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496B1 - 송풍팬 - Google Patents

송풍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496B1
KR100976496B1 KR1020070027099A KR20070027099A KR100976496B1 KR 100976496 B1 KR100976496 B1 KR 100976496B1 KR 1020070027099 A KR1020070027099 A KR 1020070027099A KR 20070027099 A KR20070027099 A KR 20070027099A KR 100976496 B1 KR100976496 B1 KR 10097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ub
peripheral surface
fan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803A (ko
Inventor
임경석
구정환
한동주
홍영호
하삼철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4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8Blad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풍량 및 고풍압의 공기유동 특성을 내면서도 운전시의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팬이 적용되는 공조 또는 환기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고효율 송풍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의 허브 축선 방향에 대해 뒤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제공된다.
송풍팬, 블레이드, 헬릭스, 날개회전각

Description

송풍팬{F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송풍팬의 모터와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송풍팬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운데가 잘록한 장구형 허브가 적용된 송풍팬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원뿔대형 허브가 적용된 송풍팬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정면도,
도 10은 도 7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
도 14는 도 11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도 17은 도 15의 정면도,
도 18은 도 15의 측면도,
도 19는 도 15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팬외곽에 원통형 하우징이 부착된 송풍팬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1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도 2의 진동절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7은 진동절연부재 적용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참고 그래프 및
도 28 및 29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소음감소 효과 대비 효율의 증가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 나선형팬 136 : 리브
137 : 융기부 138 : 엠보싱
22 : 진동절연부재 221 : 금속와셔
221a : 축관통공 222 : 러버
222b : 금속와셔 수용홈 222a : 축관통공
본 발명은 송풍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등의 가전제품 및 기타 제조 설비등에 설치되어 고풍량 및 고풍압의 공기유동 특성을 내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운전시의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송풍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공장 설비의 환기 시스템에는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여러 종류의 송풍팬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송풍팬들은 송풍공기의 유동 특성에 따라 축류형 송풍팬과 원심형 송풍팬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축류형 송풍팬은 공기의 유동이 회전축과 평행하게 발생하는 송풍팬으로, 유량은 많이 발생하지만 압력은 낮게 생성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원심형 송풍팬은 통상적으로 블레이드의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에 직각인 반경방향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원심형 송풍팬은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가 목적으로 유량은 적게 발생하지만 압력은 높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송풍팬을 적용하는 공조 및 환기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각각의 송풍팬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송풍팬을 적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의 실내 기는 높은 풍압을 요구하므로 주로 시로코팬이나 터보팬 등의 원심형 송풍팬이 적용되고, 고풍압보다는 고풍량이 요구되는 실내기에서는 축류형 송풍팬이 적용된다. 또한, 환기 시스템에서는 단시간에 많은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주로 고풍량을 구현할 수 있는 축류형 송풍팬이 적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송풍팬들은 풍량과 풍압을 동시에 증가시키기가 어려우므로 고풍압과 고풍량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할 경우에는 그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고, 따라서 가전 제품의 경우에는 송풍팬의 크기 증가로 인하여 전체적인 제품 크기가 증가하게 되며, 시스템 내에서 설치 위치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 특개평8-216229호(1996.8.27 공개)에 기다란 원통형의 허브를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나선형 또는 스크류 형태로 형성하여 송풍 방향이 축방향이면서 풍압 및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팬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조화기용 팬은 각각의 블레이드들이 상호 중첩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일반적인 사출성형방식으로는 제작이 난해하여 특수한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작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대량 생산에 불리하며, 이러한 팬이 적용되는 가전제품 및 설비의 제조비용을 높이는 등 많은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의 유동을 축방향과 평행함과 더불어 작은 크기로도 고풍량과 고풍압을 동시에 생 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운전시의 소음을 줄이고,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대량 생산에 유리한 송풍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고풍량 및 고풍압의 공기유동 특성을 내면서도 팬이 적용되는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는 한편, 운전시의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고효율의 송풍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형성되되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의 허브 축선 방향에 대한 뒤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팬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해당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나선형팬(13)은, 일명 '태극팬'이라고도 불리는데, 구동모터(12; 도 2참조)의 회전축(12a)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기다란 원통형의 허브(132)와,
상기 허브(132)의 외주면에 허브(13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132)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132)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2개의 블레이드(1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33)는 상기 허브(132)의 하단부와 접하고 있는 내측부에서부터 하단부의 외측 팁(tip)까지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33)의 하단부는 대체로 뽀족한 삼각형 형태를 띠게 된다.
