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79Y1 - 축산용 대형 선풍기 - Google Patents

축산용 대형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79Y1
KR200482979Y1 KR2020160005215U KR20160005215U KR200482979Y1 KR 200482979 Y1 KR200482979 Y1 KR 200482979Y1 KR 2020160005215 U KR2020160005215 U KR 2020160005215U KR 20160005215 U KR20160005215 U KR 20160005215U KR 200482979 Y1 KR200482979 Y1 KR 200482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fixed
blade
frame
low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완
Original Assignee
문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완 filed Critical 문제완
Priority to KR2020160005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산용 대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메인블레이드로 전달하기 위한 수평회전장축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수평하우징을 프레임부재에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내부로 유활유인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니플공을 형성하여 수평회전장축의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날개부재를 구성하는 메인블레이드의 내측단부로부터 좌측면 중앙 영역 사이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적정한 각도로 절곡날개편을 절곡 형성하여, 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이 많아져 바람의 전달 범위가 넓은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축산용 대형 선풍기{Livestock farming large fan}
본 고안은 축산용 대형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메인블레이드로 전달하기 위한 수평회전장축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수평하우징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내부로 윤활유인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의 환기와 송풍에 의한 적정 온도의 유지로 쾌적함과 건조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선풍기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형제품에서부터 축사나 공장 또는 비닐하우스에서 사용하는 대형제품까지 그 사용목적과 작동원리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풍기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인바, 그 용도에 따라 가정용이나 사무실용, 공업용, 농업용 등으로 크게 구분되고, 그 사용 장소에 따라 크기나 모양 및 풍력이 각각 다른 상태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축사나 공장 또는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농업용이나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선풍기의 경우 보통 대형선풍기가 사용되는바, 이 대형선풍기는 강한 바람을 통해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혹은 온도를 내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선풍기에 대한 선행기술에는 등록실용신안 20-0256806호(고안의 명칭 : 비닐하우스용 대형 선풍기) 및 등록특허 10-1351370호(발명의 명칭 : 대형 선풍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선풍기의 외형을 이루면서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의 내측에 다수의 날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며, 날개와 연결된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우터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외측 지지대를 통해 고정설치된 비닐하우스용 대형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링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그 외측에 U자형 단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는 날개로부터 전달되는 바람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만곡된 것으로, 이는 대형 선풍기의 바람과 외측 프레임과의 저항이 최소화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될 수 있고, 대형 선풍기의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바람에 의한 저항이 줄어들게 되어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우터 전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은 용량의 모우터를 사용하여 대형 선풍기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함과 더불어 대형 선풍기 사용시의 경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선행기술은 일측에 한 쌍의 이동바퀴가 설치되고, 타측에 이동제한구가 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상측에 좌우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형 틀형상의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그 거치대의 양측단에 힌지결합되어 상하회전되게 설치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상하회전 조작을 위해 그 본체부재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는 조작부재; 상기 거치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결대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를 좌우회전시키는 회전동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지지다리의 이동바퀴 및 이동손잡이를 통해 대형 선풍기의 이동성을 확보됨은 물론 지지다리에 이동제한구가 설치됨으로써 대형 선풍기가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되지 않게 되어 풍향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본체부재의 기울기 각도를 미세하고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풍향을 미세하게 조절할수 있고, 편심로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됨으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신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후면에 구비되어 있고, 모터의 회전력을 날개로 전달시키기 위한 축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회전력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날개의 구조가 전면으로 바람이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후면측으로는 바람이 유입되지 못하여 바람의 전달범위가 좁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메인블레이드로 전달하기 위한 수평회전장축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수평하우징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내부로 윤활유인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축산용 대형 선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에 절곡날개편을 형성하여 회전시 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이 많아지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받침부재의 가로대에 하단이 체결 고정된 하부수직프레임과, 하부수직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상부수직프레임과, 하부수직프레임 및 상부수직프레임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하부보강대와, 하부수직프레임 및 상부수직프레임과 상,하부보강대 