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LINEAR AMPLIFIER USING BACK GATE}
본 발명은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OSFET의 소스(source)와 백 게이트(back-gate)를 분리시켜 입/출력전력에 따라 백 게이트(back-gate 또는 body)의 전압을 조절하여 증폭기의 전체적인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 게이트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에서 가장 낮은 전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증폭기에서 소스(102a, 102b)와 백 게이트(104a, 104b)를 묶어서 사용한다.
이때의 일반적인 게이트-소스전압(VGS)과 드레인 전류(ID)와의 특성 그래프는 도 2 와 같다.
[수학식 1]
여기서,
는 변화된 문턱 전압을,
는 초기 문턱 전압을,
은 공정변수(0.3~0.4V)를
는 물리적 변수(0.6V)를
는 소스-백 게이트전압을 의미한 다.
상기와 같은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소스-백 게이트전압(VSB)을 조절하면, 문턱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소스-백 게이트전압(VSB)을 증가시킬수록, 즉 백 게이트전압을 감소시킬수록, 문턱 전압(Vt)(206)은 증가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바디 효과(Body Effect)'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바디 효과를 이용하여 입/출력전력에 따라 소스-백 게이트전압(VSB)을 직류(DC) 및 교류(AC)적으로 조절하여 게이트-소스전압(VGS)과 드레인 전류(ID)와의 관계를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선형 증폭기의 선형성을 향상 시킨다.
이상적인 선형 증폭기의 경우, 게이트-소스전압(VGS)과 드레인 전류(ID)의 관계는 도 2 에 도시된 201 구간에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202와 같다.
그러나, MOSFET 소자의 자체적인 비선형적 특성에 따라, 실제 게이트-소스전압(VGS)과 드레인 전류(ID)의 관계는 203처럼 표현되고, 아래의 [수학식 2]는 이를 수식화한 것이다.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2]는 MOSFET의 신호 분석으로 표현된 수학식으로, 증폭기의 선형성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성분이 도 2 에 표현된 203인 gm3이다. 즉, 203과 같은 비선형적인 특성이 나타나는 201 구간을 증폭기의 약한 비선형 영역(weakly nonlinear region)이라 한다[1].
정리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 향상을 위하여 게이트-소스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를 표현한 뒤, 비선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gm3 성분을 줄이는 방법으로 선형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위해 복수개의 게이트-소스전압(VGS)을 갖는 MOSFET증폭기를 병렬로 연결하였다.
하지만, 드레인 전류(ID)가 동일한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의한 드레인 전류(ID)의 그래프 추이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약한 비선형 구간에서의 선형성 향상은 있을 수 있으나, 선형 증폭기에서 필연적으로 보이는 강한 비선형 구간을 감소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로 큰 폭의 신호가 인가되면, 게이트-소스전압(VGS)이 강한 비선형 구간(204, 205)까지 도달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구체적으로 도 3 을 참조하여 살피면, 각기 상이한 게이트-소스전압(VGS: 301a, 302a, 303a)의 증가에 따른 드레인 전류(ID)는 301b, 302b, 303b와 같다.
즉, 게이트-소스전압(V
GS)이 302a로 일정할 때에 선형적인 특성을 갖는 드레인 전압의 변화폭은 304영역으로 한정된다. 그러므로, 큰 폭의 입력신호에 대해 증폭기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출력전력에 따라 게이트-소스전압(V
GS)을 조절 하게 되며 이는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도출되며,
이고,
는 채널 폭, 그리고,
은 채널 길이다[2].
[수학식 3]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선형성 향상을 위한 구조는, 게이트-소스전압(VGS)을 전력에 따라 증가시켜 전류(iDS)를 증가시켜야 하며, 증폭기의 전체적인 특성이 게이트-소스전압(VGS)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에 따라, 게이트-소스전압(VGS)의 변화는 선형성 향상뿐만 아니라 입력 및 출력정합의 변화에 따라 전력 이득, 효율 및 특성의 큰 변화를 초래한다.
