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019B1 - 다기능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019B1
KR100972019B1 KR1020090024625A KR20090024625A KR100972019B1 KR 100972019 B1 KR100972019 B1 KR 100972019B1 KR 1020090024625 A KR1020090024625 A KR 1020090024625A KR 20090024625 A KR20090024625 A KR 20090024625A KR 100972019 B1 KR100972019 B1 KR 10097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ust collecting
suction
storage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 우 이
Original Assignee
인 우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 우 이 filed Critical 인 우 이
Priority to KR102009002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8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walls, ceilings, roof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47L11/4022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dirty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미세 먼지가 물과 함께 흡입되어 물과 먼지가 따로 배출됨에 따라 물은 정수되어 반복적으로 재순환되고, 먼지가 별도로 압축 처리됨으로써 이물질의 양이 적게 되어 자주 교체하지 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습수단에 의해 제거되고, 자외선으로 공기를 살균하여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었으며, 먼지의 흡입이 용이한 흡입장치, 물청소용 브러시가 장치된 흡입장치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흡입장치와 집진장치를 구비하고, 이에 물을 공급하여 흡입하게 됨에 따라 세차 및 건물 바닥 및 벽에 최소한 량의 물로써 청소를 할 수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는 정화된 물을 필요한 만큼 부분 히팅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청소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물, 먼지, 집진, 정화, 분사, 청소

Description

다기능 진공청소기{A MULTI-US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다기능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의 미세 먼지및 이물질이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물과 함께 흡입되어 집진기로 모여지게 되고, 집진기에 모여진 물은 정화하여 순환시켜 재공급하고, 이물질은 따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며, 공기와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은 집진기 내부로 집진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하여 청소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크게 캐니스터형(Canister Type), 업라이트형(Uplight Type), 드럼형(Drum Type), 핸디형(Handy Type) 등으로 구분되고, 이중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집진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고, 바퀴를 구비하여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진공청소기로서, 본체의 집진부에 복수의 연결관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길이가 긴 연장관이 연결되어 청소범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연장관의 말단에는 다양한 형태의 흡입장치가 연결되어 용도 및 장소에 따라 흡입장치를 교체하 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는 구동부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가 흡입장치, 연장관과 연결관을 통하여 집진부로 흡입된 후, 집진실에 제공되어 있는 먼지봉투에 의하여 집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본체와 흡입장치를 연결하는 연장관에 의하여 청소를 하게 되는 청소기구는 먼지가 많이 발생되어 걸름망을 자주 교체하여 하는 불편함과, 특히 미세 먼지가 걸러지지 않아 이의 분산으로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으며, 또한 기능이 단순하여 다른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외부의 미세 먼지가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물과 함께 흡입되어 집진기로 모여져 물은 정수처리로 재공급되고, 이물질은 따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여 물 낭비와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흡입장치와 집진장치를 구비하고, 이에 물을 공급하여 흡입하게 됨에 따라 세차 및 건물의 바닥, 벽 등에 최소한 량의 물로써 청소를 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 정화된 물을 필요한 만큼 히팅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세차 및 청소시 여러 번에 거쳐 해야 할 일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소량의 세제와 물로 세차 후 물 왁스, 코팅제를 공급하여 세차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간부가 구비된 헤드 케이스와; 상기 헤드 케이스 내부에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브러시가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헤드 케이스에 조인트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의 연결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이물질을 내부로 흡입하여 집진 및 정화처리 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에 모터가 장착된 헤드 케이스와; 상기 헤드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고, 모터에 회전축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부 영역에 내부케이스가 구비되고, 공기흡입공과 물배출공이 형성된 회전 임펠라와; 상기 회전 임펠라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청소용 브러시와; 상기 내부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의 연결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이물질을 내부로 흡입하여 정화처리 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미세 먼지가 물과 함께 흡입되어 물과 먼지가 따로 배출됨에 따라 물은 정수되어 반복적으로 재순환되고, 먼지가 별도로 압축 처리됨으로써 이물질의 양이 적게 되어 자주 교체하지 하지 않아도 되 고, 또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제습수단에 의해 제거되고, 자외선으로 공기를 살균하여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었으며, 먼지의 흡입이 용이한 흡입장치, 물청소용 브러시가 장치된 흡입장치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흡입장치와 집진장치를 구비하고, 이에 물을 공급하여 흡입하게 됨에 따라 세차 및 건물 바닥 및 벽에 최소한 량의 물로써 청소를 할 수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는 정화된 물을 필요한 만큼 부분 히팅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청소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세차 완료후, 물공급판의 적정 위치에 구비된 액저장통 내부의 액(물왁스 또는 코팅제)을 수중펌프의 펌핑력으로써 청소용 브러시로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차량에 대한 세차를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집진장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장치(10)와; 먼지가 흡입되어 집진되는 집진장치(20)와; 흡입장치(10)와 집진장치(20)를 자체 흡입력으로써 구동시키기 위한 진공모터(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장치(1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헤드 케이스(12)와; 헤드 케이스(1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주연에 브러시(13)가 구비된 회전축(14)과; 헤드 케이스(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17)와 집진장치(20)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관(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14)은 진공모터(70)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브러시(13)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16)에는 청소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조작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된다.
