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168B1 -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168B1
KR100970168B1 KR1020090122624A KR20090122624A KR100970168B1 KR 100970168 B1 KR100970168 B1 KR 100970168B1 KR 1020090122624 A KR1020090122624 A KR 1020090122624A KR 20090122624 A KR20090122624 A KR 20090122624A KR 100970168 B1 KR100970168 B1 KR 10097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우
엄호영
천혜성
최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넷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넷,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넷
Priority to KR102009012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본선의 양/적하 작업 계획 시스템에 있어서, 본선 작업 도중에 발생 가능한 모든 예외상황에 대해서 사전에 파악하여 해당 예외상황 및 그 처리방안에 대해 정의하도록 하고, 본선의 작업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예외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정의에 따라 본선 재 계획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본선 예외처리 시스템과 그 예외에 따른 재 계획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도중 발생 가능한 예외상황을 사전에 정의하고, 해당 정보들들 미리 설정해두거나, 사용자가 설정 또는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본선 작업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전에 설정된 예외상황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예외 또는 문제 상황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또는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리고, 재 계획이 필요할 경우 상황에 맞는 재 계획을 작업자가 수정 또는 시스템에서 자동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컨테이너터미널, 양적하, 작업계획, 컨테이너, 예외상황, 재 계획

Description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Exception management and hand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and planning}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본선의 양/적하 작업 계획 시스템에 있어서, 본선 작업 도중에 발생 가능한 모든 예외상황에 대해서 사전에 파악하여 해당 예외상황 및 그 처리방안에 대해 정의하도록 하고, 본선의 작업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예외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정의에 따라 본선 재 계획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본선 예외처리 시스템과 그 예외에 따른 재 계획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본선의 컨테이너 양적하 작업 도중 장비의 고장이나 간섭 등 많은 예외상황 발생으로 인해 본선작업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모선의 입항 또는 출항이 지연됨에 따라 모선의 접안위치가 변경되어 선석을 재 계획해야 하거나, 작업 가능한 Q/C 장비가 변경이 되어 Q/C 작업을 재 계획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는 본선 작업 도중 작업 Q/C의 고장이나 장비 간 간섭 발생으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거나 다른 Q/C로 작업을 대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며, 계획 시 사용된 잘못된 컨테이너 정보로 인해 컨테이너의 선적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하거나 또는 미 반입된 컨테이너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또한 정전이나 악천후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거나, 콘의 고장 또는 변경으로 인해 재 계획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는 본선수리로 인해 접안방향변경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작업 가능 Q/C 계획 및 양ㅇ적하 계획을 모두 재 계획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예외상황이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의 본선 작업 시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본선의 작업이 일시적으로 지연되거나 또는 수십 분에서 수십 시간 작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본선 양/적하 작업 계획을 수정하여야 하는 데, 본선 전체를 재 계획해야 할 경우에는 플래너(planner)가 작업을 재 계획하는데 수십 분에서 수 시간 내외의 작업시간이 추가로 소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의 작업 도중에 발생하는 여러 예외상황으로 인하여 본선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터미널 장비의 사용률 또한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서비스 품질과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터미널 운영시의 이러한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를 위한 별도의 지원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된 사례가 없으며, 사람의 판단에 따른 조치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도중 발생 가능한 예외상황을 사전에 정의하고, 본선 작업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전에 정의된 예외상황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예외 또는 문제 상황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또는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리고, 재 계획이 필요할 경우 상황에 맞는 재 계획을 작업자가 수정 또는 시스템에서 자동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도중 발생하는 예외상황에 따라 이력정보(history)를 저장하여 향후 업무의 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선의 작업계획에 따라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 데이터 관리 및 작업계획을 관리하고, 사전에 발생될 수 있는 예외상황 및 그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방법에 대한 예외상황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예외상황 설정정보에 따라서 예외 및 문제 상황을 인지하여 예외상황 수준에 따른 재 계획을 수행하는 서버 시스템과, 본선계획업무 및 재 계획처리 관련기능을 설정 관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및 수행된 계획에 대하여 실제 작업을 수행하며 그 작업 결과 및 상황 정보를 피드백 하여 서버 시스템으로 알려주는 운영시스템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업계획단위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행수순을 따라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를 실행한다.