선행 문헌 정보
[1]. TaeWook Kim, Bonkee kim, llku Nam, Beomkyu Ko, and Kwyro ee, "A Low-Power Highly Linear Cascoded Multiple-Gated Transistor CMOS RF Amplifier With 10 dB IP3 Improvement", IEEE MWCL, Vol.13, No.6, pp. 205-207, June 2003.
[2]. Y. S. Noh, and Chul S. Park , "An Intelligent Power Amplifier MMIC Using a New Adaptive Bias Control Circuit for W-CDMA Applications", IEEE JSSC, Vol.39, No.6, June 20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MOSFET의 소스(source)와 백 게이트(back-gate)를 분리시켜 입/출력전력에 따라 백 게이트(back-gate)의 전압을 조절하여 문턱 전압의 변화를 통해, 기존 전력 증폭기의 강한 비선형 구간을 감소시켜 선형 증폭기의 전체적인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를 제공함에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는, 입력 전력을 인가받는 캐스코드 증폭기 입력부와, 캐스코드 증폭기 입력부와 접속되는 공통 게이트 증폭기와, 공통 게이트 증폭기와 직렬로 접속되어 R-C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저항 및 다이오드, 및 캐스코드 증폭기 출력부를 포함하되, R-C필터에 의해 캐스코드 증폭기 입력부가 인가받는 입력 전력이 증가됨으로써, 캐스코드 증폭기의 출력부의 출력 전력이 증가하여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백 게이트 직류(DC)전압이 증가하고, 공통 소스 증폭기의 소스와 캐스코드 증폭기 출력부의 교류(AC)전압이 백 게이트에 커플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 전력의 증가 및 직류(DC)전압의 증가에 따라 문턱 전압이 감소되며, 감소된 문턱 전압에 대응하도록 증가된 직류(DC)전류에 의해 증폭기의 선형성을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캐스코드 증폭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DC)전압을 출력 및 직 류(DC)전압의 증가에 따라 문턱 전압이 감소되며, 감소된 문턱 전압에 대응하도록 증가된 직류(DC)전류에 의해 증폭기의 선형성을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백 게이트가 인가받는 직류(DC)전압을 변화시켜 스윗 스팟(Sweet Spot)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백 게이트가 인가받는 교류(AC)전압을 변화시켜 스윗 스팟(Sweet Spot)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스 및 드레인으로부터 백 게이트와 커플링된 교류(AC)전압을 인가받아 문턱 전압을 변화시켜 선형성을 지속시키되, 소스 및 드레인이 직류 바이어스의 전압보다 높은 양(+)의 교류(AC)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백 게이트의 전압을 직류(DC)전압보다 높은 양(+)의 교류(AC)전압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문턱 전압을 낮추어 선형성을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으로부터 백 게이트와 커플링된 교류(AC)전압을 인가받아 문턱 전압을 소정의 크기로 변화시켜 선형성을 지속시키되, 소스 및 드레인이 직류 바이어스의 전압보다 낮은 음(-)의 교류(AC)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백 게이트의 전압을 직류(DC)전압보다 낮은 음(-)의 교류(AC)전압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문턱 전압을 높여 선형성을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MOSFET의 소스(source)와 백 게이트(back-gate)를 분리시켜 입/출력전력에 따라 백 게이트(back-gate)의 전압을 조절하여 문턱 전압 및 강한 비선형 영역의 변화시켜 증폭기의 비선형 구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증폭기의 전체적인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900)를 살피기 이전에 바디 효과(Body Effect)에 따라 증폭기의 선형성 향상을 위한 두 가지 원리를 살피면 아래와 같다.