상기 집진장치(20)는 연결관(1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케이스(21)와; 연결관(16)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집진케이스(21) 내부로 흡입물을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22)과; 흡입관(22) 하부 영역의 집진케이스(21)에 구비되어 흡입물이 집진처리되는 집진처리부(30)와; 집진처리부(30)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흡입물에 포함된 물을 정수처리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물순환부(40)와; 집진처리부(3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집진처리부(3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와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물은 물순환부(40)로 공급시키고, 공기는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정화부(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처리부(30)는 물순환부(40)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 영역에 관통공(31a)이 형성된 가이드레일(31)과; 가이드레일(31)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부에 흡입관(22)이 삽입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바닥에는 다수의 통공(32a)을 갖는 받침대(32)가 구비된 외부집진통(33)과; 외부집진통(33)의 받침대(32)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내부에 흡입물이 유입되며, 외주연 및 바닥에는 다수의 물배출공(35a)이 형성된 내부집진통(3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집진통(33)의 양측에는 흡입물에 포함된 공기 및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집진통(35)은 상부 내주연에 다수개의 회전날개(35b)가 구비되고, 진공모터(70)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내부집진통(35)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내부집진통(35) 내부에서 흡입력의 방향과 바람의 방향에 따라 압축되어 쌓이게 된다. 또한, 내부집진통(35) 내부에는 걸름필터(36)가 구비되어 미세 먼지와 이물질은 필터링 되고, 오염된 물이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걸름필터(36)는 내부집진통(35) 내부에 구비되어 미세 먼지와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오염된 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물순환부(40)는 상부에 집진처리부(30)의 가이드레일(31)이 고정되고, 내부집진통(35)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물이 저장되는 오염물저장수조(42)와; 오염물저장수조(42)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적정량의 오염물이 저장되고, 내부에 수중펌프(43)가 구비된 오염물저장탱크(44)과; 오염물저장탱크(44)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오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예컨대, 기름 등)이 순차적으로 필터링되는 제1,2걸름필터(45)(46)와; 제2걸름필터(46)에 연결되어 물에 혼합된 이물질이 필터링 되고, 내부에서 오존발생기(47)가 구비되어 오존처리된 물이 저장되는 정화물저장탱크(48)와; 정화물저장탱크(48)와 집진케이스(21)에 사이에 연결된 연결파이프(49)와; 연결파이프(49)와 조인트(17) 사이에 연결되어 헤드 케이스(12) 내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공급부재(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오염물저장수조(42)와 오염물저장탱크(44) 사이에 자동개폐밸브(44a)가 구비되어, 오염물저장탱크(44)로 배출된 오수가 진공모터(70)의 흡입력으로 오염물저장수조(42)로 역류가 방지된다.
그리고, 연결파이프(49) 외주연에는 히팅코일(49a)을 구비하여 내부의 물이 적정 온도(약 70~95℃)가 유지되도록 히팅시켜 온수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게 되는데, 이는 주로 겨울철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공급부재(50)는 조인트(17) 외주연에 형성되고, 다수의 분사구(51a)가 구비된 물 자켓(51)과; 물 자켓(51)과 연결파이프(49)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 자켓(51)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52)와; 정화물저장탱크(48)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물을 적정 압력으로 물공급관(52)을 통하고, 물 자켓(51)의 분사구(51a)를 통하여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정화부(54)는 외부집진통(33)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수단(60)과; 제습수단(6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UV램프(56)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 제습수단(60)은 집진케이스(21)의 바닥면 또는 외측에 장착되어 낮은 압력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이기 위한 압축기(62)와; 압축기(62)에 연결되어 압축기(62)를 거쳐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차갑게 냉각된 저온의 액체냉매로 변환시켜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64)와; 응축기(64)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응축기(64)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모여지는 수조(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66)와 오염물저장수조(42) 사이에는 수직관(67)이 구비되어 수조(66)의 물이 오염물저장수조(42)로 공급된다.
상기 진공모터(70)는 통상적으로 자체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는 기기로서, 집진케이스(21) 상부 영역에 장착되어 발생되는 흡입력으로써 흡입장치(10)와 집진장치(2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집진케이스(21) 상부 양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1a)가 구비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흡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구성도며, 도 6은 도 4의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이는 흡입장치(10), 집진장치(20) 및 진공모터(70)로 이루어진 도 1 내지 도 3의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집진장치(20)와 진공모터(7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흡입장치와 집진장치를 구성하는 물순환부의 물공급부재 구조를 다르게 구성한 것으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부호를 표기하기로 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흡입장치(8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81a)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헤드 케이스(81)와; 헤드 케이스(8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주연에 물청소용 브러시(82a)가 구비된 회전축(82)과; 헤드 케이스(81)와 집진장치(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8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82)는 진공모터(70)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으로서 물청소용 브러시(82a)가 회전하여 청소를 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83)에는 청소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조작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하게 된다.
