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734B1 -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734B1
KR100969734B1 KR20080070862A KR20080070862A KR100969734B1 KR 100969734 B1 KR100969734 B1 KR 100969734B1 KR 20080070862 A KR20080070862 A KR 20080070862A KR 20080070862 A KR20080070862 A KR 20080070862A KR 100969734 B1 KR100969734 B1 KR 10096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treatment
storage tank
liquid organic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995A (ko
Inventor
이창규
류재근
Original Assignee
이창규
이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규, 이상욱 filed Critical 이창규
Priority to KR2008007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7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02F11/14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using calc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 분뇨, 하수 오니, 음식물 폐기물 폐수, 활성 오니 등의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화학적인 안정화 공법으로 빠른 시간 내에 연속 처리하고, 현탁 고형물을 탈수기로 탈수하여 탈수케익을 건조기로 건조하여, 퇴비나 토양개량제, 석회처리비료, 매립용 복토제 등으로 당일 생산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탈수 여액은 액비로 사용하고, 잉여의 탈수여액은 화학적 강력 산화방식에 의하여,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양을 대폭 낮추고 처리수는 세척 용수 등으로 재활용하거나 방류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액상 유기성폐기물, 안정화, 함수율, BOD

Description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System for disposing of liquid organic waste}
본 발명은 축산 분뇨, 하수 오니, 음식물 폐기물 폐수, 활성 오니 등의 대량의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화학적인 안정화 공법으로 빠른 시간 내에 연속 처리하고, 현탁 고형물을 탈수기로 탈수하여 탈수케익을 건조기로 건조하여, 퇴비나 토양개량제, 석회처리비료, 매립용 복토제 등으로 당일 생산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탈수 여액은 액비로 사용하고, 잉여의 탈수여액은 화학적 강력 산화방식에 의하여,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양을 대폭 낮추고 처리수는 세척 용수 등으로 재활용하거나 방류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유기성폐기물은 환경오염을 극소화하고 자원으로서의 가치로 변환시켜 토양에 환원시킬 수 있는 연구가 오래 전부터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액상 유기성폐기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고액분리기로 분리하여 고형분은 퇴비의 원료로 사용하고, 고액분리액은 탈질(N), 탈인(P) 처리를 거친 후 표준활성오니법 또는 장기폭기법 등의 생물학적 처리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처리 시스템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고농도의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스템은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시스템으로써, 고액분리된 고형분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처리하는 퇴비생산 방법으로 그 처리기간이 50 ~ 70일 이상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고액분리된 분리액의 처리는 호기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로 표준활성오니법(장기폭기법) 또는 혐기소화법으로 처리기간이 통상 30일 이상의 장기간이 소요되고, 처리기간 동안 악취의 다량 발생으로 주변 주민들의 민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 또는 혐기성 미생물의 소화활동을 계속 유지하는데 필요한 제반 조건(용존산소, 온도, 오니부하량의 조정 등)을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방대한 시설물의 유지 관리, 계절적 변동에 따른 생물학적 운전 기술의 어려움, 24시간 폭기에 의한 막대한 전력비, 동절기의 기온 강하에 의한 온도의 유지 관리 등, 고가의 유지관리비 고도의 운전기술 등의 문제점 등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현재 대부분은 처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염가인 해양투기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2012년부터는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는 바 이에 대해 육상에서 전량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발명의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히 제조된 부식안정제를 이용하여 5분 내외의 짧은 시간 동안 화학적 안정화 반응으로 고속처리함으로써 당일 