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805B1 - 치은 형성 조각도 - Google Patents

치은 형성 조각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805B1
KR100974805B1 KR1020100009063A KR20100009063A KR100974805B1 KR 100974805 B1 KR100974805 B1 KR 100974805B1 KR 1020100009063 A KR1020100009063 A KR 1020100009063A KR 20100009063 A KR20100009063 A KR 20100009063A KR 100974805 B1 KR100974805 B1 KR 10097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rtion
gingival
blade
angle
engr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규
정희선
이무형
Original Assignee
제주관광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관광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관광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5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의치) 제작 시 인공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은선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치은 형성 조각도를 개시한다.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칼날부, 상기 칼날부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직선 칼날부와 상기 직선 칼날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원호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의치의 제작에 따른 인공 치아와 잇몸과의 각도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인공 치아와 잇몸과의 각도가 가장 바람직한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의치 착용자에게 최적의 착용감과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은 형성 조각도{Wax Carver of Gingival Forming}
본 발명은 치은 형성 조각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틀니의 치은선을 형성하는 치은 형성 조각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치아가 결손 되면 구강이 가지고 있는 저작(mastication), 발음(pronunciation) 및 심미(esthetics) 등의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악골의 형태적 변화도 나타난다.
이 가운데 악골의 형태적 변화는 구강 부근의 제반 기관인 악관절, 저작근, 안면근, 피부 그리고 구강 안의 잔존치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치아가 결손 된 경우에는 결손 된 치아나 주위 조직을 위한 인공대용물인 의치(denture)를 환자의 구강 안에 장착시켜 주는 것이 좋다.
치아가 결손 된 환자의 구강 안에 의치를 장착시키면 저작, 발음 및 심미 기능이 향상되고 잔존치의 악영향(이완, 동요, 잠식, 마모, 동통 등), 악골의 이상 흡수, 치주 조직 질환 등의 문제가 완화되며 구강 근처 기관의 부정화가 예방된다.
총의치는 무치악에 적용되는 보철물(틀니)로써 유지 양식, 인공치의 식립 위치, 교합력, 인공치의 형태, 색조 그리고 배열 상태, 의치상의 형태면에서 관교의치 및 국부 의치 등 다른 보철물과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이 중 의치상의 형태는 구강의 기능과 의치의 주변 근육 및 연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의치상(총의치의 본체)의 설계와 시적 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야 저작, 심미, 발음기능이 우수한 총의치의 제작이 가능하다.
의치상 조각은 치아배열을 한 다음에 납의치상의 표면을 조각하는 과정으로 시적의치상 조각과 최종의치상 조각이 있다.
시적의치상은 외관, 발음, 주연폐쇄 등의 기능회복에 초점을 맞추어서 형성하면 되지만 최종의치상은 외관, 발음, 주연폐쇄 등의 기능회복뿐만 아니라 섬세한 형태를 묘사해서 자연스럽게 형성해야 한다.
이러한 시적의치상은 교합기에서 치아배열을 한 다음에 환자 구강에 시적하기 위해서 형성한 납의치상(wax denture base)으로 먼저 납의치상에 왁스(wax)를 첨가 후 상악(윗니) 및 하악(아랫니) 시적의치상을 조각한다.
다음 단계로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시적 할 때 장착감을 좋게 하고 외관을 좋게 하여 의치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시적의치를 연마 후 치과진료실로 보내서 환자 구강에 시적 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적의치상 조각 시 인공치아와 의상(잇몸)의 경계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경계선을 형성할 부위에 인공치아의 치경선과 평행하게 왁스(wax)를 절단하여 제거한다.
경계선 부위에서 왁스(wax)를 삭제 시 수직면에 대하여 협측(어금니)은 조각도를 45?°로 대고서 치경선과 평행하게 "U"자 형태로 삭제하고 인공치아에 묻어있는 왁스(wax)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제거했을 때 치간 부위에는 치관 길이의 중간부위까지 왁스(wax)가 남아 있어서 연마할 때 치간의 가장 깊은 부위에 브러쉬 휠(brush wheel)이 닿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순측(앞니)은 조각도를 60°로 대고 설측과 구개측은 70° 정도가 되도록 대고서 삭제하고 인공치아에 묻은 왁스(wax)를 제거한다.
왁스(wax)를 삭제할 때 순측(앞니)을 60°로 삭제하는 것은 경계부위 형태를 둥근 유리치은과 가능한 한 유사하게 형성하여 자연스러우면서 음식물의 흐름도 좋게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고, 협측(어금니)을 45°로 삭제하는 것은 자연스러움보다 음식물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시적의치상 치은형성 조각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임상현장에 있는 치과기공사들은 치은형성에 적합한 조각도의 부재로 인하여 각자 치은선을 형성하기 편리한 조각도를 사용하여 숙련된 경험의 축적으로 보다 자연스러움과 기능적인 부분을 구사할 수 있다.
즉, 의치를 제작하는 기공사들은 의치와 의치를 둘러싸는 잇몸 사이에 형성되는 치은선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상기 치은선을 형성하는 별도의 조각도가 없어 용도가 다른 조각도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치과기공사들은 치은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뾰족하면서도 일정 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조각도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조각도를 의치의 외측에서 조각도를 적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U"자 형태로 치은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치은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숙련도에 따라 치은선이 미려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의치에 형성된 치은선과 잇몸과의 각도가 적정 각도로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숙련도가 낮은 치과기공사들은 치은선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의치 제작에 따른 기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틀니(의치) 제작 시 인공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은선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치은 형성 조각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공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은선이 미려하게 형성되며,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치은선을 간단하게 형성하는 치은 형성 조각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공 치아에 대한 잇몸(의상)의 각도를 최적의 각도인 45° 또는 60°의 각도로 정확하게 형성하는 치은 형성 조각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는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칼날부, 