상기 물공급부재(84)는 헤드 케이스(81)에 연결된 물공급조인트(85)와; 물공급조인트(85) 내부와 회전축(82)에 형성된 물공급홈(86)을 통하여 삽입되는 회전연결관(87)과; 물공급조인트(85)의 외부와 연결파이프(49)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물공급관(88)과; 정화물저장탱크(48)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물을 물공급관(88)과 회전연결관(87)을 통하여 물공급홈(86)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89)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연결관(87)은 회전축(82)의 회전시 간섭이 방지되도록 자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물공급홈(88)에는 다수의 물분출공(86a)이 형성되어 물청소용 브러시(82a)로 물이 공급되는데, 공급되는 량은 물청소용 브러시(82a)가 젖을 정도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물 공급량의 조절은 미리 세팅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흡입장치(10)(80)는 그 용도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넓은 공간과 좁은 공간 및 코너 부위에 적절하게 제작하여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청소기에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흡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삭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2실시예는 크게 흡입장치(90)와; 집진장치(100)로 구성되고, 흡입장치(90)와 집진장치(100)를 자체의 흡입력으로써 구동시키기 위한 진공모터(200)로 이루어져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세차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흡입장치(90)는 내부에 모터(91)가 장착된 헤드 케이스(92)와; 헤드 케이스(92)의 하부에 구비되고, 모터(91)에 회전축(93)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부 영역에 내부케이스(94)가 구비된 회전 임펠라(95)와; 회전 임펠라(95) 하부에 장착되어 청소를 하기 위한 청소용 브러시(97)와; 내부 케이스(94)와 집진장치(10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관(99)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축(93)은 중공형, 즉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외부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회전 임펠라(95)는 중앙 영역에 회전축(93)이 삽입되는 결합홈(95a)이 형성되고, 결합홈(95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공기흡입공(95b)이 형성되도록 보강리브(96)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95a)과 보강리브(96) 상에는 수평과 경사지게 다수의 물배출통공(96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케이스(94)에는 연결관(99)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물 배출구(94a)가 연통되게 구비된다.
이때, 모터(91)로써 회전하는 회전 임펠라(95)의 회전시 헤드 케이스(92)와 내부케이스(94)는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된다.
상기 청소용 브러시(97)는 회전 임펠라(95)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 영역에는 흡입공(97a)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경사홈(97b)을 형성하여 굽힘이 자유롭고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한 것이다.
이러한 청소용 브러시(97)는 세차에 적합한 재료인 스펀지, 천 등으로 이루어진다. 세차후 광택을 내기 위한 극세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용도에 알맞게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99)에는 청소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조작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하게 된다.
상기 집진장치(100)는 연결관(99)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케이스(110)와; 연결관(99)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집진케이스(110) 내부로 흡입물을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120)과; 흡입관(120) 하부 영역의 집진케이스(110)에 구비되어 흡입물이 집진처리되는 집진처리부(130)와; 집진처리부(130)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흡입물에 포함된 물을 정수처리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물순환부(140)와; 집진처리부(13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집진처리부(13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와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물은 물순환부(140)로 공급시키고, 공기는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정화부(1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처리부(130)는 물순환부(140)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 영역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32)과; 가이드레일(132)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부에 흡입관(120)이 삽입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바닥에는 다수의 통공(133)을 갖는 받침대(134)가 구비된 외부집진통(135)과; 외부집진통(135)의 받침대(134)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내부에 흡입물이 유입되며, 외주연 및 바닥에는 다수의 물배출공(136)이 형성된 내부집진통(13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집진통(135)의 양측에는 흡입물에 포함된 공기 및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공(135a)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집진통(137)은 상부 내주연에 다수개의 회전날개(138)가 구비되고, 진공모터(200)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내부집진통(137)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내부집진통(137) 내부에서 흡입력의 방향과 바람의 방향에 따라 압축되어 쌓이게 된다. 