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841B1 -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841B1
KR100975841B1 KR1020090102641A KR20090102641A KR100975841B1 KR 100975841 B1 KR100975841 B1 KR 100975841B1 KR 1020090102641 A KR1020090102641 A KR 1020090102641A KR 20090102641 A KR20090102641 A KR 20090102641A KR 100975841 B1 KR100975841 B1 KR 10097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device
head
tower crane
stee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규석
김경성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8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8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fixing device of a tower crane for a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teadily support a tower crane using a steel bar. CONSTITUTION: A fixing device of a tower crane for a bridge comprises a main body(10), a steel bar assembly, a fixing member(40), and a plate assembly. The main body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plates(11)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plates(13). The fixing plat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post. The supporting plate supports a tower crane and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fixing plate. The steel bar assembly comprises a sheath pipe and a plurality of steel bars(23). The steel bar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and is combined in a plurality of fixing plates.

Description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교각 주두부의 작업 면적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고,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를 보다 견고하고 균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bridges.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ventional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the bridge, thereby securing more work area of the head of the pier, and the tower crane for bridge construction that allows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to be more robust and balanced. It relates to a fixing devic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건설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대형 프로젝트 토목공사가 진행되면서 교량건설 현장에서도 타워 크레인(tower cran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progress of large-scale project civil works, the use of tower cranes is increasing in bridge construction sites.

사장교, Extra dosed교 형식의 케이블(cable) 설치 교량과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차선수의 확대로 인한 광폭교량(35~39m)의 건설이 증가함에 따라, 교량 건설시 하이드로 크레인(hydro crane),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 등 기존 인양장비의 작업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었다. 기존 인양장비에 비해 타워 크레인은 고정식 크레인으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작업 효율면에서도 우수하다.Cable-building bridges of cable-stayed bridges and extra-dose bridges and the construction of wide bridges (35-39m)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s due to the increase in traffic volume, hydro cranes and crawlers The work efficiency of the existing lift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has sharp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lifting equipment, the tower crane is a stationary crane, which is more stable and excellent in work efficiency.

한편, 해상에서의 교량의 시공은 교각을 시공한 뒤 교각에 상판을 얹을 때 일반적으로 대형 해상 크레인선(crane barge)을 이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at sea is generally used a large offshore crane (crane barge) when the top plate on the bridg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상기 대형 해상 크레인선은 육지가 아닌 선박에 고정되므로 선박을 교량 시공현장에 고정시킬 계류장치의 설치공간 확보 문제, 수심, 날씨, 해류 등 해상 작업조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공의 안정성, 시간, 비용 측면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Since the large offshore crane ship is fixed to the ship, not the land,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mooring device to fix the ship to the bridge construction site is affected by the sea working conditions such as water depth, weather, current, etc. In terms of problems, various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이러한 해상 크레인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량의 상부구조물, 즉 교각의 주두부에 직접 크레인을 설치하여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교량용 타워 크레인이 등장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offshore crane ship, a tower crane for a brid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and time by installing a crane directly 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at is, the head of the bridge appeared.

상기 교량용 타워크레인은 교량에 설치되기 위해 별도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를 필요로 한다.The tower crane for the bridge requires a separate tower crane fixing device to be installed in the bridge.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439935호에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에 대한 일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39935 discloses a form of a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a bridge.

도 1은 종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가 교각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wer crane fixing device,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of Figure 1 mounted on the pier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는 교각의 주두부 상면에 설치되는 앵커볼트(110)와, 상기 앵커볼트(110)에 고정되는 베이스(120)와, 상기 베이스(120) 상에 설치되어 타워크레인의 하부를 지지하는 설치대(1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tower crane fixing device includes an anchor bolt 110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head of a pier, a base 120 fixed to the anchor bolt 1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120. It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ase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ower crane.

상기 베이스(120)는 판면에 상기 앵커볼트(110)의 선단이 삽입되는 체결용 통공(121a)이 형성된 고정판(121)과, 한쌍의 가로바(122) 및 세로바(123)로 이루어 지며 H형강으로 제작된다.The base 120 is composed of a fixing plate 121 is formed with a fastening through-hole 121a for inserting the tip of the anchor bolt 110 on the plate surface, a pair of horizontal bars 122 and vertical bars 123 and H It is made of section steel.

상기 설치대(130)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120)의 세로바(123)에 체결부재(150)로 고정되고, 타워크레인의 하단 모서리에 대응되는 고정부(131)와, 고정부(131)들을 연결하는 연결바(132)로 이루어진다.The mounting base 130 is fixed to the vertical bar 123 of the base 120 by the fastening member 150, the fixing portion 131 corresponding to the lower edge of the tower crane and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131 It consists of a connecting bar 132.

그리고 H형강으로 구성되는 가로바(122) 및 세로바(123)에서 하중이 집중되는 영역을 보강하도록 보강판재(140)가 용접되어 삽입된다.And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140 is welded and inserted to reinforce the area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n the horizontal bar 122 and the vertical bar 123 composed of H-shaped steel.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120)와 상기 설치대(130)가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120)의 폭이 상기 설치대(13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tower crane fix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ase 120 and the mounting table 130 are manufactured and combined as separate members, and the width of the base 120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table 131. It is largely formed.