또한, 팬을 상부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블레이드(133)가 시작되는 데부터 끝까지의 돌아간 각도를 날개회전각(α)이라고 하는데, 도 5의 평면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13)은 날개회전각(α)이 대략 210°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때, 블레이드(133)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나선형팬(13)의 각 블레이드(133)들은 날개 하나가 원주방향으로 그리는 최대각도인 날개회전각(α)이 대략 210°로 형성되어 180°이상의 날개회전각을 가지면서도 제조시 가공성이 양호하도록 상호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이 없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회전각(α)이 210°로 커지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각이 커져 날개 끝단부에서의 소음이 180°일 때에 비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블레이드(133)는 허브(132) 외주면에 대해 나선을 그리면서 나아가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블레이드(133)가 허브(132) 외주면에 접하는 부위가 그리는 나선은 허브를 펼쳤을 경우 y=xh (여기서, y는 종속변수, x는 독립변수, h는 헬릭스 지수(Helix index)이며, 허브의 축 방향이 X축 방향으로 정의되고 허브의 원주방향이 Y축 방향으로 정의됨)인 함수곡선을 그리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팬(13)은 블레이드(133)의 허브의 축선 방향에 대한 뒤틀림각을 나타내는 값인 헬릭스 지수(Helix index)가 1.8 내지 2.2 범위의 값을 취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헬릭스 지수를 2로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헬릭스 지수가 커질수록 날개가 허브(132)의 축선에 대해 많이 누운 것을 의미하며, 이는 풍량 측면에서 공기를 축선 방향으로 많이 퍼 올려주도록 작용함으로 인해 송풍량을 증가시키도록 함을 의미한다.
또한, 헬릭스 지수가 커지면 동일 회전수에서는 공기와의 마찰 소음은 약간 증가하나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송풍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동일 송풍량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수를 작게 가져가도 되므로 모터 소음이 줄어들어 결국 송풍팬이 적용되는 공조 시스템 또는 환기 시스템의 전체 소음은 증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13)은 허브비(Dh/Db)를 블레이드(133)의 직경(Db)에 대한 허브의 직경의 비로 정의했을 때, 허브비가 0.5일 경우 날개폭이 넓어 풍압 및 풍량이 가장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도 3 참조)
또한, 실험 결과 상기 블레이드(133)는 입구쪽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각도가 증가하여 출구각(θe)이 입구각(θi)보다 크도록 한 것이 좋은 유동 특성을 갖는다.(도 2 참조)
특히, 실험 결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블레이드(133)의 입구각(θi)이 대략 35°일 때 소음이 가장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블레이드(133)의 입구각(θi)이 대략 35°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입사각과 유선(stream line)이 거의 일치하게 되어 난류 발생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출구각(θe)은 45°로 형성되어 토출공기가 45°각도로 토출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흐르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 블레이드(133)는 폭방향 단면이 대략 "S"자형 또는 태극문양의 분할선 형태를 띠게 되며(도 1의 "A"부 참조), 블레이드(133)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단면이 펴지면서 직선에 가까워지는 형태(즉, 곡률이 줄어드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할 경우 입구측에서 공기 유입이 원활해지고 출구측에서는 상기 입구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모아서 토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토출공기의 정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132)와 블레이드(133)의 두께비(th:tb)가 1:1.5 수준에서 진동 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33)는 그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허브(132)에 가까운 부분이 반경 방향 외측의 팁(tip)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진동 특성에 좋은데, 이는 블레이드(133)의 무게중심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여 진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13)은 블레이드(133)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13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리브(136)는 블레이드(133) 길이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 며, 블레이드 폭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팁에 가까운 쪽에 블레이드의 비틀림 방향과 같거나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133) 뒷면에 형성되는 리브(136)는 송풍팬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블레이드(133)의 두께를 얇게 할 경우에는 회전시 날개가 떨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블레이드(133)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이를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공조 또는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과의 공진(共振)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33)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137)를 두게 되는데, 이 부분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블레이드(133)의 뒷면에 형성되는 리브(136)와 마찬가지로 유입기류에 의해 블레이드(133)가 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덧붙여 팬이 1000rpm이상으로 회전하더라도 공기가 처음 유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블레이드(133)의 융기부(137) 뒤쪽 영역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13) 블레이드(133)는 허브(132)의 하단부와 접하고 있는 내측부에서부터 외측 팁(tip)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지고, 이 절개된 부분의 내측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이 부분으로 유입되는 