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277B1 -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277B1
KR100970277B1 KR1020080093253A KR20080093253A KR100970277B1 KR 100970277 B1 KR100970277 B1 KR 100970277B1 KR 1020080093253 A KR1020080093253 A KR 1020080093253A KR 20080093253 A KR20080093253 A KR 20080093253A KR 100970277 B1 KR100970277 B1 KR 10097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guide plate
guide
meter
transf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226A (ko
Inventor
송광재
이연희
송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08009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2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2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of auxiliary devices, e.g. of instrument transformers according to prescribed transformation ratio, phase angle, or wattage 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4Arrangements for measuring quantities of char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 측정기가 일정 거리에서 측정한 전계강도 값(kV/m)과 전계 유도판에 전압발생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발생시킨 전계를 비교하여 그 오차를 측정할 수 있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계강도 측정기용 교정 장치는 베이스부재; 전압이 인가되면 전계가 발생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제1 유도판과, 상기 제1 유도판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도판에 인가한 전압을 통해 일정한 전계강도가 유도되도록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중앙부에 측정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유도판을 구비하는 전계 유도부재; 상기 전계 유도부재에서 유도되는 전계를 측정하는 전계 측정기가 상기 전계 측정구멍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계 측정기가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 및 상기 제2 유도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도판이 상기 제1 유도판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전후이송부재; 및 상기 거치대가 상기 제2 유도판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거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후이송부재에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93253
전계, 전압, 교정, 측정, 유도판

Description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CALIBRATION DEVICE FOR ELECTROSTATIC FIELD- METER}
본 발명은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거리의 전계 유도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계를 교정하고자 하는 전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전계 측정기에서 측정된 전계강도 값(kV/m)과 인가된 전계 값을 비교하여 그 발생되는 오차를 이용하여 전계 측정기를 교정할 수 있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기(Static Electricity)는 물체 상에 정지한 상태 또는 그 이동이 극히 완만한 상태로 대전되어 있는 전하를 일컫는 것으로, 말 그대로 정지해 있는 전기 의미한다. 이러한 정전기에 다른 물질의 물체가 접촉하게 되면 전계가 순간적으로 다른 물체로 방전되면서 높은 전압을 발생하며, 불꽃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처럼 정전기의 순간적인 방전에너지는 산업현장에서 산업설비와 제품의 파괴, 화재폭발, 전기적 쇼크, 먼지흡착 등을 유발하는 등의 피해는 물론 전기적 내성이 약한 전자 부품 기능 및 내구성을 손상시켜 완성된 제품의 신뢰도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인화성 물질이나 섬유제품을 많이 취급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정전기 방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작은 불꽃만으로도 폭발 또는 화재와 같은 대형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폭발 위험지역이나, 정밀 전자 제품 제조공장, 대형 파이프 및 저장탱크, 섬유공장 등이 있는 지역에서 장비나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정전기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표면저항, 체적저항, 표면전압 등을 측정하는 정전기 측정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계를 측정하거나 대기 중의 전계 연구 등으로 사용되는 전계 측정기 역시 정전기 측정기의 하나로써 사용되고 있다. 전계 측정기는 어떠한 대전체에 대전된 정전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계를 측정하고, 전하량을 계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측정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전계 측정기는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내장된 전기, 전자부품 등의 노후화 또는 충격 등 관리 소홀에 인하여 전계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산업현장에서는 이와 같이 발생될 수 있는 전계 측정기의 오차를 생각하지 못하고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계 측정기의 측정오차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전계 측정기의 측정오차를 확인하고자 교정 의뢰를 하더라도 전계 측정기의 교정을 할 수 있는 곳이 적고, 관련 규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편이어서 전계 측정기를 교정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거리의 전계 유도판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를 교정하고자 하는 전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값과 전계 유도판으로 인가하는 전압발생기의 전압을 비교하여 그 발생된 오차만큼 전계 측정기의 오차를 교정할 수 있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일 측면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는 베이스부재; 전압이 인가되면 전계가 발생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제1 유도판과, 상기 제1 유도판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도판에서 발생된 전계가 유도되도록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중앙부에 전계 측정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유도판을 구비하는 전계 유도부재; 상기 전계 유도부재에서 유도되는 전계를 측정하는 전계 측정기가 상기 전계 측정구멍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계 측정기가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 및 상기 제2 유도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도판이 상기 제1 유도판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전후이송부재; 및 상기 거치대가 상기 제2 유도판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거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후이송부재에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는 상기 전계 유도부재로 일정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계 유도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전압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도판은 상기 전계 측정기의 센서부 크기에 따라 상기 전계 측정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계 유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판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간격유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이송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양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봉과, 상기 제1 가이드봉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이송블록과, 상기 제1 이송블록과 함께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이송블록이 장착되는 이송테이블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이송테이블가 상기 제1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이송블록에 관통되어 상기 제1 이송블록을 이동시키는 제1 작동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양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봉과, 상기 거치대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양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봉과, 