그러므로 상기 베이스(120)가 교각 주두부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주두부 상부 공간이 협소해지며, 이는 교량 시공 과정 중에 작업자, 설비, 부재 등이 놓여지는 작업공간이 줄어드는 문제를 유발시킨다.Therefore, since the base 120 occupies a large area of the head pier head, the upper head head space becomes narrow,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working space in which workers, facilities, members, etc. are placed during the bridge construction process is reduced.

또한, 베이스(120)와 설치대(130)를 상호 조립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H형강으로 제작되어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과, 베이스(120)가 직접적으로 주두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하도록 설치기 때문에 주두부의 상면이 편평하지 않게 되면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평형도를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ouble of having to assemble the base 120 and the mounting table 130 and the H-shaped steel is weakened, the strength is weakened, and the base 120 is directly installed to contact the concrete structure forming the head. I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is not fla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balance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교량에 설치 및 분해가 쉬워지며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주두부 상부의 작업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bridge and can reduce the size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tower crane fixing device that can secure a large work space of the upper head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교량에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를 시공할 경우 평행도를 맞추기가 용이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타워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the bridge that can easily support the parallelism and more stably support the tower crane when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bridge.

본 발명은 교각의 주두부(5)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판(11)과, 상기 다수의 고정판(11)과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1) 상부에 위치하면서 타워크레인(C)이 지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판(13)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장치 본체(10); 상기 주두부(5)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는 쉬스관(21)과, 상기 쉬스관(21)에 삽입되면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판(11) 상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다수의 고정판(11)에 결합되면서 인장되는 다수의 강봉(23)을 구비하는 강봉 조립체(20); 및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에 결합된 상기 강봉(23)을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판(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1)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ower crane (C) while being located on the fixing plate 11 and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5) of the piers and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ixing device body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13 to be supported; Sheath pipe 21 is embedded in the head head 5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21, one end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fixing plate 11,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A steel rod assembly 20 having a plurality of steel rods 23 that are coupled and tensioned; And a fixing member 40 for fixing the steel bar 23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body 10 to the fixing plate 11 so as to maintain a tensile force. ).

상기 다수의 고정판(11)들과 대응되도록 상기 주두부(5)에 매설되며, 매설된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강봉(23)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조립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plate assembly 30 embedded in the head head 5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and fixing the steel bars 23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of the embedded steel rod assembly 20. )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30)는 다수의 강봉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강봉(23)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다수의 플레이트(31); 상기 플레이트(31)에 상기 강봉(23)을 고정시키는 너트(32); 및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3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바(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assembly 30 has a plurality of steel bar through hole (31a) is formed to maintain a plurality of plates 31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teel bar (23); A nut (32) for fixing the steel bar (23) to the plate (31);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33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lates 31.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고정판(11) 위에 설치되며 상기 강봉(23)이 관통되는 고정플레이트(41)와, 인장된 상기 강봉(23)을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너트(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40 i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11 and the fixing plate 41 through which the steel bar 23 penetrates, and a fixing nut fixing the tensioned steel bar 23 in the fixing plate 41 ( 43).

상기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1)는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주두부(5)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tower crane fix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50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and the upper head 5.

한편, 본 발명은 교각의 주두부(5)를 형성하는 철근구조물(SR)에 강봉(23)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강봉 조립체(20)를 설치하는 강봉 조립체 설치 단계(S10); 상기 강봉(23)이 소정 길이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주두부(5)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30); 상기 강봉(23)의 노출부위에 고정장치 본체(10)를 장착하는 고정장치 본체 장착 단계(S40); 및 상기 강봉(23)을 인장하여 고정부재(40)로 고정시키는 강봉 인장 후 고정 단계(S70)를 포함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rod assembly installation step (S10) for installing the steel rod assembly 2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bar 23 is fixed to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forming the main head portion 5 of the piers; Concrete pouring step (S30) to form the main head (5)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steel bar 23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 fixing device main body mounting step (S40) for mounting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on an exposed portion of the steel bar 23; And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the bridge comprising a fixing step (S70) after the tension rod to tension the steel bar 23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40.

상기 강봉 조립체 설치 단계(S10) 이후에는 상기 강봉(23)을 플레이트 조립 체(30)를 사용하여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 단계(S20)가 더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steel rod assembly installation step (S10), a plate fixing step (S20) of fixing the separation distance using the steel bar 23 using the plate assembly 30 may be further performed.

상기 고정장치 본체 장착 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주두부(5)에 대한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균형을 맞추는 레벨 조정 단계(S50)가 더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fixing device body mounting step S40, a level adjusting step S50 for balancing the fixing devic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ead head 5 may be further performed.

상기 레벨 조정 단계(S50) 이후에는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주두부(5) 상부에 보강재(5)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 단계(S60)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level adjustment step (S5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ement installation step (S60)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5) on the top of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and the concrete cast head (5) is preferably performed.

본 발명의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고정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교량에 설치 및 분해가 보다 쉬워지므로 시공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두부 상부의 작업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First, since the size of the fixing device can be reduced and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in the bridge is easier,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the work space above the head head can be secured.