기류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나, 블레이드(133) 하단부의 기류 유입부 언저리에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137)를 둠으로써 이부분이 와류를 깨서 경계층을 얇게 해줌으로써 소음 및 진동 발생을 저감시켜주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나선형 블레이드(133)의 뒷면에는 골프공에 형성된 홈처럼 작은 딤플(138)들이 표면에 형성되는데, 이 딤플(138)들은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 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딤플(138)에 의해 블레이드(133)의 뒷면 하부측에서 난류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유체의 섞임이 활발하게 돼 공기의 흐름이 바뀌는 현상이 블레이드(133)를 벗어날 때까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블레이드(133)의 형상저항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딤플(138)의 형상은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나타내었으나, 오각형, 사각형, 원에 가까운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딤플의 모양과 개수, 딤플의 깊이, 딤플의 직경은 형상저항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이들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딤플이 많을 수록 와류 해소에 유리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13)은 블레이드(133)의 부압면인 뒷면에 형성되는 딤플(138)의 전체적인 패턴도 적절히 고려되어야 하는 바, 블레이드(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행 및/또는 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거나 달리 할 수 있다.
참고로, 레이놀즈 수에 따라 유체의 흐름은 층류유동과 난류유동으로 구분되고, 블레이드(133)의 뒷면에 딤플을 주어 블레이드의 앞뒤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 때문에 생기게 되는 저항인 형상저항을 줄일 수 있기 위한 레이놀즈 수는 약 4만에서 40만 정도여야 한다. 이 범위보다 레이놀즈 수가 커지거나 작게 되면 오히려 전체저항이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허브(132)의 중간 부분에는 모터와 축결합된 회전축(12a)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연결판(134)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134)은 강도 보강을 위해 중앙부는 대체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외측부는 상측으로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34)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보강리브(1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판(134)의 강도를 더욱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리브(135)는 연결판(134)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증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33)는 2개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2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13)은 회전함에 따라 팬 하부측의 공기가 블레이드(133) 하단의 입구측으로 유입된 다음 허브(132) 및 블레이드(133) 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단의 출구측에서 토출되는 유동경로를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은, 구동모터(1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수직한 회전축(12a)에 고정 되게 결합된 기다란 원통형의 허브(232)와, 상기 허브(232)의 외주면에 허브(23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형성되되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3개의 블레이드(2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33)는 상기 허브의 하단부와 접하고 있는 내측부에서부터 하단부의 외측 팁(tip)까지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33)의 하단부는 대체로 뽀족한 삼각형 형태를 띠게 된다.
또한, 팬을 상부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블레이드(233)가 시작되는 데부터 끝까지의 돌아간 각도를 날개회전각이라고 하는데,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은 날개회전각이 대략 150°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때, 블레이드(233)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233)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의 각 블레이드(233)들은 날개 하나가 원주방향으로 그리는 최대각도인 날개회전각(α)이 150°로 형성되어 360°를 날개의 개수로 3등분한 120°보다 큰 날개회전각을 가지면서도 제조시 가공성이 양호하도록 상호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이 없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회전각(α)이 150°로 커지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각이 커져 날개회전각이 120°일 때에 비해 날개 끝단부에서의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은 블레이드(233)의 허브(232)의 축선 방향에 대한 뒤틀림각을 나타내는 값인 헬릭스 지수가 1.8 내지 2.2 범위내의 값을 취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헬릭스 지수를 2로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헬릭스 지 수가 커질수록 날개가 허브(232)의 축선에 대해 많이 누운 것을 의미하며, 이는 풍량 측면에서 공기를 축선방향으로 많이 퍼 올려주도록 작용함으로 인해 송풍량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헬릭스 지수가 커지면 동일 회전수에서는 공기와의 마찰 소음은 약간 증가하나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송풍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동일 송풍량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수를 작게 가져가도 되므로 모터 소음이 줄어들어 결국 공조 시스템 또는 환기 시스템 전체의 소음은 증가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음은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도 블레이드(233)에 의한 직경(Db)에 대한 허브(232)의 직경의 비인 허브비(Dh/Db)가 0.5로 설정되어 풍압 및 풍량이 가장 양호한 특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33)는 입구쪽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각도가 증가하여 출구각(θe)이 입구각(θi)보다 크도록 한다.