또한, 내부집진통(137) 내부에는 걸름필터(139)가 구비되어 미세 먼지와 이물질은 필터링 되고, 오염된 물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물순환부(140)는 상부에 집진처리부(130)의 가이드레일(132)이 고정되고, 내부집진통(137)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물이 저장되는 오염물저장수조(142)와; 오염물저장수조(142)에 연결되어 오염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흡입오염물침전수단(150)과; 흡입오염물침전수단(150)과 연결되어 이물질 걸러주고 정화시키기 위한 흡입오염물정수수단(160)과; 흡입오염물정수수단(160)과 헤드 케이스(92)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 케이스(92)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오염물침전수단(150)은 오염물저장수조(142)에 연결되고, 오염물(혼합세제)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침전되는 제1,2침전조(151)(152)와; 제2침전조(152)에 연결되고 내부에 유합제가 내장되어 세제류가 처리되는 제3침전조(153)와; 제3침전조(153)에 연결되어, 세제류가 침전 정수된 물이 보관되고, 수중펌프(154)가 구비된 정수침전조(155)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오염물정수수단(160)은 정수침전조(155)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세제가 제거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예컨대, 기름 등)이 순차적으로 필터링되는 제1,2정수필터(161)(162)와; 제2정수필터(162)에 연결되어 물에 혼합된 이물질이 필터링 되고, 내부에 오존발생기(163)가 구비되어 오존처리된 물이 저장되는 정화물저장탱크(164)와; 정화물저장탱크(164)와 집진케이스(110)에 사이에 연결된 연결파이프(165)와; 연결파이프(165)와 회전축(93) 사이에 연결되어 청소용 브러시(97)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170)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파이프(165) 외주연에는 히팅코일(165a)이 구비되어 내부의 물을 적정 온도(약 70~95℃)가 유지되도록 히팅시켜 온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물공급부재(170)는 헤드 케이스(92) 내부의 회전축(9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관(171)과; 회전관(171)과 연결파이프(165)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93)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174)과; 정화물저장탱크(164)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물을 적정 압력으로 회전관(171)과 물공급관(174)을 통하여 청소용 브러시(97)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175)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관(171)은 회전축(93)의 회전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물공급판(174)의 적정 위치에는 수중펌프(175)의 펌핑력으로써 청소용 브러시(97)로 세제, 물왁스 또는 코팅제 등이 저장되는 액저장통(177)이 구비된다. 이러한 액저장통(177) 내부에는 세제, 물왁스 또는 코팅제 등이 각각 저장되어 사용시마다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액저장통(177)은 설치 위치는 물공급관(174)에 한정하지 않고, 청소용 브러시(97)로 공급할 수 있는 위치면 가능하고, 물 왁스, 코팅제는 물에 직접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액저장통(177) 내부의 액 공급은 물 공급시에는 차단되고, 물공급이 완료되면 공급되도록 밸브(177a)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공기정화부(180)는 외부집진통(135)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수단(190)과; 제습수단(190)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UV램프(1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습수단(190)은 집진케이스(110)의 바닥면 또는 외측에 장착되어 낮은 압력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이기 위한 압축기(191)와; 압축기(191)에 연결되어 압축기(191)를 거쳐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차갑게 냉각된 저온의 액체냉매로 변환시켜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192)와; 응축기(192)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응축기(192)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모여지는 수조(19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193)와 오염물저장수조(142) 사이에는 수직관(194)이 구비되어 수조(193)의 물이 오염물저장수조(142)로 공급된다.
상기 진공모터(200)는 통상적으로 자체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는 기기로서, 집진케이스(110) 상부 영역에 장착되어, 흡입장치(90)와 집진장치(1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집진케이스(110) 상부 양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1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청소기는 그 용량이 가정용에 비하 여 크게 되어 진공모터를 다수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흡입장치 등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이는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습수단을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즉, 제1,2실시예서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기로써 물방울로 응축하여 제거하였으나, 여기서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습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부호를 표기하기로 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한 제습수단(300)은 외부집진통 상부 영역에 구비된 수조(310)와; 수조(310) 상부의 집진케이스 내부에 경사지게 여러층으로 설치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어 부직포층(3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조(310)에는 수직관(330)이 구비되어 오염물저장수조로 물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공청소기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흡입장치(10)를 구성하는 연결관(16)을 파지한 다음, 흡입장치(10)의 헤드 케이스(12)를 청소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연결관(16)에 구비된 조작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집진장치(20)를 구성하는 집진케이스(21) 상부 영역에 장착된 진공모터(70)가 동작되어 강한 흡입력이 발생 된다.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회전축(14)이 회전하게 되고, 브러시(13)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바닥에 있는 이물질(먼지, 오물 등)이 신속하게 헤드 케이스(12)와 연결관(16)을 통과하면서 집진장치(20)의 집진케이스(21) 내부로 흡입된다.
이와 동시에 물순환부(40)를 구성하는 정화물저장탱크(48) 내부의 수중펌프(53)가 동작되어 정화물저장탱크(48)의 정화된 물이, 물공급관(52)와 조인트(17)의 물 자켓(51)을 통하고, 물 자켓(51)의 분사구(51a)를 통하여 공급됨에 따라 흡입되는 이물질과 함께 신속하게 집진장치(20)의 집진케이스(21) 내부로 흡입되어 공기는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이물질은 압축되어 처리되며, 물은 정화처리되어 순환하게 된다.
