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836B1 -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 - Google Patents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836B1
KR100972836B1 KR1020080021186A KR20080021186A KR100972836B1 KR 100972836 B1 KR100972836 B1 KR 100972836B1 KR 1020080021186 A KR1020080021186 A KR 1020080021186A KR 20080021186 A KR20080021186 A KR 20080021186A KR 100972836 B1 KR100972836 B1 KR 100972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p
area
user terminal
map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509A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폴리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다임 filed Critical (주)폴리다임
Publication of KR2008008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를 통해 일정한 영역을 설정하거나 전체 화면을 영역으로 삼아 지역정보의 영역으로서 등록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포인트 형태의 지역정보와 함께 연동하여 검색 및 표시가 가능한 지역정보 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정보의 등록 시 포인트 등록 방식으로는 정확하게 표현될 수 없는 포괄적인 지역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지역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던 숨겨진 골목이나 특정지역의 거리 및 새로이 부상하는 지역 등을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지역정보의 등록 및 공유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인트 등록 방식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동일한 정보의 중복 등록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검색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웹사이트, 지도 화면, 지역정보, 등록

Description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Regional information registering method through website map}
본 발명은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를 통해 일정한 영역을 설정하거나 전체 화면을 영역으로 삼아 지역정보의 영역으로서 등록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포인트 형태의 지역정보와 함께 연동하여 검색 및 표시가 가능한 지역정보 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지역정보 제공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특정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방식은 지도 화면상에서 해당 지점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지점에 대한 스팟이 형성되고 이를 고유한 포인트로 인식하여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지역정보가 등록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입력방식은 특정 건물이나 그 지역정보의 중심이 되는 곳이 어디인지 확실한 경우에는 큰 무리없이 지역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도 검색 결과를 특별한 이견없이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서는, 특정한 건물이나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지 못하는 포괄적인 지역(맛집 골목, 로데오 거리)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지역에서 어느 포인트를 스팟으로 지정하여 입력할지가 곤란하고, 또한 그로 인하여 무수히 많은 동일한 지역정보가 중복되어 등록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동대문 밀리오레 건물은 포인트로 등록이 가능하지만, 동대문 평화시장은 포인트 등록 방식으로는 다소 무리가 있는 대상이라 할 수 있다. 평화시장은 특정 포인트를 지정하여 등록할 수가 없으며 하나의 지역 전체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지역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의 온라인 지역정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등록방식으로는 일반 사용자들이 납득할 만한 지역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지역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하여 지역정보를 등록하는 방식에 있어서 현재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등록 방식 이외에 포괄적인 지역을 수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등록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지역정보 제공 서비스에서 지도 화면을 통해 지역정보로 저장될 영역을 마우스를 이용해 설정하거나 전체 화면을 지역정보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포인트 형태의 지역정보와 병행하여 검색 및 표시가 가능한 지역정보 등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역정보 등록방법은 (a)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1개의 좌표에 의해 포인트로 표시되는 지역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웹 상에서 확대 및 축소하여 표시해주는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에 의한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 조작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지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지도 이미지 내의 일부 영역을 설정하여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정보 식별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 명령이 내려지면 좌표정보와 텍스트를 하나의 지역정보로 지도 DB에 등록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지도 DB로부터 검색어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갖는 지역정보를 검색하고,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가 포인트인지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지역정보를 해당 지도 이미지상에 포인트 또는 영역으로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정보의 등록 시 포인트 등록 방식으로는 정확하게 표현될 수 없는 포괄적인 지역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지역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던 숨겨진 골목이나 특정지역의 거리 및 새로이 부상하는 지역 등을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지역정보의 등록 및 공유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인트 등록 방식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동일한 정보의 중복 등록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검색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역정보의 등록방식을 포인트를 기준으로 한 등록과 더불어, 지도화면 자체 또는 일부 영역을 하나의 지역정보화하여 등록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지역정보를 등록할 경우 기존에 제공되던 방식인 포인트 등록 방식과 더불어, 특정 지역을 자신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고도에서 지도화면 자체를 하나의 지역정보로 등록시킴으로써 포인트 방식으로는 제대로 표현될 수 없었던 포괄적인 지역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주도의 중문단지, 에버랜드와 같은 놀이공원, 성수동 먹자골목 등과 같이 특정 포인트로는 등록하기 곤란한 포괄적인 영역 정보를 지도 자체로 등록할 수 있게 되면 그 지도에서 해당되는 범위가 하나의 포인트화 되어 검색결과에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는 포괄적인 영역 정보라 하더라도 종래부터 존재하던 일반 포인트 방식의 지역정보와 함께 동일한 수준으로 검색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해당 지역의 검색 결과 표시 방식이 최초 저장된 지도화면 지역에 해당되는 범위로 표시되어야 하며, 지도의 확대/축소에 따라서 해당 지역이 같은 비율로 움직여야 한다.