사전에 정의되어 등록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본선 작업계획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설정 등록 하는 과정과,
서버 시스템의 등록된 본선 작업 계획을 운영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본선작업을 진행시키고, 운영상황정보를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작업 모니터링 과정과,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운영상황정보를 등록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예외상황을 감지하고, 예외상황발생에 따른 그 처리 방법을 판단하는 예외상황판단과정과,
예외상황판단과정을 통해 예외상황이라고 판단되고 그 처리 방법이 자동 재계획인 경우에는 등록된 예외관리정보에 따라서 재 계획 설정될 범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재 계획에 대한 대상을 검출하여 재 계획알고리즘에 따라서 재 계획을 수립하여 등록하고, 수동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사용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 또는 재 계획 알고리즘을 선택하도록 하여 재 계획을 등록하는 예외처리과정으로서의 재 계획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발생 가능한 예외상황을 사전에 분석, 분류하여 터미널의 운영방식에 맞게 정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운영 시 발생되는 작업 정보와 예외상황 정보 등의 운영상황정보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예외상황 발생 전에 미리 감지하여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거나 예외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즉각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예외상황 발생에 대한 빈도를 낮추며, 작업자의 업무를 보다 편리하도록 지원하며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예외상황 발생 시 재 계획을 해야 할 대상을 자동 선정하여 완전 자동처리를 하거나 사용자가 범위를 선정하여 선택적 자동 재 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 가지 재 계획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에 대하여 사전 비교를 해 봄으로써 현 터미널 상황에 가장 적합한 본선 재 계획을 짧은 시간 내에 수립할 수 있도록 하여, 본선에서 발생하는 예외상황에 대해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테이너 터미널의 본선작업 업무를 보다 효율적이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본선 계획 시스템을 위한 예외 감지 및 관리 시스템과 본선 재 계획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터미널 작업 도중 발생되는 예외상황의 범위는 본선 작업으로 한정하였으나, 적용 범위를 확장하여 다른 시스템 및 터미널의 예외상황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 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 관리 및 작업계획을 관리하고 예외 및 문제 상황을 인지하여 예외상황 수준에 따른 재 계획을 수행하는 서버 시스템(100)과, 본선계획업무 및 재 계획처리 관련기능을 설정 관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200) 및 수행된 계획에 대하여 실제 작업을 수행하며 그 작업 결과 및 상황 정보를 피드백 하여 서버 시스템(100)으로 알려주는 운영시스템(30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작업계획단위 시스템(A)으로 크게 구성되며,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예외상황과 처리 방법에 대해 정의된 설정 정보를 관리하고, 예외상황 발생 시 사전에 정의 설정된 처리방법에 따라 예외처리모듈(140)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예외관리모듈(110)과,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본선의 작업 상황을 수신 받기 위한 외부인터페이스모듈(120)과,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집된 작업 정보를 통해 예외검출지표의 값을 산출해 내고 이 값 또는 개별적으로 등록된 조건을 통하여 예외상황을 감지 또는 예측 하는 예외감지모듈(130)과, 자동으로 처리되게 정의된 예외상황 발생 시 예외관리모듈(110)의 제어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는 예외처리모듈(Exception Processor)(140)과,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설정되는 본선 작업계획 및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감지조건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150)와, 클라이언트 시스템(200)과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내부 인터페이스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예외상황 및 처리방식을 정의하고 그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예외관리모듈(210)과, 운영상황 정보를 가공한 각 예외검출지표(Index)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고 임계값 등으로 검출조건을 설정하거나 운영상황 정보에 직접 검출조건을 설정하고 그 구성정보를 저장 관리 하기 위한 예외검출조건관리모듈(220)과, 예외처리지원모듈로서 재 계획 수행 시 세부적인 방법과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계획처리관리모듈(230)과, 서버 시스템(100)과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운영 시스템(300)은 서버 시스템(100)과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모듈(310)과, 서버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작업계획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관리하기 위한 운영작업처리 관리모듈(320)과, 수행된 계획에 대하여 그 작업 결과 및 상황 정보를 피드백(feedback) 하여 알려주기 위한 운영상황정보 관리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은 작업자(플래너)가 컨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도중 발생 가능한 예외상황을 사전에 정의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에서 예외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본선 계획 관리를 위한 서버 계획 시스템(100)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200)과 운영시스템(300)이 네트워크로 연결구성 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각 클라이언트 시스템(200) 및 운영 시스템(300)과 실시간 연계하여 본선의 양ㅇ적하 작업 계획을 수행, 관리하고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운영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 받아 예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이다.