발생한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당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매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성폐기물을 지체 없이 365일 연속 처리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육상에서 발생하는 유기성폐기물을 전량 재활용자재 또는 토지개량제로 토양에 환원함으로써 해양오염의 주범인 해양투기를 근절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병해충의 발생 등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액상처리물은 탈수기로 탈수하여 탈수된 고형물은 건조기로 건조한 후 퇴비, 토양개량제, 석화처리비료, 매립용복토제 등으로 제조하여 토양에 환원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탈수과정에서 탈수된 탈수여액은 화학적 산화처리법으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켜 방류함으로써, 저비용 고효율의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투입시켜 일시저장하는 저장탱크(100)와; 저장탱크(100)를 통해 일시저장된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부식안정제와 반응시켜 화학적인 안정화공법으로 안정화하여 처리하는 안정화반응기(200)와; 안정화반응기(200)에서 반응완료된 액상처리물을 저장하는 반응물처리저장조(300)와; 반응물처리저장조(300)로부터 액상처리물을 공급받아 탈수하는 탈수기(400)와; 탈수기(400)를 통하여 배출되는 탈수고형물을 일시저장하는 탈수케익저장조(500)와; 탈수케익저장조(500)에서 일정량을 공급받아 적정 수분의 함수율로 건조하는 건조기(600)와; 건조기(600)에서 일정 함수율로 건조된 건조물을 일시저장하는 건조물저장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부식안정제는, 제오라이트 20 ~ 30 중량%, 버미큐라이트 5 ~ 15 중량%, 잔량의 생석회가 혼합되어 전체 100 중량%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탈수기(400)에서 분리된 탈수 여액을 일시저장하는 여액저장조(800)와, 여액저장조(800)에서 공급된 여액에 강력 산화제를 첨가하여 처리하는 산화처리조(900)와, 산화처리조(900)에서 유출하는 처리액을 침전 분리하는 침전분리조(1000)와, 침전분리조(1000)에서 유출되는 처리수의 pH를 자동 조절하는 pH조절조(11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종전의 처리방법인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근본적으로 처리 방식을 달리하는 화학적 처리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처리 효율이 극대화된다.
특히, 종전 방식의 결정적 결점인 처리 가간을 자동화된 연속 처리방식으로 당일발생한 대량의 폐기물을 당일내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종전의 방식에 비해 고효율 저비용의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할 것이다.
또한, 화학적 안정화 공법을 이용하여 신속한 처리 시간, 반응처리물의 균일성 확보 등으로 인해 생산되는 퇴비, 토양개량제, 석회처리비료, 매립용복토제 등의 생산품의 품질이 균일하게 되어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안정적인 자원화가 가능해지며, 전량 토양으로 환원시켜 친환경적인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투입시켜 일시저장하는 저장탱크(100)와; 저장탱크(100)를 통해 일시저장된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부식안정제와 반응시켜 화학적인 안정화공법으로 안정화하여 처리하는 안정화반응기(200)와; 안정화반응기(200)에서 반응완료된 액상처리물을 저장하는 반응물처리저장조(300)와; 반응물처리저장조(300)로부터 액상처리물을 공급받아 탈수하는 탈수기(400)와; 탈수기(400)를 통하여 배출되는 탈수고형물을 일시저장하는 탈수케익저장조(500)와; 탈수케익저장조(500)로부터 공급받은 일정량의 탈수고형물을 건조하는 건조기(600)와; 건조기(600)에서 일정 함수율로 건조된 건조물을 일시저장하는 건조물저장조(7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부식안정제의 첨가에 의해 유기물은 급속도로 부식 안정화되고, 탈수고형분은 유기성폐기물의 물성에 따라 전량 퇴비, 석회처리비료, 토양개량제 또는 매립용 복토제로 제조된다.
아울러, 이때 발생되는 탈수여액은 알칼리성 액비로 산성 토양의 중화제로 활용하고, 잉여의 여액은 산화, 침전처리 후 방류수 수질 기준치 이하로 하여 수질 오염을 발생하지 않고 방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저장탱크(100)은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과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안정화반응기(200)에 일정량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100)는 공급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다양한 탱크나, 격실등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안정화반응기(200)는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화학적 반응에 의해 안정화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일정량의 펌프 등에 의해 일정량이 연속 유입되고, 부식안정제를 유입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 량의 2 ~ 3 중량 % 비율로 연속 투입하여 약 4 ~ 6분간의 반응작용에 의해 유기물은 부식, 안정화됨과 동시에 악취의 발생이 억제되고, 강한 알칼리 물성으로 병원성 세균 등을 살균 처리하여 반응처리물저장조(300)로 유입된다.
