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82B1 - 피부 세포 증식 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세포 증식 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82B1
KR100973782B1 KR1020080016028A KR20080016028A KR100973782B1 KR 100973782 B1 KR100973782 B1 KR 100973782B1 KR 1020080016028 A KR1020080016028 A KR 1020080016028A KR 20080016028 A KR20080016028 A KR 20080016028A KR 100973782 B1 KR100973782 B1 KR 100973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acao
weight
extract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583A (ko
Inventor
테루오 미야자와
아추시 나리세
수수무 시무라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도호쿠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도호쿠다이가쿠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7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으로써 유효한 피부의 세포 증식 촉진제 및 그 제조 방법을 발견하여, 이러한 세포 증식 촉진제에 의해 피부의 표피 각화 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의 노화 및 피부 거칠어짐 증상의 방지, 개선, 더 나아가 창상 치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및 조성물, 음식품을 제공한다.
표피 각화 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피부 세포 증식 촉진제로서,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 및 그 중성지질 획분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 피부의 세포 증식 촉진제, 피부 외용제, 중성지질 획분

Description

피부 세포 증식 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promotion of skin cell growth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 및 카카오콩 외피의 중성지질 획분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 증식 촉진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구조는 최상층부터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표피는 피부의 가장 외측에 있어 외기나 자외선 등의 여러 자극에 노출되어 있다. 표피는 그 대부분이 표피 각화 세포(케라티노사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표피 각화 세포의 분화 단계에 따라, 외측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4개의 세포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세포가 기저층부터 각질층까지 성숙하여 벗겨져 떨어져 나갈 때까지의 사이클을 턴오버라 하며, 이 사이클이 원활하게 수행됨으로써 피부는 일정한 두께와 젊음을 유지하고 있다.
진피는 피부의 탱탱함이나 탄력성에 관여하는 엘라스틴이나 콜라겐, 보수성 유지에 중요한 히알루론산 등의 세포외 매트릭스와 진피 세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진피 세포 내에서 섬유아세포가 세포외 매트릭스 성분을 합성하고 있다.
가령(加齡), 자외선 노출, 공기 건조 등에 의해, 피부의 표피 세포 및 진피 세포는 손상을 받는다. 표피에 있어서는 표피 각화 세포의 감소와 대사의 저하에 의해 턴오버 속도가 늦어짐에 따라 피부는 보습성이나 매끄러움을 잃고, 굳어지거나 칙칙함, 잔주름이 발생되거나 한다. 또한, 멜라닌이 과잉 생성된 부위에서는 표피 세포의 분열, 증식이 저하되어 멜라닌 배출이 침체됨으로써 더욱 기미가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된다. 진피에 있어서는 세포외 매트릭스의 주요 구성 성분인 엘라스틴이나 콜라겐의 분해 및 변질, 섬유아세포의 증식 저하에 따른 세포외 매트릭스의 생합성 능력의 저하에 의해, 피부는 탱탱함이나 탄력을 잃고 피부 거칠어짐, 주름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표피 각화 세포의 증식 촉진에 의해, 피부의 턴오버가 빨라져 잔주름이나 칙칙함, 기미를 경감시킨다. 또한, 진피 섬유아 세포의 증식 촉진에 의해,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의 생합성을 향상시켜 주름의 형성이나 피부의 탄성 저하를 방지 및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외상이나 화상, 수술 등에 의한 창상 치료의 촉진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중도의 화상 등을 입은 환자 등에 대한 치료법으로서, 환자 자신의 피부 단편을 배양하여 이를 이식하는 방법이 있다. 배양 가능한 피부 조직의 채취부터 완성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세포 증식 촉진제의 사용에 의해 피부 세포의 배양 기간 단축이 기대된다.