예외관리모듈(110)은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을 통해 클라이언트 측에서 사전 정의하여 설정한 예외상황과 그 처리 방법에 관련한 정보를 관리하고, 예외상황 발생 시 사전에 설정된 처리방법에 따라 예외처리모듈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외부인터페이스모듈(120)은 네트워크 또는 로컬로 연결되는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본선의 작업 상황을 수신 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외감지모듈(130)은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운행상황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예외처리상황정보에 대비하여 예외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집된 작업정보로부터 예외검출지표의 값을 산출해 내고 이 값 또는 개별적으로 등록된 예외상황조건을 통하여 예외상황을 감지 또는 예측 한다.
예외처리모듈(140)은 설정된 예외상황정보에서 서버 시스템(100)내 에서 자동으로 처리될 예외상황인 경우 예외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외관리모듈(110)의 관리제어에 따라 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예외처리모듈(140)은 처리 기능에 따라 각각의 모듈을 개발하여 미리 등록해 놓은 것으로, 본선 재 계획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재계획 알고리즘모 듈(1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베이스(150)는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설정되는 본선 작업계획 정보및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수단이다.
상기 본선 작업계획정보는 설계된 작업 계획 및 재 계획된 작업계획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외관리정보는 정의되는 예외상황정보 및 그 예외상황 발생 시 처리하기 위한 방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는 운영 시스템(300)으로 전달되는 운영상황정보로부터 예외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은 사용자(플래너)가 예외상황에 대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예외관리모듈(210)은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사용자(플래너)가 예외상황 및 처리방식을 정의하고 그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예외검출조건관리모듈(220)은 예외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조건정보를 설정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운영 상황 정보를 가공한 각 예외검출지표(Index)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고 임계값 등으로 검출조건을 설정하거나 운영상황 정보에 직접 검출조건을 설정하고 그 구성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재계획처리관리모듈(230)은 재 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예외처리지원모듈로서, 재 계획 수행에 필요한 세부적인 방법과 범 위를 선택하여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운영시스템(300)은 서버 계획 시스템(100)의 작업계획에 의해 운영작업 및 처리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작업계획에 의해 발생되는 운영상황 정보를 서버 시스템으로 실시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모듈(310)은 네트워크 또는 로컬로 연결되는 서버 시스템(100)과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수단이다.
운영작업처리 관리모듈(320)은 작업계획에 따라 작업계획을 진행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해 제공받은 서버 시스템(100)의 작업계획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운영상황정보 관리모듈(330)은 운영작업 처리관리모듈(320)에 의해 수행된 계획에 대한 작업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서버 시스템(100)으로 피드백 하여 알려주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전에 정의되어 등록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을 통해 본선 작업계획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설정 등록 하는 과정과,
서버 시스템(100)의 등록된 본선 작업 계획을 운영 시스템(300)으로 제공하여 본선작업을 진행시키고, 운영상황정보를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받아 본 선 작업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본선 작업 모니터링 과정과,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받은 운영상황정보를 등록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예외상황을 감지하고, 예외상황발생에 따른 그 처리 방법을 판단하는 예외상황판단과정과,
예외상황판단과정을 통해 예외상황이라고 판단되고 처리 방법을 확인하여 그 처리 방법이 자동인 경우에는 등록된 예외관리정보에 따라서 처리 모듈(재계획 모듈)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예외처리과정과,
예외상황판단과정을 통해 예외상황이라고 판단되고, 처리방법을 확인하여 그 처리방법이 수동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 사용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 또는 재 계획 알고리즘을 선택하도록 하여 재 계획을 등록하는 재 계획등록하는 예외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상기에서와 같은 본선 계획 시스템의 예외 감지 및 관리 시스템에 의해 본선의 양ㅇ적하 작업 도중 발생되는 예외상황을 처리하는 과정의 일 실 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본선작업 도중 발생 가능한 예외상황 및 문제 상황을 분석하여 해당 예외상황에 대한 정의 및 예외상황발생시의 처리방법 등에 관련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예외상황감지조건을 사전에 등록설정 해둔다.
