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76B1 - 경관생태 사방댐 - Google Patents

경관생태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76B1
KR100973776B1 KR1020090124025A KR20090124025A KR100973776B1 KR 100973776 B1 KR100973776 B1 KR 100973776B1 KR 1020090124025 A KR1020090124025 A KR 1020090124025A KR 20090124025 A KR20090124025 A KR 20090124025A KR 100973776 B1 KR100973776 B1 KR 10097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dam
hole
soi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12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관생태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댐본체의 하류측 바닥으로 물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댐본체와 물받이부의 양측으로 날개벽이 형성되며, 상기 댐본체의 상부에는 방수로 또는 유목방지시설물이 구비된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댐본체의 하류측 경사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식생홀과, 상기 식생홀과 연결되어 상기 댐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흙채움홀을 포함하는 제1 식생부가 일정간격마다 반복 형성되어지며, 상기 식생홀의 바깥쪽(하류측 경사면) 하부에 물공급유도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흙채움홀의 하부에 물저장홀이 연장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식생부의 내부에는 식생토가 채워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연환경과의 이질감을 방지하고 주변 경관과 어울리도록 하여 친자연적인 환경조성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사방댐, 식생부, 식생홀, 흙채움홀, 물저장홀, 물공급유도턱

Description

경관생태 사방댐{Scenic Ecotype debris barrier}
본 발명은 경관생태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곡 등에 설치되어 산사태 등을 방지하기 위한 사방댐의 댐본체와 그 하류측 경사면, 날개벽, 물받이부(물방석) 등에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사방댐의 문제점인 자연환경과의 이질감을 방지하고 주변 경관과 어울리도록 하여 친자연적인 환경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상구배가 큰 계곡에서는 급류가 강바닥을 파고 양쪽 산기슭을 깎아서 산사태를 일으키므로, 토사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방댐(Debris barrier)을 건설하게 되며, 특히 자갈의 이동이 심한 곳에 건설하여, 댐의 상류쪽에 자갈을 퇴적시켜서 하상을 완만한 구배로 안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방댐은 그 역할에 따라 모래 및 토석류를 막는 저사댐과, 물을 가두는 저수댐, 그리고 통나무를 막아주는 스크린댐(Screen dam), 슬릿트댐(Slit dam), 버트러스댐(Butterss dam) 등의 유목방지댐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저수댐은 저사댐의 역할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대부분의 사방댐은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데, 그 시공과정을 살펴보 면, 먼저 시공되어질 지면을 절토하여 암반이 노출되도록 하고(기초 터파기), 노출된 암반의 상부로 댐 어깨와 토석차단부가 시공되어질 본체의 기초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사방댐은, 대부분의 구조물이 콘크리트이기 때문에, 자연환경과의 조화가 어려워 이질감을 일으키고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방댐의 댐본체와 그 하류측 경사면, 날개벽, 물받이부(물방석) 등에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자연환경과의 이질감을 방지하고 주변 경관과 어울리도록 하여 친자연주의적인 환경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경관생태 사방댐은, 댐본체(1)의 하류측 바닥으로 물받이부(3)가 형성되고, 상기 댐본체(1)와 물받이부(3)의 양측으로 날개벽(2)이 형성되며, 상기 댐본체(1)의 상부에는 방수로(12) 또는 유목방지시설물이 구비된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댐본체(1)의 하류측 경사면(13)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식생홀(41a)과, 상기 식생홀(41a)과 연결되어 상기 댐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는 흙채움홀(42a)을 포함하는 제1 식생부(4a)가 일정간격마다 반복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 식생부(4a)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식생부(4a)가 형성된 하류측 경사면(13)에 상기 제1 식생부(4a)의 식생홀(41a) 하부에 물공급유도턱(13a)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식생부(4a)는, 상기 흙채움홀(42a)의 하부에 물저장 홀(43a)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류측 경사면(13)에는, 상기 제1 식생부(4a)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방부목(5)이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댐본체(1)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b)과, 상기 식생홀(41b)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b)을 포함하는 제2 식생부(4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식생부(4b)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벽(2)의 상부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c)과, 상기 식생홀(41c)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c)을 포함하는 제3 식생부(4c)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 식생부(4c)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3)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d)과, 상기 식생홀(41d)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d)을 포함하는 제4 식생부(4d)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4 식생부(4d)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물받이부(3)의 상부면과 하류측 경사면(13)의 접선부에는,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e)과, 상기 식생홀(41e)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e)을 포함하는 제5 식생부(4e)가 접선부를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5 식생부(4e)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계곡 등에 설치되어 산사태 등을 방지하기 위한 사방댐의 댐본체와 그 하류측 경사면, 날개벽, 물받이부(물방석) 등에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사방댐의 문제점인 자연환경과의 이질감을 방지하고 주변 경관과 어울리도록 하여 친자연적인 환경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방댐의 하류측 경사면에는, 주변 경관과 어울릴 수 있는 방부목을 추가적으로 부착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친자연적인 환경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빗물이 식생부에 자연스럽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사방댐의 유지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모래 및 토석류를 막는 저사댐은 물론 물을 가두는 저수댐 및 통나무를 막아주는 스크린댐, 슬릿트댐, 버트러스댐 등의 유목방지댐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방댐 관련 토목건축분야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관생태 사방댐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모래 및 토석류를 막는 저사댐과, 물을 가두는 저수댐, 그리고 통나무를 막아주는 유목방지댐 등 다양한 사방댐 중 저사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관생태 사방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사방댐(A)의 댐본체(1) 상부에는 양측으로 댐어깨(11)가 형성되고, 상기 댐어깨(11)의 사이에는, 상기 댐어깨(11)이 높이보다 낮도록 방수로(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댐본체(1)는 하류측(도 1에서는 우측 하부방향)으로 경사면(13)이 형성되며, 하류측 경사면(13)과 이어져 물방석이라 불리는 물받이부(3)가 형성되고, 상기 댐본체(1)와 물받이부(3)의 양측에는 날개벽(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날개벽(2)의 양측으로는 계곡의 경사면 등이 이어지게 되고, 댐본체(1)의 상류측(도 1에서는 좌측 상부방향)에서 하류측으로 물이 흐르게 되므로, 사방댐(A)을 제외한 지역은 자연경관 그대로의 형태를 가지게 되는 반면, 사방댐(A)은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A)은 주위의 자연경관과 어울릴 수 있도록 댐본체(1)의 하류측 경사면(13)에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1 식생부(4a)를 일정간격마다 반복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제1 식생부(4a)를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류측 경사면(13)으로부터 댐본체(1)의 내부측을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식생홀(41a)이 형성되고, 식생홀(41a)의 종단부에는 구형의 흙채움홀(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 식생부(4a)의 내부에는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식생토(45)가 채워진다.
