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449B1 - Bowl pre-washer - Google Patents

Bowl pre-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449B1
KR100978449B1 KR1020100040204A KR20100040204A KR100978449B1 KR 100978449 B1 KR100978449 B1 KR 100978449B1 KR 1020100040204 A KR1020100040204 A KR 1020100040204A KR 20100040204 A KR20100040204 A KR 20100040204A KR 100978449 B1 KR100978449 B1 KR 100978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plate
unit
ca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최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용 filed Critical 최병용
Priority to KR102010004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preliminarily washing dish plates is provided to improve cleanliness by simultaneously washing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a dish plate. CONSTITUTION: A device(10) for preliminarily washing dish plates comprises a washing body(20), a motor(30), a transferring unit(40), and a washing unit(50). The motor generates torque. The transferring unit transfers dish plates using the torque. The washing unit washes the transferred dish plates and has first and second washing units(51,52). The first washing unit firstly washes the dish plates. The second washing unit simultaneously washes the top and bottom parts of the dish plates.

Description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BOWL PRE-WASHER}Plate washing equipment for avalanche washing dishes {BOWL PRE-WASHER}

본 발명은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설거지 전에 식판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 plate washing di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 plate washing dish that can effectively remove food debris and the like attached to the plate before the dish washing.

최근에는 학교, 공공기관, 대기업, 대형 건물 등 대단위 인원이 생활하는 곳에서는 단체 급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In recent years, group meals are actively being performed in large-sized groups such as schools, public institutions, large corporations, and large buildings, and this trend is gradually expanding.

단체 급식을 시행하는 곳에서는 불가피하게 식판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식판의 위생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Where group meals are carried out, inevitably the plates are used, and the hygienic management of the plates is very important.

식판의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사용한 식판을 청결하게 세척한 후에, 살균, 건조 과정을 거쳐서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For hygienic management of the plate, it is essential to clean the plate and then keep it safely after sterilization and drying process.

이러한 안전한 식판 세척 관리를 위하여 종래에 다양한 식판 세척기 및 살균기 등이 개발되어 있다. Various plate washers and sterilizers have been developed in the related art for such safe plate wash managemen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판 세척기 및 살균기 등은 식판을 작업자가 직접 애벌 설거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세척 과정과 살균, 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plate dish washer and sterilizer is to proceed with the rest of the washing process, sterilization, drying process in the state where the dish is directly washed by the worker directly.

따라서 단체 급식을 수행하는 식당에서는 많은 인원의 작업자가 수천 개에 이르는 식판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일이 애벌설거지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있다. Therefore, in a restaurant that performs group meals,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inconvenient to do their own dishes to remove food debris attached to thousands of plates.

또한 애벌설거지 작업을 하더라도 식판의 모서리 부분 등 잘 닦이지 않는 부분에는 여전히 음식 찌꺼기나 식중독과 같은 식품매개성 질환을 유발하는 병원균 등이 남아 있어서 위생상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even when working on the dishwashing, there are still problems in causing hygiene problems because pathogens causing food-borne diseases such as food waste and food poisoning remain in areas that are not wiped well, such as corners of plate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판을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식판을 물속에서 세척하는 본 세척 공정 전에 식판에 물과 세제를 도포하고 입자가 큰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는 애벌설거지 작업을 수행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water and detergent to the plate before the washing process to wash the plate in water while automatically transporting the plate and remove food particles large particles It is to provide a plate washing device for avalanche dishwashing to perform the 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판의 모서리 부분이나 찬통, 상면 및 하면을 모두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e dish washing apparatus for cleaning dishes that can clean all the corners, cupboards,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척대, 상기 세척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식판을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식판의 이송경로 상에 투입된 식판을 1차 세척하는 제 1세척유닛과 상기 식판의 상부 및 하부를 동시에 2차 세척하는 제 2세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대에는 상기 식판이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식판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 2세척유닛의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동작에 기초하여 승강 동작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table, a mo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table to generate a rotational power, a convey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plate us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And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plate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wherein the washing means is the first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plate plac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a second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washing table is provided with guide ribs for guiding both sides of the transport path to the plate is transferred an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late is transferre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ashing unit And the lower washing unit moves up and down based o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식판이 투입되는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제 1세척유닛이 설치되는 제 1세척위치를 거쳐 대기위치로 식판을 인입하는 인입부,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제 2세척유닛이 설치된 제 2세척위치를 거쳐 2차 세척작업이 완료된 식판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인입부 및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veying means includes an inlet part for introducing a plate to a standby position from an initial position at which the plate is inserted, to a standby position at which the first washing unit is installed, and a second washing unit at which the second washing unit is installed from the standby pos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nlet and the transfer unit by using a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and the transfer unit for discharging the plate is completed the second washing operation through the position.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세척대의 받침대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대기위치와 제 2세척위치 사이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감지바,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바, 상기 감지바와 회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회전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ng unit is a fixing bar installed upwardly from the pedestal of the washing table, the sens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ar, the sensing bar is installed on the transfer path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second washing position, the fixing stand Rotation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bar for connecting the sensing bar and the rotation bar and a first spring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on bar.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척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일단에 결합되는 링크암, 상기 링크암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 1래크기어, 상기 제 1래크기어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모듈, 상기 전환모듈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 2래크기어, 상기 전환모듈을 승강 동작시키는 제 1캠유닛 및 상기 세척수단의 제 2세척유닛을 승강 동작시키는 제 2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unit includes a rotary shaft coupled across the washing table, a rotary arm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a link arm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arm, a first rack gear coupled to the link arm to linearly reciprocate. A switch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rack gear into a rotational motion, a second rack gear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witching module, a first cam unit for elevating the switching module, and the And a second cam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econd washing unit of the washing means.

