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387B1 - 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 Google Patents

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387B1
KR100972387B1 KR1020080055054A KR20080055054A KR100972387B1 KR 100972387 B1 KR100972387 B1 KR 100972387B1 KR 1020080055054 A KR1020080055054 A KR 1020080055054A KR 20080055054 A KR20080055054 A KR 20080055054A KR 100972387 B1 KR100972387 B1 KR 10097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se
floating
water level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9004A (en
Inventor
나성원
신희태
유남열
이재연
이천근
이필승
정순용
정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387B1/en
Publication of KR2009012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0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유식 터미널로 사용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변에 구축되고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하천변의 수위에 따라서 승하강하도록 내부에는 부유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는 크레인 시설들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오목 홈부와, 상기 오목 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벽에 형성된 볼록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가 베이스 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전후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전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트렌치들을 형성하여 본체부의 하부 측으로 집합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제 부;를 포함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변의 접안 시설로서 사용되는 본체부가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함으로써 본체부의 상부측에 설치된 크레인은 접안된 선박과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서 선박에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는 크레인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크게 개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floating terminal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on the river side and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base;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ase, there is provided a floating space therein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the upper body portion equipped with crane facilities; Concave groov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and convex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concave groove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in the base and restricts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Guide part; It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coping with the flood level, including; and a cleaning unit for forming a plurality of trenches inclined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to discharge the waste coll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used as a riverside docking facility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riverside, so that the cran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height with the docked ship, thereby loading and unloading cargo on the ship.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in using a crane.

부유식 터미널, 부유식 구조물, 트렌치, 홍수위, 갈수위 Floating Terminal, Floating Structure, Trench, Flood Level, Low Water Level

Description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본 발명은 하천변에 설치되는 콘테이너 터미널 등의 접안 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함으로써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는 크레인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크게 개선하고, 크레인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piece facility, such as a container terminal installed on the riversid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venient in the use of a crane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by being able to move up and down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iver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an improved flood leve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o as to grea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rane and greatly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rane work.

일반적으로 하천변에 설치되는 콘테이너 터미널들의 접안시설은 선박에 선적된 각종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을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the docking facilities of the container terminal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iver is equipped with a crane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various cargoes loaded on the vessel.

이와 같은 종래의 접안 시설(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변을 일정 깊이로 절토(切土)한 다음,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의 안벽(310)을 견고하게 구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안벽(310) 위에 크레인(315) 등을 설치하고, 이와 같은 크레인(315)을 이용하여 터미널에 접안된 선박(320)에 콘테이너(container)와 같은 화물(322)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eyepiece facility 300 cuts the riverside to a certain depth, and then firmly constructs the quay wall 3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using reinforced concrete. And a crane 315 or the like is installed on such a quay wall 310, by using the crane 315 such as to load or unload cargo 322, such as containers (container) to the vessel 320 docked in the terminal. do.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안 시설(300)은 단지 선박(320)에 화물(322)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한 용도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하천변의 수위를 고려하지 않은 구조이다. 즉 하천변은 통상적인 평수위(ho)와 함께 계절별로 홍수위(h1)와 갈수위(h2)가 있는데, 콘테이너 터미널과 같은 접안 시설(300)이 설치된 하천변은 보통 홍수위(h1)와 갈수위(h2)의 수위 차가 10m에 육박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eyepiece facility 300 is only considering the use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cargo 322 to the vessel 320, the structure does not consider the water level of the riverside. In other words, riversides have flood level (h1) and low water level (h2) along with the normal level of water (ho), and riversides where berthing facilities (300) such as container terminals are installed usually have water level of flood level (h1) and low water level (h2). The car is close to 10m.

따라서 종래의 콘테이너 터미널에 구축된 안벽(310)은 그 높이가 평수위(ho)의 정상적인 높이 보다 높게 시공하여 홍수위(h1) 시에도 선박(320)에 화물(322)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갈수위(h2)에 대비하여 안벽(310)의 깊이를 평수위(ho)보다 깊게 시공하여 선박 선적 및 하역작업에 대응하고 있다.Accordingly, the quay wall 310 constructed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terminal is constructed so that its height is higher than the normal height of the flat water level (ho) so that the cargo 322 can be loaded and unloaded to the ship 320 even during the flood level h1. 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the low water level (h2) by constructing the depth of the inner wall 310 deeper than the ground water level (ho) to respond to the ship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그로 인하여 종래의 콘테이너 터미널은 평소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데, 이는 평수위(ho)에 비하여 안벽(310) 높이가 크게 높아진 상태이므로, 안벽(310)에 설치된 크레인(315)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크레인(315)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container terminal is very inconvenient to use normally, which is not necessary when working with the crane 315 installed on the inner wall 310 because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310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water level (h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crane 315 is increased.