첫째로, 도 4 를 참조하여 살피면, 공통 게이트(Common Gate)증폭기에서 출력 전력에 따라 백 게이트의 직류(DC)전압(VB)이 증가(401)하는 컴퓨터 모사결과를 나타낸 도면. 여기서, 402는 선형 증폭기에서 백 게이트를 소스와 연결하였을 때의 백 게이트 직류(DC)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출력전력과는 관계없이 동일한 직류(DC)전압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 는 출력 전력에 따른 소스-백 게이트 직류전압(VSB)의 변화를 컴퓨터 모사 결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백 게이트의 직류전압이 출 력 전력에 따라 증가하고, 소스 직류전압은 일정하기 때문에, 소스-백 게이트 직류전압(VSB)은 출력 전력에 따라 감소(501)한다. 이로 인해 문턱전압(Vt)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출력전력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량(ΔVT)은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전력에 따라 백 게이트의 직류전압을 증가시키면 601과 같고, 602는 일반적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드레인 전류(iDS)를 증가시켜 전체적인 증폭기의 선형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부연하면, 전력에 따라 백 게이트 직류(DC)전압을 조금씩 증가 시키는 것은 전력에 따라 마치 스윗 스팟(Sweet Spot)을 이동시키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증폭기가 클래스 B모드로 동작할 때, 입력 전력의 증가가 게이트-소스 전압(VGS)의 증가에 기여하여 일시적으로 증폭기의 전압 이득이 증가하면서 선형 특성이 증가하는 지점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스윗 스팟이라 한다.
하지만, 상기 스윗 스팟은 게이트-소스전압(VGS)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선형 증폭기 설계에서 사용하는 클래스 AB모드에서는 스윗 스팟이 단 한 개의 점으로만 생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 게이트의 직류(DC)전압은 전체 증폭기의 특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윗 스팟이 한 점이 아닌 여러 구간에 존재하도록 하여 일정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스윗 리젼(Sweet Region)을 생성할 수 있다.
둘째로, 상술한 백 게이트의 직류(DC)전압의 증가를 통한 선형성의 향상과는 달리, 소스와 드레인으로부터 백 게이트에 커플링 된 교류(AC)전압을 이용하는 원리가 있다.
선형 증폭기의 경우, 강한 비선형 구간은 MOSFET증폭기의 동작영역이 트라이오드(triode)영역으로, 일반적인 선형 증폭기의 증폭구간으로 사용하는 포화(saturation)영역에서 벗어나 증폭기의 전체적인 선형성을 감소시킨다.
선형적인 특성을 갖는 포화영역과 비선형적 특성을 갖는 트라이오드영역의 경계는 아래의 [수학식 4]를 통해 도출된다.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4]에서 알 수 있듯이 직류(DC)바이어스 전압 보다 큰 양(+)의 교류(AC)입력신호가 인가되어 전류증폭기의 특성이 도 2 에 도시된 비선형 구간(204)으로 진행될 때, 문턱 전압(Vt)을 증가시키게 되면, 201 구간이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포화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증폭기의 전체적인 선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직류(DC)바이어스 전압 보다 큰 음(-)의 교류(AC)입력신호가 인가될 경우, 증폭기의 동작 영역이 비선형 구간(205)로 이동하여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문턱 전압보다 낮아 증폭기가 꺼지는 컷 오프(Cut-off)영역으로 동작하여 전체적인 선형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문턱 전압(Vt)을 감소시키면 상대적으로 201 구간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포화영역이 증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소스와 백 게이트를 분리하면, MOSFET자체의 기생 캐패시터에 의해 소스와 드레인의 교류(AC)전압이 백 게이트에 커플링이 되고, 이를 이용하면 증폭기의 선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은 공통 게이트(Common Gate)증폭기가 소스에 직류(DC)바이어스 전압보다 큰 양(+)의 교류(AC)입력신호를 입력받을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701은 일반적인 소스와 백 게이트를 연결한 경우의 포화영역이고, 그에 따른 드레인 전류(iDS)는 702와 같다.
소스가 큰 양(+)의 교류(AC)입력신호를 인가받을 때, 백 게이트의 전압을 증가시켜 낮아진 문턱 전압에 따라 이동된 드레인 전류(iDS)는 703이다. 이때, 포화영역은 704와 같고, 양(+)의 교류(AC)신호를 커플링 하여 백 게이트의 전압을 증가시켰을 때의 드레인 전류(iDS) 특성은 705와 같다.
따라서, 백 게이트 조절에 의해 변경된 포화영역(706)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적인 증폭기의 선형성이 증가된다.