상기 제2 및 제3 가이드봉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및 제3 이송블록과, 일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탄부는 상기 제2 이송블록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리프트바와,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탄부는 상기 제3 이송블록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리프트바와 연동되도록 중앙부가 상기 제1 리프트바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리프트바 및 상기 거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3 이송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이 송블록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2 작동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거치대, 상기 제2 유도판, 상기 전후이송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 유도판이 장착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계 유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에 의하면, 특정한 간격 거리를 두고 전계 유도판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를 교정하고자 하는 전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전계에 의하여 전계 측정기에서 측정된 전압 값과 전계 유도판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발생기의 입력전압을 비교하여 그 발생된 오차만큼 전계 측정기의 오차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이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면 전계가 발생되는 전계 유도부재(120) 및 이 전계 유도부재(120)에서 발생되는 전계를 측정하는 전계 측정기(10)가 설치되는 거치대(130)를 포함한다. 또한, 교정 장치(100)는 전계 유도부재(120)에서 전계가 발생되도록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발생기(140)와, 이 전압발생기(140)로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압분할기(도시생략)와, 직류 전압기(도시생략)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10)는 거치대(1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11)과, 이 수평프레임(111)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계 유도부재(120)가 장착되는 수직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수평프레임(111)에는 거치대(130)를 전계 유도부재(120)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후이송부재(150)가 설치된다.
전계 유도부재(120)는 전압발생기(140)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며 베이스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3)에 장착되는 제1 유도판(121)과, 이 제1 유도판(121)에서 발생되는 전계가 유도되도록 제1 유도판(121)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유도판(123)을 포함한다. 제2 유도판(123)은 전후이송부재(150)에 설치되어 거치 대(130)와 함께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은 전계 유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면, 상기 전계 유도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이 정원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을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후이송부재(150)에는 거치대(130)가 전후이송부재(150)에서 전계 유도부재(1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거치대(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160)가 설치된다. 즉, 거치대(130)는 전후이송부재(150) 및 승강부재(160)에 의하여 전계 유도부재(120)의 전면에서 전후 및 상하로 이동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계 유도부재(1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유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 3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유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전계 유도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계 유도부재(120)는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으로 구성되며, 제1 유도판(121)에는 전압 발생기(140)를 통해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압케이블(141)이 연결되고, 제2 유도판(121)에는 제1 유도판(121)에서 발생되는 전계가 유도되도록 그라운드선(143)이 연결된다. 제1 및 제2 유도판(121)에는 전압케이블(141) 및 그라운드선(143)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고정볼트(121a, 123a) 가 각각 마련된다.
또한, 전계 유도부재(120)는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제1 및 제2 유도판(123)에 발생되는 약간의 비틀림 또는 변형을 보정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블록(125)을 더 포함한다.
간격유지블록(125)은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2 유도판(123)에 형성되는 고정구멍(도시생략)에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일단부에 상기 고정구멍에 체결되는 나사(125a)가 형성된다. 또한, 간격유지블록(125)은 제2 유도판(123)의 테두리부를 따라 적어도 4개 이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L)는 전계 측정기(10)의 전계 측정 거리에 따라 25 mm, 25.4 mm, 50 mm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더하여, 간격유지블록(125)은 전계 유도부재(120)에서 발생되는 전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성수지, 테프론 등과 같은 절연물질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도판(123)의 테두리부에 간격유지블록(125)이 일정간격으로 4개 이상 설치되는 것은 제2 유도판(123)이 전후이송부재(150)에 의하여 제1 유도판(121)측으로 밀착되면서 제1 및 제2 유도판(123)에 발생된 비틀림 또는 변형이 평탄하게 교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유도판(123)에 전계유지블록(125)이 4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전계유도블록(125)이 4개 이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전계유도블록(125)의 길이 또한 전계 측정기(10)의 측정 거리에 따라 25 mm이하 또는 50 mm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유도판(121)은 전계 측정기(10)에 의하여 전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전계 측정기(10)측으로 전계가 인가되도록 전계 측정구멍(121b)이 형성된다. 전계 측정구멍(121b)에는 전계 측정기(10)의 센서부를 제외한 모든 전계 측정구멍(121b)의 부의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어댑터(12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어댑터(127)는 고정볼트(127a)를 통해 제2 유도판(121)에 부착되며, 전계 측정기(10)의 센서부가 제2 유도판(123)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센서부가 삽입되는 설치구멍(127b)이 중앙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27)는 측정기(10)의 센서부 크기에 따라 설치구멍(127b)이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며, 설치구멍(127b)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댑터(127)를 이용하여 제2 유도판(123)의 전계 측정구멍(121b)을 밀폐시키는 것은 전계 측정구멍(121b)에 비하여 전계 측정기(10)의 크기 또는 상기 센서부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을 경우 제2 유도판(123)으로 유도되는 전계의 외란이 발생하여 균질한 전계가 발생하지 못하고 전계 측정기(10)로 유도되는 양이 많아져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전계 측정기(10)와 전계 측정구멍(121b)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으로 인하여 전계 측정기(10)로 유도되는 전계의 균질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댑터(127)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후이송부재 및 승강부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후이송부재 및 승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프레임(11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송부재(150)는 수평프레임(111)의 내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봉(151)과, 이 제1 가이드봉(15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송블록(153)과, 이 제1 이송블록(153)과 함께 이동되는 이송테이블(155) 및 제1 이송블록(153)을 이동시키는 제1 작동스크루(157)를 포함한다.