이와 같이 크레인(315) 설치 위치가 높아지게 되면, 콘테이너 등의 화물(322)을 선적 및 하역하는 작업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게 되고, 화물(322) 운송 작업 중에 와이어의 흔들림이 심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은 매우 높아지게 된다. 특히 크레인(315)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이를 조작하는 크레인 운전자는 크게 위협감을 느끼게 되고, 크레인(315) 운전 작업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더욱더 안전사고의 위험을 증대시킨다.As such, when the crane 315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a high level of skill is require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argo 322 such as a container, and the shaking of wires becomes severe during cargo 322 transportation. The risk is very high. In particular, as the height of the crane 315 is increased, the crane operator who operates it feels a great threat, and the crane 315 is severely stressed in the driving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높아진 크레인(315)으로 인하여 화 물(322) 선적 및 하역 작업에 필요한 와이어(W)의 감김 및 풀림 작업시, 크레인(315)의 장시간 조작이 필요하여 이와 같은 크레인(315) 작업의 생산성은 낮아지게 되고, 특히 수위가 낮아지는 갈수위(h2)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In addition, due to this unnecessarily high crane 315, when the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W) required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fire 322, the crane 315 needs to be operated for a long time. ) The productivity of the work is lowered, especially in the low water level (h2)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함으로써 접안된 선박과 크레인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는 크레인 장비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크게 개선한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move up and down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by the docked ship and crane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height carg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greatly improves the convenience in using crane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접안된 선박으로부터 콘테이너등의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경우, 크레인 작업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크레인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콘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ading or unloading the cargo, such as containers from the vessel docked for another purpose,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crane operation in advance, as well as greatly reduce the working time to greatly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crane oper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a flood leve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terminal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변에 설치되는 콘테이너 터미널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ainer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riverside,

하천변에 구축되고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베이스;A base built on the riverside and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상기 베이스의 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하천변의 수위에 따라서 승하강하도록 내부에는 부유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는 크레인 시설들이 구비된 본체부;Locat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ase, there is provided a floating space therein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the upper body portion equipped with crane facilities;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오목 홈부와, 상기 오목 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벽에 형성된 볼록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가 베이스 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전후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 및Concave groov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and convex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concave groove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in the base and restricts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Guide part; And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전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트렌치들을 형성하여 본체부의 하부 측으로 집합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제 부;를 포함하여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승 하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A plurality of trenches which are inclined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to discharge dirt coll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Provide a floating structure that is compatibl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부유 공간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장치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수위 조절장치는 본체부의 상부 측에 펌핑 장치와 배관계통을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buoyancy by filling water in the floating space of the main body, and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umping device and a piping system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rovides floating structures capable of responding to flood levels.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는 베이스의 양측면에 형성된 볼록 돌출부와, 상기 볼록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 측벽에 형성된 오목 홈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formed of convex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and the concave groove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rotrusions. .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제 부는 다수의 트렌치들이 일정 간격의 ┖┚홈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이 베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nch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rench grooves of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of the base. do.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하천변에 콘테이너 터미널과 같은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such as a container terminal on the riverside,

하천변을 절토하고, 하부면에는 전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트렌치들을 형성하여 소제 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하면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Cutting the riverside and forming a plurality of trenches inclined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to build a base lower surface having a sweeping portion with concrete;

상기 베이스 하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각각 오목 홈부가 형성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의 후방을 이어주는 후벽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Constructing, by concrete, a rear wall connecting both sidewalls each having a concave groove portion form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rear side of the both sidewalls;

상기 베이스의 상부 면에서 상기 양 측벽과 후벽이 형성하는 공간부에 해당하는 크기로 내부 부유 공간을 통하여 부력(浮力)을 갖추며, 양 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양 측벽의 오목 홈부에 맞물리는 볼록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는 본체부를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 및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has buoyancy through the inner floating space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walls and the rear wall, and on both sides convex protrusions engaging the concave grooves of both side walls of the base, respectively. Building body parts to be formed of concrete; And

상기 본체부의 부유 공간 내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승하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Filling the water in the float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to adjust the buoyancy;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river.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를 구축하는 단계는 내부 부유 공간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력이 본체부 상부의 크레인 시설과 크레인에 의해서 이송되는 화물의 전체 하중을 견디도록 충분히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s the step of building the main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generated by the internal floating space is large enough to withstand the total load of the cargo transported by the crane facility and the crane on the upper body por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floating structures that can be handled.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벽을 콘크리트 구축하는 단계는 양 측벽에 볼록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를 콘크리트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볼록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 홈부를 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Preferably, the concrete building both sidewalls of the base may include convex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walls, and the concrete construction may include forming concave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rotrusion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It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ating structure that can respond to the floo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부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하천 변의 평수위에 맞추어 본체부가 베이스 하면에 안착되도록 부력 조절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loating structure that can respond to the floo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body portion is to adjust the buoyancy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smooth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안 시설로서 사용되는 본체부가 내부 부유 공간으로 인하여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함으로써 본체부의 상부측에 설치된 크레인은 접안된 선박과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에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는 크레인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크게 개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used as the eyepiece facility can be moved up and down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river side due to the internal floating space, so that the cran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lways has a constant height with the docked ship. I can keep it. Therefore,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in using a crane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on the ship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된 크레인이 선박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작업 가능하게 되어 접안된 선박으로부터 콘테이너 등의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경우, 크레인 작업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크레인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콘테이너 터미널의 전체적인 작업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an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is able to work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with the ship, when loading or unloading cargo such as containers from the docked shi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crane work in advanc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working tim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crane work, and to obtain an excellent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overall working productiv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1)은 하천변에 설치되는 콘테이너 터미널로 구축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변에 구축된 베이스(10)를 갖는다.The floating structure 1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a container terminal installed on the riverside, and has a base 10 constructed on the riverside as shown in FIG. 2.

