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83B1 -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83B1
KR100969483B1 KR1020080009091A KR20080009091A KR100969483B1 KR 100969483 B1 KR100969483 B1 KR 100969483B1 KR 1020080009091 A KR1020080009091 A KR 1020080009091A KR 20080009091 A KR20080009091 A KR 20080009091A KR 100969483 B1 KR100969483 B1 KR 10096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tight buffer
outside
center lin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115A (ko
Inventor
전영호
채일식
서교석
이종호
최승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4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및 옥외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대응하도록 중심축 선상에 위치하는 중심선; 상기 중심선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심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개의 광섬유유닛;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의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응하는 아라미드얀; 및 상기 아라미드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 각각은, 상기 광섬유유닛의 중심에 위치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의 외주면에서 상기 광섬유를 감싸는 타이트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함과 동시에 인장강도가 양호하기 때문에 상기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옥내 및 옥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광섬유, 타이트버퍼, 아라미드얀, 외부자켓, 폴리에틸렌,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Description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Tight buffer optical cable for being used indoors and outdoors}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내 및 옥외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국내외적으로 랜(LAN) 보급의 확산, 양방향통신구현, 화상통화구현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사용환경에 따라 옥외용, 옥내용 및 인입용으로 분류되고, 구조에 따라 타이트버퍼형, 루즈튜브형 등으로 분류된다. 옥내용 광케이블은 건물내에 설치되고, 옥외용 광케이블은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설치된다. 이하, 옥내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및 옥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각각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옥내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옥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옥내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의 광섬유유닛(12)과, 아라미드얀(14)과, 외부자켓(16)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12)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광섬유(12a)와 상기 광섬유의 외표면을 감싸고 있는 타이트버퍼(12b)를 포함하고, 상기 광케이블(10)의 내부에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외부자켓(16)은 상기 광케이블(10)의 최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아라미드얀(14)은 상기 외부자켓(16)과 상기 광섬유유닛(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된다.
상기 광케이블(10)은 무게가 가볍고 외경이 얇으며 굴곡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인장강도가 낮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은 옥내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을 뿐, 옥외용으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상기 옥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30)은 중심인장선(32)과, 상기 중심인장선(32)의 외주면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된 광섬유유닛(34)과, 상기 광섬유유닛(34)을 감싸고 있는 외부자켓(36)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인장선(32)은 상기 광케이블(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아연봉(32a)과 상기 아연봉(32a)의 외주면에 코팅된 폴리에틸렌(32b)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유닛(34)은 광섬유(미도시)를 내장한 타이트버퍼(34a)와 상기 타이트버퍼(34a)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아라미드얀(34b)과, 상기 아라미드얀(34b)을 감싸고 있는 내부자켓(34c)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케이블(30)은 인장강도가 양호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강한 장점이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외경이 두꺼우며 굴곡특성이 나쁘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으로 인해 상기 케이 블(30)은 옥외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을 뿐, 옥내용으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옥내 및 옥외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옥내용 광케이블과 옥외용 광케이블의 장점만을 채택하여 형성된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대응하도록 중심축 선상에 위치하는 중심선; 상기 중심선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심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개의 광섬유유닛;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의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응하는 아라미드얀; 및 상기 아라미드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 각각은, 상기 광섬유유닛의 중심에 위치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의 외주면에서 상기 광섬유를 감싸는 타이트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섬유유닛과 상기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방수얀이 충진된다. 이와 같은 경우 광섬유를 외부에서 침투한 수분으로부터 더욱 견고히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심선은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의 외표면에 코팅되는 코팅 층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봉은 PVC, PE,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물질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얀(yarn)과 같은 비금속 재질 또는 아연도강선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PVC, PE,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물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함과 동시에 인장강도가 양호하기 때문에 상기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옥내 및 옥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100)은 중심선(110)과, 광섬유유닛(130)과, 아라미드얀(150)과, 외부자켓(170)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선(110)은 외부로부터 상기 광케이블(10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 및 압축력과 외부로부터 상기 광케이블(100)의 중심방향으로 가해지는 압축력과 상기 광케이블(10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상기 광섬유유닛(13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중심선(110)은 상기 광케이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봉(112)과 상기 중심봉의 외표면에 코팅되는 코팅 층(114)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봉(112)은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진 인장력이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유닛(130)이 상기 인장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중심봉(112)은 PVC, PE,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물질 또는 얀(yarn)과 같은 비금속 재질 또는 아연도강선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114)은 폴리에틸렌(PE) 또는 PVC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경우 외부에서 상기 광케이블(100)의 중심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코팅층(114)이 쿠션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유닛(130)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100)이 중심선(110)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케이블의 길이방향 인장력 및 압축력, 모멘트는 상기 중심봉(112)으로 집중되고 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가해지는 압축력은 상기 코팅층(114)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광섬유(134)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100)은 일반적인 옥내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유닛(130)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광섬유(132)와 상기 광섬유(132)의 외주면에서 상기 광섬유(132)를 감싸는 타이트버퍼(1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섬유유닛(13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선(1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심선(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 의 광섬유유닛(130)은 상기 중심선(110)과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상기 중심선(110)에 대하여 나사형태 또는 SZ형태로 꼬이면서 연장된다.