둘째, 본 발명은 교량에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를 시공할 경우 주두부에 직접 매설되는 방식으로 고정장치가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평행도를 맞추기가 용이하고 인장된 강봉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타워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tch the parallelism and can support the tower crane more stably by the tensioned steel rod because the fixing device is not mounted in a way that is directly embedded in the head head when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bridge have.

셋째, 타워크레인을 지지하는 부분과 주두부에 설치되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타워크레인의 지지점과 크레인 고정장치의 지지점을 동일선상에 확보하기 때문에 고정장치의 크기와 형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Third, the tower crane support and the crane anchor are secured on the same line while forming the part supporting the tower crane and the part installed on the head, so that the size and shape of the anchor can be designed more efficiently. have.

본 발명은 교각의 주두부(5)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판(11)과, 상기 다수의 고정판(11)과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1) 상부에 위치하면서 타워크레인(C)이 지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판(13)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장치 본체(10); 상기 주두부(5)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는 쉬스관(21)과, 상기 쉬스관(21)에 삽입되면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판(11) 상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다수의 고정판(11)에 결합되면서 인장되는 다수의 강봉(23)을 구비하는 강봉 조립체(20); 및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에 결합된 상기 강봉(23)을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판(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1)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ower crane (C) while being located on the fixing plate 11 and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5) of the piers and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ixing device body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13 to be supported; Sheath pipe 21 is embedded in the head head 5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21, one end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fixing plate 11,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A steel rod assembly 20 having a plurality of steel rods 23 that are coupled and tensioned; And a fixing member 40 for fixing the steel bar 23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body 10 to the fixing plate 11 so as to maintain a tensile force.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가 시공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가 장착된 교각 상부영역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 중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이 며, 도 7은 강봉의 상부와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플레이트 조립체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region of Figure 3, Figure 5 is a tower cran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is mounted, Figure 6 is a picture showing the step before the concrete is cast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steel bar, respectively 8 is a plan view of a plate assembly, and FIG. 8 is a flowchart of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 고정장치(1)는 주부두(5)의 철근구조물(SR)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보다 작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시공된 후 교량의 주두부(5)에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게 되므로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ccupy a smaller area than the conventional one in a range that does not disturb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of the main pier 5. Therefore, since it does not occupy a large area in the main head (5) of the bridge after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working spac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1)는 교각의 주두부(5) 상면에 설치되면서 타워크레인(C)이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주두부(5)의 철근구조물(SR)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며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결합되며 인장되는 강봉(23)을 구비하는 강봉 조립체(20)와,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강봉(23)을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head 5 of the pier while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for supporting the tower crane C, and the head head ( 5) a steel rod assembly 20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of a predetermined depth and having a steel bar 23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to be tensione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teel bar assembly 20 It may include a plate assembly 30 for fixing the steel bar 23 while maintaining.

상기 고정장치 본체(10)는 교각의 주두부(5)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판(11)과, 상기 다수의 고정판(11)과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1) 상부에 위치하면서 타워크레인(C)이 지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판(13)이 일체로 형성된다. The fixing device body 10 is located on the fixing plate 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and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5) of the pier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13 for supporting the tower crane C is integrally formed.

상기 고정판(11)에는 매립된 강봉(23)이 통과하여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강봉관통공(11a){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고정판(11)에 4개의 강봉(23이 관통될 수 있도록 4개가 형성)이 마련된다. 물론, 상기 강봉관통공(11a)은 설치되는 강봉의 개수에 따라 변형가능할 것이다.A plurality of steel bar through holes 11a (in this embodiment, four steel bars 23 may pass through the fixed plate 11 so that the embedded steel bar 23 passes through the fixed plate 11 to be exposed upward). Four are formed). Of course, the steel rod through-hole (11a) will be deformab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eel rods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지지판(13)에는 타워크레인(C)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설치공(13a)이 적절한 개수로 형성(본 실시예에서는 4개)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13a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number (four in this embodiment) so that the support plate 13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wer crane C.

상기 고정판(11)과 지지판(13)은 각각 4개씩 마련되어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4개의 고정판(11)은 하부프레임(12)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4개의 지지판(13)은 상부프레임(14)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접한 상부프레임(14)들은 교차프레임(1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Each of the fixing plate 11 and the supporting plate 13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our fixing plates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lower frames 12, and the four supporting plates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pper frames 14. The adjacent upper frames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ross frame 15.

상기 고정판(11), 하부프레임(12), 지지판(13), 상부프레임(14) 및 교차프레임(15)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 본체(10)는 운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The fixing plate 11, the lower frame 12, the support plate 13, the upper frame 14 and the cross frame 15 are integral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device body 10 is transported, installed and disassembled. Becomes easy.

상기 고정판(11)과 지지판(13)은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4점 지지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1)과 지지판(13)은 연직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교량이 장착되는 고정판(11)과 타워크레인을 지지하는 지지판(13)의 지지점을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크기를 종래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The fixed plate 11 and the support plate 13 is preferably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t the top and bottom has a substantially four-point support form.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xing plate 11 and the supporting plate 13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ing points of the fixing plate 11 on which the bridge is mounted and the supporting plate 13 supporting the tower crane are provided. Since it can be matched, the size of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can be configured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one.