상기 베이스(1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천 변을 절토하고, 철큰 콘크리트 구축물을 형성하는데, 상기 베이스(10)는 일정크기의 하면(12a)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하면(12a)의 양측으로는 상부측으로 양 측벽(12b)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12b)의 후방을 이어주도록 후벽(12c)을 베이스 하면(12a)의 상부측으로 형성한다.The base 10 is made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ut the river side, and forms a large concrete structure, the base 10 forms a lower surface (12a) of a predetermined size, of the base lower surface 12a Both sidewalls 12b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rear wall 12c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lower surface 12a so as to connect the rear side of the sidewall 12b.

상기 베이스(10)의 후벽(12c)은 그 벽면상에 오목부(12c')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오목부(12c')는 이후에 설명되는 본체부(20)의 후면과 상기 베이스(10)의 후벽(12c) 사이에서 과도한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와 같은 오목부(12c')로 인하여 본체부(20)는 그 후면이 상기 베이스(10) 후벽(12c)에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본체부(20)의 승 하강시 유리하다.The rear wall 12c of the base 10 forms a recess 12c 'on the wall surface, such recess 12c' i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base 10 described later. Excessive frictional resistance is prevented from occurring between the rear walls 12c of the " That is, the concave portion 12c 'allows the main body portion 20 to greatly reduce the area where the rear surface contacts the rear wall 12c of the base 10, which is advantageous when the main body portion 20 moves up and down.

따라서 이와 같은 베이스(10)는 양 측벽(12b)과 후벽(12c)이 서로 이어진 "⊃"형의 단면 구조를 갖게 되어 일정 크기의 공간부(15)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베이스(10)의 내측 공간부(15)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본체부(20)가 상기 공간부(15)에 대응하여 맞는 크기로 배치된다.Accordingly, the base 10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having a “⊃” shape in which both sidewalls 12b and the rear wall 12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have a space portion 15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inner space portion 15 of the main body por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15.

상기 본체부(20)는 베이스(10)의 공간부(15) 내에 콘크리트 구축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내부에 부유 공간(22)이 형성된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그 전체 부피로는 물의 비중보다 가볍다. The main body 20 is composed of a concrete structure in the space 15 of the base 10, and has a hollow structure having a floating space 22 formed therein, so that the total volume thereof is ligh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

따라서 하천변의 수위에 노출되면 그 하천 수위에 따라서 부력(浮力)을 받아서 뜨게 되는데, 상기 부유 공간(22)으로는 외부로부터 물이 본체부(20)를 관통하여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수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Therefore, when exposed to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receives a buoyancy (floating forc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the floating space 22 is provided with a degree function that prevents water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portion 20 from the outside have.

그리고 이와 같은 본체부(20)는 그 상부에는 크레인(315) 시설들이 구비되는데, 상기 본체부(20)의 내측에 형성된 부유 공간(22)은 충분히 커서 그 부유 공간(22)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력이 본체부(20) 상부의 크레인(315) 시설과 크레인(315)에 의해서 이송되는 화물(322)의 전체 하중을 모두 떠받쳐 물 위에 뜨도록 하는 충분히 큰 것이다.And the main body 20 is equipped with crane 315 facilities on the upper portion, the floating space 22 formed inside the main body 20 is large enough buoyancy generated by the floating space 22 It is large enough to support all the loads of the cargo 322 conveyed by the crane 315 facility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body part 20, and the crane 315, and to float on water.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내측 공간부(15)에 위치되는 본체부(20)는 하천변의 수위에 노출되면 본체부(20)가 베이스(10)의 내부에서 상부 측으로 떠오르게 되는데, 이와 같이 부력에 의해서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만 제한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30)를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body 20 locat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base 10 is exposed to the water level of the riverside, the main body 20 floats from the inside of the base 10 to the upper side. In the case of moving by the guide portion 30 is provided so that the movement direction is limit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이드 부(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오목 홈부(32a)와, 상기 오목 홈부(32a)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20)의 양 측벽(12b)에 돌출형성된 볼록 돌출부(32b)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오목 홈부(32a)에 볼록 돌출부(32b)가 그 형태에 맞추어서 위치되면 상기 본체부(20)가 베이스(10) 내에서 부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베이스(10) 전후방향의 이동은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3A, the guide part 30 may include concave grooves 32a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ase 10 and both sidewalls of the main body 20 to correspond to the concave grooves 32a. And a convex protrusion 32b protruding from the 12b, and when the convex protrusion 32b is positioned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concave groove 32a, the main body 20 is buoyant in the base 10. By the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made so that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se 10 is limited.