또한 지도 화면 자체로서 등록된 해당지역 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또다른 포인트 정보도 병행하여 표시될 수 있어야 하며, 각각의 정보로의 개별적인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은 크게 2가지 측면으로 구성이 된다.
(1) 지도화면 자체를 하나의 지역정보로 등록시킬 수 있는 기능 생성;
(2) 다른 기존의 포인트 형태의 지역정보와 동일한 수준으로의 검색을 위한 검색 결과 표시 방안.
이와 같은 2 가지 요소는 기존의 포인트 형태의 지역정보와 병행하여 활용되며, 등록과 검색에 있어서 기존의 지역정보와의 충돌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각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방식의 구현이 필요하다.
지도화면 자체를 하나의 지역정보로 등록하는 과정:
지도화면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지역을 찾아 드래그 및 줌인(zoom-in)/줌아웃(zoom-out)을 통해 원하는 지역을 찾은 후,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해당 지역을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적절한 고도에서, 현재의 화면을 지역정보로 저장할 수 있는 버튼이나 여타의 이벤트 기능을 통해 등록하도록 한다.
다만 행정구역상에 표시되는 구역의 범위 등을 하나의 지역정보로 등록시키는 것을 시스템상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행정구역상의 지역범위는 지역정보라기보다는 행정상의 편의에 따라 공식적으로 정해진 영역이므로 임의의 정보 등록을 차단하는 것이 서비스의 목적상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등록시 최소한의 등록할 수 있는 고도의 범위를 정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한다. 등록된 지역정보의 검색을 위해서는 태그의 입력은 필요한 사항이다.
기존의 포인트 정보와 동일 수준의 검색을 위한 과정:
지도화면 수준에서 등록된 지역정보는 일반 포인트 형 지역정보와 동일한 수준으로 검색되고 표현되어야 한다. 영역형 지역정보라고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별도 구성하여 이중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정보검색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검색결과상에 포인트형 지역정보와 영역형 지역정보를 어떻게 자연스럽게 보여 줄 것인가 하는 부분이 문제가 된다.
최초 저장된 지도화면 형태의 지역정보는 해당 고도에서의 지역정보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저장된 정보이므로 이를 존중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검색 결과에 나타난 고도와 상관없이 최초 저장된 지도화면의 영역을 검색결과에 표시해주는 방식으로 여타의 지역정보와 동일한 수준으로 보여질 수 있다.
결국 다른 포인트 형 정보 표시와는 달리 영역형 지역정보는 지도 상에서 일종의 영역으로 표시가 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결과화면을 줌인(zoom-in)/줌아웃(zoom-out)함에 따라 각각의 포인트 정보가 정확한 위치로 좀더 세밀하게 표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도화면 형 지역정보 역시 고도에 따라서 최초에 등록된 정확한 위치를 자연스럽게 표시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대적인 영역의 크기가 변하는 것은 아니고, 고도에 따른 상대적 비율에 따라서 정확한 위치가 자연스럽게 표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지역정보 검색 및 웹 상에서의 지도 이미지 확대, 축소, 이동 등을 통해 원하는 지도 이미지를 원하는 크기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T10). 이때, 지역정보가 저장된 지도 DB로는 종래의 지도 DB에 저장된 지역정보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하므로, 지도 DB에는 1개의 좌표에 의해 포인트로 표시되는 지역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서비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 하고,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와 크기의 지도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T20).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는 높은 고도(소축척 지도)에서 원하는 위치를 대략적으로 지도 이미지의 중앙에 위치시킨 후에 낮은 고도(대축척 지도)로 변환시키면서 원하는 위치를 찾는 방식과, 해당 위치 내부나 주변에 있는 건물 및 상호 이름을 검색하여 원하는 위치를 찾는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위치를 찾으면 사용자가 등록을 원하는 영역이 지도 화면에 가득차도록 지도 이미지의 축척을 조정하거나, 해당 영역의 경계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사각형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등록 영역을 지정한다(ST30).