제1 이송블록(153)은 이송테이블(155)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봉(151)에 가이드되도록 양단부에 제1 가이드봉(151)이 삽입되는 가이드구멍(15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이송블록(153)은 제1 작동스크루(157)에 의하여 제1 작동스크루(157)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중앙부에 제1 작동스크루(157)가 결합되는 볼너트(도시생략)가 마련된다.
제1 작동스크루(157)는 회전을 통해 제1 이송블록(15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수평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1 이송블록(153)의 볼너트에 관통되어 이송테이블(15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작동스크루(157)의 일단에는 이송테이블(155)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손잡이(157a)가 구비된다.
제1 이송블록(153)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송테이블(155)의 하면에는 제1 작동스크루(155)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어링블록(155a)이 결합된다. 또한, 이송테이블(155)의 일측에는 제2 유도판(123)을 장착할 수 있는 프레임(155b)이 설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전후이송부재(150)는 제1 작동스크루(151)가 회전되면 그 회전에 의하여 제1 이송블록(153)이 제1 작동스크루(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테이블(155)가 제1 유도판(121)에서 이격되거나 또는 밀착된다. 그러면, 이송테이블(155)에 결합된 제2 유도판(123)도 함께 이동되므로, 제2 유도판(123)이 제1 유도판(121)에서 이격되거나 밀착된다. 이로 인하여, 전계 측정기(10)의 측정거리에 맞게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이송테이블(155)의 상면에 설치되는 거치대(130)는 승강부재(160)에 의하여 제2 유도판(123)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된다. 승강부재(160)는 제2 및 제3 가이드봉(161, 163), 제2 및 제3 가이드봉(161, 163)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및 제3 이송블록(161a, 163a), 제2 및 제3 이송블록(161a, 163a)을 통해 회동되면서 거치대(130)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리프트바(165, 167), 제3 이송블록(163a)을 이동시키는 제2 작동스크루(169)를 포함한다.
이송테이블(155)의 상면에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2 가이드봉(161)은 그 양단부가 지지구(161b)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구(161b)는 이송테이블(155)의 상면에 고정된다. 제2 가이드봉(161)에는 제2 이송블록(161a)이 설치된다.
제2 이송블록(161a)은 제2 가이드봉(161)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제2 가이드봉(161)이 삽입되는 가이드구멍(161a')이 각각 형성된다. 제2 이송블록(161a)의 양단에는 제1 리프트바(16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리프트바(165)는 일단부가 거치대(130)의 하면에 구비되는 베어링 구(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다탄부가 제2 이송블록(16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리프트바(165)는 제2 이송블록(161a)의 이동에 따라 회동된다. 제1 리프트바(165)의 중앙부에는 제2 리프트바(167)의 중앙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2 리프트바(167)는 일단부가 베어링구(133)를 통해 이송테이블(155)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부가 제3 이송블록(163a)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리프트바(167)는 제3 이송블록(163a)이 이동되면 베어링구(133)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1 리프트바(165)가 회동되도록 제1 리프트바(165)를 연동시킨다.
제3 이송블록(163a)은 제2 작동스크루(169)의 회전에 의하여 제3 가이드봉(163)을 따라 이동되도록 양단부에 제3 가이드봉(163)이 관통되는 가이드구멍(163b)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2 작동스크루(169)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볼너트(163c)가 구비된다.