지금까지, 피부의 항노화 예방 소재로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작용을 갖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취득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표피 세포 증식 촉진 조성물로서 카카오매스 및 코코아파우더(일본 특허공개 2006-69923호 공보 참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카카오콩 외피에 관한 효과는 나타나 있지 않다. 케라티노사이트의 분화 및 각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소재로서 카카오콩 및 외피의 물, 물-알콜 추출물(일본 특허공개 2006-20659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47914호 공보 참조)이 개시되어 있지만, 카카오콩 외피의 저극성 용매 추출물인 지질 획분에 관한 효과는 나타나 있지 않다. 피부의 가령(加齡) 증상 방지 조성물, 화장품으로서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코코아 추출물,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페놀, 아미노산, 및 켄화되지 않는 물질의 농축물을 조합하여 함유하는 코코아 추출물(일본 특허공개 2004-503481호 공보 참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지만, 카카오콩 외피의 저극성 용매 추출물인 지질 획분에 관한 세포 증식 촉진 효과는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상기의 카카오 외피에서 유래된 비켄화성 지질 획분이 독성 물질 디메틸포름아미드가 첨가된 배양액 중에서 섬유아 세포의 증식을 부분적으로 보호했다는 보고는 있지만, 통상의 배양 조건에서 증식을 촉진시켰다는 보고는 없다(R. Warocquier-clerout, et. al 저,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Non-saponifiable fraction of cocoa shell butter: effect on rat and human skin fibroblasts", 1992년, Vol 14, P. 39~46 참조).
카카오매스 및 코코아파우더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료 촉진제(일본 특허공개 2001-23377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82573호 공보 참조)가 개시되 어 있지만, 카카오콩 외피의 중성지질 획분에 관한 효과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표피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제, 창상 치료 촉진제로서, 예를 들면, 사프란의 암술 추출물(일본 특허공개 2005-41812호 공보 참조), 아몬드, 서양민들레, 서양딱총나무, 천궁, 월년초, 상백피, 도인(桃仁), 당근, 홉, 무궁화, 율무 추출물(일본 특허공개 평 10-36279호 공보 참조) 등이 확인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효과는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으로써 유효한 피부의 세포 증식 촉진제 및 그 제조 방법을 발견하여, 이러한 세포 증식 촉진제에 의해 피부의 표피 각화 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의 노화 및 피부 거칠어짐 증상의 방지, 개선, 더 나아가 창상 치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및 조성물,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탐색을 수행하여, 벽오동과 식물인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의 외피 추출물 및 그 중성지질 획분이 각각 높은 인간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및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 및 그 중성지질 획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표피 각화 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피부 세포 증식 촉 진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카오콩 외피를 물과 상용성이 없는 비극성 용매에 의해 추출하여, 중성지질 획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 증식 촉진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 및 그 중성지질 획분은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및 진피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노화를 막아 주름이나 칙칙함, 기미를 저감시키고, 탄력의 저하를 방지 및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창상 치유의 촉진 효과나 피부 재생 이식에서 사용하는 자가 배양 표피 세포 및 연구용의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제로서도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카카오 외피 추출물은 피부 세포 증식 조성물, 피부 외용제, 음식품에 배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및 진피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갖는 피부 세포 증식 촉진제, 그것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피부 외용제 및 음식품, 그들의 제조 방법, 및 그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카카오콩 외피 용매 추출물 및 중성지질 획분을 얻는 카카오콩 외피는 초콜릿, 코코아의 원료가 되는 벽오동과의 상록고목인 카카오의 종자로부터 얻어지며, 초콜릿 제조시에 카카오콩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으로, 박리 방법, 카카오콩의 종류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지질은 중성지질과 복합 지질(당지질, 인지질)로 구별되고, 중성지질은 유도 지질 및 단순 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유도 지질에는 지질의 가수 분해에 의해 유도되는 장쇄 탄화수소, 장쇄 알콜, 지방산, 테르페노이드, 스테로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단순 지질은 원칙적으로 지방산과 알콜이 결합한 에스테르형 지질을 말하며, 왁스, 아실글리세롤, 에테르글리세리드 등이 포함된다. 분획시, 중성지질은 극성이 극히 낮아, 극성을 갖는 복합 지질과는 별도의 행동을 보인다. 따라서, 카카오콩 외피로부터 용매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과 상용성이 없는 비극성 용매, 예를 들면, 헥산, 에테르, 초산에틸,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 용제 혹은 이들의 혼합액을 추출 용매로 이용할 수 있다. 추출에 있어서, 카카오콩 외피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2 ~ 50배량(용량)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3 ~ 10배량의 추출 용매를 사용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교반 추출, 환류 추출, 침적 추출, 진탕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을 채용할 수 있고, 추출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 100 ℃가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용매의 종류나 추출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30분 ~ 2일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조작은 1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추출 잔사에 신선한 용매를 다시 첨가하여 추출 조작을 반복할 수도 있다. 용매 추출물은 여과 또는 원심 분리 등에 의해, 용매 추출물과 식물을 분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얻어진 추출물은 적당한 농축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증발관(Evaporator)과 같은 감압 농축 장치나 가열에 의한 용매 제거 등에 의해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농축액을 건조시켜 농축 건조물을 얻을 수도 있다.