상기 강봉 조립체(20)는 상기 주두부(5)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는 쉬스관(21)과, 상기 쉬스관(21)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고정판(11) 상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다수의 고정판(11)에 결합되는 다수의 강봉(23)을 구비한다.The steel bar assembly 20 is the sheath pipe 21 is embedded in the head head 5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sheath pipe 21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21 and part of the fixed plate 11 while the plurality of fixed plates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el bars (23) coupled to (11).

상기 쉬스관(21)은 중공관으로서 내측에는 강봉(2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은 철근구조물(SR)에 삽입되는데,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주두부(5) 슬라브 내에 완전하게 매립된다.The sheath tube 21 is a hollow tube so that the steel bar 23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SR so that the steel bar 23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is completely embedded in the slab of the head head 5 while concrete is poured.

상기 강봉(23)은 너트(32, 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 혹은 주름이 형성된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봉(23)은 인장되면 탄성 복원하려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강봉(23)이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에 결합된 후에는 인장된 상태로 고정너트(40)로 체결되는데, 인장력이 충분이 작용하여 상기 고정장치 본체(10)를 잡아당김으로써 교량에 더욱 강하게 고정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강봉(23)은 강선 등 긴장력이 주어질 수 있는 다른 소재로 변형 실시가능하다. The steel bar 23 may be made of a reinforcing bar thread or wrinkles so that the nuts (32, 40) can be fastened. In addition, the steel bar 23 preferably has a property to restore elasticity when tensioned. It is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in a tensioned state after the steel bar 23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the tensile force is sufficient to act the holding device main body 10 This is to make it more firmly fixed to the bridge by pulling the. Therefore, the steel bar 23 can be modified to other materials that can be given a tension force such as steel wire.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30)는 상기 다수의 고정판(11)들과 대응되도록 상기 주두부(5)에 매설되는데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거나, 상기 강봉(23)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plate assembly 30 is embedded in the head head 5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teel bar assembly 20 or to fix the steel bar 23. do.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30)는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상부와 하부에 2개가 동일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plate assembly 30 may be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teel rod assembly 20 in the same form or different forms.

먼저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3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두부(5)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플레이트(31)와 너트(32) 및 연결바(33)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4 to 7, the plate assembly 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ar assembly 20 is positioned above the head head 5 to determin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teel bar assembly 20. The plate 31 and the nut 32 and the connecting bar 33 to maintain.

상기 플레이트(31)는 사각형상의 판재로서 강봉 조립체(20)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강봉관통공(31a)이 형성되어 강봉(23)들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킨다.The plate 31 is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a plurality of steel rod through holes 31a through which the steel rod assembly 20 can pass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teel bars 23.

그리고 강봉관통광(31a)을 통과한 강봉 조립체(20)에 너트(32)를 체결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nut 32 may be fastened to the steel rod assembly 2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el rod through light 31a.

다수의 플레이트(31)는 연결바(33)에 의해 이격 거리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바(33)는 철근으로 마련되어 현장 시공과정에서 플레이트(31)에 용접하는 방식으로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tes 31 are controlled by the connecting bar 33, the separation distance. For example, the connecting bar 33 may be provided as a reinforcing bar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y welding to the plate 31 in the field construction process.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30)는 상기 강봉(23)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플레이트 조립체(30)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강봉(23)의 하부와 철근구조물(SR)을 상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late assembly 30 provided below the steel rod assembly 20 serves to fix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bar 23. Likewise, the above-described plate assembly 30 may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part of the steel bar 23 and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may be formed by a plate 35 which may be fixed by mutual welding or the like. .

따라서, 상기 강봉(23)은 하부가 고정되므로 상기 강봉(23)은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에 결합된 후 인장된 상태로 고정부재(40)에 의해 체결되면서 고정장치 본체(10)에 인장력을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강봉(23)은 별도의 잭(jack) 등의 인장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연직방향 상부로 인장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ower bar 23 is fixed to the lower bar 23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is fastened by the fixing member 40 in the tensioned state fixed body main body Tensile force can be applied to (10). For reference, the steel bar 23 may be tension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a tension device (not shown), such as a separate jack (jack).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고정판(11) 위에 설치되며 상기 강봉(23)이 관통되는 고정플레이트(41)와, 인장된 상기 강봉(23)을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너트(43)를 포함한다.The fixing member 40 i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11 and the fixing plate 41 through which the steel bar 23 penetrates, and a fixing nut fixing the tensioned steel bar 23 in the fixing plate 41 ( 43).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는 상기 고정판(11)에 형성된 강봉관통공(11a)을 통과한 강봉(23)이 강봉관통공(11a)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봉관통공(11a)의 크기보다 작은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 트(41)는 상기 고정판(1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어 상기 강봉(23)의 인장시 잭 등의 도구를 사용할 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plate 4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teel rod through hole (11a) to prevent the steel bar 23 passing through the steel rod through hole (11a) formed in the fixing plate 11 to shake in the steel rod through hole (11a). Through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The fixing plate 4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xing plate 11 is installed when using a tool such as a jack during the tension of the steel bar (23).