상기 광섬유유닛(130)은 상기 광섬유(132)와 상기 타이트버퍼(134)만을 포함하고 있을 뿐, 종래의 일반적인 옥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광섬유유닛에 포함된 타이트버퍼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 아라미드얀(34b) 및 상기 아라미드얀을 감싸고 있는 내부자켓(34c)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광케이블(100)은 종래의 일반적인 옥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외경이 얇으며 굴곡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취급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100)은 일반적인 옥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얀(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유닛(13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섬유유닛(130)의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아라미드얀(150)은 상기 광섬유유닛(130)과 동일한 형태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라미드얀(150)은, 상기 광섬유유닛(130)이 상기 중심선(110)과 평행하게 연장되면 상기 중심선(110)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광섬유유닛(130)이 상기 중심선(110)에 대하여 나사형태로 꼬이면서 연장되면 상기 중심선(100)에 대하여 나사형태로 꼬이면서 연장되며, 상기 광섬유유닛(130)이 상기 중심선(110)에 대하여 SZ형태로 꼬이면서 연장되면 상기 중심선(110)에 대하여 SZ형태로 꼬이면서 연장된다.
상기 외부자켓(170)은 상기 광케이블(100)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상기 아라미드얀(150)의 외부에 위치하여 그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들을 보호한다. 상기 외부자켓(170)은 폴리에틸렌, 난연폴리에틸렌 PVC 등의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광섬유유닛(130)과 상기 중심선(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190)에는 아라미드얀 또는 방수얀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190)에 아라미드얀이 충진될 경우 상기 광섬유유닛(130)의 자세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공간(190)에 방수얀이 충진될 경우 외부에서 침투한 수분으로부터 상기 광섬유(132)를 보호할 더욱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옥내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옥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대응하도록 중심축 선상에 위치하는 중심선;
    상기 중심선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심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개의 광섬유유닛;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의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응하는 아라미드얀; 및
    상기 아라미드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유닛 각각은,
    상기 광섬유유닛의 중심에 위치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의 외주면에서 상기 광섬유를 감싸는 타이트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아라미드얀은 외부자켓과 광섬유 유닛의 사이에 게재되어 외부자켓과 광섬유 유닛에 접촉되고, 아라미드얀은 나사형태 또는 SZ형태로 꼬여지며,
    상기 광섬유유닛과 상기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방수얀이 충진되고,
    상기 방수얀은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 유닛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아라미드얀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 유닛의 자세를 더욱 견고히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광섬유를 외부에서 침투한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중심선은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의 외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봉은 PVC, PE,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물질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얀(yarn)과 같은 비금속 재질 또는 아연도강선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PVC, PE,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KR1020080009091A 2008-01-29 2008-01-29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KR10096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91A KR100969483B1 (ko) 2008-01-29 2008-01-29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91A KR100969483B1 (ko) 2008-01-29 2008-01-29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15A KR20090083115A (ko) 2009-08-03
KR100969483B1 true KR100969483B1 (ko) 2010-07-14

Family

ID=4120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91A KR100969483B1 (ko) 2008-01-29 2008-01-29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3226A (zh) * 2018-12-28 2019-03-15 巨力索具股份有限公司 光电高强缆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082A (ko) * 2001-04-26 2002-11-01 엘지전선 주식회사 리본 유닛을 포함하는 튜브 집합형 광케이블
KR20030016050A (ko) * 2001-08-20 200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옥내용 광케이블
KR100434464B1 (ko) 2000-08-22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피복 구조의 옥내용 광케이블 및 그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464B1 (ko) 2000-08-22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피복 구조의 옥내용 광케이블 및 그 제조 장치
KR20020083082A (ko) * 2001-04-26 2002-11-01 엘지전선 주식회사 리본 유닛을 포함하는 튜브 집합형 광케이블
KR20030016050A (ko) * 2001-08-20 200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옥내용 광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15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127B2 (en) Rugged fiber optic cable
US5642452A (en) Water-blocked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able
CN101515052A (zh) 光导纤维电缆
CN101840042B (zh) 全干式大芯数铠装室内外用光缆
US10983294B2 (en) Deployable fiber optic cable with partially bonded ribbon fibers
JPH09218329A (ja) 光ファイバマイクロケーブル
US10120152B1 (en) All dielectric self-supporting fiber optic cable
CN201732191U (zh) 一种柔软型全铠装防水尾缆
ES2929621T3 (es) Cable con elementos de tracción ligeros
CN206479689U (zh) 轻型铠装室内外两用光缆
NO343279B1 (no) Navlestrengkabel
KR20120012712A (ko) 공기압 설치용 광케이블
CN112578518A (zh) 一种轻质抗压防啮咬光缆
CN212060663U (zh) 一种8字型自承式防弹光缆
CN217506201U (zh) 一种全介质管道直埋光缆
KR100969483B1 (ko) 옥내 및 옥외 겸용 타이트버퍼형 광케이블
CN219349210U (zh) 蝶形光缆
US20110262089A1 (en) Small-diameter high bending-resistance fiber optic cable
KR100288444B1 (ko) 비금속자기지지형광케이블
CN212229276U (zh) 一种异型光缆
CN213904988U (zh) 一种抗拉伸型弱电线缆
CN210090752U (zh) 一种抗微弯金属管光缆
CN210835385U (zh) 一种柔性铠管绕包型束状光缆
KR20080060821A (ko) 발포 복합체를 이용한 광섬유 케이블
CN111796373A (zh) 光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