카카오콩 외피의 중성지질 획분은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을 액-액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박층크로마토그래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액 분배에 의한 중성지질 획분의 조제예로서,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을 Galanos & Kapoulas의 석유에테르에탄올 분배법을 이용하여 중성지질 획분과 복합 지질 획분으로 분배할 수 있다.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중성지질 획분의 조제예로서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을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등에 용해 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였다.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을 흘려보내, 용출액을 회수함으로써 정제된 중성지질 획분을 얻었다. 또는 정법에 따라, DEAE-셀룰로오스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획분을 얻을 수 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중성지질 획분의 조제예로서, 박층 플레이트(Silica Gel 60) 상에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을 스폿팅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물=80:25:4의 용매로 전개시킨다. 발색 처리 후, 중성지질을 포함하는 스폿을 긁어모아 클로로포름 용액 중에 넣어 충분히 교반 후, 유리 필터로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농축함으로써 중성지질 획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증식 촉진제는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농축 또는 건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증식 촉진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추출물에, 보존이나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당이나 유당 등의 각종 당류, 단백질이나 전분 등의 부형제, 기타 임의의 조제(助劑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분말형, 과립형, 정제형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는, 본 발명의 피부 세포 증식 촉진제의 성분 이외에,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이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오일류, 계면활성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색재, 산화방지제, 증점제, 알콜류, 분말 성분, 수성 성분, 물, 각종 피부 영양제, 각종 약제,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등이나, 활성 산소 소거제, 항염증제, 미백제 등의 생리 활성 성분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라 함은, 통상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을 가리키고, 그 제형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고, 크림, 유액, 로션, 팩, 입욕제 등, 종래 피부 외용제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표피 및 진피의 증식 촉진, 노화 방지, 피부 거칠어짐 및 창상 치유 촉진 등을 목적으로 하여, 피부 이외의 두피, 구강, 귀, 코, 항문, 음부 등의 여러 외상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세포 증식 촉진제는 각종 음식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츄잉검, 캔디, 정과, 구미젤리, 초콜릿, 비스켓, 아이스크림, 음료 등에 배합하여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음식품 중으로의 배합량은 그 목적, 제형에 따라 다르지만, 0.01 ~ 80 중량%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카카오콩 외피 추출물의 조제]
(제조예 1)
카카오콩 외피에 포함되는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을 회수하는 추출법으로서 Folch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카카오콩 외피(100 g)는 밀로 분쇄 후, 카카오콩 외피 1 중량부에 클로로포름/메탄올(2:1) 용액을 5 중량부 첨가하여, 실온 하에서 3시간 진탕 후, 여과에 의해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또한, 잔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여액에 대하여 20% 용량의 물을 첨가 교반 후, 분액깔때기로 하층의 클로로포름층을 회수하여 건조시켰다. 회수물은 에탄올/물(87:13)과 석유 에테르의 등량 혼합액에 용해시켜, 분액 깔때기로 분리시킨 상층과 하층의 각각을 회수하여, 건조시켰다. 상층의 석유 에테르층으로부터의 회수물은 클로로포름에 녹여, 실리카겔크로마토그로피에 주입하고, 클로로포름, 아세톤, 메탄올을 연속적으로 흘려보내 각 용출액을 회수하였다. 하층으로부터의 회수물도 클로로포름에 용해하여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클로 로포름, 아세톤, 메탄올을 연속적으로 흘려보내 각 용출액을 회수하였다. 상기의 용출액은 용매마다 회수하여 건조시켰다. 클로로포름 용출액으로부터 중성지질 획분(5.9 g), 아세톤 용출액으로부터 당지질 획분(0.75 g), 메탄올 용출액으로부터 인지질 획분(0.14 g)을 얻었다.