이때, 물공급부재(50)를 구성하는 물 자켓(51)의 분사구(51a)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진공모터(70)의 흡입력으로써 물 자켓(51) 내부를 통하여 연결관(16)으로 공급되는 이물질(먼지, 오물 등)과 함께 집진케이스(21) 내부로 공급되어 이물질(먼지, 오물)이 비산되지 않고, 오물은 압착처리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혼합된 이물질과 물이 집진장치(20)를 구성하는 집진케이스(21)의 흡입관(22)을 통과하여 내부집진통(35) 내부로 흡입되어 먼지와 오물은 내부집진통(35) 내부로 압축 유입되고, 물은 내부집진통(35)의 물배출공(35a)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내부집진통(35) 내부의 회전날개(35b)가 진공모터(70)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내부집진통(35)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 흡입력에 의해 내부집진통(35) 내부에 이물질과 수분, 공기의 분리 배출이 빠르게 진행되고, 흡입방향이 하향으로 압축되어 걸름필터(36)에 의해 미세 먼지와 오물은 필터링 되며, 물은 하부 영역의 물순환부(40)로 공급되어 정수처리된다.
즉, 내부집진통(35) 하부 영역의 물순환부(40)의 오염물저장수조(42) 내부로 오염된 물이 공급되고, 오염물저장수조(42)에 저장된 오염된 물은 하부 영역의 오염물저장탱크(44)로 공급되며, 제1,2걸름필터(435)(436)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물에 혼합된 이물질이 필터링 되고, 최종적으로 정화물저장탱크(48)로 공급되면서 오존발생기(47)에 의해 탈취 및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오염물저장수조(42)와 오염물저장탱크(44) 사이에 자동개폐밸브(44a)가 구비되어, 오염물저장탱크(44)로 배출된 오수가 오염물저장수조(42)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연결파이프(49) 외주연에는 히팅코일(49a)을 감아 배출되는 물을 적정 온도(약 70~95℃)로 유지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주로 겨울철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내부집진통(35)의 걸름필터(36)와 물배출공(35a)을 통과한 수분이 포함된 공기는 집진처리부(30) 상부 영역에 구비된 공기정화부(54)에 의해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집진통(35)의 걸름필터(36)와 물배출공(35a)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공기는 외부집진통(33) 내주연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외부집진통(33)의 배출공(34)을 벗어나면, 흡입력에 의해 상방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상부 영역에 구비된 제습수단(60)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즉, 제습수단(60)을 구성하는 압축기(62)를 거쳐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차갑게 냉각되어 저온의 액체 냉매로 변환된 상태의 응축기(64)를,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응축기(64)에 물방울로 맺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응축기(64)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은 응축기(64)의 하부 영역에 구비된 수조(66)로 모여지게 되고, 수조(66)와 오염물저장수조(42) 사이에 구비된 수직관(67)을 통하여 오염물저장수조(42)로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순환된다.
그리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제습수단(60) 상부 영역에 구비된 UV램프(56)에 의해 살균처리되어 최종적으로 집진케이스(21) 상부 양측의 배출구(21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1회 공정의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내부집진통(35)의 걸름필터(36)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집진케이스(21)에 밀폐되게 구비된 출입도어(미도시)를 개방한 다음, 외부집진통(33)을 가이드레일(31)로부터 분리한 후, 외부집진통(33)의 받침대(32) 상부의 내부집진통(35)을 분리하고, 내부집진통(35)으로부터 걸림필터(36)를 제거하여 처리한 다음, 새로운 걸림필터(36)를 교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다기능 진공 펌프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된 소형 진공청소기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지, 사용자가 흡입장치(80)를 구성하는 연결관(83)을 파지한 다음, 흡입장치(80)의 헤드 케이스(81)를 청소를 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연결관(83)에 구비된 조작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집진장치(20)를 구성하는 집진케이스(21) 상부 영역에 장착된 진공모터(70)가 동작되어 자체의 강한 흡입력이 발생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82)이 회전하게 되고, 물청소용 브러시(82a)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바닥에 있는 이물질(먼지, 오물 등)이 신속하게 헤드 케이스(81)와 연결관(83)을 통과하면서 집진장치(20)의 집진케이스(21)에 구비된 집진처리부(30)로 흡입되어 처리된다.
이와 동시에 물순환부(40)를 구성하는 정화물저장탱크(48) 내부의 수중펌프(89)가 동작되어 정화물저장탱크(48)의 정화된 물공급관(88)과 물공급조인트(85)를 통하고, 회전연결관(87)을 통하여 회전축(82)의 물공급홈(86) 내부로 공급되어 물분출공(86a)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데, 이때 분출되는 물의 량은 물청소용 브러시(82a)를 충분히 적실 정도가 된다.
