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511B1 -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511B1
KR100975511B1 KR1020080014986A KR20080014986A KR100975511B1 KR 100975511 B1 KR100975511 B1 KR 100975511B1 KR 1020080014986 A KR1020080014986 A KR 1020080014986A KR 20080014986 A KR20080014986 A KR 20080014986A KR 100975511 B1 KR100975511 B1 KR 10097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life
output
operat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686A (ko
Inventor
장세일
Original Assignee
장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일 filed Critical 장세일
Priority to KR102008001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5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8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specially adapted for the type of battery or accumulator
    • G01R31/38Primary cells, i.e. not recharge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에 관한 것으로,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압을 기초로 설정된 기준전압(Reference Voltage, Vref)을 출력하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130);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복수의 분배전압(Vd1, Vd2, Vd3, Vd4)을 출력하는 전압분배부(140); 수명을 확인하고자 하는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를 실장하는 건전지실장슬롯; 입력단자가 상기 전압분배부(140)와 건전지실장슬롯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전압분배부(140)에서 출력되는 분배전압(Vd1, Vd2, Vd3, Vd4)과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상기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분배전압(Vd1, Vd2, Vd3, Vd4)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부(150); 및 상기 전압비교부(150)에서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LED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는 교체가 용이한 코인형 건전지로 이루어져 DC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의 출력단에는 누르고 있을 경우에만 스위칭 온(switching on) 동작하여 회로 전체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푸시버턴스위치(120)가 더 연결되며,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은 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건전지실장슬롯과 A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건전지실장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력 소비를 최소로 하면서 정확한 값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건전지, 수명, 확인, 잔류전압, 측정, 표시, 기준전압, 전압분배

Description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PORTABLE CHECKER FOR BATTERY LIFE}
본 발명은 건전지 수명 확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가능한 단품으로 구현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표시하며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 중인 건전지의 잔류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다양한 구성에 의해서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10-1999-0042202호에 의해서 개시된 "리모콘의 전원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공개특허 10-1998-0040815호 의해서 개시된 "건전지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공개특허 10-1990-0005359호에 의해서 개시된 "표시소자의 최저 동작전압 표시방법", 공개특허 10-1996-0019021호에 의해서 개시된 "건전지 잔류 상태 표시장치", 공개실용신안 20-1986-0006726호에 의해서 개시된 "건전지의 수명 표시장치", 공개특허 10-1997-0018797호에 의해서 개시된 "사용여부 식별가능 건전지", 공개실용신안 20-1998-0024091호에 의해서 개시된 "리모콘의 건전지 교환시기 표시장치", 공개특허 10-1989-0007138호에 의해서 개시된 "건전지 교체시 계수표시장치의 기능선택회로", 공개특허 10-1994-0002750호에 의해서 개시된 "학습교재용 건전지 세기 측정기", 등록실용 0195738호에 의해서 개시된 "건전지 테스트기", 공개실용 20-1995-0023970호에 의해서 개시된 "사용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는 건전지", 공개실용 20-1994-0025729호에 의해서 개시된 "리모트콘트롤러의 건전지 용량 표시장치"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전지의 수명을 확인하는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는 건전지 자체에 건전지의 잔류전압을 표시하는 기능이 있거나, 리모콘이나 제품 본체에 부설되어 있었고, 또한 실제로 회로를 구성하여 제품화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과는 전혀 다른 구성에 의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를 창작하였는 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의 목적은, 사용 중인 건전지의 수명을 사용자에게 일견하여 알 수 있도록 표시하며, 제품을 동작하기 위한 동작전압공급배터리의 전압이 소모되더라도 정전압의 기준전압을 항상 공급하여 정확한 건전지의 잔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건전지의 잔류 수명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만 제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제품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압공급배터리를 코인형 건전지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작전압공급배터리를 직접 교 체할 수 있도록 하며, AA사이즈의 건전지 및 AAA사이즈의 건전지를 모두 체크할 수 있도록 하며, 비용을 최소로 하면서 정확하고도 신뢰성 있는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는,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압을 기초로 설정된 기준전압(Reference Voltage, Vref)을 출력하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130);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복수의 분배전압(Vd1, Vd2, Vd3, Vd4)을 출력하는 전압분배부(140); 수명을 확인하고자 하는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를 실장하는 건전지실장슬롯; 입력단자가 상기 전압분배부(140)와 건전지실장슬롯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전압분배부(140)에서 출력되는 분배전압(Vd1, Vd2, Vd3, Vd4)과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상기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분배전압(Vd1, Vd2, Vd3, Vd4)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부(150); 