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842B1 -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842B1
KR100977842B1 KR1020090126098A KR20090126098A KR100977842B1 KR 100977842 B1 KR100977842 B1 KR 100977842B1 KR 1020090126098 A KR1020090126098 A KR 1020090126098A KR 20090126098 A KR20090126098 A KR 20090126098A KR 100977842 B1 KR100977842 B1 KR 10097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hamber
purification
combustion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김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호 filed Critical 김일호
Priority to KR102009012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42B1/ko
Priority to PCT/KR2010/008999 priority patent/WO201107488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08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heat treatments, e.g. calcining
    • C10L9/083Torref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adapted for burning two or more kinds, e.g. liquid and solid, of waste being fed through separat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field or garden waste or biomasses
    • F23G7/10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field or garden waste or biomasses of w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Organic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4Chl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3Tox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01D2258/0291Flue gases from waste incineration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70Blending
    • F23G2201/702Blending with other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투입되는 폐기물에 폐목재를 절단하여 얻은 목제칩을 함께 교반하여 공급하도록 한 폐기물공급수단; 상기 폐기물공급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폐기물에 열을가해 탄화시키는 폐기물연소수단; 상기 폐기물연소수단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폐기물이 탄화되는 동안 발생되는 유독성기체와 폐기물연소수단으로 유입되는 유독성기체를 정화하여 무독성기체로 배출하도록 한 배출가스정화수단; 및 상기 폐기물연소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연소수단에서 공급되는 탄화된 폐기물을 분쇄하고, 걸러 연료로 제조하도록 한 연료제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고온으로 열분해시켜 무방류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폐기물을 탄화시켜 연료로 제조후, 연소연료로 재사용하여 유지비를 감소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폐기물, 쓰레기, 다이옥신, 연료, 폐목재, 온수, 온기.

Description

폐기물 처리장치{THE DEVICE OF WASTE MATTERS}
본 발명은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정화하여 무방류 처리하고, 그 처리과정에서 생성되는 탄화된 혼합폐기물을 이용하여 연료를 제조하여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현대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 산업화가 가속될수록 가정 또는 사회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이 자연의 정화능력을 넘어서,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여 심각한 환경오염과 건강상의 문제점을 가져오게 되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와 악취이다.
이에 따라, 폐기물을 안전하게 소각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예컨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7225호에는 일측으로 송풍기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기와 배출구의 사이로 벤추리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송덕트와; 상기 벤추리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투입된 폐기물을 분쇄하여 상기 벤추리부의 내 측으로 공급하는 분쇄기가 구비된 폐기물공급부와; 상기 이송덕트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벤추리부와 배출구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을 단계적으로 연소시키는 다수개의 버너로 구성된 폐기물연소부와; 상기 이송덕트의 배출구측에 구비되며, 상면으로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에는 필터가 설치된 분진수거함으로 이루어진 폐기물 소각처리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안전하게 제거하기가 곤란하고, 폐기물을 연소하기 위해 또 다른 유지비용이 증가되며, 초기설치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어왔다.
또, 모니터링이 불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가 곤란한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고온으로 열분해시켜 무방류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폐기물을 탄화시켜 연료로 제조후, 연소연료로 재사용하여 유지비를 감소시키고, 모니터링이 자유로워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투입되는 폐기물에 폐목재를 절단하여 얻은 목제칩을 함께 교반하여 공급하도록 한 폐기물공급수단; 상기 폐기물공급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폐기물에 열을가해 탄화시키는 폐기물연소수단; 상기 폐기물연소수단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폐기물이 탄화되는 동안 발생되는 유독성기체와 폐기물연소수단으로 유입되는 유독성기체를 정화하여 무독성기체로 배출하도록 한 배출가스정화수단; 및 상기 폐기물연소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연소수단에서 공급되는 탄화된 폐기물을 분쇄하고, 걸러 연료로 제조하도록 한 연료제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폐기물공급수단은 폐기물과 폐목재를 분류해서 투입하도록 한 투입실과, 폐기물과 폐목재를 분쇄한 목재칩을 공급하도록 한 공급실, 폐기물과 폐목재를 교반하여 혼합하도록 한 제1교반실과, 제1교반실에서 혼합된 혼합폐기물을 공급받아 대기하도록 한 대기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투입실은 폐기물이 투입되는 폐기물투입구와 폐목재가 투입되는 폐목재투입구로 이루어져, 폐기물과 폐목재를 분류해서 투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급실은 상기 폐기물투입구에 투입되는 폐기물이 균일한 속도로 공급되도록 한 유속관과 상기 폐목재투입구에 투입되는 폐목재를 균일하게 분쇄하여 목재칩으로 제조하도록 한 