상기 고정너트(43)는 상기 강봉(23)이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에 결합된 후 인장된 상태로 체결될 때 사용한다. The fixing nut 43 is used when the steel bar 23 is fastened in a tensioned state after being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body 10.

한편, 강봉 조립체(20)와, 플레이트 조립체(30)가 교량의 철근구조물(SR)에 장착되면 플레이트 조립체(30)의 하부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주두부(5) 슬라브가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30)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완전히 해체하여 매설될 수도 있으며 플레이트(31)에 체결된 너트(32)를 풀어서 매설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teel rod assembly 20 and the plate assembly 30 are mounted on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SR of the bridge, concrete is poured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assembly 30 to make the head head 5 slab. At this time, the plate assembly 30 may be completely dismantled and embedded before placing concrete, and may be embedded by loosening the nut 32 fastened to the plate 31.

상기 주두부(5) 슬라브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전술한 고정장치 본체(10)가 강봉 조립체(20)에 결합되고, 상기 강봉(23)은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에 결합된 후 고정부재(40)의 고정플레이트(41)가 끼워지면서 잭 등에 의해 인장된다. 그리고 강봉(23)은 인장된 상태로 고정너트(43)로 체결되면서 고정장치 본체(10)에 인장력을 작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head head 5 slab is made, the aforementioned fixing device body 10 is coupled to the steel bar assembly 20, and the steel bar 23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body 10. After the fixing plate 41 of the fixing member 40 is fitted, it is tensioned by a jack or the like. And the steel bar 23 is coupled to the fixing nut 43 in a tensioned state to be able to exert a tensile force on the fixing device body (10).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 본체(10)가 강봉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상기 주두부(5)에 대한 고정장치 본체(10)의 균형을 맞추는 레벨 조절단계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fixing device body 10 is coupled to the steel rod assembly 2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level adjustment step of balancing the fixing devic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ead head (5).

이때,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주두부(5)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보강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재(50)로는 무수축 몰타르가 사용되는데, 무수축 몰타르는 콘크리트의 2배 이상의 강도를 가지며 주두부(5)에 장착된 상기 고정장치 본체(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ember 5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and the upper head 5 upper surface. As the reinforcing material 50, non-shrink mortar is used, and the non-shrink mortar has more than twice the strength of concrete and more firmly fixes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mounted on the head head 5.

이하, 본 발명의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a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로이다.8 is a flow chart of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도면들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은 먼저, 교각의 주두부(5)를 형성하는 철근구조물(SR)에 강봉(23)과 쉬스관(21)을 매설하는 강봉 조립체 설치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쉬스관(21)은 중공관으로서 외측이 주두부(5)를 형성하는 철근구조물(SR)에 인접되도록 강봉(23)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Figure 8,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the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steel bar 23 and the sheath pipe ( Performing the steel rod assembly installation step (S10) for embedding 21). The sheath tube 21 is a hollow tube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steel bar 23 so that the outside is adjacent to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forming the head head (5).

상기 강봉 조립체(20)는 상기 강봉(23)을 하부가 고정되도록 철근구조물(SR)에 매설된 후 상기 쉬스관(21)을 강봉(23)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하면서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봉(23)은 고정부재(40)의 고정너트(4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 혹은 주름이 형성된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긴장력이 도입될 수 있는 부재라면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The steel bar assembly 20 may be installed while being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SR)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bar 23 is fixed while inserting the sheath tube 21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teel bar (23). Here, the steel bar 23 may be made of a reinforcing bar thread or wrinkles so that the fixing nut 43 of the fixing member 40 can be fastened, and can be deformed as long as the memb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tension force.

여기서 상기 강봉 조립체(20)는 주두부(5)를 형성하는 철근구조물(SR)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교량 시공단계에서 크레인을 설치하려고 하는 경우에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다. Since the steel bar assembly 20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d apart space of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SR forming the head head 5, since no separate space is required, the steel bar assembly 2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bridge construction step. Can be constructed.

상기 강봉 조립체(20)가 설치되면, 상기 강봉(23)을 플레이트 조립체(30)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 단계(S20)가 수행된다.When the steel rod assembly 20 is installed, the plate fixing step (S20) of fixing the steel rod 23 using the plate assembly 30 is performed.

상기 플레이트 고정 단계(S20)는 다수의 강봉(23)들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 면서 콘크리트 타설시에 그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강봉(23)들을 지지한다.The plate fixing step S20 supports the steel bars 23 so that their positions do not change during concrete pouring while maintain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lurality of steel bars 23.

도 6에 첨부된 사진처럼 상기 강봉 조립체(20)와, 플레이트 조립체(30)가 교량의 철근구조물(SR)에 장착되면 플레이트 조립체(30)의 하부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주두부(5) 슬라브를 형성하게 된다.When the steel rod assembly 20 and the plate assembly 30 are mounted on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SR of the bridge as shown in the photograph attached to FIG. 6, concrete is poured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assembly 30 so that the slab head 5 may be slabed. To form.