상기 제 1캠유닛은 상기 세척대의 하부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1캠축, 상기 캠축에 설치되는 제 1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 1캠축에 전달하는 제 1회전기어, 상기 제 1캠의 회전운동을 승강 동작으로 전환하는 제 1승강바 및 상기 제 1승강바의 승강 동작을 상기 전환모듈에 전달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캠유닛은 상기 세척대의 하부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2캠축, 상기 제 2캠축에 설치되는 제 2캠과 제 3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회전기어, 상기 제 2회전기어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 2캠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유닛 및 상기 제 2캠과 제 3캠의 회전운동을 각각 승강 동작으로 전환하는 제 2 및 제 3승강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am unit is a first cam shaft coupled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able, a first cam installed on the cam shaft, a first rotating gea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to the first cam shaft, the first cam And a bracket for transfer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first lifting bar to the switching module, wherein the first lifting bar conver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fting motion into the lifting operation, and the second cam unit is coupled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able. A second cam shaft, a second cam and a third cam installed on the second cam shaft, a second rotary gear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and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rotary motion of the second rotary gear to the second cam shaft. And a second and third elevating bars for converting the clutch unit and the rotational movements of the second cam and the third cam into elevating operation, respectively.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2회전기어와 제 2캠축을 연결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캠축에 결합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외주면 일부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어 상기 제 2캠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설치홈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과 설치홈의 후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2회전기어는 상기 연결핀이 결합되도록 요입되어 형성되는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핀과 회전바는 상기 회전바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면 상기 연결핀이 상기 설치홈 내부로 이동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utch unit has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selectively connect the second rotary gear and the second cam shaft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bar, and has a body coupled to the second cam shaft, wherein the body is recessed i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he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am shaft, between the connecting pin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in and the installation groove is installed linearly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second spring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gear, the second rotation gear having a connection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to couple the connection pin, and the connection pin and the rotation bar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when the rotation ba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pin moves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상기 제 2세척유닛은 상기 제 2세척위치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식판의 상부를 세척하는 상부 세척유닛 및 상기 식판의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 세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축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이 결합되는 면적보다 길게 기어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스플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washing unit is a pair of vertical ax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washing position, the upper washing unit is coup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axis to wash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lower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It includes, The vertical axi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p and bottom splines formed with a gear longer than the area to which the upper and lower cleaning units are coupled.

상기 하부 세척유닛은 상기 수직축의 하부 스플라인과 상기 제 2캠유닛의 제 3승강바에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세척솔 및 상기 수직축의 회전동력을 상기 세척솔에 전달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솔은 식판의 찬통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washing unit is fixed plate coupled to the lower spline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third lifting bar of the second cam unit, a plurality of washing brushes installed upward from the fixing plate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vertical shaft to the washing brush It includes a delivery unit, the washing brus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ld storage of the plate.

상기 하부 세척유닛은 상기 식판의 찬통 개수에 따라 교환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축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washing unit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shaft so that the lower washing unit may be ex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ns of the pl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식판을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본 세척 공전 전에 2차례의 애벌설거지 작업을 수행하여 식판을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the plate by performing two times of dishwashing operation before the cleaning revolution while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plate using the transfer means.

특히, 본 발명은 2차 세척시 식판의 상면 및 하면을 동시에 세척함으로써 식판 세척 후 청결도를 높일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leanliness after washing the plate by was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at the time of the second wash.

그리고 본 발명은 식판의 찬통에 대응되는 개수의 세척솔을 구비하는 하부 세척유닛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한 대의 식판 세척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규격의 식판을 세척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lower washing unit having a number of washing brushes corresponding to the cold plate of the plate, by washing the plate of various specifications using a single plate wash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conomics.

또한 본 발명은 식판의 이송 여부에 따라 캠축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부 세척유닛과 하부 세척유닛을 승강 동작시키도록 감지유닛과 클러치,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을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detection unit and the clutch, the upper and lower cleaning unit to selectively rotate the cam shaft to move the upper and lower cleaning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feeding of the plat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식판의 이송 여부에 따라 세척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별도의 전기적 제어수단을 제거하여 동작시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유닛의 제품 수명을 연장하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unnecessary delay of the operation time by removing the separate electrical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means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plate is transported, extending the product life of the washing unit, the operator Can be protected safely.

이 결과, 본 발명은 자동으로 식판을 애벌설거지함으로써 종래 대형 급식 식당에서 많은 인원이 소요되던 애벌설거지 작업을 한 대의 식판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수작업에 의한 애벌설거지에 비해 더욱 깨끗하게 식판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using a single plate washing device by using a single plate washing device, which requires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large meal restaurant, by automatically dishwashing dishes, more than the manual dishwashing dishes by hand The effect is to clean the plate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의 외형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식판 세척장치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유닛의 동작 상태도.
도 4는 구동부의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제 1 및 제 2캠유닛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제 2세척유닛의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의 상세 구성도.
1 is an external view of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valanch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ase is removed from the plate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3a and 3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unit.
5 and 6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first and second cam units.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washing unit.
8 and 9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wash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valanch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의 외형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식판 세척장치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유닛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4는 구동부의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제 1 및 제 2캠유닛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7은 제 2세척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8 및 도 9는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의 상세 구성도이다. 1 is an external view of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 dishwashing dis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state removed from the plate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1, Figure 3a 3B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1,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iving unit, FIGS. 5 and 6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first and second cam units, and FIG. 7 is a second cleaning. 8 and 9 ar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of upper and lower cleaning units.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10)는 케이스(11), 케이스(11)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세척대(20), 세척대(2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0), 모터(30)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식판을 이송하는 이송수단(40) 및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수단(5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2a, a plate cleaning device 10 for avalanche dish was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se 11, the inside of the case 11 horizontally and washing to form a skeleton The transfer means 40 and the transfer means 40 which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able 20 and the washing table 20 to transfer the plate by using the motor 30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It includes a washing means 50 for washing the plate conveyed by).

케이스(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식판이 투입되는 투입구(12), 우측면에 세척이 완료된 식판이 배출되는 배출구(13) 및 상면 일측에 세제를 보충하는 세제투입구(14)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ase 11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space provided therein, and as shown in FIG. 1, an inlet 12 into which a plate is placed on the left 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 plate on which cleaning is completed is discharged. (13) and a detergent inlet 14 for replenishing detergent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이때, 투입구(12)는 상시 개방되어 형성되고, 배출구(13)와 세제투입구(14)는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31,141)가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inlet 12 is formed to be always open, the outlet 13 and the detergent inlet 14 is provided with doors (131, 14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그리고 케이스(11)의 일측에는 식판 세척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버튼, 동작상태 및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case 11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to operate the plate cleaning apparatus 10, an input button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nd a menu.

세척대(20)는 모터(30)와 이송수단(40) 및 세척수단(50)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하부를 형성하는 받침대(21), 받침대(21)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바(22) 및 수직바(22)에 지지되고, 식판이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지지대(23)를 구비한다.The washing table 20 is a part in which the motor 30, the conveying means 40, and the washing means 50 are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installed pedestals 21 a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pedestal 21 are formed. The support bar 23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bar 22 and the vertical bar 22 and forms a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the plate is conveyed.

받침대(21)의 하부에는 다수의 다리(210)가 구비되며, 다리(210)의 하단에는 식판 세척장치(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2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legs 210 are provided below the pedestal 21, and the wheels 211 are prefer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s 210 to easily move the plate washing apparatus 10.

지지대(23)는 식판이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측에 식판 이송시 외부의 진동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식판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식판의 양측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231)와 식판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232)을 구비한다. The support 23 has a guide rib 231 for guiding both ends of the plate and whether or not the plate is transported so that the plate can be stably transferred even if external vibration or vibration occurs when the plate is transferred to both sides of the transport path through which the plate is transferred. It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232 for detecting.

