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674B1 -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674B1
KR100973674B1 KR1020090020914A KR20090020914A KR100973674B1 KR 100973674 B1 KR100973674 B1 KR 100973674B1 KR 1020090020914 A KR1020090020914 A KR 1020090020914A KR 20090020914 A KR20090020914 A KR 20090020914A KR 100973674 B1 KR100973674 B1 KR 10097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item
designated
warning
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주)한국거래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거래소 filed Critical (주)한국거래소
Priority to KR102009002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시장경보방법이 개시된다. 정상종목들이 단기 급등, 중장기 상승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매매거래정지 등의 각 단계별 시장경보를 공시한다.

Description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providing market warning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장경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장 상황에 따라 각 단계별로 위험상황을 공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식 시장에서 개별 종목의 주가 또는 거래량이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일반투자자에게 이들 종목에 대한 투자주의, 경고 또는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투자자들의 뇌동매매와 불공정거래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가가 급변하는 경우 등의 시장 상황을 단계적으로 알려주는 시장경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장경보방법의 일 실시예는, 정상종목들 중 기 설정된 조건인 단기 급등 또는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투자경고예고 종목 및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단기 급등을 이유로 상기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상기 단기 급등에 해당하거나, 상기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상기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단기 급등을 이유로 상기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상기 단기 급등에 해당하거나, 상기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상기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의 주가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상승하면 매매거래정지예고 및 매매거래정지 종목으로 순차적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장 상황을 투자주의종목, 투자경고종목, 투자위험종목, 매매거래정지 종목 등으로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알려줌으로써 투자자들의 투자 주의와 함께 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장경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장경보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장경보장치는 투자주의 판단부(100), 투자경고 판단부(110), 투자위험 판단부(120), 거래중지 판단부(130) 및 공시부(140)를 포함한다.
투자주의 판단부(100)는 소수계좌의 매수(도) 관여가 높거나 주가가 급변하는 등 일반투자자의 투자주의가 요구되는 종목을 투자주의종목으로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투자주의 판단부(100)는 소수지점거래 집중 종목, 소수계좌거래 집중 종목, 종가급변종목, 상한가잔량상위종목, 상장주식수 대비 단일계좌거래량 상위종목, 일정기간 소수계좌 매수 관여 과다 종목, 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종목, 투자경고종목 지정해제 이후 일정 기간이 미경과한 종목들을 투자주의 종목으로 판단한다. 투자주의 종목의 지정요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투자주의 판단부(100)는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지정해제 사 유가 발생하였는지 파악하여 지정해제 사유가 발생하였다면 투자주의 종목에서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된 사유가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에 의해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된 경우가 아니면, 투자주의 판단부(100)는 투자주의 종목에서 해제하고,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에 의해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된 경우이면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일 이후 소정 기간(예를 들어, 5일)이 경과하면 투자주의 종목 지정을 해제한다.
투자경고 판단부(110)는 투자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잠재적 불공정거래행위자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켜 가수요를 억제하고 주가급등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특정 종목의 주가가 급등한 종목을 투자경고지정예고(이하, 투자경고예고) 종목 또는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투자경고 판단부(110)는 단기 급등, 중장기 상승, 투자주의종목의 반복공표의 조건에 해당하는 종목들을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한다. 또한 투자경고 판단부(110)는 단기 급등을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단기 급등에 해당하거나,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 다시 단기 급등 또는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거나, 투자주의종목의 반복공표를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데 다시 투자주의종목의 반복공표에 해당하면, 그 종목을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한다. 또한 투자경고 판단부(110)는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들이 지정 해제 요건에 해당하면,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을 해제하고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한다. 투자경고 판단부(110)의 투자경고예고 및 투자경고의 각 지정 요건 및 해제 요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투자위험 판단부(120)는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투기적인 수요 및 뇌동매매가 진정되지 않고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투자자에게 한 차원 높은 경각심을 주지시키기 위해 그 종목을 투자위험종목지정예고(이하, 투자위험예고) 종목 또는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투자위험 판단부(120)는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또는 지정되었던)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단기 급등,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그 종목을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한다. 또한 투자위험 판단부(120)는 단기 급등을 이유로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단기 급등에 해당하거나,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단기 급등 또는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그 종목을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한다. 또한 투자위험 판단부(120)는 투자위험으로 지정된 종목이 해제 요건에 해당하면,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을 해제하고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한다. 투자위험예고 및 투자위험의 지정 요건 및 해제 요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거래정지 판단부(130)는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투기적인 가수요 및 뇌동매매가 진정되지 않고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투자자에게 냉각기간을 부여함으로써 이성적인 투자판단을 유도하기 위해 해당종목을 매매거래정지예고 또는 매매거래 정지한다. 구체적으로, 거래정지 판단부(130)는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후의 주가가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일의 전일 주가보다 높은 상태로 일정 기간(예를 들어, 2일) 연속하여 상승하는 경우 거래정지예고 종목으로 지정한다. 또한 거래정지 판단부(130)는 거래정지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다시 상 승하는 경우, 즉 투자위험종목 지정일 후의 주가가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일의 전일 주가보다 높은 상태로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의 지정일 이후에도 연속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매매거래정지 종목으로 지정한다. 매매거래정지가 해제된 종목은 신규로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된다.
