의 회전운동에 의해 몸체(2)의 내부에 들어 있는 사료가 먹이통(5)의 내측으로 자동 투입되도록 하여 닭장(4) 내부에 수용되는 닭이 먹이통(5)의 내부로 투입되는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먹이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바닥부(5a)와, 바닥부(5a)에서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급관(3)으로부터 투입되는 사료가 먹이통(5)의 내부 중앙 즉, 상기 바닥부(5a)에 쌓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5b)과, 닭장(4)에 인접한 전면벽(5c)과, 반대편의 후면벽(5d)을 가지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먹이통(5)에 사료를 받기 위한 경사면(5b)을 마련하게 되면, 사료(9)가 공급관(3)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낙하하면서, 습기나 점성 등으로 인하여 상기 경사면(5b)에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쌓이는 사료(9)는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습기 등에 의해 굳게 되고, 또한 부식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육되는 닭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먹이통(5)의 경사면(5b)에 쌓인 사료(9)를 손으로 직접 털어내거나 제거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근 날로 상승하는 사료 값을 놓고 볼 때, 상기와 같이 손실되는 사료의 양은 무시할 수 없으며, 이는 사육농가들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 닐 수 없다.
한편, 닭의 경우에는 메추리보다는 비교적 크기 때문에, 경사면(5b)에 쌓인 사료(9)를 어느 정도는 먹을 수도 있으나, 최근에 그 사육량이 증가하는 메추리의 경에는, 닭의 먹이통(5)으로 사용되는 것을 메추리 사육장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면(5b)에 쌓인 사료(9)를 메추리가 전혀 건드릴 수 없으므로, 메추리 사육을 위해서는 더더욱 사료를 먹이통에 골고루 넓게 메추리가 먹을 수 있는 위치로 공급하고, 사료의 낭비를 없앨 수 있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료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메추리에 신선한 사료를 골고루 공급하여 산란률을 높여 농가에 소득을 올릴 수 있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는, 메추리를 수용하도록 다수 열로 배치된 복수의 사육장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먹이통과; 상기 먹이통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상기 먹이통을 순환 이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먹이통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호퍼의 사료를 상기 먹이통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퍼트리고, 상기 먹이통의 내측면에 달아 붙은 사료를 털어내는 사료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료 공급유닛은, 상기 먹이통과 상기 호퍼를 경유하여 수평 상태로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도록 설치되는 주행로프와; 상기 주행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주행로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 내의 사료를 상기 먹이통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먹이통 내측면에 달라붙은 사료를 이탈시켜 이동시켜 퍼트리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먹이통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주행로프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사료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파이프와; 상기 주행로프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부재; 및 상기 복수의 풀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먹이통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원호상의 외주면과, 상기 먹이통에 비접촉되게 상기 원호상의 외주면에서 연장된 직선형의 테두리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그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먹이통은, 원호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각각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벽부들이 상기 바닥부에 비하여 더 큰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먹이통은 동일 높이에서 제1 및 2열로 나란하게 복수 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먹이통은 상기 제1 및 제2열로 배치된 먹이통의 서로 반대측 전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 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층으로 배치된 먹이통 각각을 순환하는 주행로프들 각각에 연결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회전 샤프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먹이통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먹이통 몸체 와; 상기 먹이통 몸체의 개방된 상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먹이통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부에서 떨어지는 낙하수가 상기 먹이통 몸체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낙하수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낙하수 받침부는, 상기 먹이통 몸체의 일측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중간부분에서 상기 연장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먹이통은, 상기 먹이통 몸체의 상단 각각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먹이통 몸체 내의 먹이를 퍼트리기 위해 수용되는 가이드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먹이통은, 상기 먹이통 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메추리가 상기 먹이통 몸체 내부로의 접근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용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먹이통은, 상기 먹이통 몸체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먹이통 몸체가 안정되게 지지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하는 수평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의 경우에는, 닭에 비하여 크기가 매우 작은 메추리가 쉽게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먹이통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먹이통에 