가이드 리브(23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B, the guide ribs 231 are formed in a 'c' shape.

한편, 식판은 이송수단(4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데, 각 안착지점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식판이 투입되는 초기위치(P1), 초기위치(P1)에 투입된 식판을 내부로 인입시켜 1차 세척하는 제 1 세척위치(P2), 제 1세척위치(P2)에서 세척된 식판이 대기하는 대기위치(P3), 대기위치의 식판을 이송하여 2차 세척하는 제 2세척위치(P4) 및 2차 세척이 완료된 식판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이 완료되는 배출완료위치(P5)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is sequentially s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conveying means 40, each seating point is input to the initial position (P1), the initial position (P1), the plate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ure 2a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for the first washing by inserting the plate into the inside, the standby position (P3) where the plate washed in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waits, and the second washing by transferring the plate of the standby position It includes a second washing position (P4) and the discharge completion position (P5) is completed, the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plate is completed, the second wash is completed.

감지유닛(232)은 대기위치(P3)에서 1차 세척이 완료된 식판이 제 2세척위치(P4)로 이송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The detection unit 232 detects whether or not the plate that has been cleaned first in the standby position P3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이를 위하여, 감지유닛(232)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1)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해 설치되는 고정대(233), 고정대(23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대기위치(P3)와 제 2세척위치(P4) 사이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감지바(234), 고정대(23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바(235), 감지바(234)와 회전바(235)를 연결하는 연결바(236) 및 회전바(235)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237)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232 is axially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stand 233 and the fixing stand 233 installed obliquely upward from the pedestal 21, as shown in Figure 3a, the standby position And a sensing bar 234 installed on a transfer path between the P3 and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a rotation bar 235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ase 233, and a sensing bar 234. It includes a connecting bar 236 for connecting the rotating bar 235 and the first spring 237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ng bar 235.

회전바(2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40)의 클러치유닛(48)에 구비되는 연결핀(483)을 밀어줄 수 있도록 연결핀(483)과 접하는 면이 상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6, the rotation bar 235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ins 483 so as to push the connecting pins 483 provided in the clutch unit 48 of the transfer means 40 toward upward. It is preferable to form obliquely inclined surfaces.

이에 따라, 감지유닛(232)의 회전바(235)는 도 3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유닛(48)의 결합홈(48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식판이 이송되면서 감지바(234)가 회전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결합홈(482)에서 분리된다. Accordingly, the rotary bar 235 of the sensing unit 232 is maintained in the coupled state of the coupling groove 482 of the clutch unit 48, as shown in Figures 3a and 6, while the plate is transferred to the sensing bar When 234 is rotat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ure 3b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482.

이와 함께, 세척대(20)의 상부에는 식판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단(50)에 물과 세제를 제공하는 물저장부(24)와 세제저장부(25)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able 20 is provided with a water storage unit 24 and a detergent storage unit 25 to provide water and detergent to the washing means 50 to wash the plate.

모터(30)는 세척대(20)의 일측, 도 2a에서 보았을 때 세척대(20)의 좌측 하부에 설치된다.The motor 3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table 20, the lower left side of the washing table 20 when viewed in FIG. 2A.

이송수단(40)은 모터(3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는 구동부(41), 구동부(41)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세척대(20)의 초기위치(P1)에 투입된 식판을 이송방향을 따라 제 1세척위치(P2)로 인입하여 대기위치(P3)로 이송하는 인입부(42) 및 세척수단(50)에 의해 세척작업이 완료된 식판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부(43)를 포함한다. The conveying means 40 transfers the plate fed to the initial position P1 of the washing table 20 by using the driving part 41 and the rotating part of the driving part 41 that receiv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Inlet 42 and the transport portion 43 for discharging the plate is completed by the cleaning means 50 by the cleaning means 50 and the inlet portion 42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along the direction to transfer to the standby position (P3) do.

구동부(4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바(22) 사이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411), 회전축(411)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암(412), 회전암(412)의 일단에 결합되는 링크암(413), 링크암(413)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 1래크기어(414), 제 1래크기어(414)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모듈(44), 전환모듈(44)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 2래크기어(415), 전환모듈(44)을 승강 동작시키는 제 1캠유닛(45), 동일축 상에 일정한 각도로 설치된 제 2캠(462) 및 제 3캠(463)을 이용하여 세척수단(50)의 제 2세척유닛(52)을 승강 동작시키는 제 2캠유닛(4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driving unit 41 includes a rotating shaft 411 coupled across the pair of vertical bars 22, a rotating arm 412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411, and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rack gear 414 and the first rack gear 414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arm 412 and coupled to the link arm 413 to linearly reciprocate. The first cam unit 45 for elevating and operating the switching module 44 for switching to the rotary motion, the second rack gear 415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witching module 44, and the switching module 44. The second cam unit 46 for elevating and operating the second washing unit 52 of the washing means 50 by using the second cam 462 and the third cam 463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same axis. Include.

제 1래크기어(414)와 제 2래크기어(415)는 각각 인입부(42)와 이송부(43)에 결합되어 식판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서로 다른 이송변위를 가지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래크기어(415)의 길이가 제 1래크기어(4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first rack gear 414 and the second rack gear 415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let portion 42 and the transfer portion 43 to different lengths so as to have different transfer displacements for sequentially feeding the plate. Is formed.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second rack gear 415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rack gear 414.

전환모듈(44)은 식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우징(441), 하우징(441)의 중간부에 제 1래크기어(414)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제 1기어(442) 및 제 1기어(442)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제 2래크기어(415)와 결합되는 제 2기어(443)를 구비한다. The switching module 44 includes a housing 441 which extends alo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plate, a first gear 442 which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rack gear 414 in the middle of the housing 441, and A second gear 443 is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gear 442 and coupled to the second rack gear 415.

이때, 제 2기어(443)는 제 1기어(442)보다 많은 돌기를 가지도록 제 1기어(44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2래크기어(415)는 제 1래크기어(414)에 비해 더 큰 이송변위를 가지게 된다. In this case, the second gear 443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gear 442 so as to have more protrusions than the first gear 442. Therefore, the second rack gear 415 has a larger transfer displacement than the first rack gear 414.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래크기어(414,415)의 길이와 제 1기어(442)와 제 2기어(443)의 크기 및 돌기 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은 식판 이송시 식판을 일정한 위치에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As such,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414 and 415 and the sizes and the number of protrusions of the first gear 442 and the second gear 44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transported stably by seating in a certain position.