공시부(140)는 판단부(100 내지 130)에 의해 판단된 상황(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거래정지 등)을 공시 시스템을 통해 공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장경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정상종목이 투자경고예고의 지정 조건에 해당하면(S200), 투자경고예고 및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하여 공시한다(S202).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에 대해 투자경고 지정 요건에 해당하는지 파악하여(S204), 해당하지 않는다면 정상종목으로 변경하고, 해당한다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한다(S206).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또는 지정되었던) 종목이 투자위험예고 지정 조건에 해당하면(S208), 투자위험예고종목으로 지정하여 공시하고(S208), 해당하지 않는다면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 요건에 해당하는지 파악한다(S214).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해제 요건에 해당하면(S214),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을 해제하고(S216)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한다(S234).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 요건에 해당하면(S212),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하고(S218), 그렇지 않다면 다시 투자위험예고 지정 조건에 해당하는지 파악하는 단계(S208)로 돌아간다.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매매거래정지예고의 지정 요건에 해당하면(S220), 매매거래정지예고를 공시하고(S222), 해당하지 않으면(S220)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 해제 요건에 해당하는지 파악한다(S230).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 해제 요건에 해당하면(S230),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을 해제하고(S232),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한다(S206).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해제요건에 해당하지 않으면(S230), 매매거래정지예고의 지정 요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20)로 돌아간다.
매매거래정지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매매거래정지의 지정 요건에 해당하면(S224), 매매거래정지 종목으로 지정하고(S226), 해당하지 않으면(S224), 매매거래정지예고의 지정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220)로 돌아간다. 매매거래정지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의 매매거래정지가 해제되면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한다(S228).
정상종목들이 투자주의 종목의 지정 요건에 해당하면(S234),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한다(S236).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의 해제 사유가 발생하면, 먼저 투자주의 종목으로의 지정 사유가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에 의한 것인지 파악하여(S238),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 사유이면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일 이후 소정 기일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S240). 소정 기일이 경과하면 정상종목으로 지정한다.
정상종목 또는 투자주의종목(예를 들어, 투자경고종목 해제 후 5일 미경과 종목)이라고 하더라도 투자경고종목 지정일로부터 30일이 경과하지 않은 종목의 주가가 최근 5일간 75%이상 또는 최근 20일간 150%이상 상승할 경우, 투자경고종목을 거치지 않고 곧바고 투자위험종목지정예고된다(S24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자주의 종목의 지정 요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조건에 대해, 관여일수가 2일, 매수 관여율이 20%, 상승폭 5% 등과 같이 구체적인 값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 예에서 제시한 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기준이 되는 값들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에서도 구체적인 값들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그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투자주의 종목의 지정 요건은, 소수지점거래 집중 종목, 소수계좌거래 집중 종목, 종가급변종목, 상한가잔량상위종목, 상장주식수 대비 단일계좌거래량 상위종목, 일정기간 소수계좌 매수관여 과다종목,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 투자경고종목의 지정에서 해제된 종목으로 지정 해제일로부터 5일이 경과하지 않은 종목 등이다. 이하에서, 각각에 대해 살펴본다.
소수지점거래 집중 종목은 (1) 최근 3일간 주가상승(또는 하락)률이 20% 이상이고, (2) 최근 3일간 특정 지점의 매수(매도) 관여율이 20% 이상이거나 5개 지점의 매수(매도) 관여율이 30% 이상이고, (3) 최근 3일간 최대 관여 지점의 매수(매도) 관여일수가 2일 이상이고, (4) 최근 3일간 일 평균 거래량이 3만주 이상인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종목이다.