상기 칼날부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직선 칼날부와 상기 직선 칼날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원호 칼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칼날부에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제1칼날부와 제2칼날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1칼날부는 중심선에 대하여 35~55°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칼날부는 중심선에 대하여 50~70°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호 칼날부는 서로 다른 원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대칭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의치 제작에 따른 인공 치아와 잇몸과의 각도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인공 치아와 잇몸과의 각도가 가장 바람직한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의치 착용자에게 최적의 착용감과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치은선을 형성하는 최적의 조각도를 제공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은 물론 피로도를 줄이게 되고, 이에 따라 의치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치은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은선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에 의해 형성되는 의치의 치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를 이용하여 순측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를 이용하여 협측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에 형성되는 칼날부(130), 상기 칼날부(130)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직선 칼날부(140)와 상기 직선 칼날부(140)로부터 연장된 원호 칼날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고, 그 단면상으로는 팔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110) 양단에는 각각 칼날부(1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부(130)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110) 일단에 하나의 칼날부(130)가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칼날부(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된 직선 칼날부(140)와 직선 칼날부(140)로부터 연장된 원호 칼날부(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 칼날부(14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직선 칼날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제1칼날부(141)와 제2칼날부(142)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직선 칼날부(140)는 손잡이(110의 양단에 대칭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칼날부(141)는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35~55°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칼날부(142)는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50~70°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칼날부(141)는 35~55°의 각도로 형성되나 45°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칼날부(142)는 50~70°의 각도로 형성되나 60°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호 칼날부(150)는 직선 칼날부(14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1칼날부(141)와 제2칼날부(142)로부터 중심선을 향해 만곡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원호 칼날부(150)는 제1칼날부(141)와 제2칼날부(142)에 의해 그 원호의 길이가 서로 다를뿐만 아니라 원호의 만곡(곡률)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칼날부(141)는 협측의 치은선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직선 칼날부(140)의 중심 끝점으로부터 손잡이(110) 쪽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제2칼날부(142)는 순측의 치은선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직선 칼날부(140)의 중심 끝점으로부터 손잡이(110) 쪽으로 제1칼날부(141)에 비해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호 칼날부(150)는 제1칼날부(141)와 제2칼날부(14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므로, 원호 칼날부(150)의 길이 및 만곡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들 원호 칼날부(150)는 순측과 협측의 인공 치아 곡면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제1칼날부(141)의 원호 칼날부(150)는 협측의 치아 곡면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2칼날부(142)의 원호 칼날부(150)는 순측의 치아 곡면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원호 칼날부(150)는 필요에 따라 그 길이와 원호의 반경을 달리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100)는 인공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은선을 형성함과 함께 수직으로 고정되는 인공 치아에 대한 잇몸의 각도를 규정된 각도로 형성하게 된다.
즉, 치과기공사들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를 잡고서 인공 치아에 대하여 조각도(100)의 원호 칼날부(150)를 수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인공 치아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각도(100)는 인공 치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치은선이 "U"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조각도(100)를 "U"자 형태로 이동된다.
이렇게 조각도(100)가 이동되면서 조각도(100)의 직선 칼날부(130)가 의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왁스를 직선 칼날부(130)의 각도로 깎아주게 되며, 이때 잇몸의 각도는 제1칼날부(141)에 의해 수직면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2칼날부(142)에 의해 수직면에 대하여 60°의 각도로 형성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상기 조각도(100)는 앞니와 같은 순측을 형성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은선이 형성됨과 함께 잇몸의 각도를 가장 적정한 각도인 60°의 각도로 깎아주게 된다.
또 어금니와 같은 협측을 형성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은선이 형성됨과 함께 잇몸의 각도를 가장 적정한 각도인 45°의 각도로 깎아주게 된다.
이러한 조각도(100)의 칼날부(130) 각도는 인공 치아의 순측 또는 협측에 따라 각기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의치에 따라 칼날부(130)의 각도를 달리한 조각도(100)를 사용함으로써 치은선이 최적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정확한 각도의 치은선을 갖는 의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치은 형성 조각도는 치은선을 형성하는데 뿐만 아니라 곡면 또는 수직면에 대하여 적정 각도를 형성하고자 하는 데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조각도 110: 손잡이
130: 칼날부 140: 직선 칼날부
141: 제1칼날부 142: 제2칼날부
150: 원호 칼날부