특히, 실험 결과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블레이드(233)의 입구각(θi)이 대략 35°일 때 소음이 가장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블레이드(233)의 입구각(θi)이 대략 35°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입사각과 유선(stream line)이 거의 일치하게 되어 난류 발생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출구각(θe)은 45°로 형성되어 토출공기가 45°각도로 토출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흐르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 블레이드(233)는 폭방향 단면이 대략 "S"자형 또는 태극문양의 분할선 형태를 띠게 되며, 블레이드(233)의 상부측 팁에서 하부측 팁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단면이 펴지면서 직선에 가까워지는 단순한 원호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했듯이, 입구측에서 공기 유입이 원활해지고 출구측에서는 상기 입구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모아서 토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토출공기의 정압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허브(232)와 블레이드(233)의 두께비(th:tb)가 1:1.5 수준에서 진동 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33)는 그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허브(232)에 가까운 부분이 허브(232)로부터 먼 부분인 팁(tip)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진동 특성에 좋은데, 이는 블레이드(233)의 무게중심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여 진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은 블레이드(233)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233)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23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리브(236)는 블레이드(233) 길이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며, 블레이드 폭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팁에 가까운 쪽에 블레이드의 비틀림 방향과 같거나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233) 뒷면에 형성되는 리브(236)는 송풍팬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블레이드(233)의 두께를 얇게 할 경우에는 회전시 날개가 떨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블레이드(233)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이를 방지하는 작용 효과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공조 시스템 또는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과의 공진(共振)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33)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237)를 두게 되는데, 이 부분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블레이드(233)의 뒷면에 형성되는 리브(236)와 마찬가지로 유입기류에 의해 블레이드(233)가 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덧붙여 공기가 처음 유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블레이드(233)의 융기부(237) 뒤쪽 영역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의 블레이드(233) 역시, 허브(232)의 하단부와 접하고 있는 내측부에서부터 외측 팁(tip)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지고, 이 절개된 부분의 내측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이 부분으로 유입되는 기류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나, 블레이드(233) 하단부의 기류 유입부 언저리에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237)를 둠으로써 이부분이 와류를 깨서 경계층을 얇게 해줌으로써 소음 및 진동 발생을 저감시켜주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나선형 블레이드(233) 또한, 블레이드(233) 뒷면에 골프공에 형성되는 홈들처럼 작은 딤플(238)들이 표면에 형성가능한데, 이 딤플(238)들은 블레이드(233) 뒷면을 따라 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딤플(238)에 의해 블레이드(233)의 뒷면 하부측에서 난류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유체의 섞임이 활발하게 돼 공기의 흐름이 바뀌는 현상이 블레이드(233)를 벗어날 때까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블레이드(233)의 형상저항이 감소 하게 됨으로써 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딤플(238) 형상은 오각형, 사각형, 원에 가까운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딤플의 모양과 개수, 딤플의 깊이, 딤플의 직경은 형상저항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이들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23) 또한, 블레이드(233)의 부압면인 뒷면에 형성되는 딤플(238)의 전체적인 패턴도 적절히 고려되어야 하는 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행 및/또는 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거나 달리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BPF(Blade Passing Frequency)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가운데가 잘록한 장구형 허브(332)가 적용된 송풍팬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역시,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에 적용된 구성요소들이 적용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팬에 제시된 블레이드 뒷면의 딤플이나, 힘살, 그리고 블레이드의 공기 유입부 언저리의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33)에도 이들 구성요소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헬릭스 지수나 날개회전각등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의 채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요소들, - 예를 들어, 블레이드 뒷면에 구비되는 딤플이나 힘살, 블레이드 입구부측의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 헬릭스 지수, 날개회전각의 크기를 360°를 블레이드수로 나눈 각도보다 더 큰 각을 갖도록 한 것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반영하여 전술한 각 실시예의 특성에 알맞게 적용된 기술적 구성은 아래의 각 실시예(제4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에 대해서도 그 특성에 맞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따라서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한 구성요소들이 이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그 설명 및 도면에서의 도시가 생략되었을 수도 있음을 전제한다. 즉, 제1 및 제2실시예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은 고스란히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어 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원뿔대형 허브(432)가 적용된 나선형팬(43)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허브의 상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짐으로 인해 블레이드(433)의 상부측 날개폭을 충분히 넓힐 수 있게 된다.