한편, 상기 하류측 경사면(13)이 도 2a에 나타난 상류측 경사면(도 2a에서 좌측 경사면)과 같이 형성될 경우,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도 2a에서 일점쇄선)이 제1 식생부(4a)에 공급되기가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 2a 및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식생부(4a)의 식생홀(41a) 주위, 바람직하게는 아래와 양측이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물공급유도턱(13a)을 형성하여,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 등이 상기 물공급유도턱(13a)에 의해 제1 식생부(4a)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식생부(4a)를 형성한 경우, 가뭄 등으로 인하여 자연적인 물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식생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식생이 이루어진 후에 식물이 시들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식생부(4a)에는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흙채움홀(42a)의 하부측으로 물저장홀(43a)을 형성한다.
따라서, 평상시에 식생홀(41a)로 유입된 물은 물저장홀(43a)에 저장된 후, 가뭄 등으로 물공급이 원할하지 못할 경우, 물저장홀(43a)에 저장된 물이 흙채움홀(43a) 및 식생홀(41a)로 공급되면서, 제1 식생부(4a)에서 자라는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방댐(A)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수의 제1 식생홀(4a)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자연경관과의 조화가 완전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식생부(4a)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방부목(5)을 부착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친자연적인 환경조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방댐(A)은 시공되는 지역의 특성에 대응하여 그 크기가 다양한 바, 사방댐(A)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댐본체(1)의 상부면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시각적으로 자연경관과의 조화가 완전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댐본체(1)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b)과, 상기 식생홀(41b)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b)을 포함하는 제2 식생부(4b)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식생부(4b)의 내부에는 식생토(45)를 채워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친자연적인 환경조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날개벽(2)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도,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c)과, 상기 식생홀(41c)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c)을 포함하는 제3 식생부(4c)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식생토(45)를 채워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물받이부(3)의 상부면에도,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d)과, 상기 식생홀(41d)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d)을 포함하는 제4 식생부(4d)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식생토(45)를 채워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댐본체(1)와 날개벽(2) 및 물받이부(3)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방댐(A)의 전체에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식생부는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댐본체(1) 상부에 버트러스(B)가 설치된 사방댐 및 슬릿트(S)가 설치된 사방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한편, 댐본체(1)의 높이가 높은 경우, 방수로(12)를 통하여 하류측으로 흐르는 물의 낙하에너지로 인하여, 하류측 경사면(13)과 물받이부(3)가 만나는 부분이 파이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하류측 경사면(13)과 물받이부(3)가 만나는 부분이 파이게 되면,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은 물받이부(3)가 파손되어 구조적 강도가 약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물받이부(3)의 상부면과 하류측 경사면(13)의 접선부에,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e)과, 상기 식생홀(41e)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e)을 포함하는 제5 식생부(4e)가 접선부를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5 식생부(4e)의 내부에는 식생토(45)를 채워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식생부(4a)의 식생홀(41a) 및 흙채움홀(42a)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 및 도 5b는 식생홀(41a) 및 흙채움홀(42a)가 동일한 단면을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흙채움홀(42a)의 크기가 식생홀(41a)의 단면형상에 대하여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식생홀(41a) 및 흙채움홀(42a)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 물공급유도턱(13a)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공급유도턱(13a)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경우,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물이 제1 식생부(4a)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식생부(4a)의 식생홀(41a)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선에 가까운 직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식생홀(41a)이 형성될 경우, 흙채움홀(42a)를 식생홀(41a)에 대응하여 형성하고, 물저장홀(43a)은 일정간격마다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식생홀(41a)에 대응하는 흙채움홀(42a)의 형상 및 물저장홀(43a)의 형성과 개수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제1 식생부(4a)가 형성된 댐본체(1) 및 방수로(12)의 형상은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수로(12)의 경우, 도 9a 내지 도 9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형, 만곡진 호형, "V"형, 파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댐본체(1) 특히 하류측 경사면(13)의 경우, 도 10a 내지 도 10d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단형, 파형, 곡면형, 절곡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생부는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저사댐은 물론, 저수댐 및 스크린댐 등 다양한 사방댐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관생태 사방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관생태 사방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생태 사방댐의 댐본체에 대한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d의 댐본체가 적용된 사방댐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d의 댐본체가 적용된 버트리스형 사방댐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2d의 댐본체가 적용된 슬릿형 사방댐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나타난 사방댐에 식생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나타난 사방댐에 식생이 이루어진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생태 사방댐의 댐본체에 대한 다른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c의 댐본체가 적용된 사방댐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경관생태 사방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경관생태 사방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부가 형성된 댐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부가 형성된 댐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사방댐 1 : 댐본체
11 : 댐어깨 12 : 방수로
13 : 하류측 경사면 13a : 물공급유도턱
2 : 날개벽 3 : 물받이부
4 : 식생부 41 : 식생홀
42 : 흙채움홀 43 : 물저장홀
5 : 방부목