제 1캠유닛(4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1)에 고정된 한 쌍의 수직바(22)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1캠축(451), 제 1캠축(451)에 설치되는 제 1캠(452), 모터(30)의 회전동력을 제 1캠축(451)에 전달하는 제 1회전기어(453), 제 1캠(452)의 회전운동을 승강 동작으로 전환하는 제 1승강바(454) 및 한 쌍의 전환모듈(44) 사이에 결합되며 제 1승강바(454)의 승강 동작을 전환모듈(44)에 전달하는 브래킷(455)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cam unit 45 is connected to the first cam shaft 451 and the first cam shaft 451 coupled across the pair of vertical bars 22 fixed to the pedestal 21. The first cam 452 is installed, the first rotation gear 453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to the first cam shaft 451, the first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am 452 to the lifting operation A bracket 455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elevating bar 454 and the pair of switching modules 44 to transfer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first elevating bar 454 to the switching module 44.

제 1캠(452)은 외주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홈(452')을 구비하고, 제 1승강바(454)는 하측에 결합홈(452')에 결합되는 가이드 베어링(454')을 구비한다. The first cam 452 has a coupling groove 452 ′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lifting bar 454 is guide bearing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52 ′ at a lower side thereof. 454 ').

제 2캠유닛(4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1)에 고정된 한 쌍의 수직바(22)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2캠축(461), 제 2캠축(461)에 설치되는 제 2 및 제 3캠(462,463), 모터(3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회전기어(47), 제 2회전기어(47)의 회전운동을 제 2캠축(461)에 전달하는 클러치유닛(48), 제 2 및 제 3캠(462,463)의 회전운동을 각각 승강 동작으로 전환하는 제 2 및 제 3승강바(464,465)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cam unit 46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m shaft 461 and the second cam shaft 461 which are coupled across the pair of vertical bars 22 fixed to the pedestal 21. The rotational mo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cams 462 and 463 and the second rotary gear 47 and the second rotary gear 47 which are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are transmitted to the second cam shaft 461. And second and third lifting bars 464 and 465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s of the clutch unit 48 and the second and third cams 462 and 463 into lifting operations, respectively.

제 2승강바(464)는 세척수단(50)의 상부 세척유닛(53)과 결합되고, 제 3승강바(465)는 세착수단(50)의 하부 세척유닛(54)과 결합된다.The second elevating bar 464 is coupled with the upper washing unit 53 of the washing means 50, and the third elevating bar 465 is coupled with the lower washing unit 54 of the washing means 50.

제 2캠(462)과 제 3캠(463)은 세척수단(50)의 상부 세척유닛(53)과 하부 세척유닛(54)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키도록 180° 간격으로 설치된다. The second cam 462 and the third cam 463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180 ° to move the upper washing unit 53 and the lower washing unit 54 of the washing means 50 in opposite directions.

제 2 및 제 3캠(462,463)은 외주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홈(462',463')을 구비하고, 제 2 및 제 3승강바(462,463)는 결합홈(462',463')에 결합되는 가이드 베어링(464',465')을 구비한다. The second and third cams 462 and 463 have coupling grooves 462 'and 463'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econd and third lifting bars 462 and 463 are coupling grooves 462 '. 463 'and guide bearings 464' and 465 '.

제 2회전기어(4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터(30)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모터(3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한다.The second rotary gear 47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30 by a chain to rotate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이를 위하여, 제 2회전기어(47)는 중앙에 제 2캠축(461)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공(471), 클러치유닛(48)과 접하는 면에 클러치유닛(48)의 연결핀(483)이 삽입되도록 요입되어 형성되는 연결홈(472) 및 외주면에 모터(30)와 연결되는 체인이 걸어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473)를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second rotary gear 47 has a through hole 471 through which the second cam shaft 461 penetrates in the center thereof, and a connecting pin 483 of the clutch unit 48 at a surface contacting the clutch unit 48.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473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chain is connected to the motor 3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7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이와 함께, 제 2회전기어(47)는 제 2캠축(461)의 회전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관통공(471)에 설치되는 다수의 베어링(47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otary gear 47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earings 474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471 so as to be slid when the second cam shaft 461 rotates.

클러치유닛(4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위치(P3)와 제 2세척위치(P4) 사이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된 감지바(234)가 회전운동하여 회전바(235)가 회전운동함에 따라 제 2회전기어(47)와 제 2캠축(461)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As shown in FIG. 6, the clutch unit 48 has a sensing bar 234 installed on a transport path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P3 and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and the rotation bar 235 rotates. As it moves, the second rotary gear 47 and the second cam shaft 461 are selectively connected.

이를 위하여, 클러치유닛(48)은 원통 형상으로 제 2캠축(461)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몸체(481)를 구비하고, 몸체(481)는 외주면 일부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결합홈(482), 결합홈(482)과 연통되어 제 2캠축(4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설치홈(483), 설치홈(483)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핀(484) 및 연결핀(484)과 설치홈(483)의 후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스프링(485)을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clutch unit 48 has a body (481)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am shaft (461) in a cylindrical shape, the body 481 is a coupling groove 482 is formed by recessed i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 installation groove 483 which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am shaft 461 in communication with the groove 482, and a connection pin 484 and a connection pin that are linear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483 ( 484 and a second spring 485 provid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groove (483).

연결핀(484)은 중간부에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감지유닛(232)의 회전바(235)가 회전운동하여 결합홈(482)에 결합됨에 따라 제 2스프링(485)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설치홈(483) 내부로 이동된다.The connecting pin 484 is formed obliquely downward in the middle portion, while the rotary bar 235 of the sensing unit 232 rotate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82 to elastically deform the second spring 485. It is mov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483.

반면, 회전바(235)가 결합홈(482)에서 분리되면, 연결핀(484)은 제 2스프링(485)의 복원력에 의해 제 2회전기어(47)를 향해 이동하여 제 2회전기어(47)의 연결홈(472)에 삽입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ry bar 235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482, the connecting pin 484 is moved toward the second rotary gear 47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485 to the second rotary gear 47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472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식판의 이송 여부에 따라 제 2캠축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부 세척유닛과 하부 세척유닛을 승강 동작시키도록 감지유닛과 클러치,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을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mechanically connecting the detection unit and the clutch, the upper and lower cleaning units to selectively rotate the second cam shaft according to whether the plate is transported to move the upper washing unit and the lower washing unit.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식판의 이송 여부에 따라 세척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별도의 전기적 제어수단을 제거하여 동작시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unnecessary delay of the operation time by removing the separate electrical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means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plate is transported.

인입부(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래크기어(414)에 결합되고, 초기위치(P1)에 위치한 식판을 제 1세척위치(P2)를 거쳐 대기위치(P3)로 이송하는 제 1이송암(421)과 제 1이송암(421)의 상면에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1레버(422)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4, the inlet 42 is coupled to the first rack gear 414, and the plate placed at the initial position P1 is transferred to the standby position P3 via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A first transfer arm 421 and a plurality of first levers 422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nsfer arm 421.