즉, 허브가 원통형인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의 원뿔대형 허브(432)는 상부측 직경이 작기 때문에 블레이드(433)의 상부측 폭이 커지더라도 송풍팬의 전체 직경은 동일하게 설계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열융착에 의해 다단 구조의 나선형팬(53)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으로 제1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나선형팬을 사용하되, 두 개를 적층한 상태에서 허브(532)의 상호 접하는 부분을 열융착하여 한 몸으로 만든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다단 구조의 나선형팬은 4개의 블레이드(533)를 갖도록 2단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3단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53)은 높은 정압을 내는데 유리하다.
한편, 송풍팬의 단수가 너무 많아지면 제작이 어려워지고 송풍팬을 적용하는 공조기등의 시스템 크기가 커지므로 적절한 단수를 채택할 것이 요구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열융착에 의해 다단 구조의 나선형팬(63)을 형성하되, BPF(Blade Passing Frequency)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날개회전각을 전술한 제5실시예에 비해 작은 각도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으로서 제5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유형의 나선형팬을 사용하되, BPF(Blade Passing Frequency) 소음은 날개회전각에 관계되므로 날개회전각을 줄인 나선형팬을 사용하며, 이 구조의 나선형팬 두개를 적층한 상태에서 허브(532)의 접하는 부분을 열융착하여 한 몸으로 만든 경우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5의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5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열융착을 하여 다단구조로 만든 제5 및 제6실시예의 나선형팬 과는 달리, 조립식으로서 4개의 블레이드(733a,733b)를 가지며, 블레이드(733a,733b)가 다단 구조를 갖게 되는 나선형팬(73)을 제공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가 2개인 경우에 발생하는 BPF(Blade Passing Frequency)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4개의 블레이드(733a,733b)를 갖는 구조를 가져가되, 열융착 대신 구조적으로 조립 가능하여 양산성이 현저히 높아진 4블레이드형 나선형팬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73)은 도 19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듯이, 메인 나선형팬(73a)과 이에 조립되는 부(副)나선형팬(73b)으로 구성되며, 메인 나선형팬(73a)의 메인허브(732a) 원주상에는 부(副)나선형팬(73b)의 날개지지편(739b)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739a)이 형성되고, 상기 부나선형팬(73b)의 날개지지편(739b) 내측에는 양측 날개지지편들을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보조허브(732b)가 형성된다.
한편, 부나선형팬(73b)의 블레이드(733b)는 BPF(Blade Passing Frequency)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날개회전각이 전술한 메인 나선형팬(73a)의 블레이드(733a)의 날개회전각에 비해 작은 각도로 형성된다.
여기서, 부나선형팬(73b)은 메인 나선형팬(73a)의 메인 블레이드(733a)와는 달리 날개회전각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도 33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듯이, 블레이드의 길이 및 허브 축방향에 있어서의 블레이드의 전체적인 높이가 달라지게 되며, 헬릭스 지수도 메인 블레이드(733a)와는 다른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부나선형팬(73b)의 블레이드(733b) 하단부가 메인허 브(732a)의 축방향 길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나선형팬(73)은 보조허브(732b)의 날개지지편(739b)을 메인허브(732a)의 삽입홈(739a) 내로 밀어 넣어 형합시킴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허브(832) 외주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833) 외곽에 중공 구조인 원통형 하우징(835)이 부착된 송풍팬(83)을 제공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으로 제1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나선형팬을 사용하되, 블레이드(833) 외곽에 원통형 하우징(835)을 열융착등을 통해 부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팬끝과 오리피스(15) 사이의 BPF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사출 성형시 허브(932) 외주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933)의 개수가 4개로 제작되는 나선형팬(93)을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사출 성형시 허브(1032) 외주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033)의 개수가 5개인 나선형팬(103)을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원통형 허브(1132) 외주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133)의 개수가 7개인 나선형팬(113)을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제1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원통형 허브(1232) 외주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233)의 개수가 11개인 나선형팬(123)을 나타낸다.