이러한 물 공급량의 조절은 미리 세팅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회전연결관(87)은 회전축(82)의 회전시 자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축(82)의 회전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진장치(20) 내부로 유입되어 물, 이물질, 수분, 공기가 상기 같이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되고, 물은 순환되는 것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2실시예, 즉 산업용(세차용)으로 사용되는 청소기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지, 사용자가 흡입장치(90)를 구성하는 연결관(99)을 파지한 다음, 흡입장치(90)의 헤드 케이스(92)를 청소를 하고자 하는 위치(여기서는 소량의 세제가 뿌려진 차량의 외부패널)로 이동시킨 후, 연결관(99)에 구비된 조작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켜 집진장치(100)를 구성하는 집진케이스(110) 상부 영역의 진공모터(200)와 모터(91)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모터(91)가 회전하게 되어 회전축(93)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회전축(93)이 장착된 회전 임펠라(95)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 임펠라(9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청소용 브러시(97)가 회전하면서 차량의 외부패널을 닦게 된다. 이때, 청소용 브러시(97) 가장 자리에 형성된 경사홈(97b)이 굽혀지면서 세제가 스며들면서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진공모터(200)의 흡입력으로써 이물질(오물+먼지+세제 등)이 신속하게 회전 임펠라(95)의 공기흡입공(95b)과 내부케이스(94)와 연결관(99)을 통과하면서 집진장치(100)의 집진케이스(11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물순환부(140)가 동작되어 정화물저장탱크(164) 내부의 정화된 물이 물공급관(174), 물연결관(172) 및 청소용 브러시(97)로 공급되어 함께 흡입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혼합된 이물질이 집진장치(100)를 구성하는 집진케이스(110)의 흡입관(120)을 통과하여 내부집진통(137) 내부로 흡입되어 먼지와 오물은 내부집진통(137) 내부로 흡입되어 먼지와 오물은 내부집진통(137) 내부로 압축 유입되고, 세제가 포함된 물은 내부집진통(137)의 물배출공(136)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내부집진통(137) 내부의 회전날개(138)가 진공모터(200)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내부집진통(137)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내부집진통(137) 내부에서 압축되어 걸름필터(139)에 의해 미세 먼지와 이물질은 필터링 되고, 물은 하부 영역의 물순환부(140)를 구성하는 흡입오염물침전수단(150)과 흡입오염물정수수단(160)으로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즉, 오염물저장수조(142)로 공급되는 오염물(혼합세제)이 흡입오염물침전수단(150)을 구성하는 제1,2침전조(151)(152) 내부로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침전이 이 루어지게 되고, 제3침전조(153)으로 공급되어 내부의 유합제와 반응하여 세제류가 처리되며, 세제류가 정수 처리된 물이 정수침전조(155)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제류가 정수 처리된 오염물이 정수침전조(155)의 수중펌프(154)에 의해 흡입오염물정수수단(160)을 구성하는 제1,2정수필터(161)(162)를 거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예컨대, 기름 등)이 순차적으로 필터링 되고, 최종적으로 정화물저장탱크(164)로 공급되면서 오존발생기(163)에 의해 탈취 및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연결파이프(165) 외주연에는 히팅코일(165a)을 감아 배출되는 물을 적정 온도(약70~95℃)로 유지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주로 겨울철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내부집진통(137)의 걸름필터(139)와 물배출공(136)을 통과한 수분이 포함된 공기는 집진처리부(130) 상부 영역에 구비된 공기정화부(540)에 의해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집진통(137)의 걸름필터(139)와 물배출공(136)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공기는 외부집진통(135) 내주연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외부집진통(135) 하부 영역의 배출공(135a)을 벗어나면, 흡입력에 의해 상방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상부 영역에 구비된 제습수단(60)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즉, 제습수단(190)을 구성하는 압축기(191)를 거쳐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차갑게 냉각되어 저온의 액체 냉매로 변환된 상태의 응축기(192)를,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응축기(192)에 물방울로 맺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응축기(192)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은 응축기(192)의 하부 영역에 구비된 수조(193)로 모여지게 되고, 수조(193)와 오염물저장수조(142) 사이에 구비된 수직관(194)을 통하여 오염물저장수조(142)로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순환된다.
그리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제습수단(190) 상부 영역에 구비된 UV램프(182)에 의해 살균처리되어 최종적으로 집진케이스(110) 상부 양측의 배출구(121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1회 공정의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내부집진통(137)의 걸름필터(139)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집진케이스(110)에 밀폐되게 구비된 출입도어(미도시)를 개방한 다음, 외부집진통(135)을 가이드레일(132)로부터 분리한 후, 외부집진통(135)의 받침대(134) 상부의 내부집진통(137)을 분리하여 걸림필터(139)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에 대한 물순환부(14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흡입장치(90)를 구성하는 연결관(99)에 조작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켜 물순환부(140)의 수중펌프(175)를 동작시키면, 수중펌프(175)가 동작 되어 정화물저장탱크(164) 내부의 정화된 물이 물공급관(174), 회전관(171)을 통과하면서 회전축(93) 내부를 통과하여 청소용 브러시(97)로 공급된다.