제 1이송암(421)은 제 1래크기어(414)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함과 동시에 제 1캠(452)에 의해 승강 동작함에 따라 제 1이송암(421)의 전체 운동형상은 타원 운동을 이루게 된다. The first transfer arm 421 is coupled to the first rack gear 414 and linearly reciprocates, and simultaneously moves up and down by the first cam 452, so that the entire movement shape of the first transfer arm 421 is an ellipse. The movement is achieved.

제 1레버(422)는 식판을 초기위치(P1)로부터 제 1세척위치(P2)를 거쳐 대기위치(P3)로 이송하도록 초기위치(P1)에 위치한 식판의 후단에 걸리는 부분이다. The first lever 422 is a portion that is caught by the rear end of the plate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P1 to transfer the plate to the standby position P3 from the initial position P1 to the standby position P3.

한편, 제 1레버(422)에는 작업자의 시각적인 안전을 고려하여 고무 커버(423)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couple the rubber cover 423 to the first lever 422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safety of the operator.

이송부(43)는 제 2래크기어(415)에 결합되고, 대기위치(P3)의 식판을 제 2세척위치(P4)를 거쳐 배출완료위치(P5)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제 2이송암(431) 및 제 2이송암(431)의 전측 및 후측 상면에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2레버(432)를 구비한다. The transfer part 43 is coupled to the second rack gear 415, the second transfer arm for transferring the plate of the standby position (P3) to the discharge completion position (P5) through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 431 and a plurality of second levers 432 protruding upward on the front and rear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transfer arm 431.

제 2이송암(431)은 제 2래크기어(415)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함과 동시에 제 1캠(452)에 의해 승강 동작함에 따라 제 2이송암(431)의 전체 운동형상은 타원 운동을 이루게 된다. The second transfer arm 431 is coupled to the second rack gear 415 and linearly reciprocates and at the same time moves up and down by the first cam 452, so that the entire movement shape of the second transfer arm 431 is an ellipse. The movement is achieved.

제 2레버(432)는 제 2세척유닛(52)의 세척작업시 제 2세척위치(P4)로 이송된 식판을 고정하고, 제 2세척위치(P4)에 위치한 식판의 후단을 밀어 배출완료위치(P5)로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제 2레버(432)에는 제 1레버(422)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시각적인 안전을 고려하여 고무 커버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lever 432 fixes the plate transferred to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second washing unit 52, and pushes the rear end of the plate positioned at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to finish discharging. It moves to (P5). Like the first lever 422, the rubbe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lever 432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safety of the operator.

이어서 도 2a,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세척수단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7 to 9.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단(50)은 제 1세척위치(P2)에 식판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제 1세척유닛(51) 및 제 2세척위치(P4)에 식판 이송경로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제 2세척유닛(5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A, the washing means 50 is a plate feeding path at the first washing unit 51 and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which are installed to be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plate at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It includes a second washing unit 52 is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제 1세척유닛(51)은 제 1세척위치(P2)에 세척대(2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중심축(511)과 중심축(512)에 설치되고 모터(3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제 1세척위치(P2)로 이송된 식판을 1차 세척하는 세척솔(512)을 포함한다. The first washing unit 51 is installed on the central shaft 511 and the central shaft 512 installed across the washing table 20 at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and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It includes a washing brush 512 for first washing the plate transferred to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제 2세척유닛(5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세척위치(P4)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축(521), 수직축(52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식판의 상부를 세척하는 상부 세척유닛(53) 및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 세척유닛(54)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washing unit 52 is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521 and the vertical axis 521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to wash the upper part of the plate. And an upper washing unit 53 and a lower washing unit 54 for washing the lower portion.

수직축(521)은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53,54)이 결합되는 면적보다 길게 기어가 형성된 한 쌍의 스플라인(522,523)을 구비하며, 모터(3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한다. The vertical shaft 521 has a pair of splines 522 and 523 formed with gears longer than the area where the upper and lower washing units 53 and 54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vertical shaft 521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상부 세척유닛(5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521)의 상부 스플라인(522)에 결합되는 고정판(531), 고정판(531)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설치되는 세척솔(532) 및 수직축(521)의 회전동력을 세척솔(532)에 전달하는 전달유닛(533)을 포함한다. 7 and 8, the upper cleaning unit 53, the fixing plate 531 is coupled to the upper spline 522 of the vertical axis 521, the washing brush 532 installed downward from the fixing plate 531 And a transmission unit 533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vertical shaft 521 to the washing brush 532.

고정판(531)은 제 2캠유닛(46)에 구비된 제 2승강바(464)와 연결되어 승강 동작하고, 세척솔(532)은 식판의 후면을 전체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나의 세척솔로 구비된다. The fixed plate 5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vating bar 464 provided in the second cam unit 46 to move up and down, and the washing brush 532 is provided as one washing brush to wash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plate. .

전달유닛(5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521)의 상부 스플라인(522)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534), 세척솔(53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풀리(535) 및 구동풀리(534)와 종동풀리(535)를 연결하는 벨트(536)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transfer unit 533 may include a driving pulley 534 installed on the upper spline 522 of the vertical shaft 521, a driven pulley 535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washing brush 532, and And a belt 536 connecting the drive pulley 534 and the driven pulley 535.

하부 세척유닛(54)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521)의 하부 스플라인(523)에 결합되는 고정판(541), 고정판(541)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세척솔(542) 및 수직축(521)의 회전동력을 세척솔(542)에 전달하는 전달유닛(543)을 포함한다. 7 and 9, the lower cleaning unit 54, a fixed plate 541 coupled to the lower spline 523 of the vertical axis 521,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installed upward from the fixed plate 541 542 and a transmission unit 543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vertical shaft 521 to the cleaning brush 542.

고정판(541)은 제 2캠유닛(46)에 구비된 제 3승강바(465)와 연결되어 승강 동작하고, 세척솔(542)은 식판의 전면에 형성된 각 찬통을 세척할 수 있도록 찬통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한다. The fixed plate 541 is connected to the third elevating bar 465 provided in the second cam unit 46, and the lifting operation, the washing brush 542 is the number of bins to wash each bin formed on the front of the plate It is provide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그리고 식판마다 찬통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식판의 찬통 개수에 따라 해당 개수의 세척솔(542)이 구비된 하부 세척유닛(54)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부 세척유닛(54)은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since the number of dishes is different for each plate, the lower cleaning unit 54 is detachable so that it can be replaced with a lower cleaning unit 54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number of cleaning brushes 542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hes. It is preferable to install.