그러므로 상기 플레이트 고정 단계(S20) 이후에는 상기 강봉(23)이 소정 길이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30)가 수행된다.Therefore, after the plate fixing step (S20), the concrete placing step (S30) for placing concrete so that the steel bar 23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performed.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S30)에서는 플레이트 조립체(30)의 상부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주두부(5) 슬라브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에 주두부(5) 슬라브에는 상기 강봉(23)의 상부 영역만이 노출된다.In the concrete pouring step (S30), the concrete is pou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assembly 30 to form a head head 5 slab, so that only the upper region of the steel bar 23 is exposed to the head head 5 slab. do.

상기 주두부(5)가 완성되면, 상기 강봉(23)의 노출 부위에 고정장치 본체(10)를 장착하는 고정장치 본체 장착 단계(S40)가 수행된다.When the head head 5 is completed, a fixing device main body mounting step (S40) of mounting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to the exposed portion of the steel bar 23 is performed.

상기 고정장치 장착 단계(S40)에서는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을 노출된 강봉(23)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정판(11)의 강봉관통공(11a)에 강봉(23)들의 노출부위가 통과하면서 상기 고정장치(10)는 상기 강봉(23)에 장착된다.In the fixing device mounting step (S40),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body 10 is coupled to the exposed steel bar 23. That is, while the exposed portion of the steel bars 23 passes through the steel bar through-hole 11a of the fixing plate 11, the fixing device 10 is mounted to the steel bar 23.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 본체(10)가 강봉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상기 주두부(5)에 대한 고정장치 본체(10)의 균형을 맞추는 레벨 조절 단계(S50)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fixing device body 10 is coupled to the steel rod assembly 20, the level adjusting step (S50) of balancing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ead head 5 may be performed together.

상기 고정장치 본체(10)가 장착되고 레벨이 조절 된 이후에는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주두부(5) 상부에 보강재(50)를 설치하는 보강 재 설치 단계(S60)가 수행된다.After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is mounted and the level is adjusted, the reinforcement re-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50 on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and the head of the concrete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S60) Is performed.

즉, 상기 보강재(50)는 무수축 몰타르를 타설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강개 설치 단계(S60)를 통해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주두부(5)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보강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재(50)로 무수축 몰타르가 사용되는데, 무수축 몰타르는 콘크리트의 2배 이상의 강도를 가지며 주두부(5)에 장착된 상기 고정장치 본체(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That is, the reinforcing material 50 may be made by pouring non-shrink mortar, the reinforcing material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and the upper head 5 through the reinforcing dog installation step (S60). 50) is installed. As the reinforcing material 50, the non-shrink mortar is used, the non-shrink mortar has more than twice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and to more firmly fix the fixing device body 10 mounted on the head (5).

이어서, 고정판(11)을 통과한 상기 강봉(23)에 고정부재(40)의 고정플레이트(41)를 설치하고, 강봉(23)을 인장시킨 후 고정너트(43)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강봉 인장 후 고정 단계(S70)가 수행된다.Subsequently, the steel bar 23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41 of the fixing member 40 to the steel bar 23 passing through the fixing plate 11, the steel bar 23 is tensioned, and then the steel bar tension is fixed by fastening with a fixing nut 43. After the fixing step (S70) is performed.

상기 강봉(23)은 잭(jack)을 통해 연직 상부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으며, 인장된 후에는 고정너트(43)로 체결한다. 예를 들어, 300bar의 인장력을 주어 1cm 가량 강봉(23)을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봉(23)에 주어진 인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 본체(10)는 교량에 대한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The steel bar 23 may be tens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jack (jack), and after being tensioned, is fastened with a fixing nut 43. For example, by giving a tensile force of 300 bar can be made to increase the steel bar 23 by about 1cm. Therefore, by the tensile force given to the steel bar 23, the fastening force to the bridge body 10 can be strengthened to the bridg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용 타워크레인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교량에 설치 및 분해가 보다 쉬워지므로 시공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두부 상부의 작업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fixing device for installing the tower crane for the bridg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antled in the bridg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securing a large work space on the upper head. Can be.

즉, 타워크레인을 지지하는 부분과 주두부에 설치되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타워크레인의 지지점과 크레인 고정장치의 지지점을 동일선상에 확보하기 때문에 고정장치의 크기와 형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size and shape of the fixing device more efficiently because the support points of the tower crane and the supporting point of the crane fixing device are secured on the same line while integrally forming the parts supporting the tower crane and the parts installed in the head head. have.

또한 본 발명은 교량에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를 시공할 경우 주두부 상부가 이격되게 고정장치가 장착되므로 평행도를 맞추기가 용이하고 인장된 강봉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타워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tch the parallelism and the tower crane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tensioned steel rods because the fixing device is mounted so that the upper head is spaced apart when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bridge.

전술한 본 발명의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는 교량의 시공단계에서 철근구조물(SR)에 강봉 조립체(20), 플레이트 조립체(30)는 주두부(5)를 형성하는 철근구조물(SR)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교량 시공단계에서 크레인을 설치하려고 하는 경우에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brid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forming the steel rod assembly (20) and the plate assembly (30) on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at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bridge (5). Since it can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since no separate space is required, it can be easily installed when the crane is installed in the bridge construction stage.