또한 이와 같은 가이드 부(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볼록 돌출부(36a)와, 상기 볼록 돌출부(36a)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20)의 양 측벽(12b)에 형성된 오목 홈부(36b)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볼록 돌출부(36a)와 오목 홈부(36b)가 서로 그 형태에 맞추어서 상기 본체부(20)가 베이스(10) 내에서 부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 록 하고 전후방향의 이동은 제한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guide part 30 includes a convex protrusion 36a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ase 10 and a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rotrusion 36a. And a concave groove portion 36b formed on both sidewalls 12b. The convex protrusion portion 36a and the concave groove portion 36b are adap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20 is provided with buoyancy force in the base 10. By this, the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made, and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limited.

그리고 상기 베이스(10)는 그 하부 면에 전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트렌치(trench)(52)들을 형성하여 본체부(20)의 하부 측으로 집합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제 부(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소제 부(50)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트렌치(52) 들이 일정 간격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트렌치 바닥면(52a)은 베이스(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경사형성된 구조이다.And the base 10 has a sweeping portion 50 to form a plurality of trenches (52) inclined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o discharge the dirt coll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0 to the outside do. As the cleaning part 50 is shown in detail in FIG. 2, a plurality of trenches 52 are formed in the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trench bottom surface 52a is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base 10. It is inclined toward the structure.

이와 같은 소제 부(50)는 상기 베이스 하면(12a) 상에 외부로부터 부유물이나 이물질들이 유동하여 쌓이게 되면 이는 트렌치(52)에 마련된 경사진 ┖┚홈을 통하여 베이스(10)의 전방으로 자연 배출된다. 따라서 별도의 소제 작업이 불필요하지만, 만일 침전물이 퇴적하여 트렌치(52)의 ┖┚홈이 막히는 경우에는 수 작업으로 이를 베이스(10) 전방으로 긁어내어 쉽게 소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트렌치(52)의 경사진 ┖┚홈 구조가 소제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Such cleaning part 50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base 10 through the inclined grooves provided in the trench 52 when floating or foreign matter flows and accumulates on the base lower surface 12a. . Therefore, a separate cleaning operation is not necessary, but if the sediment is deposited and the groove of the trench 52 is blocked, it can be easily cleaned by scraping it toward the base 10 by manual operation. In this case, the inclined groove groove structure of the trench 52 facilitates the sweep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1)은 상기 본체부(20)의 부유 공간(22)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장치(60)를 추가 포함하는데, 상기 수위 조절장치(60)는 본체부(20)의 상부 측에 펌핑 장치(62)와 배관계통(64)을 구비한 구조이다. 즉 상기 수위 조절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부유 공간(22)으로 이어진 배관계통(64)과, 상기 배관계통(64)에 이어진 펌핑 장치(62)를 포함하는데, 상기 펌핑 장치(62)는 부유 공간(22)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 펌프와, 부유 공간(22)으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 펌프들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loating structure (1) cor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60) for adjusting the buoyancy by filling the floating space 22 of the body portion 20, the water level The adjusting device 60 has a structure having a pumping device 62 and a piping system 64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That is,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60 is connected to the piping system 64 leading to the floating space 22 of the main body 20, and the pumping device 62 connected to the piping system 64 as shown in FIG. The pumping device 62 includes a water supply pump for supplying water to the floating space 22 and a water discharge pump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floating space 22.

따라서 이와 같은 물 공급 펌프 또는 물 배출 펌프의 선택적인 작동을 통하여 상기 부유 공간(22)에 채워지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본체부의 부유 공간(22)이 제공하는 부력(浮力)의 크기 조절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rough the selective operation of such a water supply pump or water discharge pump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floating space 22,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buoyancy provided by the floating space 22 of the body portion Control can be achie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변의 수위에 따라서 본체부(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동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 점선으로 도시된 평수위(ho)에 맞추어 본체부(20)의 부력 조절이 이루진 상태로 동작하는데, 이와 같은 본체부(20)는 베이스 하면(12a)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태이고, 본체부(20)상에는 크레인(315) 시설이 설치되어 선박(320)에 화물(322)을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floating structure 1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the main body 2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river.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of the main body 20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normal water level (ho) shown as a dashed line as usual, such a main body 20 is mounted on the base lower surface 12a and is supported. On the main body 20, a crane 315 facility is install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loading or unloading the cargo 322 on the ship 320.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하천변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본체부(20)는 그 내부의 부유 공간(22)으로 인하여 부력을 받게 되고, 수위에 따라서 높아진 부력은 본체부(20)를 베이스(10)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밀어 올린다. 따라서 본체부(20)는 가이드 부(30)에 의해서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데, 이와 같은 가이드 부(30)의 오목 홈부(32a)와 볼록 돌출부(32b)를 통하여 본체부(20)는 베이스(10)의 전방 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면서 상부로 안정되게 이동한다.In this stat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side becomes high, the main body 20 receives buoyancy due to the floating space 22 therein, and the buoyancy increa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auses the main body 20 to form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0. Push it up. Accordingly, the main body 20 is moved upward by the guide part 30, and the main body 20 is the base 10 through the concave groove part 32a and the convex protrusion part 32b of the guide part 30. It moves stably to the top without protru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본체부(20)의 상승 높이는 부력이 하천변의 수위에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에 하천변의 수위에 맞추어 비례적으로 그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0)에 위치된 크레인(315)도 동시적으로 상승되어 화물(322) 을 선적한 선박(320)의 높아진 위치에 맞추어 그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In this case, since the buoyanc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the riverside,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0 is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the riverside. Therefore, the crane 315 located in the main body 20 is also simultaneously lifted so that the interval therebetween is kept constant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ed position of the ship 320 that shipped the cargo 322.