이러한 등록 영역 지정이 가능하려면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에서 현재의 전체 지도화면을 영역으로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의 버튼을 제공하거나, 마우스를 누른 채로 움직이면 사각형이 표시되도록 한 후 마우스의 버튼을 떼면 표시된 사각형이 유지되면서 사각형 내부의 영역이 등록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마우스로 지도 이미지 상의 여러 포인트를 차례로 클릭하여 다각형을 이룬 후에 다각형 내부의 영역이 등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을 영역 등록 버튼이라고 하자.
영역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해당 영역의 명칭을 입력하고 해당 영역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단어를 태그로 등록하는 등 해당 영역의 지역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향후 검색에 이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영역 등록 버튼을 누른다(ST40).
영역 등록 버튼이 눌리면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에서는 마우스 드래그를 이용한 사각형 영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T50).
사각형 영역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화면상에 나타난 지도 이미지 전체를 등록시킬 영역으로 설정한다(ST60). 그러나, 사각형 영역이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이 등록시킬 영역이 된다.
예컨대, 지도 이미지상에서 '에버랜드'의 위치를 찾아 등록할 영역이 전체 화면을 차지하도록 축척을 조절하여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화면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에버랜드'라는 명칭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시킬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좌표정보를 산출한다(ST70).
예컨대, 사각형 영역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지도 이미지의 전체 화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등록 영역으로 자동 설정하는 경우에는 전체 화면의 좌측 최상단과 우측 최하단(또는 좌측 최하단과 우측 최상단)에 해당되는 2개의 좌표를 좌표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사각형 영역의 좌측 최상단과 우측 최하단(또는 좌측 최하단과 우측 최상단)에 해당되는 2개의 좌표를 좌표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꼭지점 좌표를 갖는 다각형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각 꼭지점의 개수만큼 각각의 좌표를 좌표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
등록할 영역에 대한 좌표정보가 설정되면 앞서 입력된 명칭, 태그 등의 텍스 트와 함께 하나의 지역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로서 지도 DB에 저장되며, 이상의 과정을 통해 지역정보의 등록이 완료된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저장된 정보를 한번 더 보여줌으로써 정보 저장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기존의 지도 DB에 저장된 지역정보와 함께 새로 추가된 지역정보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면,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는 지도 DB를 통해 검색어에 대응되는 텍스트(명칭, 태그 등)를 갖는 지역정보를 검색한다(ST90).
그리고, 검색된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가 포인트인지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에 따라 지역정보를 해당 지도 이미지상에 포인트 또는 영역으로 표시한다(ST100). 예컨대, 포인트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점, 화살표, 건물 그림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영역으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의 테두리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검색된 지역정보를 지도 이미지상에 포인트 또는 영역으로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 도 2와 도 3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표시단계(ST10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등록시킬 영역의 좌표정보 산출 단계(ST70)에서 해당 영역을 사각형으로 설정하고 해당 사각형 영역을 2개의 좌표로 나타내도록 지역정보를 구성하여 지도 DB에 저장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앞서 지역정보의 등록 단계(ST10~ST80)에 이어서 지역정보의 검색 단계(ST90)가 진행된 이후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는 검색된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의 개수를 판별한다(ST101).
판별결과 좌표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는 지역정보를 포인트로 표시하는 경우로서, 해당 좌표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지도 이미지 내의 해당 좌표 위치에 점, 화살표, 건물 그림 등 지역정보임을 알릴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ST105).