또한, 크레인 고정장치에 위해 탑재된 크레인(C)의 사용이 끝난후에는 강봉(23)에 결합된 고정너트(43)를 해체하고, 강봉(23) 상부 및 보강재(50)를 해체하면 되기 때문에 교량 시공후에도 분해가 용이하다.In addition, after the use of the crane (C) mounted for the crane fixing device is finished, the fixing nut 43 coupled to the steel bar 23 is dismantled, and thus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ar 23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50 may be dismantled. It is easy to disassemble after the bridge construction.

또한, 분해가 끝난 고정장치 본체(10)는 강봉(23)에서 일체로 착탈되는 구조이므로 얼마든지 재사용이 가능하며, 종래보다 크기와 무게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운반이 쉬워 그 해체 및 사용이 훨신 편리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disassembled fixing device body 10 is integrally detached from the steel bar 23, it can be reused as much as possible, and its size and weight are drastically reduced than before. Becom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wer crane fixing device.

도 2는 도 1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가 교각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of Figure 1 mounted on the pier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가 시공된 상태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of the tow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영역에 대한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가 장착된 교각 상부영역에 대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s equipped with the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 중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단계를 보여주는 사진.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ep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강봉의 상부와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플레이트 조립체에 대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plate assembly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steel rod, respectively.

도 8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Figure 8 is a flow diagram of one embodiment fo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5 : 주두부 10 : 고정장치 본체 1: Tower Crane Fixing Device 5: Head Head 10: Fixing Device

11 : 고정판 12 : 하부프레임 13 : 지지판11 fixed plate 12 lower frame 13 support plate

14 : 상부프레임 15 : 교차프레임 20 : 강봉 조립체14: upper frame 15: cross frame 20: steel rod assembly

21 : 쉬스관 23 : 강봉 30 : 플레이트 조립체21 Sheath pipe 23 Steel rod 30 Plate assembly

31 : 플레이트 33 : 측면연결바 35 : 내측연결바 31 plate 33 side connection bar 35 inner connection bar

40 : 고정너트 50 : 무수축 몰타르 C : 타워크레인40: fixing nut 50: non-contraction mortar C: tower crane

S10 : 쉬스관 매설 단계 S20 : 강봉 설치 단계S10: Sheath pipe buried step S20: Steel rod installation step

S30 : 플레이트 고정 단계 S40 : 콘크리트 타설 단계S30: plate fixing step S40: concrete pouring step

S50 : 고정장치 장착 단계 S60 : 몰타르 타설 단계S50: Fixing device mounting step S60: Maltar pouring step

S70 : 너트 체결 단계S70: Nut Fastening Step

Claims (9)

삭제delete 교각의 주두부(5)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판(11)과, 상기 다수의 고정판(11)과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1) 상부에 위치하면서 타워크레인(C)이 지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판(13)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장치 본체(10);A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pier 5 and the tower crane C are supported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fixing plates 11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ixing apparatus main body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late 13; 상기 주두부(5)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는 쉬스관(21)과, 상기 쉬스관(21)에 삽입되면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판(11) 상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다수의 고정판(11)에 결합되면서 인장되는 다수의 강봉(23)을 구비하는 강봉 조립체(20);Sheath pipe 21 is embedded in the head head 5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inserted into the sheath pipe 21, one end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fixing plate 11,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A steel rod assembly 20 having a plurality of steel rods 23 that are coupled and tensioned;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고정판(11)에 결합된 상기 강봉(23)을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판(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 및A fixing member 40 fixing the steel bar 23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device body 10 to the fixing plate 11 to maintain a tensile force; And 상기 다수의 고정판(11)들과 대응되도록 상기 주두부(5)에 매설되며, 매설된 상기 강봉 조립체(20)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강봉(23)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조립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1).At least one plate assembly 30 embedded in the head head 5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 and fixing the steel bars 23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of the embedded steel rod assembly 20.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30)는 The plate assembly 30 다수의 강봉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강봉(23)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다수의 플레이트(31);A plurality of plates 31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eel bar through-holes 31a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teel bars 23; 상기 플레이트(31)에 상기 강봉(23)을 고정시키는 너트(32); 및A nut (32) for fixing the steel bar (23) to the plate (31); And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3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바(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 크레인 고정장치(1).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connecting bars (33)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lates (31).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고정판(11) 위에 설치되며 상기 강봉(23)이 관통되는 고정플레이트(41)와, 인장된 상기 강봉(23)을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너트(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 크레인 고정장치(1).The fixing member 40 i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11 and the fixing plate 41 through which the steel bar 23 penetrates, and a fixing nut fixing the tensioned steel bar 23 in the fixing plate 41 ( Tower crane fixing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43).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1)는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the bridge (1)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주두부(5)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inforcement (50)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and the head head (5). 삭제delete 교각의 주두부(5)를 형성하는 철근구조물(SR)에 강봉(23)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강봉 조립체(20)를 설치하는 강봉 조립체 설치 단계(S10);Steel rod assembly installation step (S10) for installing the steel rod assembly 2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bar 23 is fixed to the reinforcing structure (SR) forming the main head portion 5 of the piers; 상기 강봉(23)을 플레이트 조립체(30)를 사용하여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 단계(S20);A plate fixing step (S20) of fixing the separation distance using the steel bar (23) using the plate assembly (30); 상기 강봉(23)이 소정 길이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주두부(5)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30);Concrete pouring step (S30) to form the main head (5)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steel bar 23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강봉(23)의 노출부위에 고정장치 본체(10)를 장착하는 고정장치 본체 장착 단계(S40); 및A fixing device main body mounting step (S40) for mounting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on an exposed portion of the steel bar 23; And 상기 강봉(23)을 인장하여 고정부재(40)로 고정시키는 강봉 인장 후 고정 단계(S70)를 포함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a bridge comprising a fixing step (S70) after tensioning the steel bar to tension the steel bar (23) to fix the fixing member (40).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고정장치 본체 장착 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주두부(5)에 대한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의 균형을 맞추는 레벨 조정 단계(S50)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After the fixing device body mounting step (S40),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adjustment step (S50) for balancing the fixing devic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ead head (5) is further performed. Construc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레벨 조정 단계(S50) 이후에는 상기 고정장치 본체(10)와 상기 콘크리 트가 타설된 주두부(5) 상부에 보강재(5)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 단계(S60)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의 시공방법.After the level adjustment step (S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nstallation step (S60) for instal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5) on which the fixing device body 10 and the concrete is poured is further perform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wer crane fixing device for bridges.
KR1020090102641A 2009-10-28 2009-10-28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975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41A KR100975841B1 (en) 2009-10-28 2009-10-28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41A KR100975841B1 (en) 2009-10-28 2009-10-28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841B1 true KR100975841B1 (en) 2010-08-13