한편 이와 같이 하천변의 수위가 높아진 상태로부터 하천변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본체부(20)에 가해지는 부력이 작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본체부(20)는 베이스(10)의 내부에서 하강되어 크레인(315)의 레벨도 낮아지는데, 이와 같은 본체부(20)의 하강시에도 베이스(10)와의 사이에서 형성된 가이드 부(30)를 통하여 본체부(20)는 안전하게 직선적으로 하강되며, 하천변의 수위가 평수위(ho)에 도달하면 베이스 하면(12a)에 본체부(20)가 안착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is lower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is increased in this way, the buoyancy applied to the main body 20 is reduced in contrast to the above, and as a result, the main body 20 is the inside of the base 10. Lowering the level of the crane 315 is also lowered, even when the body portion 20 is lowered through the guide portion 30 form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body portion 20 is safely and linearly lower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side reaches the smooth water level ho, the main body 20 rests on the base lower surface 12a.

그리고 이와 같은 하천변의 평수위(ho)로부터 더욱 하천변의 수위가 낮아지는 갈수위(h2)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하천변의 수위로부터 본체부(20)로 가해지는 부력의 세기가 더욱 작아지게 되지만, 상기 본체부(20)는 베이스(10)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더욱더 하강하지는 않는다.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low water level h2 where the level of the riverside is lowered from the flat water level (ho) of the riverside, the intensity of buoyancy applied to the main body 20 from the level of the riverside becomes smaller. The part 20 does not descend even further since it is seated on the base 10.

따라서 갈수위(h2)에는 하천에 떠 있는 선박(320)의 수위가 낮게 유지되지만 본체부(20)의 크레인(315)은 평수위(ho)에 머무르게 되어 크레인(315)과 선박 화물(322)과는 다소 높이차이가 발생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크레인(315)과 선박 화물(322)과의 높이 차는 종래의 콘테이너 터미널에서 크레인(315)과 갈수위(h2)의 선박 화물(322) 높이 차보다는 현저하게 그 높이 차이가 작은 것이다.Therefore, the water level of the vessel 320 floating in the river is kept low in the low water level (h2), but the crane 315 of the main body portion 20 stays at the flat water level (ho), so that the crane 315 and the ship cargo 322 There is a slight height difference. However,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rane 315 and the ship cargo 322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ship cargo 322 of the crane 315 and the low water level (h2)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보다 크레인(315)과 선박 화물(322)과의 적은 높이 차이를 유지하면서 크레인(315)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crane 315 operation while maintaining a less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rane 315 and the ship cargo 322 than the conventional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베이스(10)에 안착된 본체부(20)의 위치가 평수위(ho)에 맞추어 조절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베이스(10)에 안착되는 본체부(20)의 위치를 갈수위(h2)의 하천변 수위에 맞춰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통상의 평수위(ho)에서는 본체부(20)가 부력에 의해서 베이스(1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고, 하천변의 수위가 갈수위(h2)로 낮아지게 되면, 본체부(20)가 베이스(10)의 내부에서 가라앉게 되어 베이스 하면(12a)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20 seated on the base 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lat water level (h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20 seated on the base 10 may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river water level of the low water level h2. In this case, in the normal ground water level (ho), the main body 20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rais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 by buoyancy to a certain height, and the work is performed, and the level of the riverside is lowered to the low water level (h2). When it is lost, the main body 20 sinks inside the base 10 and is kept in a state seated on the base lower surface 12a.

따라서 본체부(20)상의 크레인(315)은 그 높이가 평수위(ho)와 갈수위(h2)의 사이에서 선박(320)의 화물(322)에 대하여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크레인(315) 작업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crane 315 on the main body 20 can operate the crane 315 while maintaining its height at a consta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cargo 322 of the ship 320 between the smooth water level ho and the low water level h2. Do.