(제조예 2)
카카오콩 외피(100 g)는 밀로 분쇄 후, 카카오콩 외피 1 중량부에 초산에틸을 5 중량부 첨가하여, 실온 하에서 3시간 진탕 후, 여과에 의해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또한 잔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여액은 로터리 증발기로 농축하여 소량의 클로로포름에 용해 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였다. 클로로포름을 흘려보냄으로써 중성지질 획분(5.98 g)을 얻었다.
(제조예 3)
카카오콩 외피(100 g)는 밀로 분쇄 후, 카카오콩 외피 1 중량부에 헥산을 5 중량부 첨가하여, 실온 하에서 24시간 진탕 후, 여과에 의해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또한, 잔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여 중성지질 획분(6.03 g)을 얻었다.
[카카오니브 추출물의 조제]
(비교예 1)
카카오니브에 포함되는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을 회수하는 추출법으로서, Folch법에 준하여 추출을 수행하였다. 카카오콩으로부터 카카오콩 외피를 제거한 카카오니브(100 g)를 유봉과 유발로 갈아 으깨어, 카카오니브 1 중량부에 클로로포름/메탄올(2:1) 용액을 5 중량부 첨가하여, 실온 하에서 3시간 진탕 후, 여과에 의해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또한, 잔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여액에 대하여 20% 용량의 물을 첨가 교반 후, 분액깔때기로 하층의 클로로포름층을 회수하여 건조시켰다. 회수물은 에탄올/물(87:13)과 석유 에테르의 등량 혼합액에 용해시켜, 분액깔때기로 분리시킨 상층과 하층의 각각을 회수하여, 건조시켰다. 상층의 석유 에테르층으로부터의 회수물은 클로로포름에 녹여,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클로로포름, 아세톤, 메탄올을 연속적으로 흘려보내 각 용출액을 회수하였다. 하층으로부터의 회수물도 클로로포름에 용해하여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클로로포름, 아세톤, 메탄올을 연속적으로 흘려보내 각 용출액을 회수하였다. 상기의 용출액은 용매마다 회수하여 건조시켰다. 클로로포름 용출액으로부터 중성지질 획분(58.9 g), 아세톤 용출액으로부터 당지질 획분(0.6 g), 메탄올 용출액으로부터 인지질 획분(0.6 g)을 얻었다.
(실험예 1)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시험
시험 시료로서 제조예 1,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카카오니브와 카카오콩 외피의 중성지질 획분, 당지질 획분, 인지질 획분에 대하여 표피 세포 증식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세포 증식 평가법은 정상 인간 표피 각화 세포를 1웰당 1.0×104개가 되도록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여, 카카오니브와 외피 지질의 각 추출 획분을 20 ~ 100 ㎍/㎖의 각 시험 농도로 함유하는 표피 각화 세포 증식용 배지(Humedia-KG2)에서 37 ℃로 24시간 배양하고, 이어서 2-(4-Iodophenyl)-3-(4-nitrophenyl)-5-(2, 4-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WST-1)를 1웰당 10㎕를 첨가하여 37 ℃에서 3시간 배양하고, 테트라졸리움 고리의 개환(開環)에 의해 생기는 포르마잔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기준 파장을 655 nm으로 하여 450 nm의 흡광도(As)를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시험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정상 인간 표피 각화 세포를 배양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한 값을 Ab로 하고, 세포 증식률을 As/Ab×100(%)로 계산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13120818-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제조예 1의 카카오 외피의 중성지질 획분은 100㎍/㎖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표피 각화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카카오 외피의 당지질도 세포의 증식 촉진 경향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카카오니브에서 유래된 지질 획분에는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예 2)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시험
제조예 2, 3에서 얻어진 카카오콩 외피의 초산에틸 추출물, 헥산 추출물에 대하여 표피 세포 증식 작용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법은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다음 표 2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제조예 2, 3의 초산에틸 추출물 및 헥산 추출물은 100 ㎍/㎖ 농도에서 표피 각화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있었다.