그리고, 도 8 은 공통 게이트(Common Gate)증폭기가 소스에 직류(DC)바이어스 전압보다 큰 음(-)의 교류(AC)입력신호를 입력받을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801은 일반적인 소스와 백 게이트를 연결한 경우의 포화 영역이고, 그에 따른 드레인 전류(iDS)는 802와 같다.
소스가 큰 음(-)의 교류(AC)입력신호를 인가받을 때, 백 게이트의 전압을 증가시켜 낮아진 문턱 전압에 따라 이동된 드레인 전류(iDS)는 803이다. 이때, 포화영역은 804와 같고, 음의 교류(AC)신호를 커플링 하여 백 게이트의 전압을 증가시켰을 때의 드레인 전류(iDS) 특성은 805와 같다.
따라서, 백 게이트 조절에 의해 변경된 포화영역(806)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적인 증폭기의 선형성이 증가된다.
즉, 큰 양(+)/음(-)의 신호 양자에 대해서 백 게이트와 소스를 분리시킴으로써, 교류(AC)신호를 커플링하면 증폭기의 선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류 바이어스의 전압 보다 큰 음(-)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다이오드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오픈되고, 상기 소스와 드레인에 커플링된 신호에 따라 백 게이트 전압이 음(-)의 값을 갖는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바디 효과(Body Effect)에 따라 증폭기의 선형성 향상을 위한 두 가지 원리를 기반으로, 도 9 를 참조하여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900)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90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력을 인가받는 캐스코드(cascode) 증폭기 입력부(901)와, 공통 게이트 증폭기(903)의 백 게이트와 직렬로 접속되어 R-C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저항 및 다이오드(905), 및 증폭된 전력을 출력하는 캐스코드 증폭기 출력부(906)를 포 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능적으로 살피면, 공통 게이트 증폭기(903)의 백 게이트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 및 다이오드(905)의 R-C 필터에 의해, 캐스코드 증폭기 입력부(901)가 인가받는 입력 전력이 증가하고, 캐스코드 증폭기 출력부(906)의 출력 전력이 증가하여 백 게이트의 직류(DC)전압이 증가하고, 공통 소스 증폭기(901)의 소스와 캐스코드 증폭기 출력부(906)의 교류(AC)전압이 백 게이트에 커플링 된다.
여기서, 캐스코드 증폭기란, common source 증폭기와 common gate 증폭기를 결합한 증폭기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에 대한 컴퓨터 모사결과를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여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10 은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에서 여러 입력 전력에 따른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소스단의 전압을 시간 축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1001 이고, 1002는 드레인(drain)단의 전압, 1003은 백 게이트단의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1001 및 1002는 입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교류(AC)전압의 폭이 커지고, 이와 동일하게 백 게이트단의 전압(1003) 또한 교류전압의 폭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백 게이트단의 전압을 소스와 분리시킴으로써, 교류(AC)가 소스 및 드레인 신호와 커플링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살피면, 1101은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에서 여러 입력 전력에 따른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을 시간 축으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1102는 소스-백 게이트 전압(VSB), 1103은 1102에 따른 문턱 전압(Vt)의 변화량(ΔVT)이다.
앞서 상술한 도 8 및 도 11 을 참조하면, 큰 음(-)의 신호(1001)를 소스가 입력으로 인가받음과 동시에, 1101에서 큰 양(+)의 신호를 갖게 되고, 이 경우 1102는 큰 양(+)의 신호를 가짐으로써, 1103을 증폭하여 선형 영역을 804에서 806과 같이 증가시킨다.
또한, 큰 음(-)의 신호(1001)가 소스에 입력으로 인가될 때는 1101에서 큰 양(+)의 신호를 갖고, 이 경우의 1102는 큰 양(+)의 신호를 가짐으로써 1103을 크게 하여 선형 영역을 804에서 806으로 증가 시킨다.