전면에 원형으로 조립 체결고정되는 내측플레이트와, 내측플레이트에 원형으로 체결 고정되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와; 상기 하부수직프레임 및 상부수직프레임의 간격에 결합되어 하부수직프레임 및 상부수직프레임에 안정되게 고정되고, 전면에 서브블레이드와 메인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날개부재가 장착되며, 후면에 구동수단이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 축산용 대형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하부수직프레임 및 상부수직프레임의 간격에 외주면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내주면 양측에 베어링이 결합되는 내측걸림단을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 외측걸림단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니플공이 관통 형성되어 니플이 결합되는 수평하우징과; 상기 베어링과 수평하우징의 삽입공에 양측이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수평회전장축과; 상기 수평하우징의 외측걸림단에 결합되고, 하부수직프레임 및 상부수직프레임의 전후면에 체결 고정되어 수평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전,후면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메인블레이드로 전달하기 위한 수평회전장축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수평하우징을 프레임부재에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내부로 유활유인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니플공을 형성하여 수평회전장축의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날개부재를 구성하는 메인블레이드의 내측단부로부터 좌측면 중앙 영역 사이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적정한 각도로 절곡날개편을 절곡 형성하여, 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이 많아져 바람의 전달 범위가 넓은 효과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날개부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의 날개부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대형 선풍기는크게 받침부재(10), 프레임부재(20), 동력전달부재(30), 구동수단(50) 및 날개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한쌍의 가로대(12)와; 가로대(12)의 사이에 구비된 세로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재(20)는 받침부재(10)의 세로대(14) 상부에 하단이 체결 고정된 하부수직프레임(21)과; 하부수직프레임(21)의 상단과 하단이 간격(2)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상부수직프레임(22)과;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하부보강대(23)(24)와;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과 상,하부보강대(23)(24) 전면에 원형으로 조립 체결고정되는 다수의 내측플레이트(25)와; 내측플레이트(25)에 원형으로 체결 고정되는 전면커버(26)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0)는 프레임부재(20)를 구성하는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의 간격(2)에 외주면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내주면 양측에 베어링(31)이 결합되는 내측걸림단(42a)을 갖는 삽입공(42)이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 외측걸림단(42b)이 형성된 수평하우징(40)과; 베어링(31)과 수평하우징(40)의 삽입공(42)에 양측이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수평회전장축(33)과; 수평하우징(40)의 외측걸림단(42b)에 결합되고,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의 전후면에 체결 고정되어 수평하우징(40)을 고정하기 위한 전,후면고정플레이트(35)(3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하우징(40) 외주면에 니플공(44)이 관통 형성되고, 이 니플공(44)에 그리스를 주입하기 위한 니플(46)이 장착된다.
상기 전,후면고정플레이트(35)(36)는 수평하우징(40)의 외측걸림단(42b)에 결합되는 결합통공(37a)이 형성된 중앙부(37)와; 중앙부(37)의 양측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의 전후면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38)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50)은 하부수직프레임(21) 후면에 장착된 설치브라켓(52)과; 설치브라켓(52) 상부에 장착되고, 모터풀리(53)를 갖는 구동모터(54)와; 구동모터(54)의 모터풀리(53)와 수평회전장축(33) 후단에 장착된 축풀리(55)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벨트(56)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부재(60)는 수평회전장축(33)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서브블레이드(62)와, 서브블레이드(62) 외주면에 내측단이 분리 가능하고 경사지게 체결 고정된 다수의 메인블레이드(64)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블레이드(64)는 폭방향으로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외측단의 좌측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앙 영역에 만곡절개부(64a)가 형성되며, 만곡절개부(64a)로부터 내측단부 영역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적정각도로 절곡날개편(66)을 절곡 형성하여, 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이때, 절곡날개편(66)은 메인블레이드(64)의 하향 만곡부를 기준으로 35~45°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면커버(26)의 전면과 상,하부보강대(23)(24) 후면에는 전,후면안전망(70)(7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축산용 대형 선풍기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받침부재(10)를 구성하는 가로대(12)를 축사 등에 안정되게 세워 높은 다음, 구동수단(5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54)를 동작시키면, 모터풀리(53)와 축풀리(55) 사이의 연결벨트(56)에 의해 수평회전장축(33)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외측걸림단(42b)에 결합되고,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에 체결 고정되는 전,후면고정플레이트(35)(36)에 의해 고정된 수평하우징(40)의 삽입공(42)과 내측걸림단(42a)에 결합된 베어링(31)을 통해 축설된 수평회전장축(33)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수평회전장축(33)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서브블레이드(62) 외주면에 내측단이 분리 가능하고 경사지게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64)가 회전하여 바람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메인블레이드(64)는 폭방향으로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외측단의 좌측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앙 영역에 만곡절개부(64a)가 형성되며, 만곡절개부(64a)로부터 내측단부 영역으로 상방으로 하향 만곡부를 기준으로 35~45°로 절곡 형성된 절곡날개편(66)에 바람이 부딪혀 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도 6 및 도 7참조)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2 : 간격 10 : 받침부재
12 : 가로대 14 : 세로대
20 : 프레임부재 21 : 하부수직프레임
22 : 상부수직프레임 23,24 : 상,하부보강대
25 : 내측프레임 30 : 동력전달부재
31 : 베어링 33 : 수평회전장축
35,36 : 전,후면고정플레이트 37 : 중앙부
37a : 결합통공 38 : 체결부
40 : 수평하우징 42a : 내측걸림단
42b : 외측걸림단 44 : 니플공
46 : 니플 50 : 구동수단
60 : 날개부재 64 : 메인블레이드
64a : 만곡절개부 64b : 절곡날개편