따라서 본 발명은 세척하고자 하는 식판의 찬통 개수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부 세척유닛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다양한 규격의 식판을 세척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wash the plate of various specifications by easily replacing the lower washing unit that is detachably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ns of the plate to be washed.

전달유닛(54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521)의 하부 스플라인(523)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544), 각 세척솔(54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풀리(545) 및 구동풀리(544)와 다수의 종동풀리(545)를 한 번에 연결하는 벨트(546)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9, the transfer unit 543 may include a driving pulley 544 installed below the lower spline 523 of the vertical shaft 521, and a plurality of driven pulleys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s of the respective cleaning brushes 542. 545 and a belt 546 connecting the drive pulley 544 and the plurality of driven pulleys 545 at one time.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valanch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미도시된 전원스위치가 조작되면, 모터(30)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면서 이송수단(40)의 구동부(41)가 모터(30)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When the power switch, not shown, is operated, the motor 30 is driven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and the driving part 41 of the transfer means 40 is driven us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이때, 식판은 상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식기 세척장치(10)의 초기위치(P1)로 투입된다. At this time, the food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itial position (P1) of the dish washing apparatus 10 in an upside down state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directed downward.

이와 같이 식판이 초기위치(P1)로 투입되면, 구동부(41)의 회전축(411)이 회전하면서 회전암(412) 및 링크암(413)이 회전하여 제 1 및 제 2래크기어(414,415)를 직선 왕복운동시킨다. When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itial position P1 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arm 412 and the link arm 413 rotate while the rotary shaft 411 of the driving unit 41 rotat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414 and 415 are rotated. Reciprocate linearly.

이와 동시에, 제 1캠유닛(45)의 제 1캠축(451)이 회전하면서 제 1캠(452)은 전달모듈(44)을 승강 동작시킨다.At the same time, while the first cam shaft 451 of the first cam unit 45 rotates, the first cam 452 moves the transfer module 44 up and down.

그래서 제 1 및 제 2래크기어(414,415)에 결합된 제 1 및 제 2이송암(421,431)은 제 1캠(452)에 의해 승강 동작하여 타원 운동하면서 식판을 초기위치(P1)에서 제 1세척위치(P2)를 거쳐 대기위치(P3)로 이송한다. Thus,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arms 421 and 431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414 and 415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cam 452 to elliptically move the plate in the first position at the initial position P1. Transfer it to the standby position P3 via the washing position P2.

그러면, 제 1세척유닛(51)은 제 1세척위치(P2)를 거쳐 이송되는 식판의 하면을 세척한다. Then, the first washing unit 51 washes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plate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washing position (P2).

이때, 물저장부(24) 및 세제저장부(25)는 내부에 저장된 물과 세제를 제 1세척유닛(51)에 공급한다.In this case, the water storage unit 24 and the detergent storage unit 25 supplies the water and the detergent stored therein to the first washing unit 51.

이와 같이 1차 세척된 식판은 제 1이송암(421)의 제 1레버(422)에 의해 이송방향을 따라 대기위치(P3)로 이송된다. The plate wash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ported to the standby position P3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by the first lever 422 of the first transport arm 421.

그리고 대기위치(P3)로 이송된 식판은 제 2이송암(431)의 제 2레버(4321)에 의해 이송방향을 따라 제 2세척위치(P4)로 이송된다. The plate fed to the standby position P3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by the second lever 4321 of the second transfer arm 431.

이때, 대기위치(P3)와 제 2세척위치(P4) 사이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된 감지바(234)가 식판에 의해 회전운동하면서 감지유닛(232)의 회전바(235)가 도 3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while the sensing bar 234 installed on the transport path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P3) and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is rotated by the plate, the rotating bar 235 of the sensing unit 232 is shown in Figure 3b It rotates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그러면, 회전바(235)가 클러치유닛(48)의 결합홈(482)에서 분리되면서 연결핀(48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85)의 탄성력에 의해 제 2회전기어(47)의 연결홈(472)에 삽입된다. Then, as the rotary bar 235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482 of the clutch unit 48, the connecting pin 484 is the second rotary gear 47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85, as shown in FIG.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472 of the.

이에 따라, 제 2캠축(461)이 모터(3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게 되어 제 2캠(462)은 아래로 볼록하도록 회전하고, 제 3캠(463)은 위로 볼록하게 회전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cam shaft 461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0 to rotate the second cam 462 to be convex downward, and the third cam 463 to be convex upward.

즉, 제 2캠(462)이 아래로 볼록해짐에 따라 제 2캠(462)에 결합된 제 2승강바(464)가 위로 상승 동작하여 상부 세척유닛(53)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 3캠(463)이 위로 볼록해짐에 따라 제 3캠(463)에 결합된 제 3승강바(465)가 아래로 하강 동작하여 하부 세척유닛(43)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That is, as the second cam 462 is convex downward, the second elevating bar 464 coupled to the second cam 462 moves upward to move the upper cleaning unit 53 upward. As the cam 463 becomes convex upward, the third elevating bar 465 coupled to the third cam 463 moves downward to move the lower washing unit 43 downward.

따라서 상부 세척유닛(53) 및 하부 세척유닛(54)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식판이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식판이 제 2세척위치(P4)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washing unit 53 and the lower washing unit 54 may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plate is transferred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이어서, 제 2캠(4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하도록 회전하며, 제 3캠(463)은 아래로 볼록하게 회전해서 상부 세척유닛(53) 및 하부 세척유닛(54)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cam 462 rotates convexly upward, and the third cam 463 rotates convex downwardly so that the upper cleaning unit 53 and the lower cleaning unit 54 are rotated. It is moved in a direction that comes closer to each other.

이때, 식판이 제 2세척위치(P4)에 안착되면, 회전바(235)에 결합된 제 1스프링(237)의 복원력에 의해 감지바(234)는 본래 위치로 복귀하고, 회전바(235)가 클러치유닛(48)의 결합홈(482)에 결합됨에 따라 연결핀(484)이 제 2스프링(485)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설치홈(483)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late is seated in the second washing position (P4),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237 coupled to the rotating bar 235, the sensing bar 234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rotating bar 235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82 of the clutch unit 48, the connecting pin 484 moves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483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second spring 485.

따라서 클러치유닛(48)과 제 2회전기어(47)의 연결이 해제되어 제 2캠축(461)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제 2캠(462) 및 제 3캠(463)은 다음 식판이 감지바(234)를 회전시킬 때까지 현재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lutch unit 48 and the second rotary gear 47 is released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cam shaft 461 is stopped, the second cam 462 and the third cam 463 detect the next plate. It maintains its current position until it rotates 23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53,54)의 세척솔(532,542)은 식판의 상면 및 하면을 2차 세척한다. In this state, the cleaning brushes 532 and 542 of the upper and lower cleaning units 53 and 54 wash second and upper surfaces of the plate.