Claims (8)

  1. 댐본체(1)의 하류측 바닥으로 물받이부(3)가 형성되고, 상기 댐본체(1)와 물받이부(3)의 양측으로 날개벽(2)이 형성된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댐본체(1)의 하류측 경사면(13)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식생홀(41a)과, 상기 식생홀(41a)과 연결되어 상기 댐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는 흙채움홀(42a)을 포함하는 제1 식생부(4a)가 일정간격마다 반복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 식생부(4a)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고,
    상기 제1 식생부(4a)가 형성된 하류측 경사면(13)에는, 상기 제1 식생부(4a)의 식생홀(41a) 하부에 물공급유도턱(13a)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식생부(4a)는,
    상기 흙채움홀(42a)의 하부에 물저장홀(43a)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경사면(13)에는,
    상기 제1 식생부(4a)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방부목(5)이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댐본체(1)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b)과, 상기 식생홀(41b)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b)을 포함하는 제2 식생부(4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식생부(4b)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벽(2)의 상부면 및 측면으로 중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c)과, 상기 식생홀(41c)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c)을 포함하는 제3 식생부(4c)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 식생부(4c)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3)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d)과, 상기 식생홀(41d)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d)을 포함하는 제4 식생부(4d)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4 식생부(4d)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3)의 상부면과 하류측 경사면(13)의 접선부에는,
    상기 상부면으로 개방형성된 식생홀(41e)과, 상기 식생홀(41e)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물저장홀(43e)을 포함하는 제5 식생부(4e)가 접선부를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5 식생부(4e)의 내부에는 식생토(4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생태 사방댐.
KR1020090124025A 2009-12-14 2009-12-14 경관생태 사방댐 KR10097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25A KR100973776B1 (ko) 2009-12-14 2009-12-14 경관생태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25A KR100973776B1 (ko) 2009-12-14 2009-12-14 경관생태 사방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776B1 true KR100973776B1 (ko) 2010-08-04