제1분쇄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교반실은 제1교반기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실에서 공급되는 폐기물과 목재칩을 교반하여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폐기물연소수단은 상기 폐기물공급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소연료투입구를 구비하여, 연소연료투입구로 투입되는 연소연료를 태워 열을 생성하도록 한 연소실과, 연소실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입구와 출구를 갖되, 출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의 열을 전도받아 혼합폐기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탄화하도록 한 이송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소실과 이송실의 사이에는 연소실의 열을 유지하여 이송실에 효과적으로 열을 전도하도록 한 다공판 형태의 열전도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송실의 내측에는 이송실의 입구에 투입되는 혼합폐기물을 상기 연소실을 거쳐 출구로 배출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폐기물연소수단에는 폐기물공급수단과 연료제조수단과 연통설치되어 유독성기체를 포집하도록 한 포집관과 상기 포집관을 통해 포집되는 유독성기체 를 압축하여 폐기물연소수단으로 공급하도록 한 콤프레샤로 이루어져, 혼합폐기물의 탄화를 돕도록 함과 동시에 유독성기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 포집수단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출가스정화수단은 상기 폐기물연소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제1,제2정화실로 구획되어 이루어져, 상기 폐기물연소수단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를 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도록 한 제1정화탱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정화탱크에는 제1정화탱크의 상부에 연통설치되며 내부에 오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져, 제1정화탱크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오일을 이용하여 재차 정화하도록 한 제2정화탱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정화탱크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1정화실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이송실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1흡입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실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를 제1정화실로 배출하도록 한 제1배출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배출관은 상기 제1정화실의 내부를 가로질러 바이패스되어 상기 이송실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유독성기체를 냉각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정화탱크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1정화실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상기 연소실을 가로질러 바이패스되어 제2정화실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2흡입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제1정화실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실로 배출하도록 한 제2배출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배출관에는 상기 연소실과 연통하는 분기관이 더 설치되어, 연소실에 잔존하는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실에 배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정화탱크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2정화탱크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상기 제2정화실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3흡입펌프를 구비하여 제2정화실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탱크로 배출하도록 한 제3배출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료제조수단은 이송실의 일측에 연통설치되되, 탄화된 혼합폐기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한 분쇄선별실과, 분쇄,선별된 혼합폐기물에 황토를 섞어 교반하도록 한 제2교반실과, 혼합폐기물을 압축 성형하여 연료를 제조하도록 한 연료제조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쇄선별실은 탄화된 혼합폐기물을 분쇄하도록 한 제2분쇄기와, 철을 분리하도록 한 자성체와, 돌,자갈등을 분리하도록 한 그물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교반실은 분쇄,선별된 혼합폐기물에 황토를 섞어 교반하기 위해 제2교반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제조실은 연료성형틀을 구비하여 황토와 교반된 혼합폐기물을 연료성형틀에 넣고 압축하여 연료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폐기물공급수단과 배출가스정화수단의 사이에는 폐기물공급수단과 배출가스정화수단에 연통되는 급수관이 더 설치되어 폐기물공급수단에 수분공급과 청결유지에 사용하거나, 배출가스정화수단에 공급되어 오염된 물을 교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폐기물공급수단과, 폐기물연소수단과, 배출가스정화수단과, 연료제 조수단에는 각각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메라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기물연소수단과 배출가스정화수단의 사이에는 온기배출관을 갖는 공랭실이 더 설치되어 폐기물연소수단에서 배출가스정화수단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유독성기체를 냉각함과 아울러 공랭실에서 생성되는 온기를 온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고온으로 열분해시켜 무방류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폐기물을 탄화시켜 연료로 제조후, 연소연료로 재사용하여 유지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모니터링이 자유로워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폐기물공급수단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폐기물연소수단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배출가스정화수단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연료제조수단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제2배출관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열전도 판의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공급수단(100)과, 폐기물연소수단(200)과, 폐기물정화수단(300)과, 연료제조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폐기물공급수단(100)은 투입되는 폐기물에 폐목재를 절단하여 얻은 목제칩을 함께 교반하여 혼합폐기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투입실(110)과, 공급실(120)과, 제1교반실(130)과, 