및 상기 전압비교부(150)에서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LED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는 교체가 용이한 코인형 건전지로 이루어져 DC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의 출력단에는 누르고 있을 경우에만 스위칭 온(switching on) 동작하여 회로 전체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푸시버턴스위치(120)가 더 연결되며,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은 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건전지실장슬롯과 A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건전지실장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과는 다른 구성에 의해서, 정확하고도 신뢰성 있는 건전지의 수명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와 같은 최소의 구성에 의해서 제품을 구현함으로써 제품 코스트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LED의 발광 개수에 의해서 건전지의 수명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전지의 수명을 시각적으로 한 눈에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션트 레률레이터의 구성에 의해서, 제품을 동작하기 위한 동작전압공급배터리의 전압이 소모되더라도 정전압의 기준전압만을 항상 공급하여 정확한 건전지의 잔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푸시버튼스위치의 구성에 의해서 푸시버튼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제품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동작전압공급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휴대하면서 언제든지 사용 중인 건전지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압공급배터리를 코인형 건전지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작전압공급배터리를 용이하고도 간단하게 직접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를 실장하는 건전지실장슬롯을 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건전지실장슬롯과 A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건전지실장슬롯으로 구성함으로써, AA사이즈의 건전지 및 AAA사이즈의 건전 지를 모두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1.2V, 1,3V, 1.4V, 1.5V의 0.1V의 전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정확성을 가지고 있어서 필요한 소형 가전의 적시 적소에 건전지 잔량을 판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사용자의 건전지 수명을 확인시켜 필요 없는 건전지와 사용 가능한 건전지를 구분 판별 가능하기 때문에 현명하고 효율적인 소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 번째, 환경 문제 또한 최대한 건전지를 소모시켜 전해액의 유실로 인한 환경 문제에 관해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는, DC(Direct Current)전압을 공급하는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와,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에 연결되어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압을 기초로 설정된 정전압인 기준전압(Reference Voltage, Vref)을 출력하는 션트 레규레이터(shunt regulator)(130)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에 연결되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복수의 분배전압(Vd1, Vd2, Vd3, Vd4)을 출력하는 전압분배부(140)와, 수명을 확인하고자 하는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를 실장하는 건전지실장슬롯(미도시)와, 입력단자가 상기 전압분배부(140)와 건전지실장슬롯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전압분배부(140)에서 출력되는 분배전압(Vd1, Vd2, Vd3, Vd4)과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상기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분배전압(Vd1, Vd2, Vd3, Vd4)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부(150)와, 상기 전압비교부(150)에서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LED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는 코인형 건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동작전압공급배터리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직접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건전지실장슬롯(미도시)은, 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건전지실장슬롯(미도시)과 A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건전지실장슬롯(미도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두 종류의 건전지에 대하여 모두 수명 확인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는, 상기 동작전압공 급배터리(1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서 스위치를 누르고 있을 경우에만 스위칭 온(switching on) 동작하여 회로 전체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 푸시버턴스위치(12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푸시버턴스위치(120)를 누르는 동안에만 전류가 흐르므로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전압분배부(140)는,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에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제1 분배전압(Vd1)을 출력하는 제1 전압분배기(141)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에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제2 분배전압(Vd2)을 출력하는 제2 전압분배기(142)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에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제3 분배전압(Vd3)을 출력하는 제3 전압분배기(143)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에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제4 분배전압(Vd4)을 출력하는 제4 전압분배기(1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압분배기(Vd1)는 일정비율로 전압을 배분하기 위하여 2 개의 저항소자(Ra, Rb)로 구성되고, 제2 전압분배기(Vd2)는 일정비율로 전압을 배분하기 위하여 2 개의 저항소자(Rc, Rd)로 구성되고, 제3 전압분배기(Vd3)는 일정비율로 전압을 배분하기 위하여 2 개의 저항소자(Re, Rf)로 구성되고, 제4 전압분배기(Vd4)는 일정비율로 전압을 배분하기 위하여 2 개의 저항소자(Rg, Rh)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예컨대 상기 저항(Ra)과 저항(Rc)과 저항(Re)과 저항(Rg)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구성하고 저항(Rb) > 저항(Rd) > 저항(Rf) > 저항(Rh)가 되도록 저항값을 구성하면, 제1 분배전압(Vd1) < 제2 분배전압(Vd2) < 제3 분배전압(Vd3) < 제4 분배전압(Vd4)이 된다.