즉, 본 발명은 식판의 이송 여부에 따라 제 2캠축을 회전시켜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을 승강 동작시킴으로써 세척유닛의 제품 수명을 연장하고,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product life of the washing unit by protecting the operator by lifting the upper and lower washing units by rotating the second cam shaft depending on whether the plate is transported.

이때, 물저장부(24) 및 세제저장부(25)는 내부에 저장된 물과 세제를 제 2세척유닛(52)에 공급한다.At this time, the water storage unit 24 and the detergent storage unit 25 supplies the water and detergent stored therein to the second washing unit 52.

이와 같이 2차 세척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이송수단(40)의 제 2이송암(431)은 제 2래크기어(415)의 타원 운동에 의해 2차 세척작업이 완료된 식판을 배출완료위치(P5)까지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second w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second transfer arm 431 of the transfer means 40 discharges the pl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operation is completed by the elliptical movement of the second rack gear 415 (P5). Transfer it to)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이러한 이송 및 세척작업은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수행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대량의 식판을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Such transfer and cleaning operations are carried out sequentially sequentially,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cleanly wash a large number of plates.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식판을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본 세척 공전 전에 2차례의 애벌설거지 작업을 수행하여 식판을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lean the plate by performing the second dish washing operation before the washing revolution while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plate using the transfer means.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모터와 이송수단 및 세척수단을 각 장치별로 링크나 체인, 벨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otor, the transfer means and the cleaning means have been described as connecting by using a link, chain, belt for each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은 각 장치들은 링크나 체인, 벨트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연결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o select and connect any one or more of the links, chains, belts.

10: 식판 세척장치 11: 케이스
12: 투입구 13: 배출구
14: 세제투입구 20: 세척대
21: 받침대 210: 다리
211: 바퀴 22: 수직바
23: 지지대 231: 가이드 리브
232: 감지유닛 233: 고정대
234: 감지바 235: 회전바
236: 연결바 24: 물저장부
25: 세제저장부 30: 모터
40: 이송수단 41: 구동부
411: 회전축 412: 회전암
413: 링크암 414: 제 1래크기어
415: 제 2래크기어 42: 인입부
421: 제 1이송암 422: 제 1레버
423: 고무커버 43: 이송부
431: 제 2이송암 432: 제 2레버
44: 전환모듈 441: 하우징
442: 제 1기어 443: 제2기어
45: 제 1캠유닛 451: 제 1캠축
452: 제 1캠 452': 결합홈
453: 제 1회전기어 454: 제 1승강바
454': 가이드 베어링 455: 브래킷
46: 제 2캠유닛 461: 제 2캠축
462,463: 제 2,3캠 464,465: 제 2, 제 3승강바
47: 제 2회전기어 471: 관통공
472: 연결홈 473: 돌기
48: 클러치유닛 481: 몸체
482: 결합홈 483: 설치홈
484: 연결핀 485: 제 2스프링
50: 세척수단 51: 제 1세척유닛
511: 중심축 512: 세척솔
52: 제 2세척유닛 521: 수직축
522,523: 상부,하부 스플라인 53,54: 상부,하부 세척유닛
531,541: 고정판 532,542: 세척솔
533,543: 전달유닛 534,544: 구동풀리
535,545: 종동풀리 536,546: 벨트
237: 제 1스프링
10: plate cleaning device 11: case
12: inlet 13: outlet
14: detergent inlet 20: cleaning table
21: pedestal 210: leg
211: wheel 22: vertical bar
23: support 231: guide rib
232: detection unit 233: holder
234: detection bar 235: rotation bar
236: connecting bar 24: water storage
25: detergent storage unit 30: motor
40: transfer means 41: drive unit
411: rotation axis 412: rotation arm
413: link arm 414: first rack gear
415: second rack gear 42: inlet
421: first transfer rock 422: first lever
423: rubber cover 43: transfer section
431: 2nd transfer arm 432: 2nd lever
44: switching module 441: housing
442: First Gear 443: Second Gear
45: first cam unit 451: first camshaft
452: First Cam 452 ': Joining Home
453: first rotating gear 454: first lifting bar
454 ': guide bearing 455: bracket
46: 2nd cam unit 461: 2nd camshaft
462,463: 2,3 cam 464,465: 2nd, 3rd lifting bar
47: second rotary gear 471: through hole
472: connecting groove 473: turning
48: clutch unit 481: body
482: coupling groove 483: mounting groove
484: connecting pin 485: second spring
50: washing means 51: first washing unit
511: central axis 512: cleaning brush
52: second washing unit 521: vertical axis
522,523: upper and lower splines 53,54: upper and lower cleaning units
531,541 fixing plate 532,542 cleaning brush
533,543: Delivery unit 534,544: Drive pulley
535,545: driven pulley 536,546 belt
237: first spring

Claims (9)