즉, 도 22 내지 도 25은 블레이드 개수를 달리한 여러 가지 경우의 송풍팬을 예시한 것으로서, 이들을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개수 및 형상을 다양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동일 조건에서 블레이드의 개수가 증가하면 허브의 높이를 낮추는 것이 풍량 및 정압 특성의 손실없이 소음을 줄이는데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수를 증가시킨 각 실시예의 송풍팬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고풍량 및 고정압 특성을 제공하면서도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콤팩트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제품군을 다양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송풍팬이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아웃케이스가 직방체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풍팬은 구동모터(12)의 회전축(12a)과 팬 결합부 사이에 고조파에 의한 이상 소음 발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절연부재(22)가 개재된다.
소음 발생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가 되는 주파수의 사인파인 고조파가 모터에 들어가면 맥동이 일어나 모터 회전축이 미세하게 떨게 되 고, 진동절연부재의 개재됨 없이 모터축이 팬하고 직결되면 팬으로 모터축의 진동이 전달되어 이상소음이 일어나게 되는데, 기본주파수인 60Hz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120, 280, 360, 420Hz에서 이상소음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특히 480Hz에서 소음이 피크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도 3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하학적으로 비(非)원형이며 중앙부에 축관통공(221a)이 형성된 금속와셔(221)와, 상기 금속와셔 수용홈(222b) 및 축관통공(222a)이 형성된 러버(222)로 구성되는 진동절연부재(22)를 나선형팬(13)의 허브의 회전축(12a)과의 결합부 상하부에 설치함으로써, 모터축과 팬의 회전에 의해 진동절연부재(22)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팬으로의 진동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고조파(高調波)에 기인한 이상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러버(222)로서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물리적으로 천연고무와 SBR(styrene butadiene rubber)의 중간 성질을 갖는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이 적용되는데, 상기 러버(222)는 나선형팬(13)의 허브(132) 중앙부에 삽입되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 일단에 비원형의 금속와셔(22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토록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비원형의 금속와셔(221)가 필요한 이유는, 진동절연부재가 러버(222)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터축과 팬의 회전시 러버(222)가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연결판 중앙부에 금속와셔(221)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 축(12a)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송풍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2a)이 연결되는 연결판(134)의 중앙부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출물인 송풍팬의 성형시 발생한 연결판(134) 중앙부의 내주면 굴곡에 기인하여 회전축(12a)이 회전할 때 허브(132)가 극소량 요동치면서 소음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금속와셔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팬으로 모터 회전축(12a)의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어 고조파 입력시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판(134)의 상하부측에 비원형 금속와셔(221)와 러버(222)로 이루어진 진동절연부재(22)가 설치됨으로 인해 회전축(12a)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모터축과 팬의 회전에 의해 진동절연부재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팬으로의 진동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고조파에 기인한 이상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절연부재(22)는 상기 연결판(134)의 상·하부측에 모두 설치됨이 이상 소음을 막는데 보다 유리하지만,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어도 상기한 성능을 나타내기에 충분하다.
도 27은 진동절연부재 적용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는 참고 그래프로서, 팬 체결부 상하에 EPDM 러버 및 금속와셔로 이루어진 진동절연부재(22)가 적용됨에 따라 480Hz에서 피크치를 나타내던 고조파에 의한 이상 소음이 해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진동절연부재(22)는 각 실시예의 송풍팬들에 대해 모두 적용가능하며 동일한 원리로 작용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8 및 29는 나선형팬들의 소음감소 효과 대비 효율의 증가효과를 나 타낸 챠트이다.