소수계좌거래 집중 종목은 (1) 최근 3일간의 주가상승(또는 하락)률이 20% 이상이고, (2) 최근 3일간 상위 10개 계좌의 매수(매도)관여율이 40% 이상이고, (3) 최근 3일간 상위 10개 계좌 중 5개 이상의 계좌의 관여일수가 2일 이상이고, (4) 최근 3일간 일 평균 거래량이 3만주 이상인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종목이다.
종가급변종목은 당일 종가가 직전가격 대비 상승(하락) 폭이 5% 이상이고, 종가 거래량이 당일 총 거래량(정규시장의 매매거래)의 5% 이상인 종목이다.
상한가 잔량 상위 종목은 당일 장종료시 상한가 잔량이 10만주 이상이면서 참여 계좌수가 20개 이하인 종목이다.
상장주식수 대비 단일계좌 거래량 상위 종목은 당일 특정계좌의 순매수(도) 수량이 상장 주식수 대비 2% 이상인 종목이다. 다만 상장지수펀드(ETF)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기간 소수계좌 매수관여 과다종목은 최근 20 일간 주가 상승률이 일정 비100% 이상이고, 당일 상위 20개 계좌의 매수 관여율이 30% 이상인 종목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경고예고 및 투자경고의 각 지정 요건과 해제 요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투자경고예고의 지정 요건은 크게 단기 급등, 중장기 상승 및 투자주의종목 반복공표 요건으로 나눌 수 있다. 단기 급등은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인 경우이며, 중장기 상승은 최근 20일간 주가상승률이 150% 이상인 경우이다. 투자주의종목 반복공표는 최근 20일간 소수지점 또는 소수계좌거래 집중 종목으로 5회 이상 공표되고 동 기간 주가상승률이 50% 이상인 경우이다.
투자경고의 지정 요건은 단기 급등, 중장기 상승 + 단기 급등, 중장기 상승, 투자주의종목 반복 공표 또는 투자위험종목에서 지정해제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투자경고의 단기 급등은 단기 급등을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지정된 종목이 투자경고예고 지정일로부터 기산하여 10일 내에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다. 그 조건은 (1) 최근 5일의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이고, (2) (1)에 해당하는 날의 주가가 최근 20일 중 최고가이며, (3) (1)에 해당하는 날을 기준으로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그 기간의 종합주가지수상승률의 6배 이상인 경우이다. 단, 유가증권시장 종목 중 산업별주가지수 산출대상인 경우 종합주가지수 대신 동업종산업별주가지수를 적용한다.
투자경고의 중장기 상승 + 단기 급등은,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지정된 종목 중 투자경고예고 지정일로부터 기산하여 10일 이내에 다음 각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다. 그 조건은 (1)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이고, (2) (1)에 해당하는 날의 주가가 최근 20일 중 최고가이며, (3) (1)에 해당하는 날을 기준으로 최근 5일간의 주가상승률이 그 기간의 종합주가지수상승률의 6배 이상인 경우이다. 단, 유가증권시장 종목 중 산업별주가지수 산출대상인 경우 종합주가지수 대신 동업종산업별주가지수를 적용한다.
투자경고의 중장기 상승은, 투자경고예고의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지정된 종목 중 투자경고예고 지정일로부터 기산하여 10일 이내에 다음 각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다. 그 조건은 (1) 최근 20일간의 주가상승률이 150% 이상이고, (2) (1)에 해당하는 날의 주가가 최근 20일 중 최고가이며, (3) (1)에 해당하는 날을 기준으로 최근 20일간 주가상승률이 그 기간의 종합주자기수상승률의 4배 이상인 경우이다. 단, 유가증권시장 종목 중 산업별주가지수 산출대상인 경우 종합주가지수 대신 동업종산업별주가지수를 적용한다.
투자경고의 투자주의종목 반복공표는 투자주의종목 반복공표를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 중 투자경고예고 지정일로부터 기산하여 10일 이내에 다음의 각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다. 그 조건은 (1) 최근 20일간 소수지점 또는 소수계좌 거래 집중 종목으로 5회 이상 공표되고 동기간 주가상승률이 50% 이상이고, (2) (1)에 해당하는 날의 주가가 최근 20일 중 최고가인 경우이다.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 해제 요건은 투자경고 종목 지정일로부터 10일 이후의 날의 종가가 다음의 요건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경우로서, 그 요건은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인 경우 및 최근 20일간 주가상승률이 150% 이상인 경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위험예고 및 투자위험의 각 지정 조건 및 해제 조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자위험예고는 투자경고종목 지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단기급등 및 중장기 상승으로 나눌 수 있다. 단기 급등은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인 경우이고, 중장기 상승은 최근 20일간 주가상승률이 150% 이상인 경우이다.