공급된 사료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퍼지도록 하여 전체 메추리에게 골고루 사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먹이통에 사료가 달라붙거나 오랜 시간 머무는 것을 방지하고, 사료를 순환시키고 자동으로 퍼트림으로써 항상 신선한 사료를 메추리가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추리의 건강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신선한 메추리알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료가 먹이통의 내측에 오랜 시간 달라붙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료의 부페를 방지하고, 사료의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사료값을 절감하여 메추리알 생산농가의 경제적인 어려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호퍼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가이드부재를 가지는 주행로프를 호퍼와 먹이통을 경유하도록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먹이통에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되, 먹이통 전체에 걸쳐서 사료를 골고루 퍼트려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기술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는, 메추리가 수용되어 사육되는 사육장(100)의 전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먹이통(110)과, 상기 먹이통(110)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200)와, 상기 호퍼(200)의 사료를 상기 먹이통(110)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유닛(3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사육장(100)은 동일 높이에서 제1 및 제2열(101,102)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와 같이 복수 열로 배치된 사육장(101,102)은 상하 복수 층으로 설치된다. 상기 사육장(100)은 다수의 메추리를 수용하여 사육할 수 있도록 망체를 가지는 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사육장(100)의 하측에는 메추리 알을 받아내기 위한 알 받이부재(103)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열(101,102) 각각의 서로 반대측 전면에 상기 먹이통(110)이 각각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호퍼(200)는 먹이통(100)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상기 사료 공급유닛(300)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 복수 층으로 배치된 사육장(100) 각각에 동시에 사료를 공급해줄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호퍼 몸체(210)와, 그 호퍼 몸체(210)의 상단에 마련된 사료 투입구(220)를 가진다.
상기 먹이통(110)은 상기 제1열 및 제2열(110,120)의 사육장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먹이통(1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방되고 양측면은 차단된 구조로서, 원호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의 양측에서 각각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부(112,113)를 가진다.
상기 바닥부(111)는 그 단면형상이 도 7과 같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1)의 전후 방향 각각으로 한 쌍의 측벽부(112,113)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112,113)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111)보다는 큰 곡률반경을 가짐으로써, 먹이 통(110)의 개방된 상부로 갈수록 먹이통(110)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닭에 비하여 크기가 작은 메추리들이 먹이통(110)에 담긴 사료를 용이하게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먹이통(110)이 도 2와 같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반원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료(9)가 바닥부(111)에 쌓이게 되어 메추리가 바닥부(111) 상의 사료(9)를 보다 용이하게 먹을 수 있게 된다. 즉, 한 쌍의 측벽부(112,113)를 서로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먹이통(110)의 폭(w)이 메추리의 목과 머리의 길이를 감안할 때, 메추리가 먹이통(110)의 어느 위치에서든 충분히 사료를 먹을 수 있게 제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사료 공급유닛(300)에 의해 사료를 골고루 퍼지게 공급하면, 메추리들이 먹이통(110) 내의 사료를 모두 먹을 수 있게 됨으로써, 메추리가 접근을 하지 못하여 사료가 남게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료 공급유닛(300)은 먹이통(110)과 호퍼(200)를 경유하여 수평 상태로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도록 설치되는 주행로프(310)와, 상기 주행로프(3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320)와, 주행로프(310)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부재(330)와, 상기 풀리부재(33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340) 및 나란하게 배치된 먹이통(110)을 연결하는 안내파이프(350)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로프(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통(110) 및 안내파이프(350)를 따라 수평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풀리부재(330)에 지지되어 회전된다. 상기 주행로프(310)는 일반적인 로프 또는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행로프(310)에는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부재(32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20)는 주행로프(310)와 함께 이동되면서 호퍼(200)와 먹이통(110)을 차례로 경유하여 이동되면서, 호퍼(200) 내의 사료를 먹이통(110)으로 끌고가 골고루 퍼지게 공급한다. 