이때, 부식안정제는 제오라이트 20 ~ 30 중량%, 버미큐라이트 5 ~ 15 중량%, 잔량의 생석회가 혼합되어 전체 100 중량%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사용하여 안정화 반응 시간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반응처리물저장조(300)는 반응처리물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과, 반응처리물을 탈수기(400)에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탈수기(400)는 안정화 반응처리물을 탈수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안정화 반응된 처리물을 연속적으로 탈수하여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탈수케익과 탈수여액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탈수케익저장조(500)는 탈수기에서 분리된 탈수케익을 일시 저장하는 한편 건조기(600)에 일정량의 탈수케익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건조기(600)는 탈수케익의 함수율을 30 % 전후로 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물저장조(700)는 건조기(600)에서 상기 함수율로 건조되어 배출된 건조물을 일시 저장하는 한편, 퇴비, 석회처리비료, 토양개량제, 매립용복토제 등을 생산, 포장하는 라인으로 이송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2와 도 3은 안정화반응기(2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안정화반응기(200)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안정화반응기(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프레임(10) 상의 지지대(11)에 일반적인 고정 방식인 브라켓으로 고정되고 상부로 액상 유기성폐기물 저장탱크(100)에 설치된 이송펌프와 연결된 통상의 공급부(12a)가 설치되는 처리물투입구(21)와, 처리물투입구(21)로부터 투입된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부식안정제가 수용되는 안정제수용호퍼(14)와 연결된 통상적인 공급부(14a)가 설치되는 안정제투입구(22)와, 부식안정제의 투입으로 인해 반응된 가스나 안정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내부와 연통된 가스배기관(15)과, 안정화 반응이 완료된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처리물배출구(24)가 형성된 반응기본체(20)와; 반응기본체(20) 내에 설치되어 있고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자재에 다수의 교반날개(32)가 형성되어 설치되는 이송스크류(30)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3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42)와 동력전달수단인 폴리부(44) 및 기어부(46)가 설치되어 연결되는 구동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반응기본체(20)의 내부에는 처리물투입구(21)와 안정제투입구(22) 측의 밑면으로 최초 투입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과 부식반응제가 이송스크류(30)를 통하여 교반과 동시에 안정화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전방측으로 이송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로 비산되어 혼합되지 않도록 비산방지판(25a)를 설치하고, 처리물배출구(24) 측의 상면에는 월류판(25b)을 설치하여 이송스크류(30)를 통하여 교반과 동시에 안정화되면서 이송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물의 일정량이 정제되어 안정화를 촉진시킴과 아울러 투입량과 비례하는 양 만큼만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월류판(25b)을 넘어 처리물배출구(24)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기본체(20)의 하부로 처리가 완료되어 반응기본체(10)에 잔류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 및 이물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26)을 형성하고, 배출공(26)에는 지지대(11)에 설치되는 핸들(27a) 및 이동축(27b)과 이동축(27b)에 결합되는 이동나사(27c)가 형성된 개폐판(27d)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개폐부(27)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만 배출공(26)을 개방하여 잔류 액상 유기성폐기물 및 이물질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개폐부(27)인 개폐판(27d)을 개폐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에 의해 기어 동력전달방식에 의해 개폐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공급부(12a, 14a)는 액상 유기성폐기물 저장탱크(100), 안정제수용호퍼(14)로부터 통상적인 공급 수단으로 사용되는 이송펌프의 공급방식이나 내부로 이송 스크류가 내장되는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공급방식과 같은 일반적인 공급 수단 중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처리물배출구(24)의 하부에는 안정화 반응처리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이 필요로 하는 곳으로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송수단인 펌프에 의한 이송방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정화반응기(200)에서 배출관(28)을 통해 배출된 처리물은 반응처리물저장조(300)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안정화반응기(200) 외의 저장탱크(100), 반응처리물저장조(300), 탈수기(400), 탈수케익저장조(500), 건조기(600), 건조물저장조(700) 등은 공지되어 있는 각종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탈수기(400)에서 탈수 분리된 탈수여액이 유입되는 여액저장조(800) 및, 산화처리조(900), 침전분리조(1000), pH조절조(110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여액저장조(800)는 탈수여액이 일시 저장되는 한편, 탈수여액을 펌프 등에 의해 일정량 연속적으로 산화처리조(900)에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산화처리조(900)는 연속 주입되는 탈수 여액과, 같은 비율로 정량 주입되는 강력산화제를 급속 교반에 의한 반응으로 COD 성분을 산화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산화처리조(900)에서 산화 처리된 혼탁액은 침전분리조(1000)로 유입되는데, 침전분리조(1000)에서는 산화된 혼탁액을 청징수(淸澄水)와 침전오니로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침전분리조(1000)는 산화처리조(900)에서 후록상태로 응집된 고형분이 비중 차에 의하여 분리되며, 산화오니는 침전분리조(1000) 하부로 침전된다.