즉, 정화된 물이 회전관(171)과 중공의 회전축(93)의 내경과 회전 임펠라(95)의 결합홈(95a) 및 보강리브(96)의 물배출통공(96a)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고, 회전 임펠라(95) 하부의 청소용 브러시(97)로 스며들어 청소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세차가 완료되면, 물공급판(174)의 적정 위치에 구비된 액저장통(177) 내부의 액(물왁스 또는 코팅제)을 수중펌프(175)의 펌핑력으로써 청소용 브러시(97)로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차량에 대한 세차를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액저장통(177)에 세제를 저장하여 세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도 10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흡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흡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흡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구성도.
도 9는 도 8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물공급부재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11은 도 7의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진공청소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80,90 : 흡입장치 11 : 공간부
12,81,92 : 헤드 케이스 13 : 브러시
14,82,93 : 회전축 82a : 물청소용브러시
16,86,99 : 연결관 17 : 조인트
20,100 : 집진장치 21,110 : 집진케이스
22,120 : 흡입관 30,130 : 집진처리부
33,135 : 외부집진통 35,137 : 내부집진통
40,140: 물순환부 42,142 : 오염물저장수조 43,154 : 수중펌프 44,143 : 오염물저장탱크
45,46 : 제1,2걸름필터 48,164 : 정화물저장탱크
49,149 : 연결파이프 50,84,170 : 물공급부재
54,180 : 공기정화부 60,190,300 : 제습수단
56,182 : UV램프 150 : 흡입오염물침전수단
151,152,153 : 제1,2,3침전조 155 : 정수침전조
160 : 흡입오염물정화수단 161,162 : 제1,2정수필터
70,200 : 진공모터 177 : 액저장통

Claims (17)

  1. 공간부가 구비된 헤드 케이스와; 상기 헤드 케이스 내부에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브러시가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헤드 케이스에 조인트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의 연결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이물질을 내부로 흡입하여 집진 및 정화처리 하기 위한 집진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집진케이스 내부로 흡입물을 흡입하기 위한 위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 하부 영역의 집진케이스에 구비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고, 바닥에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되며, 양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외부집진통과; 상기 받침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내부에 걸림필터가 구비되며, 물배출공이 형성된 내부집진통으로 이루어진 집진처리부;
    상기 집진처리부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흡입물에 포함된 물을 정수처리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물순환부; 및
    상기 집진처리부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집진처리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와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정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부는
    상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내부집진통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이 저장되는 오염물저장수조와;
    상기 오염물저장수조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오염물이 저장되고, 내부에 수중펌프가 구비된 오염물저장탱크와;
    상기 오염물저장탱크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오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되는 제1걸름필터 및 제2걸름필터와;
    상기 제2걸름필터에 연결되어 필터링되고, 오존처리된 물이 저장되는 정화물저장탱크와;
    상기 정화물저장탱크와 집진케이스 사이에 연결되고, 히팅코일이 구비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흡입장치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조인트 사이에 연결되어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조인트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분사구가 구비된 물 자켓과;
    상기 물 자켓과 연결파이프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 자켓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과;
    상기 정화물저장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물을 물공급관을 통하고, 물 자켓의 분사구를 통하여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집진케이스에 장착되어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이기 위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를 거쳐 나온 냉매를 차갑게 냉각된 저온의 액체냉매로 변환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모여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와 오염물저장수조 사이에 구비된 수직관으로 이루어진 제습수단과;
    상기 응축기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UV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공간부가 형성된 헤드 케이스와;
    상기 헤드 케이스 내부에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주연에 물청소용 브러시가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헤드 케이스와 상기 집진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케이스와 상기 집진장치의 연결파이프 사이에 물공급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헤드 케이스에 연결된 물공급조인트와;
    상기 물공급조인트 내부와 회전축에 형성된 물공급홈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연결관과;
    상기 물공급조인트의 외부와 연결파이프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물공급관과;
    상기 집진장치의 정화물저장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물공급관과 회전연결관을 통하여 물공급홈의 물분출공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9. 내부에 모터가 장착된 헤드 케이스와; 상기 헤드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고, 모터에 회전축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부 영역에 내부케이스가 구비되고, 공기흡입공과 물배출공이 형성된 회전 임펠라와; 상기 회전 임펠라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청소용 브러시와; 상기 내부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의 연결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진공모터의 흡입력으로써 이물질을 내부로 흡입하여 정화처리 하기 위한 집진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헤드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관에 연결되어 집진케이스 내부로 흡입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 하부 영역의 집진케이스에 구비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고, 바닥에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되며, 양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외부집진통과; 상기 받침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내부에 걸림필터가 구비되며, 물배출공이 형성된 내부집진통으로 이루어진 집진처리부;