한편 이와는 반대로 하천변이 홍수위(h1)로 유지되면 그 홍수위(h1)에 맞추어 더욱더 본체부(20)가 상승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체부(20)상의 크레인(315)은 그 높이가 홍수위(h1)에 맞추어 높아지게 되어 하천변의 홍수위(h1) 상에 위치한 선박(320)의 화물(322)에 대하여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크레인(315) 작업이 가능하다.On the contrary, if the riverside is maintained at the flood level h1, the main body 20 is further raised in accordance with the flood level h1. In this case, the crane 315 on the main body 20 has the height of the flood level h1. ), And the crane 315 can be operat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height with respect to the cargo 322 of the ship 320 located on the flood level h1 of the river s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의 시공방법(20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with reference to Figure 5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ethod 200 of the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200)은 먼저 하천변에 베이스 하면(12a)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10)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단계(210)는 하천변을 일정 크기로 절토(切土)하고,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베이스 하면(12a)을 구축하게 된다.Float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200 that can respond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made of a step 210 to build a base lower surface (12a) in the concrete on the river side, such step (210) to the river side to a certain size It cuts and builds the base lower surface 12a using reinforced concrete.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베이스 하면(12a)에는 전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트렌 치(52)들을 형성하여 소제 부(50)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소제 부(50)는 각각 경사진 ┖┚홈을 구비하도록 거푸집을 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打設)하여 트렌치(52)를 형성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base lower surface 12a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renches 52 inclined forward to form a sweeping portion 50. Such sweeping portions 50 each have an inclined groove. Forming the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to form a trench (52).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 하면(12a)에는 그 다음으로 상부측으로 양 측벽(12b)과 후벽(12c)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20)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양 측벽(12b)과 후벽(12c)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20)는 상기 베이스 하면(12a)으로부터 상부측으로 각각 오목 홈부(32a)가 형성되는 양 측벽(12b)과, 이와 같은 양 측벽(12b)의 후방을 서로 이어주는 후벽(12c)을 콘크리트 구축하여 베이스 하면(12a)의 상부측으로 "⊃"형 단면의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The base bottom surface 12a thus formed is then constructed with concrete to construct both sidewalls 12b and rear wall 12c to the upper side. The step 220 of constructing both of the side walls 12b and the rear wall 12c from the concrete may include both side walls 12b in which concave grooves 32a are formed, respectively, from the base lower surface 12a to the upper side thereof. The rear wall 12c, which connects the rear side of the side wall 12b to each other, is concrete-constructed so that the space portion 15 having a “⊃” 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lower surface 12a.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베이스(10)의 양 측벽(12b)과 후벽(12c)을 콘크리트로 구축하고 나면, 상기 베이스(10)의 공간부(15)내에 부력을 갖는 본체부(20)를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30)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wo side walls 12b and the rear wall 12c of the base 10 are constructed of concrete, the main body 20 having buoyancy in the space 15 of the base 10 is concrete. The step 230 of building is made.

이와 같이 본체부(20)를 구축하는 단계(23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면에서 상기 양 측벽(12b)과 후벽(12c)이 형성하는 공간부(15)에 해당하는 크기로 본체부(20)를 콘크리트 구축하는데, 이와 같은 본체부(20)는 내부 부유 공간(22)을 통하여 부력(浮力)을 갖추며, 양 측면에는 상기 베이스(10) 양 측벽(12b)에 형성된 오목 홈부(32a)에 맞물리는 볼록 돌출부(32b)를 각각 형성하는 구조로 콘크리트 구축된다.As such, the step 230 of constructing the main body 20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pace 15 formed by the side walls 12b and the rear wall 12c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he concrete body 2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main body 20 has buoyancy through the inner floating space 22, and on both sides, concave grooves 32a formed on both sidewalls 12b of the base 10. Concrete is constructed in a structure that forms convex protrusions 32b that engage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본체부(20)는 양 측면의 볼록 돌출부(32b)가 상기 베이스(10)의 양 측벽(12b)에 형성된 오목 홈부(32a)에 맞물려서 본체부(20)가 전후이동 없 이 상하로 승하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30)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main body portion 20 is engaged with the concave groove portion 32a formed on both side walls 12b of the base 10 by the convex protrusion portions 32b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20 moves up and down without moving back and forth. It serves as a guide unit 30 to guide the descending.

또한 상기 본체부(20)를 구축하는 단계(230)는 본체부(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유 공간(22)의 크기가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부(20)가 하천변의 수위에 노출되는 경우, 본체부(20)가 받는 부력이 본체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크레인(315) 시설과 상기 크레인(315)에 의해서 이송되는 화물(322)의 전체 하중을 견디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230 of constructing the main body 20, the size of the floating space 22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20 is sufficiently large, which means that the main body 20 is located at the level of the river. When exposed, the buoyancy force received by the body portion 20 is large enough to withstand the overall load of the crane 315 facility installed on top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cargo 322 transported by the crane 315. Is formed.