대기실(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실(110)은 폐기물이 투입되는 폐기물투입구(113)와 폐목재가 투입되는 폐목재투입구(115)로 이루어져, 폐기물과 폐목재를 분류하여 폐기물투입구(113)로 투입된 폐기물은 유속관(123)으로 공급하고, 폐목재투입구(115)로 투입된 폐목재는 제1분쇄기(125)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급실(120)은 투입실(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폐기물투입구(113)에 투입되는 폐기물이 균일한 속도로 공급되도록 한 유속관(123)과 상기 폐목재투입구(115)에 투입되는 폐목재를 균일하게 30㎜로 분쇄하도록 한 제1분쇄기(125)로 이루어져, 폐기물과 폐목재를 분쇄한 목재칩을 원활하게 제1교반실(130)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교반실(130)은 공급실(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공급실(120)에서 공급되는 폐기물과 목재칩을 교반하여 혼합하도록 한 제1교반기(135)로 이루어져, 폐기물과 목재칩이 혼합된 혼합폐기물이 대기실(140)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대기실(140)은 제1교반실(135)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제1교반실(135)에 서 혼합된 혼합폐기물을 공급받아 폐기물연소수단(200)의 혼합폐기물 소각량에 따라 대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은 폐기물공급수단(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공급수단(100)에서 공급되는 혼합폐기물에 열을가해 탄화시키도록 형성되어 연소실(210)과, 이송실(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실(210)은 폐기물공급수단(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소연료를 투입하는 연소연료투입구(213)를 구비함으로써, 연소연료투입구(213)로 투입되는 연소연료를 태워 열을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혼합폐기물을 연소하기 위한 연소연료는 본 발명에 의해 자체생산한 연료를 사용하거나, 또는 폐가구, 폐목재를 사용함으로서 유지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그리고, 혼합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한 열의 온도는 1400℃ 이상으로 유지하여 다이옥신, 메탄, PCB등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분해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실(220)은 연소실(2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입구(221)와 출구(222)를 갖되, 출구(222)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210)의 열을 전도받아 혼합폐기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탄화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실(220)의 내측에는 이송스크류(240)는 상기 이송실(220)의 입구(221)에 투입되는 혼합폐기물을 상기 연소실(210)을 거쳐 출구(222)로 배출하도록 모터(245)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240)가 더 설치된다.
즉, 이송실(220)의 입구(221)에 투입되는 혼합폐기물은 모터(245)에 의해 구 동되는 이송스크류(240)에 의해 이송실(220)의 출구(222)로 이송되되, 상기 이송실(220)의 하부에서 열을 가하는 연소실(210)에 의해 고온으로 탄화되어 부피와 무게가 모두 줄어듬과 동시에 유독성기체를 발생하는 것이다.
또, 상기 이송실(220)과 연소실(210)의 사이에는 다공판 형태의 열전도판(230)을 더 설치하여 연소실(210)의 열이 이송실(220)에 효과적으로 열을 전도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포집수단(250)이 더설치된다.
포집수단(250)은 폐기물공급수단(100)과 연료제조수단(400)과 연통설치되어 유독성기체를 포집하도록 한 포집관(251)과 상기 포집관(251)을 통해 포집되는 유독성기체를 압축하여 폐기물연소수단(200)으로 공급하도록 한 콤프레샤(25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포집수단(250)은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가해지는 열을 고온으로 하기위해 공기를 공급하여 혼합폐기물의 탄화를 돕도록 함과 동시에 폐기물공급수단(100)과, 연료제조수단(400)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배출가스정화수단(300)은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제1,제2정화실(311,316)로 구획되어 이루어져,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를 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도록 한 제1정화탱크(310)를 구비한다.
즉, 제1정화탱크(310)는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유입되는 유독성기체와 함 께 악취와 수증기 또한 정화하는 것이다.
이때, 제1정화탱크(310)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1정화실(311)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이송실(220)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1흡입펌프(335)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실(2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를 제1정화실(311)로 배출하도록 한 제1배출관(330)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제1배출관(330)은 이송실(2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를 제1정화실(311)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이송실(2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유독성기체를 냉각하기 위해 제1정화실(311)의 내부를 가로질러 바이패스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정화탱크(310)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1정화실(311)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상기 연소실(210)을 가로질러 바이패스되어 제2정화실(316)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2흡입펌프(345)를 구비하여 상기 제1정화실(311)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실(316)로 배출하도록 한 제2배출관(340)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제2배출관(340)은 제1정화실(311)에서 냉각됨과 동시에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재가열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210)의 내부를 가로질러 바이패스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배출관(340)에는 상기 연소실(210)과 연통하는 분기관(340a)이 더 설치되어, 포집수단(250)으로 부터 유입되어 연소실(210)에 잔존하는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실(316)에 배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정화탱크(310)에는 제1정화탱크(310)의 상부에 연통설치되며 내부에 오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져, 제1정화탱크(310)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오일을 이용하여 재차 정화하도록 한 제2정화탱크(320)가 더 설치된다.