Figure 112008013120818-pat00002
(시험예 3)
진피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시험
시험 시료로서 제조예 1,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카카오니브와 카카오콩 외피의 각각에 대한 중성지질 획분, 당지질 획분, 인지질 획분에 대하여 진피 세포 증식 작용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세포 증식 평가법은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1웰당 0.32 ×104개가 되도록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파종하여, 카카오니브와 외피 지질의 각 추출 획분을 20 ~ 100 ㎍/㎖의 각 시험 농도로 함유하는 진피 섬유아세포 증식용 배지(Medium106S)에서 37 ℃로 24시간 배양하고, 이어서 2-(4-Iodophenyl)-3-(4-nitrophenyl)-5-(2, 4-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WST-1)를 1웰당 10 ㎕를 첨가하여 37 ℃에서 3시간 배양하고, 테트라졸리움 고리의 개환(開環)에 의해 생기는 포르마잔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기준 파장을 655 nm으로 하여 450 nm의 흡광도(As)를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시험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한 값을 Ab로 하고, 세포 증식률을 As/Ab×100(%)로 계산하여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13120818-pat00003
표 3의 결과로부터, 제조예 1의 카카오 외피의 중성지질 획분은 60㎍/㎖ 농도에서 유의하게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카카오니브에서 유래된 지질 획분에는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예 4)
진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시험
제조예 2, 3에서 얻어진 카카오콩 외피의 헥산 추출 획분(중성지질 획분)에 대하여 진피 세포 증식 작용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법은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 4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제조예 2, 3의 초산에틸 추출물 및 헥산 추출물은 100㎍/㎖ 농도에서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있었다.
Figure 112008013120818-pat00004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각 실시예는 각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통상법에 의해 제조하면 되므로, 배합량만을 나타내었다. 그들에 의해 본 발명품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의 제품의 배합시에 사용하는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은 상기 제조예 1, 2 및 3에서 제조된 중성지질 획분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
(실시예 1) 정제의 처방
D-만니톨 42.6 중량%
유당 42.6 중량%
결정 셀룰로오스 8.5 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3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1) 2.0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2) 연고제의 처방
밀납 3.0 중량%
수소첨가 라놀린 8.0 중량%
스쿠알란 34.0 중량%
고형 파라핀 2.0 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9.0 중량%
백색 바세린 5.0 중량%
아디핀산헥실데실 13.0 중량%
세스퀴올레인산솔비탄 3.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에탄올 1.0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1) 1.0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3) 크림의 처방
스쿠알란 27.0 중량%
밀납 6.0 중량%
세탄올 5.0 중량%
환원 라놀린 8.0 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4.0 중량%
친유성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린산에스테르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2) 1.0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4) 유액의 처방
스쿠알란 10.0 중량%
메틸페닐폴리시록산 4.0 중량%
수소첨가 팜핵유 0.5 중량%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1 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1.3 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솔비탄 1.0 중량%
글리세린 4.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5.0 중량%
향료 적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5) 로션의 처방
디프로필렌글리콜 5.0 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0.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3.0 중량%
에탄올 20.0 중량%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1.0 중량%
알부틴 4.0 중량%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중량%
아스코르빈산글루코시드 5.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5.0 중량%
향료 0.1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1) 5.0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6) 미용액의 처방
글리세린 10.0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1.3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1 중량% 수용액) 17.5 중량%
알긴산나트륨(1 중량% 수용액) 15.0 중량%
모노라우린산폴리글리세릴 1.0 중량%
마카데미아너츠유지방산피토스테릴 3.0 중량%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피토스테릴-2-옥틸도데실) 2.0 중량%
경화팜유 2.0 중량%
스쿠알란 1.0 중량%
베헤닐알콜 0.75 중량%
밀납 1.0 중량%
호호바 오일 1.0 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
L-알기닌(10중량% 수용액) 2.0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1) 5.0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7) 세안료의 처방
스테아린산 16.0 중량%
미리스틴산 16.0 중량%
친유성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중량%
글리세린 20.0 중량%
수산화나트륨 7.5 중량%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1.0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2) 1.0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8) 팩의 처방
폴리비닐알콜 12.0 중량%
에탄올 10.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 분자량 1000) 2.0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1) 5.0 중량%
향료 0.1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9) 입욕제의 처방
탄산수소나트륨 49.0 중량%
황산나트륨 49.7 중량%
향료 0.3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2) 1.0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10) 츄잉검의 처방
검베이스 20.0 중량%
설탕 55.0 중량%
글루코오스 15.0 중량%
물엿 9.0 중량%
향료 0.5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0.5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11) 캔디의 처방