Claims (4)

  1. 받침부재(10)의 가로대(12)에 하단이 체결 고정된 하부수직프레임(21)과, 하부수직프레임(21)의 상단과 하단이 간격(2)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상부수직프레임(22)과,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 상하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하보강대(23)(24)와,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과 상,하부보강대(23)(24) 전면에 원형으로 조립 체결고정되는 내측플레이트(25)와, 내측플레이트(25)에 원형으로 체결 고정되는 전면커버(26)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20)와;
    상기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의 간격(2)에 결합되어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에 안정되게 고정되고, 전면에 서브블레이드(62)와 메인블레이드(64)로 이루어진 날개부재(60)가 장착되며, 후면에 구동수단(50)이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30)로 구성된 축산용 대형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30)는
    상기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의 간격(2) 사이에 외주면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내주면 양측에 베어링(31)이 결합되는 내측걸림단(42a)을 갖는 삽입공(42)이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 외측걸림단(42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니플공(44)이 관통 형성되어 니플(46)이 결합되는 수평하우징(40)과;
    상기 베어링(31)과 수평하우징(40)의 삽입공(42)에 양측이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수평회전장축(33)과;
    상기 수평하우징(40)의 외측걸림단(42b)에 결합되 결합통공(35a)이 형성된 중앙부(37)와, 중앙부(37)의 양측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수직프레임(21) 및 상부수직프레임(22)의 전후면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38)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하우징(40)을 고정하기 위한 전,후면고정플레이트(35)(36)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블레이드(64)는
    폭방향으로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외측단의 좌측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앙 영역에 만곡절개부(64a)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절개부(64a)로부터 내측단부 영역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적정각도로 절곡날개편(64b)을 절곡 형성하여, 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이 많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대형 선풍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날개편(64b)은
    상기 메인블레이드(64)의 하향 만곡부를 기준으로 35~45°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대형 선풍기.
KR2020160005215U 2016-09-05 2016-09-05 축산용 대형 선풍기 KR200482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15U KR200482979Y1 (ko) 2016-09-05 2016-09-05 축산용 대형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15U KR200482979Y1 (ko) 2016-09-05 2016-09-05 축산용 대형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79Y1 true KR200482979Y1 (ko) 2017-04-05

Family

ID=5860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215U KR200482979Y1 (ko) 2016-09-05 2016-09-05 축산용 대형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57B1 (ko) 2018-01-29 2019-03-19 주식회사 보고이엔지 천정형 또는 스탠드형으로 사용 가능한 산업용 선풍기
KR20210133691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팬직 대형 축사용 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478A (en) * 1985-12-02 1987-04-14 Airmaster Fan Company Low profile shrouded fan system
JP2002371991A (ja) * 2001-06-12 2002-12-26 Mirae Corp ハンドラのチェンバー用ファン装置
KR100976496B1 (ko) * 2007-03-20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팬
KR200464446Y1 (ko) * 2009-09-23 2013-01-02 고상열 대형선풍기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478A (en) * 1985-12-02 1987-04-14 Airmaster Fan Company Low profile shrouded fan system
JP2002371991A (ja) * 2001-06-12 2002-12-26 Mirae Corp ハンドラのチェンバー用ファン装置
KR100976496B1 (ko) * 2007-03-20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팬
KR200464446Y1 (ko) * 2009-09-23 2013-01-02 고상열 대형선풍기 회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57B1 (ko) 2018-01-29 2019-03-19 주식회사 보고이엔지 천정형 또는 스탠드형으로 사용 가능한 산업용 선풍기
KR20210133691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팬직 대형 축사용 팬
KR102432072B1 (ko) * 2020-04-29 2022-08-16 주식회사 팬직 대형 축사용 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3958B (zh) 用于风扇的驱动组件及具有的风扇
KR200482979Y1 (ko) 축산용 대형 선풍기
JPH0633850B2 (ja) 機器の俯仰角度調整装置
CA2714245C (en) Fan with concealed 360-degree oscillating mechanism
KR200464446Y1 (ko) 대형선풍기 회전장치
CA2708754C (en) Fan with concealed oscillating mechanism
JP2016002030A (ja) モーア
CN105650015A (zh) 风扇头部和家用电器
JP2016002029A (ja) モーア
KR200464445Y1 (ko) 대형선풍기 회전장치
CN104697143A (zh) 导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室内机
WO2015190960A9 (en) An improved wall or floor saw
KR101689280B1 (ko) 날개 없는 선풍기
KR101351370B1 (ko) 대형 선풍기
CN110836528A (zh) 一种多向导风装置及具有该装置的输风设备
JP6368816B2 (ja) モーア
KR20210001103U (ko) 이동수단을 가진 절첩식 런닝머신
KR101256759B1 (ko) 헤어드리이기
KR102321973B1 (ko) 선풍기용 구동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선풍기
KR20100009912U (ko) 선풍기
CN210371287U (zh) 新型循环扇
KR200481153Y1 (ko)
US20180363674A1 (en) Pump device for casting processes
CN212536173U (zh) 循环扇
JP2019152135A (ja) 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