Claims (6)

  1.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칼날부,
    상기 칼날부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직선 칼날부와 상기 직선 칼날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원호 칼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칼날부에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제1칼날부와 제2칼날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선 조각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날부는 중심선에 대하여 35~55°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선 조각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칼날부는 중심선에 대하여 50~70°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선 조각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칼날부는 서로 다른 원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선 조각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대칭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선 조각도.
KR1020100009063A 2010-02-01 2010-02-01 치은 형성 조각도 KR10097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63A KR100974805B1 (ko) 2010-02-01 2010-02-01 치은 형성 조각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63A KR100974805B1 (ko) 2010-02-01 2010-02-01 치은 형성 조각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805B1 true KR100974805B1 (ko) 2010-08-06

Family

ID=4275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063A KR100974805B1 (ko) 2010-02-01 2010-02-01 치은 형성 조각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92Y1 (ko) * 2013-12-27 2015-05-27 김욱태 치과기공용 조각도
KR20180048511A (ko) 2018-04-26 2018-05-10 박찬웅 자석을 이용한 탈착형 조각팁을 구비한 조각도
KR102080700B1 (ko) 2018-11-20 2020-02-24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인공 치은 성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845U (ko) * 1990-02-27 1991-11-1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845U (ko) * 1990-02-27 1991-11-1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92Y1 (ko) * 2013-12-27 2015-05-27 김욱태 치과기공용 조각도
KR20180048511A (ko) 2018-04-26 2018-05-10 박찬웅 자석을 이용한 탈착형 조각팁을 구비한 조각도
KR102080700B1 (ko) 2018-11-20 2020-02-24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인공 치은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kich et al. Gingival contour and clinical crown length: their effect on the esthetic appearance of maxillary anterior teeth
HK1085110A1 (en) Method of arranging artificial teeth
KR20080083559A (ko) 칫솔
CN105012033A (zh) 全口义齿的制作方法
JPS63111860A (ja) 人工歯
NZ585015A (en) A dental appliance elastically deformable to apply a correction force at a base of the crown
JP6216904B1 (ja) 義歯システム及び義歯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補綴物
Gill et al. Smile aesthetics
KR100974805B1 (ko) 치은 형성 조각도
CN107137154A (zh) 一种全口义齿活动瓣及其装配方法
CN110464490A (zh) 一种排牙器、排牙套盒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8196535A (ja) 基準義歯床、基準義歯、部分床義歯作製キット及び部分床義歯作製方法
JP6239180B1 (ja) 部分義歯
Rao et al. Esthetic enhancement with diastema closure—a case report
CN216652514U (zh) 一种用于活动义齿的氧化锆人工牙
Minker Simplified full coverage preparations
KR101094139B1 (ko) 치과교정기구
TW202002909A (zh) 用於植牙和修復的綜合矯正方法
CN209645100U (zh) 一种排牙器和排牙套盒
Nagaş et al. The permanent maxillary and mandibular premolar teeth
JP6239181B1 (ja) 部分義歯
JP4291799B2 (ja) 人工歯配列装置
CN217886247U (zh) 一种牙龈诱导成型器
Godara et al. Smile esthetic: A review
CN214434573U (zh) 一种舌侧施力内收前牙的无托槽隐形矫治器的复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