그러나, 좌표의 개수가 2개인 경우는 지역정보를 영역으로 표시하는 경우로서(ST102), 2개의 해당 좌표가 모두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지도 이미지 내에 2개의 좌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사각형 테두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 예컨대, 2개의 좌표를 양 대각선 끝으로 하는 사각형 테두리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T103).
그리고, 사각형 테두리가 표시된 후에는 사각형 테두리에 의해 표시된 영역이 전체 화면상에서 자연스럽게 표시되도록 지도 이미지의 축척을 조절하거나 사각형 영역이 화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며, 이처럼 지도 이미지와 지역정보 영역을 보기좋게 조절한 후에 사용자 단말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ST104).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포인트형 지역정보와 영역형 지역정보가 한 화면에 공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표시단계(ST10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등록시킬 영역의 좌표정보 산출 단계(ST70)에서 해당 영역을 사각형으로 설정하고 해당 사각형 영역을 1개의 좌표와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로 나타내도록 지역정보를 구성하여 지도 DB에 저장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앞서 지역정보의 등록 단계(ST10~ST80)에 이어서 지역정보의 검색 단계(ST90)가 진행된 이후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는 검색된 지역정보의 좌표정보에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T106).
판별결과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지역정보를 포인트로 표시하는 경우로서, 해당 좌표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지도 이미지 내의 해당 좌표 위치에 점, 화살표, 건물 그림 등 지역정보임을 알릴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ST110).
그러나, 지역정보의 좌표정보에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포함된 경우는 지역정보를 영역으로 표시하는 경우로서(ST107), 1개의 해당 좌표를 기준으로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만큼의 영역이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지도 이미지 내에 해당 영역을 나타내는 사각형 테두리를 지도 이미지상에 표시한다. 예컨대, 좌측상단 꼭지점을 나타내는 1개의 좌표를 기준으로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만큼 우하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 테두리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T108).
그리고, 사각형 테두리가 표시된 후에는 사각형 테두리에 의해 표시된 영역이 전체 화면상에서 자연스럽게 표시되도록 지도 이미지의 축척을 조절하거나 사각형 영역이 화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며, 이처럼 지도 이미지와 지역정보 영역을 보기좋게 조절한 후에 사용자 단말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ST109).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화면에 나타난 지도 이미지 전체를 지역정보의 영역으로 설정한 예시도,
도 3은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표시된 지도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지역정보의 영역으로 설정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표시단계(ST9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1에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표시단계(ST9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1개의 좌표에 의해 포인트로 표시되는 지역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상기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웹 상에서 확대 및 축소하여 표시해주는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 조작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지도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이미지 내의 일부 영역을 입력받아 상기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정보 식별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 명령이 내려지면 상기 좌표정보와 상기 텍스트를 하나의 지역정보로 지도 DB에 등록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상기 지도 DB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갖는 지역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가 포인트인지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지역정보를 해당 지도 이미지상에 포인트 또는 영역으로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각형 영역을 입력받은 경우 서로 대각의 위치에 존재하여 상기 사각형 영역을 나타내는 2개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2개의 좌표를 좌표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검색된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의 개수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좌표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는 상기 좌표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 내의 상기 좌표 위치에 상기 지역정보임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좌표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좌표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2개의 좌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사각형을 상기 지도 이미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각형이 전체 화면의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의 축척을 조절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정보 등록방법.
  5. (a)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1개의 좌표에 의해 포인트로 표시되는 지역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상기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웹 상에서 확대 및 축소하여 표시해주는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 조작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지도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이미지 내의 일부 영역을 입력받아 상기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정보 식별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 명령이 내려지면 상기 좌표정보와 상기 텍스트를 하나의 지역정보로 지도 DB에 등록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상기 지도 DB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갖는 지역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가 포인트인지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지역정보를 해당 지도 이미지상에 포인트 또는 영역으로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각형 영역을 입력받은 경우, 사각형의 네 꼭지점 중 기 설정된 기준 꼭지점을 이루는 1개의 좌표와 상기 사각형 영역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좌표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검색된 지역정보의 좌표정보에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지역정보의 좌표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 내의 상기 좌표 위치에 상기 지역정보임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정보의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가로길이와 상기 세로길이만큼의 영역이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영역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상기 지도 이미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각형이 전체 화면의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의 축척을 조절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정보 등록방법.