이의 내용에 따라 본선 작업 계획에 따라 작업수행 중 발생하는 예외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내용에 따라 그 예외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이 미리 서버 시스템(100)에 등록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감지조건을 사용자가 설정(수정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는 서버 계획 시스템에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감지조건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바,
각 예외상황의 식별 정보가 되는 코드(Exception Code) 및 예외상황의 수준(Exception Level)과 내용을 정의하며, 해당 예외 상황을 처리할 예외처리방식(Handling Type)을 설정한다.
도 4는 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예외상황에 대하여 정의하고 이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예외상황의 수준과 예외처리방식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도록 하거나, 정의된 내용을 사용자가 정의된 예외처리방식을 개별 예외상황 또는 예외상황 수준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표 1은 상기에서 설명한 예외수준(Exception Level)에 대하여 정의한 실시 예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처리 방식이 이미 정의되어 있으며, 예외수준별 처리방식(Handling Type)까지 같이 정의 하여 둔 경우에 해당한다.
표 2는 예외처리방식(Handling Type) 자체를 정의한 예시로서, 서버 시스템의 예외관리모듈이 어떻게 동작할 것인가를 지시한다.
처리방식이 자동(Auto) 처리인 경우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재 계획을 수행하여 재 계획된 결과를 계획 시스템 및 운영 시스템(300)으로 전송하게 되어 있다.
이때 예외를 자동으로 처리하기위한 예외처리모듈(140)로서 서버 시스템(100)의 재계획 알고리즘모듈(141)이 사용되며, 재계획 알고리즘모듈(141)은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재계획처리모듈에 의해 설정된 재계획 설정 정보에 따라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컨테이너의 양/적하 작업에 모두에 대하여 재 계획을 수행하지만, 예외상황에 따라 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 Q/C부터 재 계획할 것인지, 컨테이너의 양ㅇ적하 작업 순서만 재계획할 것인지를 사전에 정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외수준과 예외처리방식이 표 1, 표 2와 같은 내용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을 정의하여 적용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Exception Level Description Handling Type
Ignore 거의 영향이 없어 무시 가능 Ignore
Information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 Message (Info)
Warning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Message (Alert)
Error 조치가 필요함. 자동/수동 처리 가능 Auto/Manual
Fatal 심각한 상황. 반드시 사용자의 확인 필요 Manual
Handling Type Description
Ignore 예외상황에 대해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음
Message (Info) 예외상황의 내용을 참조메시지로 사용자에게 알려줌
Message (Alert) 예외상황의 내용을 경고메시지로 사용자에게 알려줌
Manual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재 계획)를 사용자가 수행 함
Auto 예외처리 모듈에 의해 시스템이 자동으로 처리(재 계획)
예외수준(Exception Level)과 예외처리방식(Handling Type)이 정의되며,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화면과 같이 예외코드, 예외 명, 예외처리수준 등을 입력하여 예외 자체에 대한 정의를 한다.
예외처리의 수준 및 형태 등의 정보가 등록되어 예외의 정의 및 예외처리방식(Handling Type)이 정의되고 이의 정보가 서버 시스템(100)에 등록되면, 예외상황이 감지되었을 경우 처리할 방법에 대하여 정의한다.
본선계획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본선 작업에서 예외가 발생하였을 경우 처리할 방법에 대해 정의를 한다.
예외처리에 대한 정의는 각각의 예외상황 발생 시 어떤 예외처리방법(Handling Type)으로 처리할 것인지를 나타낸다.
예외처리모듈(140)내의 재계획 알고리즘 모듈(141)을 하나 이상 구성하게 되는 경우에 자동처리가 설정된 경우 예외처리방법에는 어떠한 예외처리모듈(140)내에서 어떠한 재계획 알고리즘 모듈(141)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의 예외처리방법을 등록설정하기 위한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클라이언트 시스템(200)에서 등록한 이러한 예외처리에 대한 정보는 서버 시스템(100)의 예외관리모듈(110)에 의하여 참조되어 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 예외상황별로 예외처리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나 예외 등급을 설정하여 두고, 예외등급에 따라 정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시스템(300)에서 전달되는 예외코드에 의한 감지뿐만 아니라 운영상황정보의 모니터링을 통한 예외상황의 감지 또는 예측을 위하여 운영상황정보에 직접 조건을 설정하거나 예외검출지표(Index)에 대한 조건을 설정한다.