세척대,
상기 세척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식판을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식판의 이송경로 상에 투입된 식판을 1차 세척하는 제 1세척유닛과 상기 식판의 상부 및 하부를 동시에 2차 세척하는 제 2세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대에는 상기 식판이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식판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 2세척유닛의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동작에 기초하여 승강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Washing Table,
A mo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table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plate us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and
It includes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plate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The washing means includes a first washing unit for first washing the plate plac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late and a second washing unit for simultaneously wash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
The washing table is provided with a guide rib for guiding both sides of the conveyance path to convey the plate an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late is transferred,
The upper and lower washing units of the second washing unit is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 large dish 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detec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식판이 투입되는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제 1세척유닛이 설치되는 제 1세척위치를 거쳐 대기위치로 식판을 인입하는 인입부,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제 2세척유닛이 설치된 제 2세척위치를 거쳐 2차 세척작업이 완료된 식판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인입부 및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means
An inlet part for introducing the food plate into a standby position from an initial position at which the food plate is fed, through a first washing position in which the first washing unit is installed;
A transfer part for discharging the plate having the second washing operation to the outside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second washing position where the second washing unit is installed;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inlet and the transfer unit by us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세척대의 받침대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대기위치와 제 2세척위치 사이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감지바,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회전바,
상기 감지바와 회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회전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ction unit
Fixing table installed upward from the pedestal of the washing table,
A sensing bar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ator and installed on a transport path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second washing position,
Rotating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sensing bar and the rotating bar;
Plat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dishes comprising a first spring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ng ba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척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일단에 결합되는 링크암,
상기 링크암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 1래크기어,
상기 제 1래크기어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모듈,
상기 전환모듈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 2래크기어,
상기 전환모듈을 승강 동작시키는 제 1캠유닛 및
상기 세척수단의 제 2세척유닛을 승강 동작시키는 제 2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iving unit
A rotating shaft coupled across the wash table,
Rotating arm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A link arm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arm,
A first rack gear coupled to the link arm to linearly reciprocate;
A switch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rack gear into a rotational motion,
A second rack gear linearly reciprocating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witching module,
A first cam unit for elevating and operating the conversion module;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cleaning dishes comprising a second cam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econd washing unit of the washing mean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캠유닛은
상기 세척대의 하부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1캠축,
상기 제 1캠축에 설치되는 제 1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 1캠축에 전달하는 제 1회전기어,
상기 제 1캠의 회전운동을 승강 동작으로 전환하는 제 1승강바 및
상기 제 1승강바의 승강 동작을 상기 전환모듈에 전달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캠유닛은
상기 세척대의 하부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 2캠축,
상기 제 2캠축에 설치되는 제 2캠과 제 3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 2회전기어,
상기 제 2회전기어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 2캠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유닛 및
상기 제 2캠과 제 3캠의 회전운동을 각각 승강 동작으로 전환하는 제 2 및 제 3승강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am unit is
A first camshaft coupled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 basin,
A first cam installed on the first camshaft,
A first rotary gear transferr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to the first camshaft,
A first elevating ba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am into an elevating operation;
It includes a bracket for transmitt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first lifting bar to the conversion module,
The second cam unit is
A second camshaft coupled across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 basin,
A second cam and a third cam installed on the second camshaft,
A second rotary gear rotating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A clutch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econd rotary gear to the second camshaft;
Apparatus for washing plate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and third lifting ba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econd cam and the third cam to the lifting operation, respectivel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2회전기어와 제 2캠축을 연결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캠축에 결합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외주면 일부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어 상기 캠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설치홈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과 설치홈의 후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2회전기어는 상기 연결핀이 결합되도록 요입되어 형성되는 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핀과 회전바는 상기 회전바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면 상기 연결핀이 상기 설치홈 내부로 이동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lutch unit
And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selectively connect the second rotation gear and the second cam shaf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and coupled to the second cam shaft.
The body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groove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mshaft, a connection pin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so as to linearly move, and the connection pin. And a second spring provid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groove,
The second rotary gea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to couple the connection pins,
The connecting pin and the rotating bar is a plate washing device for a dish wa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otary ba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be inclined so that the connecting pin moves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세척유닛은
상기 제 2세척위치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식판의 상부를 세척하는 상부 세척유닛 및
상기 식판의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 세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축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세척유닛이 결합되는 면적보다 길게 기어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스플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5 or 6, wherein the second washing unit
A pair of vertical shaft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washing position,
An upper washing unit coupled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to wash the upper part of the plate;
A lower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Wherein the vertical axis is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 large dish 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splines having a gear is formed longer than the combined area of the upper and lower washing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세척유닛은
상기 수직축의 하부 스플라인과 상기 제 2캠유닛의 제 3승강바에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세척솔 및
상기 수직축의 회전동력을 상기 세척솔에 전달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솔은 식판의 찬통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er washing unit
A fixed plate coupled to the lower spline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third lifting bar of the second cam unit;
A plurality of washing brushes installed upward from the fixing plate;
It includes a transfer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vertical axis to the cleaning brush,
The washing brush is a plate washing device for avalanch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ld storage of the pla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세척유닛은
상기 식판의 찬통 개수에 따라 교환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축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wer washing unit
A plate washing apparatus for a flat dish,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axis to be replaceab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ns of the plate.
KR1020100040204A 2010-04-29 2010-04-29 Bowl pre-washer KR100978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204A KR100978449B1 (en) 2010-04-29 2010-04-29 Bowl pre-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204A KR100978449B1 (en) 2010-04-29 2010-04-29 Bowl pre-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449B1 true KR100978449B1 (en) 2010-08-26

Family

ID=4276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204A KR100978449B1 (en) 2010-04-29 2010-04-29 Bowl pre-w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217B1 (en) 2011-12-20 2012-09-21 유정열 Washing brush device
KR200464106Y1 (en) 2012-07-02 2012-12-11 동화시스템(주) The suppoter of the wash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761U (en) * 1989-11-09 1991-07-08
JP3068761U (en) 1999-11-05 2000-05-16 株式会社中西製作所 Automatic dishwasher
JP4072333B2 (en) 2001-11-19 2008-04-09 株式会社中西製作所 Tableware cleaning equipment
KR20090059485A (en) * 2007-12-06 2009-06-11 안희곤 Automatic washing-machine
KR100908211B1 (en) 2009-02-05 2009-07-16 대부인더스(주) The dish-plate wash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761U (en) * 1989-11-09 1991-07-08
JP3068761U (en) 1999-11-05 2000-05-16 株式会社中西製作所 Automatic dishwasher
JP4072333B2 (en) 2001-11-19 2008-04-09 株式会社中西製作所 Tableware cleaning equipment
KR20090059485A (en) * 2007-12-06 2009-06-11 안희곤 Automatic washing-machine
KR100908211B1 (en) 2009-02-05 2009-07-16 대부인더스(주) The dish-plate wa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217B1 (en) 2011-12-20 2012-09-21 유정열 Washing brush device
KR200464106Y1 (en) 2012-07-02 2012-12-11 동화시스템(주) The suppoter of the 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59948U (en) Test tube washing degassing unit is used in medical science inspection
KR100836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cup
US9125545B2 (en) Rotary dinnerware washing apparatus
KR100908211B1 (en) The dish-plate washer
KR101129371B1 (en) Washing machine for dish
CN201393991Y (en) Automatic tableware placing mechanism for tableware cleaning machine
KR100978449B1 (en) Bowl pre-washer
KR101688389B1 (en) A food tray cleanser
KR101244379B1 (en) Tray automatic washing machine
CN211243234U (en) Dinner plate recycling and multiple cleaning device
KR101281449B1 (en) Washing up Machine Having Cylindrical Type Rotating Brush
CN101869462A (en) Full-automatic tableware washing sterilizer
CN101273868A (en) Dishware washing method and equipment
KR101134491B1 (en) Dish washer
KR20120021511A (en) Bowl washing machine having automatic bowl supplying equipment
KR102150399B1 (en) Dish-plate suppling apparatus
CN209983333U (en) Novel egg cleaning and conveying device
CN111703836B (en) Cleaning equipment
KR101376218B1 (en) Dish washer
KR200471301Y1 (en) Feeder tray of the dishwasher
CN219720610U (en) Washing and disinfecting device
CN108246745A (en) A kind of food making machine of health nutrition
KR101528059B1 (en) Tableware washing machine with a rotating movement
KR101363604B1 (en) Apparatus for washing dish
JP2004180825A (en) Preliminary washing device for d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