챠트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선형 팬은 구조의 개선을 통해 다른 팬들과 대비하여 효율증가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를 송풍시키는 나선형팬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유동 특성을 생성하므로 송풍팬의 설치 위치의 제약이 거의 없고, 작은 크기로도 큰 풍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송풍팬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등 가전제품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여 소형화 및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나선형팬의 상하 결합부에 진동절연부재를 둠으로써 고조파에 의한 이상 소음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블레이드가 다단으로 구성된 송풍팬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송풍시키면서 정압을 증가시킬 수 있어, 송풍팬이 적용되는 공조 또는 환기 시스템의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블레이드가 다단이며 조립형으로 구성되는 송풍팬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양산성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며, 블레이드 수를 증가시킨 각 실시예의 송풍팬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동일 풍량 및 풍압을 제공하면서도 시스템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콤팩트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5)

  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상기 허브의 수직길이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의 허브 축선 방향에 대한 뒤틀림각을 나타내는 값인 헬릭스 지수가 1.8 내지 2.2 범위내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의 하단부와 접하고 있는 내측부에서부터 하단부의 외측 팁(tip)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허브비(Dh/Db)를 블레이드에 의한 직경(Db)에 대한 허브의 직경의 비로 정의할 때, 상기 나선형팬의 허브비는 0.5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입구쪽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각도가 증가하여 출구각(θe)이 입구각(θi)보다 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입구각(θi)은 35°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출구각(θe)은 45°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6. 제 3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폭방향 단면이 대략 "S"자형 또는 태극문양의 분할선 형태를 띠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7. 제 6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폭방향 단면이 대략 "S"자형 또는 태극문양의 분할선 형태를 띠게 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단면이 펴지면서 직선에 가까워지는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블레이드의 두께비(th:tb)가 1:1.5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그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허브에 가까운 부분이 반경 방향 외측의 팁(tip)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블레이드 길이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블레이드 폭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팁에 가까운 쪽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3.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블레이드의 비틀림 방향과 같거나 유사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뒷면에는 골프공에 형성된 홈처럼 작은 딤플들이 그 표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의 형상은 원형, 오각형, 사각형, 원에 가까운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행 및/또는 열의 간격이 동일하거나 다르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중간 부분에는 모터와 축결합된 회전축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연결판이 수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강도 보강을 위해 중앙부는 대체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외측부는 상측으로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연결판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허브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나선형팬의 결합부 사이에는 고조파에 의한 이상 소음 발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절연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절연부재는
    기하학적으로 비(非)원형이며 중앙부에 축관통공이 형성된 금속와셔와,
    상기 금속와셔 수용홈 및 축관통공이 형성된 러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는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절연부재는 모터와 축결합되는 허브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연결판의 상·하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6.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가운데가 잘록한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27.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뿔대형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부측 날개폭이 원통형 허브일 때의 폭으로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29.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열융착에 의해 다단 구조를 이루며, 상기 하나의 허브에 형성된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30.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열융착에 의해 다단 구조를 이루며, 날개회전각을 블레이드 수로 360°를 나눈 값 보다 작은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허브에 형성된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3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메인 나선형팬과;
    상기 메인 나선형팬에 조립되는 동형(同型)의 부(副)나선형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나선형팬의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상기 부나선형팬의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나선형팬의 메인허브 원주상에는 조립되는 부(副)나선형팬의 날개 지지편이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나선형팬의 날개지지편 내측에는 양측 날개지지편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메인허브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보조허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나선형팬의 블레이드는 BPF(Blade Passing Frequency)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날개회전각이 메인 나선형팬의 날개회전각에 비해 작은 각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나선형팬은 블레이드의 길이 및 허브 축방향에 있어서의 블레이드의 전체적인 높이가 메인 나선형팬과 다른 값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부나선형팬의 블레이드는, 그 하단부가 메인허브의 축방향 길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부나선형팬은 헬릭스 지수가 메인 블레이드와는 다른 값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38.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 외곽에 원통형 하우징을 열융착을 통해 부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39.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의 개수가 4개이며,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0.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의 개수가 5개이며,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의 개수가 7개이며,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의 개수가 11개이며,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팬은,
    블레이드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허브의 축방향 길이는 줄어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44.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5.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6.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딤플들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블레이드의 뒷면에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에 대해 힘줄 역할을 하는 리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7.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 및 하면에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팬.