도 8은 각 예외검출지표(Index)에 대한 적용 여부와 임계값을 지정하고 이들 정보의 묶음을 하나의 프로파일(Profile)로 등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Q/C의 시간 당 생산성이 최소 25개 보다는 커야 하며, 25보다 적을 경우에 별도의 조치가 필요할 경우라고 할 경우에 있어서, 해당 변수의 임계값을 25로 지정하며 이 값보다 커야 할지 작아야 할지의 판단정보는 미리 예외감지모듈(130)에서 판단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임계값 및 이 값보다 커야 할지 작아야 할지의 판단 또한 조건의 일부로 사용자가 설정하여 등록하도록 하여 예외감지모듈(130)에서 사용자 설정 값에 따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예외상황에 관련된 사전 정의(등록) 작업이 완료되고, 플래너에 의해 작성된 계획 하에 본선 작업이 실시되거나 게이트 반출/반입 작업 및 이적 작업 등이 발생하면, 운영 시스템(300)은 작업에 관련된 운영상황정보를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서버시스템(100)에서는 운영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운영상황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작업상황을 감시하고, 정보를 가공하여 예외검출지표를 산출한다.
도 9,도 10은 정의된 예외검출지표(Index)의 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이다.
예외감지모듈(130)에서는 이 값에 대한 조건을 검사하여 실제 예외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예외상황에 대한 예측하거나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예외상황 정보 없이도 간접적으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예외감지모듈(130)을 통해 예외상황이 감지되면, 서버 시스템(100)에서는 각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방법(Handling Type)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단순 경고로 처리할 수 있는 상황일 경우, 관련된 클라이언트 계획 시스템 및 운영 시스템(300)으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본선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에 해당되어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등록 설정된 방법(자동처리 또는 수동처리)에 따라서 처리한다.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 방법이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예외 관리 모듈에 의하여 등록된 예외 처리 모듈을 선택하여 실행하게 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재 계획 알고리즘 모듈(141)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이에 의해 재 계획을 위한 자동화 알고리즘이 수행되어지며, 수동처리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처리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자동화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수행하는 형태로 처리된다.
먼저,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가 자동처리인 경우 서버시스템(100)의 재 계획 처리모듈에서는 해당 예외상황에 대해 사전에 정의해 놓은 재 계획에 대한 범위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재 계획의 대상을 검출한다.
이때 재 계획의 대상이라 함은 예외상황에 따라 본선의 Q/C의 할당부터 모두 재 계획의 대상이 될 수도 있으며, 본선의 일부 컨테이너만 선택하여 작업순서를 재 계획할 수도 있다.
재 계획 대상이 검출되면, 정의된 재 계획 알고리즘을 확인하고, 서버시스템(100)에서는 해당 자동화 알고리즘을 자동 실행하여 본선 작업에 대한 계획을 다시 수립한다.
본선의 계획이 다시 수립이 되면 기존 작업에 대한 정보를 모두 취소하고, 새로운 계획 정보를 각 클라이언트 계획 시스템 및 운영 시스템(300)으로 새로운 계획 정보를 전송하며, 본선의 작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반면,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가 수동처리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예외상황을 알리고, 사용자에 의해 본선 작업을 재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예외상황으로 인해 재 계획해야 할 범위를 판단하고, 재 계획의 대상을 지정한다.
지정된 대상에 대한 재 계획은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재 계획할 수 도 있으며, 재 계획 수행 알고리즘 목록 중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자동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재 계획을 수행할 수 도 있다.