이때, 제2정화탱크(320)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2정화탱크(320)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상기 제2정화실(316)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3흡입펌프(355)를 구비하여 제2정화실(316)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탱크(320)로 배출하도록 한 제3배출관(350)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정화탱크(320)는 제1정화탱크(310)에서 물을 이용하여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오일의 점도를 이용하여 재차 정화하도록 한 것이며, 오일은 마아가린 공장, 육가공 공장, 드레싱 공장등에서 배출되는 폐지방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료제조수단(400)은 폐기물연소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공급되는 탄화된 혼합폐기물을 분쇄하고, 걸러 연료로 제조하도록 형성되어 분쇄선별실(410)과, 제2교반실(420)과, 연료제조실(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선별실(410)은 상기 이송실(220)의 일측에 연통설치되되, 탄화된 혼합폐기물을 분쇄하도록 한 제2분쇄기(415)와 철을 분리하도록 한 자성체(417)와 돌,자갈등을 분리하도록 한 그물망(419)을 포함하여, 탄화된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교반실(420)은 분쇄선별실(410)의 일측에 설치되되, 제2교반기(425) 를 구비하여 분쇄선별실(410)에서 분쇄,선별된 혼합폐기물에 황토를 섞어 교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제조실(430)은 제2교반실(4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연료성형틀(435)을 구비하여 제2교반실(420)에서 황토와 교반된 혼합폐기물을 연료성형틀(435)에 넣고 압축하고 연료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폐기물공급수단(100)과 배출가스정화수단(300)의 사이에는 폐기물공급수단(100)과 배출가스정화수단(300)에 연통되는 급수관(150)이 더 설치되어 폐기물공급수단(100)에 수분공급과 청결유지에 사용하거나, 배출가스정화수단(300)에 공급되어 오염된 물을 교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폐기물공급수단(100)과, 폐기물연소수단(200)과, 배출가스정화수단(300)과, 연료제조수단(400)에는 각각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메라(500)가 더 설치되어 문제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것이다.
또,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과 배출가스정화수단(300)의 사이에는 공랭실(600)이 더 설치되어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배출가스정화수단(300)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유독성기체를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도록 한것이다
이때, 상기 공랭실(600)의 일측에는 온기배출관(620)이 더 설치되어 공랭실(600)에 고온의 유독성기체로 인해 생성되는 100~120℃ 온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것이다.
즉, 공랭실(60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100~120℃ 온기를 온기배출관(620)에 공급하여 온실, 체육시설, 특용작물하우스시설, 식물원, 동물원, 가정, 사무실등에 서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고온으로 열분해시켜 무방류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폐기물을 탄화시켜 연료로 제조후, 연소연료로 재사용하여 유지비를 감소시키고, 모니터링이 자유로워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기체를 고온으로 열분해시켜 무방류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폐기물을 탄화시켜 연료로 제조후, 연소연료로 재사용하여 유지비를 감소시키고, 모니터링이 자유로워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폐기물공급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폐기물연소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배출가스정화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연료제조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제2배출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의 열전도판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00:폐기물공급수단 110:투입실
113:폐기물투입구 115:폐목재투입구
120:공급실 123:유속관
125:제1분쇄기 130:제1교반실
135:제1교반기 140:대기실
150:급수관 200:폐기물연소수단
210:연소실 213:연소연료투입구
220:이송실 221:입구
222:출구 230:열전도판
240:이송스크류 245:모터
250:포집수단 251:포집관
253:콤프레샤 300:배출가스정화수단
310:제1정화탱크 311:제1정화실
316:제2정화실 320:제2정화탱크
330:제1배출관 335:제1흡입펌프
340:제2배출관 340a:분기관
345:제2흡입펌프 350:제3배출관
400:연료제조수단 410:분쇄선별실
415:제2분쇄기 417:자성체
419:그물망 420:제2교반실
425:제2교반기 430:연료제조실
435:연료성형틀 500:카메라
600:공랭실 620:온기배출관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투입되는 폐기물에 폐목재를 절단하여 얻은 목제칩을 함께 교반하여 혼합폐기물을 공급하도록 한 폐기물공급수단(100);