한편 이와 같이 본체부(20)를 구축하는 단계(230)는 오목 홈부(32a) 대신에 볼록 돌출부(32b)를 양 측면에 형성할 수 있는데, 만일 상기 베이스(10)의 양 측벽(12b)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20)에서 양 측벽(12b)에 오목 홈부(32a) 대신에 볼록 돌출부(32b)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20)를 콘크리트 구축하는 단계(230)에서 상기 베이스(10)의 볼록 돌출부(32b)에 대응하는 오목 홈부(32a)를 본체부(20)의 양 측면에 형성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step 230 of constructing the main body 20, convex protrusions 32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instead of the concave groove 32a, and if both sidewalls 12b of the base 10 are formed, If the convex protrusions 32b are formed on both sidewalls 12b instead of the concave grooves 32a in the step 220 of building concrete, the base 20 in the step 230 of building concrete. Concave groove portions 32a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rotrusion portions 32b of 1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portion 20.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체부(20)가 베이스(10)의 공간부(15)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상하로 승 하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main body 20 is guided up and down in the space 15 of the base 10 without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은 다음으로 본체부(20)의 부유 공간(22) 내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부력 조절단계에서는 하천변의 평수위(ho)에 맞추어 본체부(20)가 베이스(10)에 안착되도록 부력 조절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adjusting the buoyancy by filling the water in the floating space 22 of the main body portion 20, in the buoyancy control step such that the body portion 20 in accordance with the smooth water level (ho) of the river side Buoyancy control is to be seated on the base (10).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본체부(20)의 상부측에 마련된 수위 조절장치(60)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수위 조절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상부 측에 마련된 물공급 펌프를 통하여 상기 부유 공간(22)에 채워지는 물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의 부유 공간(22)이 제공하는 부력(浮力)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6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60 i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floating space 22 through a water supply pump provided on the side, it is to adjust the amount of buoyancy provided by the floating space 22 of the main body 20.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부(20)의 부력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부(20) 측으로는 하천변의 물이 공급되어 본체부(20)는 부력을 받도록 한다.And while the buoyancy control of the main body 20 is made in this way, water of the river side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20 side so that the main body 20 receives the buoyanc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 변의 접안 시설로서 사용되는 본체부(20)가 내부 부유 공간(22)으로 인하여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체부(20)의 상부 측에 설치된 크레인(315)은 접안된 선박과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서 선박(320)에 화물(322)을 선적 및 하역하는 크레인(315)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used as the berthing facility on the river side is movable up and down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river side due to the internal floating space 22. Therefore, the crane 315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height with the docked ship, so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the crane 315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argo 322 on the ship 320. Don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크레인(315)이 선박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화물(322) 선적 및 하역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크레인(315) 작업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화물(322)의 선적 및 하역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크레인(315)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콘테이너 터미널의 전체적인 작업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As well as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315 can be loaded and unloaded operation of the cargo 322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with the vess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crane 315 operation in advance, as well as the cargo (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time of the 322 is greatly shorten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crane 315 operation, and as a result, an excellent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overall working productiv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is obtained.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pecific structu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예를 들면 본체부에 내장된 부유 공간의 수 및 위치, 가이드 부의 오목 홈부와 볼록 돌출부의 형태 등에 관한 단순한 구조적인 변경이 가능하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For example, although simple structural changes are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floating spaces embedded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shape of the concave grooves and the convex protrusions of the guide portion, the modification or design modification structure of such a simple embodiment are all clearl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of law.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테이너 터미널의 접안 시설을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yepiece facility of a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a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의 가이드 부 구조도로서, a도는 베이스에 오목 홈부가 형성되고, 본체부에 볼록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 b도는 베이스에 볼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본체부에 오목 홈부가 형성된 구조;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guide por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base, a convex protrusion formed on the main body, b is a convex protrusion formed on the base, A structure in which a recessed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por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에서 크레인이 하천변의 수위에 따라서 갈수기로부터 홍수기에 걸쳐서 그 높이가 변화되고 선박과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Figure 4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ne in the float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is changed from the dry season to the flood perio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hip and the ship is kept consta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process flow 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constructing a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1 ...... Floating structure that can cope with flood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베이스 12a..... 베이스 하면10 ..... Bass 12a ..... Bass

12b.... 베이스 측벽 12c.... 후벽12b .... base sidewall 12c .... rear wall

12c'... 오목부 15..... 공간부12c '... recessed 15 ..... spaced

20..... 본체부 22..... 부유 공간20 ..... Main body 22 ..... Floating space

30..... 가이드 부 32a,36b..... 오목 홈부30 ..... Guide part 32a, 36b ..... Concave groove part

32b,36a.... 볼록 돌출부 50..... 소제 부32b, 36a .... convex protrusions 50 .....

52..... 트렌치 52a.... 트렌치 바닥면52 ..... trench 52a .... trench bottom

60..... 수위 조절장치 62..... 펌핑 장치60 ..... level control 62 ..... pumping device

64..... 배관계통 64 .....

200....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의 시공방법200 .... Construction method of floating structure that can cope with flood level

210.... 하천변에 베이스 하면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10 .... Step of building the base lower surface of the river

220.... 베이스 측벽과 후벽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20 .... the construction of the base side walls and the rear wall of concrete

230.... 본체부를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230 .... step of building the body part from concrete

240.... 본체부의 부유 공간 내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조절하는 단계240 .... adjusting buoyancy by filling water in floating space of main body

300.... 종래의 접안 시설 310.... 안벽300 .... conventional eyepiece 310 .... quay

315.... 크레인 320.... 선박315 .... Crane 320 .... Ship

322.... 화물 ho..... 평수위322 .... cargo ho .....

h1..... 홍수위 h2..... 갈수위h1 ..... flood level h2 ..... low level

Claims (8)