상기 전압비교부(150)는, 상기 제1 전압분배기(141)로부터 출력되는 제1 분배전압(Vd1)을 반전단자로 인가받고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인가받아서, 제1 분배전압(Vd1)과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제1 분배전압(Vd1)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압비교기(151)와, 상기 제2 전압분배기(142)로부터 출력되는 제2 분배전압(Vd2)을 반전단자로 인가받고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인가받아서, 제2 분배전압(Vd2)과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제2 분배전압(Vd2)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압비교기(152)와, 상기 제3 전압분배기(143)로부터 출력되는 제3 분배전압(Vd3)을 반전단자로 인가받고,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인가받아서, 제3 분배전압(Vd3)과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제3 분배전압(Vd3)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전압비교기(153)와, 상기 제4 전압분배기(144)로부터 출력되는 제4 분배전압(Vd4)을 반전단자로 인가받고,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인가받아서, 제4 분배전압(Vd4)과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제4 분배전압(Vd4)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 전압비교기(1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LED 표시부(160)는, 상기 제1 전압비교기(15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압비교기(151)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제1 LED(161)와, 상기 제2 전압비교기(15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압비교기(152)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제2 LED(162)와, 상기 제3 전압비교기(15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전압비교기(153)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제3 LED(163)와, 상기 제4 전압비교기(154)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전압비교기(154)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제4 LED(1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는, 상기 제1 전압비교기(151)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전압공급 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제1 LED(161) 또는 제1 전압비교기(151)로 유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푸시버턴스위치(120)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전압비교기(151)의 출력단과 제1 LED(161)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는 제1 저항소자(R1)와, 상기 제2 전압비교기(152)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제2 LED(162) 또는 제2 전압비교기(152)로 유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푸시버턴스위치(120)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전압비교기(152)의 출력단과 제2 LED(162)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는 제2 저항소자(R2)와, 상기 제3 전압비교기(153)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제3 LED(163) 또는 제3 전압비교기(153)로 유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푸시버턴스위치(120)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3 전압비교기(153)의 출력단과 제3 LED(163)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는 제3 저항소자(R3)와, 상기 제4 전압비교기(154)로부터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상기 제4 LED(164) 또는 상기 제4 전압비교기(154)로 유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푸시버턴스위치(120)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4 전압비교기(154)의 출력단과 제4 LED(164)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는 제4 저항소자(R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예컨대, 제1 분배전압(Vd1)이 1.2V이고 제2 분배전압(Vd2)이 1.3V이고 제3 분배전압(Vd3)이 1.4V이고 제4 분배전압(Vd4)이 1.5V가 되도록 전압분배부(140)를 구성하고 션트 레귤레이터(130)의 기준전압(Vref)을 설정한다.
이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이 1.48V라고 하면, 제1 전압비교기(151)와 제2 전압비교기(152)와 제3 전압비교기(153)는 LED 구동제어신호(예컨대 논리신호 하이(high))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1 저항소자(R1)와 제2 저항소자(R2)와 제3 저항소자(R3)로 흐르는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의 전류는 상기 논리신호 하이(high)의 LED 구동제어신호에 의해서 각각 제1 LED(161)와 제2 LED(162)와 제3 LED(163)로 유입되고, 그 결과 제1 LED(161)와 제2 LED(162)와 제3 LED(163)는 각각 고유의 색상(예컨대, 제1 LED(161)는 적색, 제2 LED(162)는 주황색, 제3 LED(163)는 황색)으로 발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이 1.48V인 경우, 제4 전압비교기(154)는 제4 분배전압(Vd4)이 잔류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제4 전압비교기(154)가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제4 저항소자(R4)로 흐르는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의 전류는 제4 LED(164)로 흐르지 못하고 제4 전압비교기(154)로 유입되어서 접지로 흘러나간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의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동작전압공급배터리 120 ; 푸시버턴스위치
130 ; 션트 레규레이터 140 ; 전압분배부
141 ; 제1 전압분배기 142 ; 제2 전압분배기
143 ; 제3 전압분배기 144 ; 제4 전압분배기
150 ; 전압비교부 151 ; 제1 전압비교기
152 ; 제2 전압비교기 153 ; 제3 전압비교기