    상기 폐기물공급수단(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공급수단(100)에서 공급되는 폐기물에 열을가해 탄화시키는 폐기물연소수단(200);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폐기물이 탄화되는 동안 발생되는 유독성기체와 폐기물연소수단(200)으로 유입되는 유독성기체를 정화하여 무독성기체로 배출하도록 한 배출가스정화수단(300); 및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공급되는 탄화된 폐기물을 분쇄하고, 걸러 연료로 제조하도록 한 연료제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은 상기 폐기물공급수단(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소연료투입구(213)를 구비하여, 연소연료투입구(213)로 투입되는 연소연료를 태워 열을 생성하도록 한 연소실(210)과, 연소실(2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입구(221)와 출구(222)를 갖되, 출구(222)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210)의 열을 전도받아 혼합폐기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탄화하도록 한 이송실(2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210)과 이송실(220)의 사이에는 연소실(210) 의 열을 유지하여 이송실(220)에 효과적으로 열을 전도하도록 한 다공판 형태의 열전도판(23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실(220)의 내측에는 이송실(220)의 입구(221)에 투입되는 혼합폐기물을 상기 연소실(210)을 거쳐 출구(222)로 배출하도록 모터(245)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24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에는 폐기물공급수단(100)과 연료제조수단(400)과 연통설치되어 유독성기체를 포집하도록 한 포집관(251)과 상기 포집관(251)을 통해 포집되는 유독성기체를 압축하여 폐기물연소수단(200)으로 공급하도록 한 콤프레샤(253)로 이루어져, 혼합폐기물의 탄화를 돕도록 함과 동시에 유독성기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 포집수단(25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스정화수단(300)은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의 연소실(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제1정화실(311) 및 제2정화실(316)로 구획되는 제1정화탱크(310)로 이루어져,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를 물을 이용하여 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탱크(310)에는 제1정화탱크(310)의 상부에 연통설치되며 내부에 오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져, 제1정화탱크(310)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오일을 이용하여 재차 정화하도록 한 제2정화탱크(32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탱크(310)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1정화실(311)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이송실(220)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1흡입펌프(335)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실(2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기체를 제1정화실(311)로 배출하도록 한 제1배출관(33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관(330)은 상기 제1정화실(311)의 내부를 가로질러 바이패스되어 상기 이송실(2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유독성기체를 냉각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탱크(310)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1정화실(311)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상기 연소실(210)을 가로질러 바이패스되어 제2정화실(316)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2흡입펌프(345)를 구비하여 상기 제1정화실(311)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실(316)로 배출하도록 한 제2배출관(34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관(340)에는 상기 연소실(210)과 연통하는 분기관(340a)이 더 설치되어, 연소실(210)에 잔존하는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실(316)에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화탱크(320)에는 일측 끝단부는 제2정화탱크(320)에 연통설치되고, 또 다른 끝단부는 상기 제1정화탱크(310)의 제2정화실(316)에 연통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되, 제3흡입펌프(355)를 구비하여 제2정화실(316)에서 정화된 유독성기체를 제2정화탱크(320)로 배출하도록 한 제3배출관(35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제조수단(400)은 폐기물연소수단(200)의 이송실(220)의 일측에 연통설치되되, 탄화된 혼합폐기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한 분쇄선별실(410)과, 분쇄,선별된 혼합폐기물에 황토를 섞어 교반하도록 한 제2교반실(420)과, 혼합폐기물을 압축 성형하여 연료를 제조하도록 한 연료제조실(4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선별실(410)은 탄화된 혼합폐기물을 분쇄하도록 한 제2분쇄기(415)와, 철을 분리하도록 한 자성체(417)와, 돌,자갈등을 분리하도록 한 그물망(41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교반실(420)은 분쇄,선별된 혼합폐기물에 황토를 섞어 교반하기 위해 제2교반기(425)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제조실(430)은 연료성형틀(435)을 구비하여 황토와 교반된 혼합폐기물을 연료성형틀(435)에 넣고 압축하여 연료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스정화수단(300)의 제1정화탱크(310)에는 폐기물공급수단(100)에 까지 연장되는 급수관(150)이 더 연결 설치되어 폐기물공급수단(100)에 수분공급과 청결유지에 사용하거나, 배출가스정화수단(300)에 공급되어 오염된 물을 교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0. 