투자위험의 지정은 투자경고종목 지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단기급등, 중장기 상승 + 단기 급등, 중장기 상승으로 나뉘는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투자위험의 단기 급등은 단기 급등을 이유로 투자위험예고로 지정된 종목 중 투자위험예고 지정일로부터 기산하여 10일 이내에 다음의 각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종목이다. 그 조건은 (1)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이고, (2) (1)에 해당하는 날의 주가가 최근 20일 중 최고가이며, (3) (1)에 해당하는 날을 기준으로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그 기간의 종합주가지수상승률의 6배 이상인 경우이다. 단 유가증권시장 종목 중 산업별주가지수 산출대상인 경우 종합주가지수 대신 동업종산업별주가지수를 적용한다.
투자위험의 중장기 상승 + 단기 급등은,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 중 투자위험예고 지정일로부터 기산하여 10일 이내에 다음 각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다. 그 조건은 (1)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이고, (2) (1)에 해당하는 날의 주가가 최근 20일 중 최고가이고, (3) (1)에 해당하는 날을 기준으로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그 기간의 종합주가지수상승률의 6 배 이상인 경우이다. 단, 유가증권시장 종목 중 산업별주가지수 산출대상인 경우 종합주가지수 대신 동업종산업별주가지수를 적용한다.
투자위험의 중장기 상승은,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 중 투자위험예고 종목 지정일로부터 기산하여 10일 이내에 다음 각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다. 그 조건은 (1) 최근 20일간 주가상승률이 150% 이상이고, (2) (1)에 해당하는 날의 주가가 최근 20일 중 최고가이고, (3) (1)에 해당하는 날을 기준으로 최근 20일간 주가상승률이 그 기간의 종합주가상승률의 4배 이상인 경우이다. 단, 유가증권시장 종목 중 산업별주가지수 산출대상인 경우 종합주가지수 대신 동업종산업별주가지수를 적용한다.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 해제 요건은 투자위험종목 지정일로부터 10일 이후의 날의 종가가 다음의 조건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경우이다. 그 조건은 최근 5일간 주가상승률이 75% 이상인 경우 및 최근 20일간 주가상승률이 150% 이상인 경우이다.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 해제시 해제일로부터 바로 투자경로 종목으로 지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장경보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장경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자주의 종목의 지정 요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경고예고 및 투자경고의 각 지정 요건과 해제 요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위험예고 및 투자위험의 각 지정 조건 및 해제 조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8)

  1. 시장상황을 판단하여 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하는 시장경보장치에 의한 시장경보 방법에 있어서,
    종목들 중 주가 상승률이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비율 이상에 해당하는 단기 급등 또는 주가 상승률이 상기 제1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미리 설정된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기준 비율보다 더 큰 비율로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비율 이상에 해당하는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는 종목들을 투자경고예고 종목 및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
    상기 단기 급등을 이유로 상기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상기 투자경고예고 종목의 지정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3 기간 내에 상기 단기 급등에 해당하거나, 상기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상기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상기 투자경고예고 종목의 지정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4 기간 내에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상기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
    상기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또는 지정되었던 종목이 상기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5 기간 내에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상기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
    상기 단기 급등을 이유로 상기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상기 투자위험예고 종목의 지정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6 기간 내에 상기 단기 급등에 해당하거나, 상기 중장기 상승을 이유로 상기 투자위험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상기 투자위험예고 종목의 지정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7 기간 내에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상기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면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의 주가가 상기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8 기간 동안 연속하여 상승하면 매매거래정지예고 및 매매거래정지 종목으로 순차적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장경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소수지점 또는 소수계좌 거래집중 종목, 종가급변 종목, 상한가잔량상위종목, 상장주식수 대비 단일계좌거래량 상위종목, 일정기간 소수계좌 매수관여 과다종목, 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종목에 해당하거나, 상기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되었다가 해제된 종목을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장경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소수지점 또는 소수계좌 거래집중 종목으로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지정되고 주가상승률이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인 투자주의종목 반복공표 조건에 해당하는 종목을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장경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주의종목 반복공표를 이유로 투자경고예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일정 기간 내에 다시 상기 투자주의종목 반복공표에 해당하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장경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후 일정 기간 이후에 