또한, 가이드부재(320)는 먹이통(110)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그 일부분이 먹이통(110)에 접촉되어 먹이통(110)의 내측면에 달라붙는 사료를 털어내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먹이통(110)에서는 사료가 어느 한 부분에 정체되거나 쌓이지 않고, 먹이통(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골고루 퍼지게 됨으로써, 복수의 사육장(100) 각각에 수용된 메추리들 전체에게 사료를 골고루 줄 수 있고, 항상 신선한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먹이통의 내부에 사료가 달라붙거나 오랜 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래된 사료로 인한 부패, 그로 인한 악취와 메추리의 건강 악화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료의 낭비를 방지하여 메추리 사육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메추리의 건강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켜 싱싱한 메추리알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320)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실시예로 도시한 도 7과 같이 원반형상 즉, 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원반형상의 가이드부재(320)는 도 7과 같이 먹이통(110)의 바닥에 일부분이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사료(9)를 이동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먹이통(110)의 측벽부(112,113)와 일정거리 유지하면서 측벽부(112,113)에 달라붙는 사료를 털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풀리부재(330)는 먹이통(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 쪽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풀리부재(33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20)를 걸어서 넘기기 위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부(331)를 가진다. 그리고 풀리부재(330)는 사육장(100)이 상하로 배치되고, 상하로 복수의 먹이통(110)이 배치된 것을 감안하여 상하 방향으로도 배치된다. 그리고 상하로 배치된 각각의 풀리부재들(330)은 상기 구동부(340)에 의해 동시에 회전 구동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풀리부재(330)는 주행로프(310)의 주행 방향이 바뀌는 위치마다 배치되며, 따라서 하나의 주행로프(310)에 대해서 4개의 풀리부재(33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340)는 상기 각각의 풀리부재(330)가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샤프트(341)와, 상기 복수의 회전샤프트(341) 중에서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4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샤프트(341)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사육장(100) 각각에 마련된 먹이통(110)에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주행로프(310)와 가이드부재(320)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회전샤프트(341) 중에서 어느 하나에 구동모터(342)가 연결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각 층마다 마련된 먹이통(100)으로 호퍼(200)의 사료를 동시에 일정하게 골고루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모터(342)를 가지고 복수층으로 배치된 다수의 사육장(100)으로 사료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8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430)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먹이통(110)과 접촉하여 사료(9)를 이동시키는 하측은 원호상의 외주면(431)을 가지며, 상단은 수평방향으로 직선형의 테두리면(432)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이드부재(430)는 그 재료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적정량의 사료(9)가 먹이통(1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530)는 그 외주면이 중심으로 부터 절개된 절개홈(531)과, 절개홈들(531) 사이에 돌출된 돌출부(532)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재(530)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료(9)를 적절한 양으로 조절하여 이동시키고, 사료(9)가 과도하게 이끌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630)는 그 평면 형상이 다각형상을 가지며, 먹이통(110)과 접촉하는 접촉면은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따라서 가이드부재(630)의 하단부(631)는 먹이통(110)의 바닥부(111)와 접촉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먹이통(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량의 사료가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730)는 먹이통(110)의 바닥부(111)에는 원호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접촉되도록 도 8b에 도시된 가이드부재(53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상부는 각진 평면 형 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730)는 먹이통(110)의 사료를 한곳에 정체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도록 가이드하고, 먹이통(110) 내벽에 달라붙지 않도록 적절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의 경우는, 상기 사료 공급유닛(300)을 구동시켜서 호퍼(200)의 사료를 먹이통(110)으로 공급함으로써, 먹이통(11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사료를 골고루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료 공급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일정 시간 동안만 구동모터(342)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작업자나 관리자가 시간마다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시간설정을 관리자가 미리 설정해 놓게 되면, 원하는 시간만다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24시간 무인으로 사료 공급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24시간 사료를 공급받는 메추리에 의한 산란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농가의 소득증진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메추리를 사육할 경우, 무인으로 24시간 가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메추리 10만수를 기준으로 볼때 년간 약 20% 내외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는, 먹이통(800)의 구조가 앞선 먹이통(110)과 다른 구조인 것에 특징 이 있다. 즉, 상기 먹이통(800)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먹이통 몸체(810)와, 상기 먹이통 몸체(810)의 개방된 상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먹이통 몸체(8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부(10)에서 떨어지는 낙하수가 상기 먹이통 몸체(810)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낙하수 받침부(820)와, 스토퍼리브(830), 간격유지용 리브(840) 및 수평 지지리브(850)를 구비한다.