154 ; 제4 전압비교기 160 ; LED 표시부
161 ; 제1 LED 162 ; 제2 LED
163 ; 제3 LED 164 ; 제4 LED
10 ;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

Claims (7)

  1. 삭제
  2.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압을 기초로 설정된 기준전압(Reference Voltage, Vref)을 출력하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130);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130)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아서 복수의 분배전압(Vd1, Vd2, Vd3, Vd4)을 출력하는 전압분배부(140); 수명을 확인하고자 하는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를 실장하는 건전지실장슬롯; 입력단자가 상기 전압분배부(140)와 건전지실장슬롯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전압분배부(140)에서 출력되는 분배전압(Vd1, Vd2, Vd3, Vd4)과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에 실장된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을 비교한 후 상기 '수명 확인대상 건전지'(10)의 잔류전압값이 분배전압(Vd1, Vd2, Vd3, Vd4)값 이상인 경우 LED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비교부(150); 및 상기 전압비교부(150)에서 출력되는 LED 구동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공급받아서 발광 동작하는 LED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는 교체가 용이한 코인형 건전지로 이루어져 DC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동작전압공급배터리(110)의 출력단에는 누르고 있을 경우에만 스위칭 온(switching on) 동작하여 회로 전체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푸시버턴스위치(120)가 더 연결되며,
    상기 건전지실장슬롯은 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건전지실장슬롯과 AAA사이즈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건전지실장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14986A 2008-02-19 2008-02-19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KR100975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986A KR100975511B1 (ko) 2008-02-19 2008-02-19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986A KR100975511B1 (ko) 2008-02-19 2008-02-19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686A KR20090089686A (ko) 2009-08-24
KR100975511B1 true KR100975511B1 (ko) 2010-08-11

Family

ID=4120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986A KR100975511B1 (ko) 2008-02-19 2008-02-19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1366A (zh) * 2013-05-27 2014-12-03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一种电池电量显示电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409A (ja) * 2000-05-26 2002-02-15 Araco Corp 電動車両のバッテリ残量計
KR20030091903A (ko) * 2003-11-14 2003-12-03 오석흥 벼 글루탐산탈탄산효소 유전자
KR20050003848A (ko) * 2003-07-04 2005-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에서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KR200391903Y1 (ko) 2005-05-25 2005-08-09 이재훈 자동차용 배터리상태 표시장치
KR20070040084A (ko) * 2005-10-11 2007-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의 충전경과 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409A (ja) * 2000-05-26 2002-02-15 Araco Corp 電動車両のバッテリ残量計
KR20050003848A (ko) * 2003-07-04 2005-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에서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KR20030091903A (ko) * 2003-11-14 2003-12-03 오석흥 벼 글루탐산탈탄산효소 유전자
KR200391903Y1 (ko) 2005-05-25 2005-08-09 이재훈 자동차용 배터리상태 표시장치
KR20070040084A (ko) * 2005-10-11 2007-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의 충전경과 표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686A (ko) 200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7624B1 (en) Battery clamp connect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1351717B (zh) 电池分析系统和方法
US20040085071A1 (en) Testing apparatus
US7224286B2 (en) Solar panel having visual indicator
CN211293217U (zh) 带有提示功能的插座测试仪
JP2016176921A (ja) ユーティリティメータにおける接触力を測定するシステム
CN201397188Y (zh) 防作弊电子计价秤
CN202563046U (zh) 一种保险丝熔断报警装置
KR100975511B1 (ko) 휴대용 건전지 수명 확인기
CN103344904B (zh) 一种用于检验产品充电电路的模拟锂电池测试方法和电路
CN103675696A (zh) 电池状态指示装置和工程用电气工具
CN103576041A (zh) 电气设备二次回路的检测方法及装置
CN101458311A (zh) 电源供应器检测装置
JP4827624B2 (ja) バッテリ劣化監視システム
CN207867002U (zh) 电池电量检测装置
CN104515902A (zh) 具有高电压警示功能的万用电表
TW201514512A (zh) 檢測用負載裝置
KR101447612B1 (ko) 멀티 디바이스 테스터
US7126325B2 (en) Digital multi-meter with operational error prevention technology using LED and microprocessor with input sockets
CN102981134B (zh) 开关柜智能显示装置测试仪
US7679335B1 (en) Battery charger for aircraft emergency egress batteries
CN204228909U (zh) 未知电路测绘电路和未知电路测绘装置
CN113533976A (zh) 锂电池组综合检测方法及电路
JPS62115376A (ja) 電気負荷の電流消費ないし電力消費を表示する回路装置
Cook Power 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