침전된 침전오니는 펌프 등에 의해 반응처리물저장조(300)로 이송된다.
한편, 침전분리조(1000)에서 분리된 청징수(淸澄水)는 자연유하로 pH조절 조(1100)로 유입되는데, pH조절조(1100)에서는 유입된 청징수의 pH를 자동pH조절장치에 의해 pH를 6 ~ 7 정도로 조절, 최종 방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처리물수용탱크(12)에는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충진시키고, 안정제수용호퍼(14)에 일정량의 부식안정제를 수용시킨 후 처리물수용탱크(12)와 연결된 공급부(12a)를 작동시켜 처리물수용탱크(12) 내의 충진된 액상 유기성폐기물이 처리물투입구(21)를 통하여 반응기본체(20) 내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안정제수용탱크(14)와 연결된 공급부(14a) 또한 작동시켜 부식안정제 또한 동시에 투입되도록 한다.
이때, 반응기본체(20)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0)도 일반적인 동력전달 방식인 구동모터(42) 및 폴리부(44)와 기어부(46)로 구성된 구동부(40)를 통하여 회전시킨다.
따라서, 처리물투입구(21)와 안정제투입구(22)를 통하여 유입된 액상 유기성폐기물과 부식안정제가 이송스크류(30)의 교반날개(32)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그 일측 전방으로 안정화되면서 이송되고, 이때, 처리물투입구(21)와 안정제투입구(22) 측으로 형성된 비산방지판(25a)에 의해 최초 투입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과 부식안정제가 이송스크류(30)에 의하여 교반 및 반응하면서 이송되는 전방 측의 액상 유기성폐기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투입되는 최초 액상 유기성폐기물과 부식안정제가 순차적으로 접촉 반응하여 안정화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이송스크류(30)를 통해 교반 및 안정화되면서 처리물배출구(24) 측으로 이송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은 그 처리물배출구(24) 측으로 형성된 월류판(25b)으로 인해 일정량이 충진될 때까지 정체되어 지면서 안정화가 더욱 촉진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이 안정화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는 반응기본체(20)의 상부로 형성된 가스배기관(15)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 짐과 동시에 월류판(25b)으로 정체되어 있던 액상 유기성폐기물이 일정량 이상으로 충진되어지면 처리물투입구(21)로부터 투입되는 투입량과 비례적으로 월류판(25b)을 넘어 투입될 양 만큼만 순차적으로 처리물배출구(24)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안정화의 처리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반응조본체(20) 내에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반응물질이 잔류하는데 이 잔류하는 물질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응조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26)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다시 말해서, 배출공(26)은 개폐부(27)인 개폐판(27d)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그 개폐판(27d)을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대(11)의 일측으로 설치된 핸들(27a)을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이동축(27b)이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판(27d)에 설치된 이동구(27c)가 이동됨으로써, 개방되어져 반응조본체(20)의 내부에 잔류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반응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 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유기성폐기물 안정화반응기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유기성폐기물 안정화반응기 10 : 프레임
11 : 지지대 12 : 처리물 수용탱크
12a,14a,16a : 공급부 14 : 첨가제 수용호퍼
15 : 가스 배기관 16 : 건조제 수용호퍼
20 : 반응기 본체 21 : 처리물 투입구
22 : 첨가제 투입구 23 : 건조제 투입구
24 : 처리물 배출구 25a : 비산방지판
25b : 월류판 26 : 배출공
27 : 개폐부 27a : 핸들
27b : 이동스크류 27c : 이동구
27d : 개폐판 30 : 이송스크류
32 : 교반날개 40 : 구동부
42 : 구동모터 44 : 풀리부
46 : 기어부 100: 저장탱크
300: 반응처리물저장조 400: 탈수기
500: 탈수케익저장조 600: 건조기
700: 건조물저장조

Claims (3)

  1.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투입시켜 일시저장하는 저장탱크(100)와;
    상기 저장탱크(100)를 통해 일시저장된 액상 유기성폐기물을 부식안정제와 반응시켜 화학적인 안정화공법으로 안정화하여 처리하는 안정화반응기(200)와;
    상기 안정화반응기(200)에서 반응완료된 액상처리물을 저장하는 반응물처리저장조(300)와;
    상기 반응물처리저장조(300)로부터 액상처리물을 공급받아 탈수하는 탈수기(400)와;
    상기 탈수기(400)를 통하여 배출되는 탈수고형물을 일시저장하는 탈수케익저장조(500)와;
    상기 탈수케익저장조(500)로부터 공급받은 탈수고형물을 건조하는 건조기(600)와;
    상기 건조기(600)에서 일정 함수율로 건조된 건조물을 일시저장하는 건조물저장조(700)와;
    상기 탈수기(400)에서 분리된 탈수 여액을 일시저장하는 여액저장조(800)와;
    상기 여액저장조(800)에서 공급된 여액에 강력 산화제를 첨가하여 처리하는 산화처리조(900)와;
    상기 산화처리조(900)에서 유출하는 처리액을 침전 분리하는 침전분리조(1000)와;
    상기 침전분리조(1000)에서 유출되는 처리수의 pH를 자동 조절하는 pH조절조(11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안정제는,
    제오라이트 20 ~ 30 중량%, 버미큐라이트 5 ~ 15 중량%, 잔량의 생석회가 혼합되어 전체 100 중량%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기성폐기물의 처리 시스템.