설탕 50.0 중량%
물엿 34.0 중량%
향료 0.5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0.5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12) 정과의 처방
설탕 76.4 중량%
글루코오스 19.0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2 중량%
향료 0.2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0.1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13) 초콜릿의 처방
분당(粉糖) 39.8 중량%
카카오비터 20.0 중량%
전지 분유 20.0 중량%
카카오버터 17.0 중량%
만니톨 2.0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1.0 중량%
향료 0.2 중량%
100.0 중량%
(실시예 14) 비스켓의 처방
박력분 1급 25.59 중량%
중력분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 쇼트닝 11.78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미분(米粉) 1.45 중량%
전지 분유 1.16 중량%
대용 분유 0.29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0.5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15) 아이스크림의 처방
탈지 분유 50.0 중량%
생크림 25.0 중량%
설탕 10.0 중량%
난황 10.0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0.1 중량%
향료 0.1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실시예 16) 음료의 처방
오렌지 과즙 30.0 중량%
이성화당 15.24 중량%
구연산 0.1 중량%
비타민 C 0.04 중량%
향료 0.1 중량%
카카오콩 외피 중성지질 획분(제조예 3) 0.1 중량%
물 잔량
100.0 중량%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카카오콩 외피를 초산에틸, 헥산,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과 상용성이 없는 비극성 유기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액에 의해 용해하여 여과한 후,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에 용해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용출하여 얻은 중성지질 획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세포 증식 촉진용 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세포가 표피 각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세포가 진피 섬유아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080016028A 2007-02-23 2008-02-21 피부 세포 증식 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3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4766A JP2008208053A (ja) 2007-02-23 2007-02-23 皮膚細胞増殖促進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7-00044766 2007-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83A KR20080078583A (ko) 2008-08-27
KR100973782B1 true KR100973782B1 (ko) 2010-08-04

Family

ID=3978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028A KR100973782B1 (ko) 2007-02-23 2008-02-21 피부 세포 증식 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208053A (ko)
KR (1) KR100973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788A1 (en) * 2011-08-05 2013-02-14 Stemtech International, In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ombinations of natural ingredients
JP5705940B2 (ja) * 2013-09-30 2015-04-22 染井 正徳 N−アシルトリプタミンを含有する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3450B2 (en) 2000-04-14 2004-06-01 Mars, Incorporated Extraction of sterols from cocoa hulls
US20060069032A1 (en) * 2003-07-17 2006-03-30 L'oreal Beta-endorphin activity in cosmetics and dermatology
JP2006342120A (ja) * 2005-06-10 2006-12-21 Yz Connection:Kk 細胞賦活剤、紫外線障害緩和剤及びメラニン産生抑制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3450B2 (en) 2000-04-14 2004-06-01 Mars, Incorporated Extraction of sterols from cocoa hulls
US20060069032A1 (en) * 2003-07-17 2006-03-30 L'oreal Beta-endorphin activity in cosmetics and dermatology
JP2006342120A (ja) * 2005-06-10 2006-12-21 Yz Connection:Kk 細胞賦活剤、紫外線障害緩和剤及びメラニン産生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83A (ko) 2008-08-27
JP2008208053A (ja)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41237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 quinoa grain extract for dermatological use
EP1555999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u kombucha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US2006023373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type 1 collagen and/or elastin
US20130071501A1 (en) Extract of stewartia koreana and use thereof
JP5223083B2 (ja) 血管新生抑制剤
FR3010906A1 (fr) Extrait lipidique de graines de passiflores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US10251862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ydroxy 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R3016289A1 (fr) Extrait vegetal comprenant des sucrose-esters en tant que principe actif et son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dermatologique ou nutraceutique
JP2011178770A (ja) 皮膚の色素沈着を抑制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TWI681775B (zh) 以高山黃芩萃取物製備組成物作為預防掉髮或加速頭髮生長之用途
KR100973782B1 (ko) 피부 세포 증식 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3171300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2008485B1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3835A (ko)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047461B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US8637093B2 (en)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WO2020111297A1 (ko)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0303A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JP2020002053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mmp阻害剤、メラニン生成抑制剤、細胞増殖促進剤、抗酸化剤、シワ改善剤、医薬品又は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