상기 먹이통 몸체(810)는 원호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서, 그 내부에는 메추리의 사료가 수용되며, 수용된 사료를 퍼트리기 위한 가이드부재(3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먹이통 몸체(810)의 외측 하단에는 상기 수평 지지리브(850)가 좌우 양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 지지리브(850)가 지지면에 대해 안정되게 놓여짐으로써, 먹이통 몸체(810)가 흔들리거나 자세가 변경되지 않게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먹이통 몸체(810)의 개방된 양측 상단 각각에는 내측향으로 연장된 스토퍼리브(830)가 각각 형성된다. 이 스토퍼리브(830)는 먹이통 몸체(810)의 입구를 좁혀줌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320)가 먹이통 몸체(8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먹이통 몸체(810)의 바닥에 수용된 사료에 의해서 가이드부재(320)가 들어 올려지더라도, 가이드부재(320)의 외경이 스토퍼리브들(830) 간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드부재(320)가 먹이통 몸체(810) 외부로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먹이통 몸체(810) 바닥의 사료까지 골고루 퍼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830)에 의해서 먹이통 몸체(810) 내부의 사료가 메추리가 먹이를 먹을 때 쪼는 행위에 의해 사료가 먹이통 몸체(810)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먹이통 몸체(810)의 외측에는 상기 간격유지용 리브(840)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간격유지용 리브(840)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복수인 경우 적어도 하나는 먹이통 몸체(810)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사육장(100)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먹이통 몸체(810)의 외측으로 간격유지용 리브(840)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육장(100) 내의 메추리가 먹이통 몸체(810) 내부의 사료를 먹기 위해 머리를 먹이통 몸체(810) 내부로 진입시킬 때, 메추리의 머리부분이 지나치게 많이 먹이통 몸체(810) 쪽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시킴으로써, 메추리가 먹이를 먹으면서 조류의 행동습관에 의해 먹이통(800)의 사료를 파헤쳐서 외부로 이탈시키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료의 낭비를 줄이고, 주변이 사료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먹이통 몸체(810)의 일측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낙하수 받침부(820)가 설치된다. 이 낙하수 받침부(820)는 먹이통(800)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부(10; 급수니플)에서 떨어지는 물이 먹이통(800)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먹이통(800) 상부에 자동 급수를 위한 급수부(10)가 설치되어 메추리들이 스스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급수부(10)는 통상 급수 니들 구조로서, 메추리들이 부리로 쪼아서 물을 먹게 되는데, 이 경우 금수 니들에서 물방울이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낙하는 낙하수가 먹이 통(800)으로 떨어지게 되면, 먹이통(800) 내부의 사료를 적시게 되어, 사료가 부폐쇠고, 서로 엉겨붙는 등의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낙하수 받침부(820)는 먹이통 몸체(8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먹이통 몸체(810)의 일측 상단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821)와, 상기 연장부(821)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연장부(8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사부(822)를 가진다. 상기 연장부(821)는 먹이통 몸체(810)의 양측 상단 중에서 사육장(100)에서 먼 쪽의 상단에서 사육장(10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822)는 연장부(821)의 중간 위치에서 상면에서 경사부(822)와 교차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장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부(822)와 연장부(821)에 의해 대략 'V'자 형상으로 낙하수 받침부(820)가 형성됨으로써, 그 상부의 급수부(10)에서 낙하는 물을 받아서 먹이통 몸체(810)로 떨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료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먹이통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먹이통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사료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메추리 사육장 110,800..먹이통
200..호퍼 300..사료 공급유닛
310..주행로프 320..가이드부재
330..풀리부재 340..구동부
350..안내파이프

Claims (14)

  1. 메추리를 수용하도록 다수 열로 배치된 복수의 사육장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먹이통과;
    상기 먹이통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상기 먹이통을 순환 이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먹이통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호퍼의 사료를 상기 먹이통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퍼트리고, 상기 먹이통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사료를 털어내는 사료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먹이통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먹이통 몸체와;
    상기 먹이통 몸체의 개방된 상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먹이통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부에서 떨어지는 낙하수가 상기 먹이통 몸체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낙하수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유닛은,
    상기 먹이통과 상기 호퍼를 경유하여 수평 상태로 무한궤도상을 주행하도록 설치되는 주행로프와;
    상기 주행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주행로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 내의 사료를 상기 먹이통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먹이통 내측면에 달라붙은 사료를 이탈시켜 이동시켜 퍼트리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먹이통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주행로프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통과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사료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파이프와;
    상기 주행로프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부재; 및