상기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상기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투자경고 종목의 지정을 해제하고,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장경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후 일정 기간 이후에 상기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이 상기 단기 급등 또는 상기 중장기 상승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투자위험 종목의 지정을 해제하고,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장경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거래정지 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의 매매거래 정지가 해제되면, 해당 종목을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장경보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20914A 2009-03-11 2009-03-11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7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914A KR100973674B1 (ko) 2009-03-11 2009-03-11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914A KR100973674B1 (ko) 2009-03-11 2009-03-11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674B1 true KR100973674B1 (ko) 2010-08-04

Family

ID=4275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914A KR100973674B1 (ko) 2009-03-11 2009-03-11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6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1543A (zh) * 2016-01-20 2017-07-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调拨系统及调拨方法
KR101796220B1 (ko) * 2011-12-29 2017-11-13 네이버 주식회사 증권 거래정보를 이용한 증권 컬렉션 랭킹 산출방법, 검색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50217B1 (ko) * 2018-03-15 2019-12-17 김야일 트레일링 스탑 방식을 이용한 자동 주식 매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357A (ja) * 2001-03-14 2002-09-20 Daiwa Securities Smbc Co Ltd 証券売買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
JP2004062808A (ja) * 2002-07-31 2004-02-26 Bank Of Tokyo-Mitsubishi Ltd 投資信託注文処理システム、投資信託注文処理方法
KR20050012695A (ko) * 2003-07-25 2005-02-02 (주)개미집소프트 증권 거래의 리스크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357A (ja) * 2001-03-14 2002-09-20 Daiwa Securities Smbc Co Ltd 証券売買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
JP2004062808A (ja) * 2002-07-31 2004-02-26 Bank Of Tokyo-Mitsubishi Ltd 投資信託注文処理システム、投資信託注文処理方法
KR20050012695A (ko) * 2003-07-25 2005-02-02 (주)개미집소프트 증권 거래의 리스크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220B1 (ko) * 2011-12-29 2017-11-13 네이버 주식회사 증권 거래정보를 이용한 증권 컬렉션 랭킹 산출방법, 검색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6991543A (zh) * 2016-01-20 2017-07-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调拨系统及调拨方法
CN106991543B (zh) * 2016-01-20 2021-08-27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调拨系统及调拨方法
KR102050217B1 (ko) * 2018-03-15 2019-12-17 김야일 트레일링 스탑 방식을 이용한 자동 주식 매매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ast et al. The impact of supply chain disrup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literature review
Kim Does futures speculation destabilize commodity markets?
Elder et al. Jumps in oil prices: the role of economic news
KR100973674B1 (ko) 시장경보 장치 및 그 방법
Hosain et al. The global economic impact of COVID-19: Three possible scenarios
Giosa Exploitative pricing in the time of coronavirus—the response of EU competition law and the prospect of price regulation
WO2019082274A1 (ja) 業績予測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103294A (ko) 종목 특성을 이용한 담보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Sarris Op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to deal with global food commodity market volatility
Chen et al. Decision quality by the loss cost of Type I and Type II errors
KR102050217B1 (ko) 트레일링 스탑 방식을 이용한 자동 주식 매매 방법 및 장치
JP2006110978A (ja) 統合アセスメント・コントロール表
Mall et al. VOLATILITY OF INDIA'S STOCK INDEX FUTURES MARKET: AN EMPIRICAL ANALYSIS
JP2016076098A (ja) J−reitの買付及び売付のタイミングを判定するコンピュータ装置
Barrett Food aid in response to acute food insecurity
Баженова et al. Early warning system of external sustainability of an economy: case of Ukraine
Lazarczyk Private and public information on the Nordic intra-day electricity market
WO2023233600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
Zhang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the supply chain coordination of the buyback contract
Yang et al. Does the implied volatility index have signaling power? Evidence from Mexico
Yan-hong Emergency management with buy back contract for supply chain
Judge Brexit and Crisis Management: Gas Supplies
Acosta Excuse under the UCC in Light of the COVID-19 Pandemic in Florida
Olkiewicz THE IMPACT OF ECONOMIC MACROENVIRONMENT ON SHAPING FOREIGN TRAD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POLAND.
Gupta et al. A study of change in bullwhip effect: An Indian sector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30

Effective date: 2010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