제3 가이드봉(163)은 지지구(163a)를 통해 거치대(130)의 하면에 설치된다.
제2 작동스크루(169)는 회전에 의하여 제3 이송블록(163a)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거치대(130)의 하면에 부착되는 볼너트(135)에 결합되고 타단이 거치대(130)의 하면 중앙부에 부착되는 베어링구(1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작동스크루(169)의 일단에는 작동손잡이(169a)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160)는 제2 작동스크루(169)가 정/역회전되면 제3 이송블록(163a)이 제3 가이드봉(163)에 가이드되면서 제2 작동스크 루(169)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제3 이송블록(163a)의 이동에 따라 제2 리프트바(167)가 회동되고, 제2 리프트바(167)와 연동되어 제1 리프트바(165)가 회동된다. 즉, 승강부재(160)는 제2 작동스크루(169)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리프트바(165)가 회동되면서 거치대(13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거치대(1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은 전계 측정기(10)가 제2 유도판(123)의 전계 측정구멍(121b)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전계 측정기(10)의 측정거리에 맞는 간격유지블록(125)을 제2 유도판(123)에 결합하고, 제2 유도판(123)이 제1 유도판(121)에 밀착되도록 제2 유도판(123)을 제1 유도판(121)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유도판(123)은 제1 이송스크루(157)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스크루(157)를 회전시키면, 이송테이블(111)가 이동되면서 제2 유도판(123)의 간격유지블록(125)이 제1 유도판(121)에 밀착되면서 제2 유도판(123)과 제1 유도판(12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간격유지블록(125)이 제1 유도판(1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이송스크루(157)를 더 회전시키면 제2 유도판(123)이 제1 유도판(121)측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어 제1 또는 제2 유도판(121, 123)에 발생되어 있는 비틀림 또는 변형이 보정된다. 즉, 제1 또는 제2 유도판(121, 123)을 보다 평탄하게 한 상태에서 특정 거리에서의 전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교정오차를 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의 간격조절이 완료되면 전계 측정기(10)의 센서 크기에 맞게 설치구멍(127b)이 형성된 어댑터(127)를 선택한 후, 제2 유도판(123)의 계측구멍(121b)이 밀폐되도록 어댑터(127)를 제2 유도판(123)에 결합한다. 그리고 전계 측정기(10)가 지지되도록 제2 이송스크루(169)를 회전시켜 어댑터(127)의 계측구멍(121b) 높이에 맞게 거치대(130)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전계 측정기(10)의 센서만이 제2 유도판(123)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어댑터(127)가 제2 유도판(123)에 결합되어 전계 측정구멍(121b)이 밀폐되면, 제2 유도판(123)의 다른 부위와 동일하게 전계 측정기(10)의 센서측으로 전계가 유도된다. 이에 따라, 전계 측정기(10)의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다.
어댑터(127)를 이용하여 전계 측정기(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 유도판(121)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전압발생기(140)의 전압케이블(141)을 제1 유도판(121)에 연결하고, 그라운드선(143)을 제2 유도판(123)에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유도판(121)으로 인가할 전압을 전압발생기(140)에서 설정하고, 제1 유도판(121)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전압분할기 및 상기 직류 전압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한다. 그러면, 제1 및 제2 유도판(121, 123) 사이에는 인가되는 전압에 상응하는 전계가 형성되고, 이 전계는 전계 측정기(10)에 의하여 측정된다.