도 11은 예외상황에 따라 재 계획을 선택 수행시키거나, 수행 가능한 재 계획 알고리즘 모두 수행하여 재 계획 결과를 비교 평가하여 적합한 재 계획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예시 화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구현 예시 화면은 본선의 예외상황 발생 시 실행 가능한 모든 재 계획 자동화 알고리즘 모듈을 실행하여 재 계획된 결과를 정의된 평가지표에 따라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어떤 재 계획이 보다 효율적인 본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지 판단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할 재 계획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재 계획을 확정하면, 서버시스템(100)에서는 기존의 본선 작업에 대한 정보는 모두 취소하고, 새로운 계획 정보를 모든 클라이언트 시스템(200)과 운영 시스템(300)에 전송하여 본선 작업을 재 진행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작업 도중 예외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운영 시스템(300)에서는 예외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계획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서버시스템(100) 내부에서는 곧바로 예외관리모듈(110)로 예외상황정보를 전달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도 12는 상기와 같이 예외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예외상황을 감지하는 예외감지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한편 작업 도중 예외상황이 발생된 경우 운영 시스템(300)에서 이를 감지하여 예외상황 정보를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운영 시스템(300)에서 예외감지모듈(130)을 더 포함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서버시스템(100)은 예외 감지를 위한 별도의 처리는 불필요하며 예외상황별로 정의된 처리방법에 따라 조치를 취하게 된다.
도 13은 예외감지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 예외감지모듈에 의한 예외상황을 감지하는 예외감지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은 본 발명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템에 예외상황을 정의하기 위하여 예외수준(Exception Level)과 예외 코드 및 내용 등의 정보를 정의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예외상황을 정의하는 다른 예시로 예외코드에 따라 사용여부, 예외수준, 예외의 내용, 각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방식(Handling Type)을 결정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예외상황의 검출 및 예측을 위한 예외검출지표(Index)에 임계값을 설정하여 예외 검출조건을 등록 관리 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 7에서의 상기 예외 검출조건을 등록하는 다른 실시 예로 도 7의 경우와 달리 조건을 정규식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세부 내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임계값뿐만 아니라 조건 자체를 사용자가 생성,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정의된 예외검출지표(Index)의 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1은 예외상황에 따라 재 계획을 선택 수행시키거나, 수행 가능한 재 계획 알고리즘 모두 수행하여 재 계획 결과를 비교 평가하여 적합한 재 계획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예시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예외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예외상황을 감지하는 예외감지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예외감지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 예외감지모듈에 의한 예외상황을 감지하는 예외감지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Claims (7)

  1. 본선의 작업계획에 따라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 데이터 관리 및 작업계획을 관리하고, 사전에 발생될 수 있는 예외상황 및 그 예외상황에 대한 처리방법에 대한 예외상황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예외상황 설정정보에 따라서 예외 및 문제 상황을 인지하여 예외상황 수준에 따른 재 계획을 수행하는 서버 시스템과, 본선계획업무 및 재 계획처리 관련기능을 설정 관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및 수행된 계획에 대하여 실제 작업을 수행하며 그 작업 결과 및 상황 정보를 피드백 하여 서버 시스템으로 알려주는 운영시스템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업계획단위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은 예외상황과 처리 방법에 대해 정의된 설정 정보를 관리하고, 예외상황 발생 시 사전에 정의 설정된 처리방법에 따라 예외처리모듈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예외관리모듈과,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본선의 작업 상황을 수신 받기 위한 외부인터페이스모듈과,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작업 정보를 통해 예외검출지표의 값을 산출해 내고 이 값 또는 개별적으로 등록된 조건을 통하여 예외상황을 감지 또는 예측 하는 예외감지모듈과, 자동으로 처리되게 정의된 예외상황 발생 시 예외관리모듈의 제어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는 예외처리모듈(Exception Processor)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설정되는 본선 작업계획 및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감지조건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와, 클라이언트 시스템과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내부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사용자가 예외상황 및 처리방식을 정의하고 그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예외관리모듈과, 운영상황 정보를 가공한 각 예외검출지표(Index)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고 임계값 등으로 검출조건을 설정하거나 운영상황 정보에 직접 검출조건을 설정하고 그 구성정보를 저장 관리 하기 위한 예외검출조건관리모듈과, 예외처리지원모듈로서 재 계획 수행 시 세부적인 방법과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계획처리관리모듈과, 서버 시스템과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영 시스템은 서버 시스템과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모듈과,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작업계획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관리하기 위한 운영작업처리 관리모듈과, 수행된 계획에 대하여 그 작업 결과 및 상황 정보를 피드백(feedback) 하여 알려주기 위한 운영상황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처리모듈은 상기 예외관리모듈의 제어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미리 개발된 처리모듈이 등록 구성된 것으로, 예외 발생 시 예외관리모듈이 등록된 처리모듈 중에서 수신된 예외정보에 필요한 처리모듈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예외처리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처리모듈은 본선 재 계획을 수행하는 재계획 알고리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설정되는 본선 작업계획 정보 및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수단으로,