삭제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연소수단(200)의 연소실(210)과 배출가스정화수단(300)의 제1정화탱크(310)의 사이에는 온기배출관(620)을 갖는 공랭실(600)이 더 설치되어 폐기물연소수단(200)에서 배출가스정화수단(300)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유독성기체를 냉각함과 아울러 공랭실(600)에서 생성되는 온기를 온기배출관(6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090126098A 2009-12-17 2009-12-17 폐기물 처리장치 KR10097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98A KR100977842B1 (ko) 2009-12-17 2009-12-17 폐기물 처리장치
PCT/KR2010/008999 WO2011074883A2 (ko) 2009-12-17 2010-12-16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98A KR100977842B1 (ko) 2009-12-17 2009-12-17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842B1 true KR100977842B1 (ko) 2010-08-25

Family

ID=4275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098A KR100977842B1 (ko) 2009-12-17 2009-12-17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7842B1 (ko)
WO (1) WO201107488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34B1 (ko) 2011-02-25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분진 포집장치
CN109848172A (zh) * 2018-12-26 2019-06-07 安徽万纬工程管理有限责任公司 一种石油化工废弃物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281A (ja) 2000-05-22 2001-11-27 Seki Shoten:Kk 固形燃料の製造方法及び固形燃料
KR20010110384A (ko) * 2001-11-17 2001-12-13 남학진 탄화연료용 폐기물 재활용 방법
KR200311385Y1 (ko) 2003-01-29 2003-04-23 남학진 폐자원을 이용한 rdf 성형장치
KR100803809B1 (ko) * 2006-07-05 2008-02-14 박인성 폐기물 재생 연료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315A (ko) * 2002-07-24 2002-08-14 김수용 폐기물의 대체에너지 재활용 장치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281A (ja) 2000-05-22 2001-11-27 Seki Shoten:Kk 固形燃料の製造方法及び固形燃料
KR20010110384A (ko) * 2001-11-17 2001-12-13 남학진 탄화연료용 폐기물 재활용 방법
KR200311385Y1 (ko) 2003-01-29 2003-04-23 남학진 폐자원을 이용한 rdf 성형장치
KR100803809B1 (ko) * 2006-07-05 2008-02-14 박인성 폐기물 재생 연료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34B1 (ko) 2011-02-25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분진 포집장치
CN109848172A (zh) * 2018-12-26 2019-06-07 安徽万纬工程管理有限责任公司 一种石油化工废弃物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883A2 (ko) 2011-06-23
WO2011074883A3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7700B1 (en) Integrated process for waste treatment by pyrolysis and related plant
DE102006007458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gasen von kohlenstoffhaltigem Material sowie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CN203991628U (zh) 一种高效利用生活垃圾热值的处理装置
CN102374539A (zh) 生活垃圾处理用新型热解炉以及使用其的垃圾处理系统
CN206191603U (zh) 一种新型环境固废处理装置
CN110217961A (zh) 一种无害化污泥低温炭化处理工艺
CN105750295A (zh) 一种城市生活垃圾处理方法及其装置
KR101152613B1 (ko) 바이패스 라인이 구비된 슬러지 또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CN210701640U (zh) 一种固体废物处理回收装置
KR100977842B1 (ko) 폐기물 처리장치
KR100787948B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를 위한 외열식 로타리 탄화로 장치
KR20120131601A (ko) 축산분뇨 및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CN212005695U (zh) 一种用于化工垃圾的焚烧装置
KR20060083474A (ko)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한 열분해 용융장치
CN201964422U (zh) 生活垃圾处理用新型热解炉以及使用其的垃圾处理系统
KR100775568B1 (ko) 슬러지의 건조 장치 및 셀 제조 방법
KR101437949B1 (ko) 음식물 찌꺼기 탄화시스템
CN206661886U (zh) 处理生活垃圾的系统
CN206316118U (zh) 处理生活垃圾的系统
CN214400001U (zh) 一种生活垃圾和生活污水综合处理的系统
DE102006007457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Gas aus kohlenstoffhaltigem Material
RU114755U1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горю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2020172654A (ja) 汚泥燃料化装置、汚泥燃料化システム、汚泥燃料活用型工場および固形燃料の製造方法
KR100228535B1 (ko) 다목적 음식물 및 생활쓰레기 처리장치
CN112174479A (zh) 一种污泥处理智能化控制系统及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