    상기 집진처리부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흡입물에 포함된 물을 정수처리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물순환부; 및
    상기 집진처리부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집진처리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와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정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부는
    상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내부집진통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물이 저장되는 오염물저장수조와;
    상기 오염물저장수조에 연결되어 오염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흡입오염물침전수단과;
    상기 흡입오염물침전수단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순차적으로 필터링되는 제1정수필터 및 제2정수필터와, 상기 제2정수필터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필터링 되고, 오존처리된 물이 저장되는 정화물저장탱크와, 상기 정화물저장탱크와 집진케이스 사이에 연결되고, 히팅코일이 구비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헤드 케이스 사이에 연결되어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로 이루어진 흡입오염물정수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오염물침전수단은
    상기 오염물저장수조에 연결되고, 오염물(혼합세제)이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침전되는 제1침전조 및 제2침전조와;
    상기 제2침전조에 연결되고 내부에 유합제가 내장되어 세제류가 처리되는 제3침전조와;
    상기 제3침전조에 연결되어, 세제류가 침전 정수된 물이 보관되고, 수중펌프가 구비된 정수침전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헤드 케이스 내부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과 연결파이프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과;
    상기 정화물저장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물공급관과 회전관을 통하여 상기 헤드 케이스 내부의 청소용 브러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집진케이스에 장착되어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이기 위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를 거쳐 나온 기체 냉매를 차갑게 냉각된 저온의 액체 냉매로 변환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응축기에서 발생 되는 물방울이 모여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와 오염물저장수조 사이에 연결된 수직관으로 이루어진 제습수단과;
    상기 응축기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UV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집진통 상부 영역의 집진 케이스 내부에 제습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습수단은
    상기 외부집진통 상부 영역에 구비된 수조와;
    상기 수조 상부의 집진 케이스 내부에 경사지게 여러층으로 설치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어 부직포층과;
    상기 수조와 오염물저장수조 사이에 연결된 수직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진공 청소기.
KR1020090024625A 2009-03-23 2009-03-23 다기능 진공청소기 KR10097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25A KR100972019B1 (ko) 2009-03-23 2009-03-23 다기능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25A KR100972019B1 (ko) 2009-03-23 2009-03-23 다기능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019B1 true KR100972019B1 (ko) 2010-07-23

Family

ID=4264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625A KR100972019B1 (ko) 2009-03-23 2009-03-23 다기능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241A (ko) 2021-11-25 2023-06-01 이은주 다기능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451U (ja) * 1992-02-28 1993-09-24 アマノ株式会社 ダストクリーニング機能を備えた床面洗浄機
KR19990021834U (ko) * 1999-01-19 1999-06-25 이송남 진공물청소기
KR20000005895U (ko) * 1998-09-04 2000-04-06 김재홍 산업용 진공청소기
KR200240333Y1 (ko) 2001-03-29 2001-10-26 대림티앤씨(주) 진공 바닥 세척기
KR20020040333A (ko) * 2000-11-24 2002-05-30 이계안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레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451U (ja) * 1992-02-28 1993-09-24 アマノ株式会社 ダストクリーニング機能を備えた床面洗浄機
KR20000005895U (ko) * 1998-09-04 2000-04-06 김재홍 산업용 진공청소기
KR19990021834U (ko) * 1999-01-19 1999-06-25 이송남 진공물청소기
KR20020040333A (ko) * 2000-11-24 2002-05-30 이계안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레버
KR200240333Y1 (ko) 2001-03-29 2001-10-26 대림티앤씨(주) 진공 바닥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241A (ko) 2021-11-25 2023-06-01 이은주 다기능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3025C2 (ru) Пылесос с циркуляцией воды
RU2239348C2 (ru) Пылесос контейнерного типа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EP0724400A1 (en) Universal vacuum cleaner
CN1666701A (zh) 复合式清洁器
CN107694267A (zh) 一种空气水洗装置和基于该装置的空气水洗方法
KR101610739B1 (ko) 습식 집진기 세척 장치
KR100589788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CN2847143Y (zh) 原位清洗的空气过滤器装置及其组合的净化空调
KR100972019B1 (ko) 다기능 진공청소기
KR100842098B1 (ko) 공기 정화용 에어 필터의 자동 세척장치
KR102270813B1 (ko)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KR101321602B1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KR102047383B1 (ko) 공기정화용 물필터
KR102552743B1 (ko) 필터 세척장치
CN212824770U (zh) 一种玉石加工自动除尘装置
KR20050101512A (ko) 공기정화기
JPH1170307A (ja) 集塵装置
KR970000317Y1 (ko) 습건식 전기 소제기
KR200497041Y1 (ko) 휴대용 차량 세정장치
CN219299529U (zh) 节能空压机油气分离器
CN216495128U (zh) 清洁设备及其机身
CN218980876U (zh) 一种喷涂净化装置
CN215480762U (zh) 一种净化焦炉煤气用的除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