    상기 본선 작업계획정보는 설계된 작업 계획 및 재 계획된 작업계획정보를 포함하며, 예외관리정보는 정의되는 예외상황정보 및 그 예외상황 발생 시 처리하기 위한 방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는 운영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운영상황정보로부터 예외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
  7. 사전에 정의되어 등록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본선 작업계획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설정 등록 하는 과정과,
    서버 시스템의 등록된 본선 작업 계획을 운영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본선작업을 진행시키고, 운영상황정보를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작업 모니터링 과정과,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운영상황정보를 등록된 예외관리정보 및 예외상황검출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예외상황을 감지하고, 예외상황발생에 따른 그 처리 방법을 판단하는 예외상황판단과정과,
    예외상황판단과정을 통해 예외상황이라고 판단되고 그 처리 방법이 자동 재계획인 경우에는 등록된 예외관리정보에 따라서 재 계획 설정될 범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재 계획에 대한 대상을 검출하여 재 계획알고리즘에 따라서 재 계획을 수립하여 등록하고, 수동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사용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 또는 재 계획 알고리즘을 선택하도록 하여 재 계획을 등록하는 예외처리과정으로서의 재 계획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방법.
KR1020090122624A 2009-12-10 2009-12-10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7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24A KR100970168B1 (ko) 2009-12-10 2009-12-10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24A KR100970168B1 (ko) 2009-12-10 2009-12-10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168B1 true KR100970168B1 (ko) 2010-07-14

Family

ID=4264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24A KR100970168B1 (ko) 2009-12-10 2009-12-10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54B1 (ko) 2010-07-01 2012-04-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비스-지향 상황 추론 방법
KR20150070016A (ko) * 2013-12-13 2015-06-24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888B1 (ko) 2005-11-02 2006-11-27 미래산전 주식회사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6139A (ko) * 2007-08-10 2009-02-13 한국해양연구원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실시간 컨테이너 장치장 위치결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888B1 (ko) 2005-11-02 2006-11-27 미래산전 주식회사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6139A (ko) * 2007-08-10 2009-02-13 한국해양연구원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실시간 컨테이너 장치장 위치결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54B1 (ko) 2010-07-01 2012-04-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비스-지향 상황 추론 방법
KR20150070016A (ko) * 2013-12-13 2015-06-24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90276B1 (ko) * 2013-12-13 2016-12-27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2870B (zh) 告警监控方法及平台、服务器、存储介质
US723052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ult prediction in vehicle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CN113359554B (zh) 机器人的乘梯调度方法、机器人调度器及机器人调度系统
US10573421B2 (en) Plant operation system and plant operation method
KR101210918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WO2013046750A1 (ja) 保守対応システム
JP2011057308A (ja) 昇降機保守管理システム
TWI723742B (zh) 設備異常處置時序決定系統、設備異常處置時序決定方法及電腦程式
CN112348205A (zh) 轨道交通运维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JP2017062728A (ja) 異常診断システム及び異常診断方法
US11423494B2 (en) Plant assistance assessment system and plant assistance assessment method
KR100970168B1 (ko)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계획을 위한 예외 관리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CN113534766A (zh) 异常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115194A (zh) 一种自动化立体仓库的作业任务调度方法及系统
CN101149606A (zh) 产业工艺评价装置以及产业工艺评价方法
KR20140028163A (ko) 산업용 로봇 관리 시스템
JP2001084035A (ja) 運転監視システム
US104824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s related to service information of machine
CN116501002A (zh) 智慧码头载运危险货物集装箱agv安全诱导配置方法
JP7011555B2 (ja) アラート通知システム、アラート通知方法
CN116090724B (zh) 一种基于钢筋生产的智慧管理平台
CN112346415B (zh) 一种车间信息物理监控管理系统
WO2021005944A1 (ja) 製造実行システム、製造実行方法、及び製造実行プログラム
JP2007172229A (ja) 設備機器の監視装置
CN116080457B (zh) 启停控制设备、启停控制方法、换电站和储存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