Family

ID=4275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41A KR100975841B1 (en) 2009-10-28 2009-10-28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8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51B1 (en) * 2015-08-17 2016-03-18 주식회사 한국교량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using tendons and jig frame
KR101740273B1 (en) 2015-01-31 2017-05-29 (주)다올산업 Fixing device for tower cra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283U (en) * 1993-11-01 1995-06-16 Square Structural Anchors for Tower Cranes
KR200177602Y1 (en) 1998-04-16 2000-04-15 동정태 A structure for mounting a tower crane
KR20010077602A (en) * 2000-02-03 2001-08-20 이종훈 The Preventive Diagnostic System for the Electric Power Substation Equipments
KR20040039935A (en) * 2002-11-05 2004-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Powder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KR200439935Y1 (en) * 2007-01-30 2008-05-14 위너건설(주) device of fixing tower crane for bridge
KR20080068306A (en) * 2007-01-19 2008-07-23 송성용 Base structure of a tower cra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283U (en) * 1993-11-01 1995-06-16 Square Structural Anchors for Tower Cranes
KR200177602Y1 (en) 1998-04-16 2000-04-15 동정태 A structure for mounting a tower crane
KR20010077602A (en) * 2000-02-03 2001-08-20 이종훈 The Preventive Diagnostic System for the Electric Power Substation Equipments
KR20040039935A (en) * 2002-11-05 2004-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Powder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KR20080068306A (en) * 2007-01-19 2008-07-23 송성용 Base structure of a tower crane
KR200439935Y1 (en) * 2007-01-30 2008-05-14 위너건설(주) device of fixing tower crane for brid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273B1 (en) 2015-01-31 2017-05-29 (주)다올산업 Fixing device for tower crane
KR101604751B1 (en) * 2015-08-17 2016-03-18 주식회사 한국교량 Tower crane fixing apparatus using tendons and jig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157U (en) A simple tower instrument in a high-rise bridge.
JP5065179B2 (en) Formwork device
JP6289046B2 (en) Temporary stand
JP4597921B2 (en) How to build a pier
ITMI20091559A1 (en) IMPROVED FOUNDATION FOR WIND TOWER
KR102072685B1 (en) Bridge using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6663600B2 (en) Temporary scaffolding of pile type floating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354641B1 (en) Partially earth-anchored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main span prestressing appratus and anchoring box
KR200439935Y1 (en) device of fixing tower crane for bridge
JP2007154544A (en) Floor board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plate
KR100975841B1 (en) Tower crane fix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4472726B2 (en) Base-isolated building structure
JP2008106569A (en) Rope type repairing scaffold and floating body type repairing scaffold
KR101232329B1 (en) Integr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ed and concrete-filled tube
JP2004183433A (en)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H02503099A (en) Cable support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CN216892017U (en) Tie beam integral casting template in template connecting piece and lower stand
CN113737661B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concrete combined section of tower base of cable-stayed bridge
CN212200032U (en) Bridge pier column reinforcing bar location placenta
CN211596427U (en) Pier top assembly type triangular bracket
JP2018178588A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JP2015055079A (en) Anchor fr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chor structure using the anchor frame
KR101352956B1 (en)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CN111172863A (en) Bridge pier column reinforcing bar location placenta
CN207891754U (en) A kind of continuous girders by suspension grouting 0# block cast-in-place sup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