하천변에 설치되는 콘테이너 터미널에 있어서,In the container terminal installed in the riverside, 하천변에 구축되고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베이스;A base built on the riverside and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상기 베이스의 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하천변의 수위에 따라서 승하강하도록 내부에는 부유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는 크레인 시설들이 구비된 본체부;Locat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ase, there is provided a floating space therein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the upper body portion equipped with crane facilities;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오목 홈부와, 상기 오목 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벽에 형성된 볼록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가 베이스 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전후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 및Concave groov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and convex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concave groove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in the base and restricts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Guide part; And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전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트렌치들을 형성하여 본체부의 하부 측으로 집합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제 부;를 포함하여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승 하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A plurality of trenches which are inclined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to discharge dirt coll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Compatible floating struc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부유 공간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장치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수위 조절장치는 본체부의 상부 측에 펌핑 장치와 배관계통을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buoyancy by filling water in the floating sp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umping device and a piping system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loating structure that can respond to flood leve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제 부는 다수의 트렌치들이 일정 간격의 ┖┚홈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이 베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2. The floating structur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weep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rench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inclined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base. 하천변에 콘테이너 터미널과 같은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such as a container terminal on the riverside, 하천변을 절토하고, 하부면에는 전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트렌치들을 형성하여 소제 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하면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Cutting the riverside and forming a plurality of trenches inclined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to build a base lower surface having a sweeping portion with concrete; 상기 베이스 하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각각 오목 홈부가 형성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의 후방을 이어주는 후벽을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Constructing, by concrete, a rear wall connecting both sidewalls each having a concave groove portion form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rear side of the both sidewalls; 상기 베이스의 상부 면에서 상기 양 측벽과 후벽이 형성하는 공간부에 해당하는 크기로 내부 부유 공간을 통하여 부력(浮力)을 갖추며, 양 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양 측벽의 오목 홈부에 맞물리는 볼록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는 본체부를 콘크리트로 구축하는 단계; 및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has buoyancy through the inner floating space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walls and the rear wall, and on both sides convex protrusions engaging the concave grooves of both side walls of the base, respectively. Building body parts to be formed of concrete; And 상기 본체부의 부유 공간 내에 물을 채워서 부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하천변의 수위 레벨에 따라서 승하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Filling the water in the floating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adjust the buoyancy; float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respond to the floo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ri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구축하는 단계는 내부 부유 공간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력이 본체부 상부의 크레인 시설과 크레인에 의해서 이송되는 화물의 전체 하중을 견디도록 충분히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building the body portion corresponds to the floo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generated by the internal floating space is large enough to withstand the total load of the cargo transported by the crane facility and the crane above the body portion. Possible construction of floating structures.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부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하천변의 평수위에 맞추어 본체부가 베이스 하면에 안착되도록 부력 조절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위에 대응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djusting of the buoyancy of the main body portion is to adjust the buoyancy to be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smooth water level of the river side.
KR1020080055054A 2008-06-12 2008-06-12 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KR100972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054A KR100972387B1 (en) 2008-06-12 2008-06-12 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054A KR100972387B1 (en) 2008-06-12 2008-06-12 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004A KR20090129004A (en) 2009-12-16
KR100972387B1 true KR100972387B1 (en) 2010-07-27

Family

ID=4168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054A KR100972387B1 (en) 2008-06-12 2008-06-12 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3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8462C (en) * 1999-08-20 2007-07-25 株式会社机高 A locking doorknob which cognizes finger pri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2411A (en) 2002-12-04 2004-07-02 Mitsubishi Heavy Ind Ltd Container crane and container terminal
KR100544571B1 (en) 2004-06-11 2006-01-23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Marina
KR100750223B1 (en) 2006-08-10 2007-08-17 한국해양연구원 Floating type quay wall
JP4107913B2 (en) * 2002-01-10 2008-06-25 逸郎 渡辺 Floating container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7913B2 (en) * 2002-01-10 2008-06-25 逸郎 渡辺 Floating container terminal
JP2004182411A (en) 2002-12-04 2004-07-02 Mitsubishi Heavy Ind Ltd Container crane and container terminal
KR100544571B1 (en) 2004-06-11 2006-01-23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Marina
KR100750223B1 (en) 2006-08-10 2007-08-17 한국해양연구원 Floating type quay w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8462C (en) * 1999-08-20 2007-07-25 株式会社机高 A locking doorknob which cognizes finger pr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004A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3308B (en) Wind turbine is transported to ship and the method to set up thereof in &#34; offshore &#34; place
US11027801B2 (en) Boat lift
KR101324602B1 (en) Thruster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WO2007081198A1 (en) Pontoon, dock and method for a dock
JP4815442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compressed natural gas
KR100972387B1 (en) A Floating Ty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Responding To Flood Water Level
NO145500B (en) DOCKS OF THE ART CONTAINING A LIQUID PLATFORM
US4127004A (en) Off-shore platfor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the same
KR101902130B1 (en) Catamaran Rescue Boat
KR100923405B1 (en) System scaffolding construct method for LNG carrier hold on dry dock
KR20120057993A (en) Technology of Shiprepair on Ground
KR20110030754A (en) Floating dock
KR20110074433A (en) A crane vessel with a flotage and a stabilization method thereof
RU2668020C2 (e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JP2010007356A (en) Movable breakwater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130074134A (en) Block carry method for constructing vessel
KR100577901B1 (en) Small ship wharf building establishment for seashore
KR101606693B1 (en) Method for loading big size block of barge to floating dock
CN208531971U (en) The floating type elevator of harbour
CN108750874A (en) A kind of floating type elevator of harbour
KR101027578B1 (en) Terraced Ship Building Dock
CN104975590B (en) The vertical assembling technique waterborne of prestressed concrete fixed platform waterborne
JPH0976985A (en) Barge of loading deck elevation type
KR101399605B1 (en) Floating dock device and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
KR101245752B1 (en) Heavy lift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