  6. (a)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1개의 좌표에 의해 포인트로 표시되는 지역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상기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웹 상에서 확대 및 축소하여 표시해주는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지도 검색 인터페이스 조작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지도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이미지 내의 일부 영역을 입력받아 상기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정보 식별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 명령이 내려지면 상기 좌표정보와 상기 텍스트를 하나의 지역정보로 지도 DB에 등록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상기 지도 DB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갖는 지역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가 포인트인지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지역정보를 해당 지도 이미지상에 포인트 또는 영역으로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이미지 내의 마우스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꼭지점으로 둘러싸인 다각형 영역을 입력받고, 상기 꼭지점들의 좌표를 산출하여 좌표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검색된 지역정보에 포함된 좌표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좌표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좌표들로 구성된 다각형을 상기 지도 이미지에 표시하고, 상기 다각형이 전체 화면의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도록 상기 지도 이미지의 축척을 조절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정보 등록방법.
KR1020080021186A 2007-03-07 2008-03-06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 KR100972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695 2007-03-07
KR20070022695 2007-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509A KR20080082509A (ko) 2008-09-11
KR100972836B1 true KR100972836B1 (ko) 2010-07-28

Family

ID=4002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186A KR100972836B1 (ko) 2007-03-07 2008-03-06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8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734A (ko) * 2000-05-31 2001-12-08 최창진 인터넷상에서 구현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040012214A (ko) * 2002-08-01 2004-02-11 김창수 이동 컴퓨팅 환경을 위한 지리정보 데이터 용량 축약 방법
KR20040083943A (ko) * 2003-03-25 2004-10-06 현도명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정보검색방법
KR20050000225A (ko) * 2003-06-23 2005-01-03 (주)클릭앤콜 지역정보 검색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734A (ko) * 2000-05-31 2001-12-08 최창진 인터넷상에서 구현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040012214A (ko) * 2002-08-01 2004-02-11 김창수 이동 컴퓨팅 환경을 위한 지리정보 데이터 용량 축약 방법
KR20040083943A (ko) * 2003-03-25 2004-10-06 현도명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정보검색방법
KR20050000225A (ko) * 2003-06-23 2005-01-03 (주)클릭앤콜 지역정보 검색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509A (ko)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8902B (zh) 業務對象的顯示、地圖資料的處理方法、客戶端及伺服器
CN105338479B (zh) 基于场所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200801722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urrent Prices, Including Hotel Room Rental Rates, With Markers Simultaneously On A Map
CN103069470B (zh) 用于搜索内容的方法和设备
US20080144107A1 (en) Method for arranging a collection of visual content
EP2369567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0716514B1 (ko) 좌석 예매/판매를 위한 공연장 맵 생성 방법 및 이를이용한 좌석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82513A (ko) 등급 설정을 통한 웹사이트 지도정보 표시 방법
US20080004795A1 (en) System and method to locate a destination on an electronic map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ereof
KR100972836B1 (ko) 웹사이트 지도를 통한 지역정보 등록방법
JP2002082874A (ja) バナー広告作成装置および方法、記憶媒体
US20080086324A1 (en) Parts managing system, parts manag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7101682A (ja) 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地図表示方法、地図表示システムのクライアント端末とそのプログラム
JP2006313472A (ja) フロアレイアウト作成支援サーバ、フロアレイアウト作成支援方法、及びフロアレイアウト作成支援プログラム
CN106296209A (zh) 地址输入控制方法及装置
JP2003132036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電子機器制御方法
JP5467829B2 (ja) 空中写真検索システム
KR100560735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맵정보 검색 방법
KR20010111899A (ko) 인터넷을 통한 맞춤형 지리 정보 제공 방법
CN110796715B (zh) 电子地图标注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WO2016075837A1 (ja) 旅程表示プログラム、旅程表示方法および旅程表示装置
JP2001027925A (ja) 地図情報提供方法及び地図情報提供装置
JP7309103B1 (ja) 合否判定システム、合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39268A1 (ja) 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地図表示方法
JPS63298572A (ja) 地理的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