  48.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49.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50.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열융착에 의해 다단 구조를 이루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 고, 상기 하나의 허브에 형성된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5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열융착에 의해 다단 구조를 이루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의 허브에 형성된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5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 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메인 나선형팬과, 상기 메인 나선형팬에 조립되는 동형(同型)의 부(副)나선형팬으로 구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나선형팬의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어 고조파에 의한 이상 소음 발생 현상을 방지하는 진동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나선형 팬의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상기 부나선형팬에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53.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허브의 수직길이 보다 상하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외곽에 블레이드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원통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나선형팬의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어 고조파에 의한 이상 소음 발생 현상을 방지하는 진동절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진동절연부재는, 기하학적으로 비(非)원형이며 중앙부에 축관통공이 형성된 금속와셔와, 상기 금속와셔 수용홈 및 축관통공이 형성된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재질의 러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54. 장구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55. 원추형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면서 허브와의 접촉부위가 허브의 둘레면에 180°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헬릭스 지수가 2의 값을 취함과 더불어 날개회전각이 360°를 블레이드 수로 나눈 각도 보다 30° 이내 범위에서 더 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 뒷면에는 날개의 길이방향을 힘줄역할을 하는 리브 및 블레이드 뒷면을 따라오는 와류를 해소시켜주는 딤플들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하단부의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측 상면 또는/및 하면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살을 두툼하게 한 융기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타측에 대향 형성된 블레이드에 대해 중첩 및 간섭되는 영역을 갖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팬.
KR1020070027099A 2007-03-20 2007-03-20 송풍팬 KR10097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99A KR100976496B1 (ko) 2007-03-20 2007-03-20 송풍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99A KR100976496B1 (ko) 2007-03-20 2007-03-20 송풍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296A Division KR20060085433A (ko) 2005-01-24 2005-01-24 송풍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803A KR20070046803A (ko) 2007-05-03
KR100976496B1 true KR100976496B1 (ko) 2010-08-18

Family

ID=3827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99A KR100976496B1 (ko) 2007-03-20 2007-03-20 송풍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79Y1 (ko) * 2016-09-05 2017-04-05 문제완 축산용 대형 선풍기
EP3799916A2 (en) 2012-05-14 2021-04-07 Tc1 Llc Impeller for a catheter pu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904B1 (ko) * 2018-07-11 2019-03-27 썬더에코 주식회사 상용화가 가능한 플라즈마 상태의 고농도 산화질소를 갖는 다량의 플라즈마가 생성되는 썬더볼트 방전장치
KR102154766B1 (ko) * 2019-03-19 2020-09-10 썬더에코 주식회사 썬더볼트방전과 마이크로버블수를 이용한 농산물살균겸용재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65B1 (ko) 2003-06-0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65B1 (ko) 2003-06-0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9916A2 (en) 2012-05-14 2021-04-07 Tc1 Llc Impeller for a catheter pump
EP3799915A1 (en) 2012-05-14 2021-04-07 Tc1 Llc Impeller for a catheter pump
KR200482979Y1 (ko) * 2016-09-05 2017-04-05 문제완 축산용 대형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803A (ko)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026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9885364B2 (en) Fan, molding die, and fluid feeder
CN111043057B (zh) 对旋风扇
KR100976496B1 (ko) 송풍팬
KR101742965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4697132B2 (ja) 空気調和機
US20210262487A1 (en) Housing for a fan and fan
JP3918207B2 (ja) 空気調和機
KR100710369B1 (ko) 공기조화기
KR100794644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85433A (ko) 송풍팬
WO2014097625A1 (ja) 空気調和機
KR100686020B1 (ko) 공기조화기
KR100720559B1 (ko) 공기조화기
KR100781282B1 (ko) 공기조화기
KR100546650B1 (ko) 송풍기
KR100539565B1 (ko) 송풍팬
CN209818391U (zh) 轴流风轮及空调器
JP2022140336A (ja) プロペラファンおよび冷凍装置
CN117212232A (zh) 叶片、叶轮及通风设备
CN111043064A (zh) 对旋风扇
JP2011202517A (ja) 軸流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