Family

ID=4275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025A KR100973776B1 (ko) 2009-12-14 2009-12-14 경관생태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7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2899A (zh) * 2016-08-11 2016-12-07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拱坝诱导缝内诱导块的布置方法
CN106320252A (zh) * 2015-06-17 2017-01-11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沟水处理及泥石流防护的拦挡组合结构以及方法
CN108842720A (zh) * 2018-09-12 2018-11-20 吉林省水土保持科学研究院 一种沟道谷坊及其施工方法
KR102353981B1 (ko) 2021-05-27 2022-01-21 주식회사 이산 산지, 하천, 계곡부에 설치되는 친환경 환경구조체를 포함하는 사방시설
KR20220081491A (ko) * 2020-12-09 2022-06-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폐가능한 물방석을 포함하는 사방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76A (ja) 1997-06-24 1999-01-19 Nippon Naturoc Kk 裏面に空間部を設けた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て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ビオトープを形成する方法
JPH11158898A (ja) 1997-11-26 1999-06-15 Fujimi Ryokka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壁面の緑化構造並びにその工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76A (ja) 1997-06-24 1999-01-19 Nippon Naturoc Kk 裏面に空間部を設けた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て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ビオトープを形成する方法
JPH11158898A (ja) 1997-11-26 1999-06-15 Fujimi Ryokka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壁面の緑化構造並びにその工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0252A (zh) * 2015-06-17 2017-01-11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沟水处理及泥石流防护的拦挡组合结构以及方法
CN106192899A (zh) * 2016-08-11 2016-12-07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拱坝诱导缝内诱导块的布置方法
CN108842720A (zh) * 2018-09-12 2018-11-20 吉林省水土保持科学研究院 一种沟道谷坊及其施工方法
KR20220081491A (ko) * 2020-12-09 2022-06-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폐가능한 물방석을 포함하는 사방댐
KR102507455B1 (ko) * 2020-12-09 2023-03-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폐가능한 물방석을 포함하는 사방댐
KR102353981B1 (ko) 2021-05-27 2022-01-21 주식회사 이산 산지, 하천, 계곡부에 설치되는 친환경 환경구조체를 포함하는 사방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59104B (zh) 生态型护坡结构及施工方法
KR100973776B1 (ko) 경관생태 사방댐
CN101580305B (zh) 一种用于改善水库消落区生态环境的湿地治理方法
DK163010B (da) Anordning til opbygning af beplantbare stejle skraaninger samt fremgangsmaade til opbygningen
CN104234061A (zh) 一种加筋生态混凝土护坡及其施工方法
KR100770162B1 (ko)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CN109083096A (zh) 一种库区消落带台阶状生态护坡结构及其实施方法
KR101492056B1 (ko) 복토유실 방지포트가 구비된 스톤매트리스
CN204151796U (zh) 一种加筋生态混凝土护坡
CN210857234U (zh) 一种边坡马道平台绿化和防护的组合结构
JP6503412B2 (ja) 河川構造
KR101062728B1 (ko) 필터층과 너울제어구조체를 이용한 해안 양빈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577276A (zh) 一种适于水库消落区岩质岸坡的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750883B1 (ko)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및 이의시공방법
CN110714478B (zh) 一种透水格栅型重力生态挡土墙结构
CN111778925B (zh) 一种河道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50945B1 (ko) 마이크로 개비온 사방댐
Gharpure et al. Composite soil reinforcement system for retention of very high and steep fills–A case study
KR200228757Y1 (ko) 도시하천의 생태복원구조
CN207405570U (zh) 硬质滨岸生态抑流系统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CN105386449A (zh) 一种切沟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CN110468858A (zh) 岩质路堑边坡的支护结构及施工方法
KR20060081270A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