전계 측정기(10)는 측정되는 전계양에 따라 전압의 세기가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된다. 이때, 전압 발생기(140)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의하여 제1 유도판(121)에서 발생되는 전계의 세기가 결정되므로, 전계에 의하여 전계 측정 기(10)에 표시되는 전압의 세기를 전압 발생기(140)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비교하여 그 편차만큼 전계 측정기(10)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유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유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전계 유도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후이송부재 및 승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전계 측정기 100 : 교정 장치
110 : 베이스부재 111 : 수평프레임
113 : 수직프레임 120 : 전계 유도부재
121 : 제1 유도판 123 : 제2 유도판
125 : 간격유지블록 130 : 거치대
140 : 전압 발생기 150 : 전후이송부재
151 : 제1 가이드봉 153 : 제1 이송블록
155 : 이송테이블 157 : 제1 작동 스크루
160 : 승강부재 161 : 제2 가이드봉
163 : 제3 가이드봉 165 : 제1 리프트바
167 : 제2 리프트바 169 : 제2 작동 스크루

Claims (8)

  1. 베이스부재;
    전압이 인가되면 전계가 발생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제1 유도판과, 상기 제1 유도판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도판에서 발생된 전계가 유도되도록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중앙부에 전계 측정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유도판을 구비하는 전계 유도부재;
    상기 전계 유도부재에서 유도되는 전계를 측정하는 전계 측정기가 상기 전계 측정구멍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계 측정기가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 및 상기 제2 유도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도판이 상기 제1 유도판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전후이송부재; 및
    상기 거치대가 상기 제2 유도판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거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후이송부재에 설치되는 승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유도부재로 일정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계 유도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전압발생기와 교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전압 분할기, 직류 전압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판은 상기 전계 측정기의 센서부 크기에 따라 상기 전계 측정구멍을 막아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유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판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간격유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양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봉;
    상기 제1 가이드봉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이송블록;
    상기 제1 이송블록과 함께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이송블록이 장착되는 이송테이블;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이송테이블가 상기 제1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이송블록에 관통되어 상기 제1 이송블록을 이동시키는 제1 작동스크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양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봉;
    상기 거치대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양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봉;
    상기 제2 및 제3 가이드봉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및 제3 이송블록;
    일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탄부는 상기 제2 이송블록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리프트바;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탄부는 상기 제3 이송블록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리프트바와 연동되도록 중앙부가 상기 제1 리프트바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리프트바; 및
    상기 거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3 이송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이송블록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2 작동스크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거치대, 상기 제2 유도판, 상기 전후이송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 유도판이 장착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유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유도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KR1020080093253A 2008-09-23 2008-09-23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KR10097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53A KR100970277B1 (ko) 2008-09-23 2008-09-23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53A KR100970277B1 (ko) 2008-09-23 2008-09-23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226A KR20100034226A (ko) 2010-04-01
KR100970277B1 true KR100970277B1 (ko) 2010-07-16

Family

ID=4221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253A KR100970277B1 (ko) 2008-09-23 2008-09-23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4558B (zh) * 2019-07-08 2024-07-19 成都奕康真空电子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加速腔链电场分布自动测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940A (ja) * 1995-09-25 1997-04-04 Yokogawa Electric Corp 電界検出装置
JPH11304862A (ja) 1998-04-16 1999-11-05 Kasuga Electric Works Ltd 静電気測定装置
JP2007127589A (ja) * 2005-11-07 2007-05-24 Universal Shipbuilding Corp 電界検出方法、装置及び電界検出方法のプログラム並びに移動体位置等推定検出方法、装置及び移動体位置等推定検出方法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940A (ja) * 1995-09-25 1997-04-04 Yokogawa Electric Corp 電界検出装置
JPH11304862A (ja) 1998-04-16 1999-11-05 Kasuga Electric Works Ltd 静電気測定装置
JP2007127589A (ja) * 2005-11-07 2007-05-24 Universal Shipbuilding Corp 電界検出方法、装置及び電界検出方法のプログラム並びに移動体位置等推定検出方法、装置及び移動体位置等推定検出方法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226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204B1 (ko) Oled 시편 시험장치
CN109298364B (zh) 一种改进型静电场仪校准系统及方法
CN109030952B (zh) 用于绝缘子的芯棒体积电阻率测量设备
KR100970277B1 (ko) 전계 측정기용 교정 장치
CN106443544A (zh) 一种非接触式静电表校准装置和方法
CN208026213U (zh) 一种圆柱体零件表面直线度检测装置
CN112730500A (zh) 一种机械零部件检测设备
CN108303057A (zh) 一种钢筋保护层测定仪校准装置
KR20110137847A (ko) 만능시험기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강도 측정 장치
CN209656238U (zh) 一种电工电子产品振动试验能力验证装置
CN206038781U (zh) 一种绝缘材料表面电荷测量装置
CN108398326B (zh) 便携式梯具横档试验装置及使用其进行横档强度测试的方法
CN114152648B (zh) 一种搪玻璃在线破损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10863604U (zh) 一种机械零部件检测设备
CN212410761U (zh) 一种绝缘材料电气强度与击穿厚度集成测试装置
CN205879486U (zh) 一种托辊跌落试验台
KR101006248B1 (ko) 정전전압 측정기용 교정 장치
CN207850338U (zh) 一种钢筋保护层测定仪校准装置
CN210773884U (zh) 混凝土中钢筋检测装置
CN103226083A (zh) 插头插销位移检测试验机
CN207623270U (zh) 一种岩石样品电性能测试架
CN110879312B (zh) 一种接地阻抗测量方法及其装置
CN219842548U (zh) 一种非接触式静电电压测量仪的远程校准装置
KR20110008706A (ko) 만능시험기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강도 측정 장치
CN211527388U (zh) 一种角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