한편,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900)를 집적회로로 제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는, 1950MHz의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 되도록 제작되었으며, 출력 전력에 따른 선형성(IMD3)은 도 13 과 같다. 1301은 종래의 백 게이트 연결에 따른 선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본 발명에 따라 입력 신호를 두 개의 톤으로 인가하였을 때의 선형성(1302)은, 종래의 증폭기에 비해 출력 전력이 23dBm 내지 29dBm(2tone의 P1dB)의 선형성이 향상되고, 평균 10dB 이상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 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MOSFET의 회로도 및 단면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MOSFET의 게이트-소스전압(VGS)과 드레인 전류(ID)와의 특성 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종래의 MOSFET의 드레인-소스전압(VDS)과 드레인 전류(ID)와의 특성을 다양한 게이트-소스전압(VGS)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 는 출력전력(PO)에 따른 백 게이트전압(VB)의 변화를 컴퓨터 모사 결과로 나타낸 도면.
도 5 는 출력전력(PO)에 따른 백 게이트-소스전압(VSB)의 변화를 컴퓨터 모사 결과로 나타낸 도면.
도 6a 은 출력전력(PO)에 따른 문턱전압의 특성(VT)의 변화를 컴퓨터 모사 결과로 나타낸 도면.
도 6b 는 일반적인 선형 증폭기에 대한 스윗 스팟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공통 게이트(Common Gate) 증폭기에서 소스에 음(-)의 큰 입력 교류(AC)신호가 들어 올 경우 본 발명에 의해 변경된 게이트-소스전압에 대한 드레인 전류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공통 게이트 증폭기에서 소스에 양(+)의 큰 입력 교류(AC)신호가 들어 올 경우 본 발명에 의해 변경된 게이트-소스전압에 대한 드레인 전류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 구조에서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백 게이트에 다이오드를 연결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의 입력 전력에 변화에 따른 공통 게이트 증폭기 각 노드의 전압을 시간축으로 나타낸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에서 입력 전력에 변화에 따른 바디 효과에 영향을 주는 전압을 시간축으로 나타낸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를 직접회로로 제작한 컴퓨터 모사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백 게이트를 이용한 선형 증폭기의 출력 전력에 따른 선형성(IMD3)을 컴퓨터 모사 결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a, 101b: 게이트
102a, 102b: 소스
103a, 103b: 드레인
104a, 104b: 백 게이트
201: 증폭기의 약한 비선형 영역
202: 게이트-소스전압과 드레인 전류간의 기울기
203:비선형 특성
204, 205: 게이트-소스전압이 강한 비선형구간
206: 문턱 전압
301a, 302a, 303a: 고정된 게이트-소스전압에서, 드레인-소스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
301b, 302b, 303b: 고정된 드레인-소스전압에서, 게이트-소스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
304: 드레인-소스 전압의 변화폭
401: 백 게이트와 소스가 분리됨에 따른 백 게이트의 직류전압
402: 백 게이트와 소스가 연결됨에 따른 백 게이트의 직류전압
501: 백 게이트와 소스가 분리됨에 따른 소스-백 게이트 직류전압
502: 백 게이트와 소스가 연결됨에 따른 소스-백 게이트 직류전압
601: 백 게이트와 소스가 분리됨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량
602: 백 게이트와 소스가 연결됨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량
603: 일반적인 선형 증폭기에서 형성된 스윗 스팟
701, 801: 소스와 백 게이트 연결에 따른 포화영역
702, 802: 소스와 백 게이트 연결에 따른 드레인 전류
703, 803: 문턱 전압에 따라 이동된 드레인 전류
704, 804: 문턱 전압에 따라 이동된 포화영역
705: 양의 교류신호와 커플링된 드레인 전류
706, 806: 백 게이트 조절에 따라 변경된 포화영역
805: 음의 교류신호와 커플링된 드레인 전류
901: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게이트
902: 공통 소스 증폭기의 게이트 및 캐스코드 증폭기의 입력부
903: 캐스코드 증폭기의 구성요소 인 공통 게이트 증폭기
904: 캐스코드 증폭기의 구성요소 인 공통 소스 증폭기
905: 백 게이트 다이오드 및 병렬저항
906: 캐스코드 증폭기 출력부
1001: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소스 전압
1002: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드레인 전압
1002: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백 게이트 전압
1101: 게이트-소스 전압
1102: 소스-백 게이트 전압
1103: 소스-백 게이트 전압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량
1301: 종래의 백 게이트 연결에 따른 선형성 그래프
1302: 본 발명에 의한 선형성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