  3. 삭제
KR20080070862A 2008-07-21 2008-07-21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096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0862A KR100969734B1 (ko) 2008-07-21 2008-07-21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0862A KR100969734B1 (ko) 2008-07-21 2008-07-21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995A KR20100009995A (ko) 2010-01-29
KR100969734B1 true KR100969734B1 (ko) 2010-07-13

Family

ID=4181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0862A KR100969734B1 (ko) 2008-07-21 2008-07-21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576B1 (ko) * 2018-05-30 2019-01-29 남영유화공업(주) 물성이 향상된 수용성 윤활유의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28B1 (ko) * 1995-03-15 1998-04-23 박응서 폐수 처리장의 슬러지(sludge) 디워터링(dewatering) 장치 및 구조
KR20070018271A (ko) * 2005-08-09 2007-02-14 김동수 하수 슬러지의 고화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28B1 (ko) * 1995-03-15 1998-04-23 박응서 폐수 처리장의 슬러지(sludge) 디워터링(dewatering) 장치 및 구조
KR20070018271A (ko) * 2005-08-09 2007-02-14 김동수 하수 슬러지의 고화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995A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gelidaki et al. Applications of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KR101399506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연속형 고효율 비료 생산 방법 및 장치
MXPA04001991A (es) Un proceso para el tratamiento anaerobico de desperdicio organico fluido y no fluido.
KR100682023B1 (ko) 축산분뇨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969734B1 (ko) 액상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1918113B1 (ko) 혐기성소화조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 및 바이오가스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70090057A (ko) 폐기물 처리장치
KR20060125084A (ko) 음식물쓰레기처리설비용 호퍼와 이를 이용한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JP2000189932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CN110002677B (zh) 城市污水处理厂剩余污泥厌氧消化后的深度处理方法
EP0558421B1 (fr) Procédé d&#39;épuration d&#39;excréments animaliers et son dispositif
KR20090085918A (ko) 하수처리장의 반려수 및 슬러지를 저감시키는 방법
KR100457698B1 (ko) 하수처리장 잉여슬러지를 이용한 축산폐수처리방법 및 그장치
KR10229980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IES20010342A2 (en) Sludge and slurry destruction plant and process
JP6359490B2 (ja) 下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下排水処理方法
KR20160120501A (ko) 고속 유기물 산화조를 갖는 가축분뇨 액비화 처리시스템 및 그 액비화 처리방법
RU2156749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ро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JPH09253618A (ja) 動植物性有機固形物の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US20090166288A1 (en) Waste-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
CN218321080U (zh) 一种基于bfr工艺的养猪场废水处理系统
KR100365481B1 (ko) 폐수의 오염물질 저감용 미세 고형물 분리장치
Massé et al. Anaerobic processing of slaughterhouse wastewater in a SBR
JP6909147B2 (ja) 有機性廃水処理設備、有機性廃水処理方法及び有機性廃水処理設備の改築方法
Lee et al. Pilot-scale study of horizontal anaerobic digester for biogas production using foo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