    상기 복수의 풀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먹이통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원호상의 외주면과, 상기 먹이통에 비접촉되게 상기 원호상의 외주면에서 연장된 직선형의 테두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그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은 동일 높이에서 제1 및 2열로 나란하게 복수 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먹이통은 상기 제1 및 제2열로 배치된 먹이통의 서로 반대측 전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 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층으로 배치된 먹이통 각각을 순환하는 주행로프들 각각에 연결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회전 샤프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수 받침부는,
    상기 먹이통 몸체의 일측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중간부분에서 상기 연장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은,
    상기 먹이통 몸체의 상단 각각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먹이통 몸체 내의 먹이를 퍼트리기 위해 수용되는 가이드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은,
    상기 먹이통 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메추리가 상기 먹이통 몸체 내부로의 접근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용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은,
    상기 먹이통 몸체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먹이통 몸체가 안정되게 지지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하는 수평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KR1020090109221A 2008-11-14 2009-11-12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KR100978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361 2008-11-14
KR20080113361 200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38A KR20100054738A (ko) 2010-05-25
KR100978922B1 true KR100978922B1 (ko) 2010-08-31

Family

ID=4227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221A KR100978922B1 (ko) 2008-11-14 2009-11-12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815B1 (ko) * 2014-05-12 2016-06-02 이범성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KR101654273B1 (ko) * 2014-10-14 2016-09-05 이범성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KR101631585B1 (ko) * 2014-12-24 2016-06-21 김애경 육계 및 육용오리 사육장치
KR101577286B1 (ko) * 2015-09-17 2015-12-28 이범성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공급장치
CN111167817A (zh) * 2019-12-31 2020-05-19 青岛泽宇凯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不集料易清洗的猪食槽
CN111557250A (zh) * 2020-05-28 2020-08-21 台州市勒言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自动饲料喂料机
KR102228035B1 (ko) 2020-11-03 2021-03-15 농업회사법인 에버그린팜 주식회사 죽염 소금이 포함된 친환경 메추리 사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655130B1 (ko) 2020-12-29 2024-04-08 박성철 자동급이장치 및 자동급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356U (ja) * 1982-01-25 1983-08-03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給餌装置
JP2005304402A (ja) * 2004-04-22 2005-11-04 Fujii Shokai:Kk 養鶏用飼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356U (ja) * 1982-01-25 1983-08-03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給餌装置
JP2005304402A (ja) * 2004-04-22 2005-11-04 Fujii Shokai:Kk 養鶏用飼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38A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922B1 (ko) 메추리용 사료 공급장치
KR100231786B1 (ko) 가금사육기및그사육방법
EP0421553B1 (en) Adjustable feeding device for poultry
US8082882B1 (en) Animal feeder with insertable feed restrictor
RU2697167C2 (ru) Система раздачи корма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птицы, содержащая стенки, которые ограничивают кормовую зону или проходят через нее 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чно снабжены линейными выступами с острыми кромками
US8413606B2 (en) Feed carrier receptacle for use in rotary feed dispensing mechanism
US20150359191A1 (en) Rotary livestock feeder with gravity flow feed openings
US20210235671A1 (en) Module for poultry farming cages
US8074601B2 (en) Feeder pan for poultry
RU2416195C2 (ru) Раздаточный лоток для кормораздатчика
EP3289863A1 (de) Beschäftigungsvorrichtung für den einsatz in einer geflügeltierhaltung und/oder -aufzucht und verfahren zur aufzucht und/oder zum halten von geflügeltieren
US9497935B2 (en) Modular transport system for animals
RU2145162C1 (ru) Кормораздатчик,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виней
US3785345A (en) Automated systems for raising and transporting broilers
KR101630807B1 (ko) 산란계 퇴출장치를 포함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EP0970607B1 (en) Poultry caging system and method for keeping poultry
KR102509665B1 (ko) 사료 손실이 방지되는 닭사료통
US11805759B2 (en) Feeding system for poultry
US2701549A (en) Hopper and trough feeding device for poultry
KR20140023622A (ko)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US20110180006A1 (en) Pet / bird food bowl
US2650566A (en) Poultry feeder
NL2033213B1 (nl) Voedersysteem voor pluimvee en pluimveestal voorzien van een dergelijk voedersysteem
CN219555986U (zh) 防分层易啄食养殖v形料槽
KR101472002B1 (ko) 산란계 퇴출장치를 가진 산란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