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962B1 -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962B1
KR100968962B1 KR1020080076189A KR20080076189A KR100968962B1 KR 100968962 B1 KR100968962 B1 KR 100968962B1 KR 1020080076189 A KR1020080076189 A KR 1020080076189A KR 20080076189 A KR20080076189 A KR 20080076189A KR 100968962 B1 KR100968962 B1 KR 10096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dentifier
communication terminal
list
ser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235A (ko
Inventor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7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9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962B1/ko

Links

Images

Abstract

서비스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서비스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여 독출된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활성화 및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의 비활성화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EISV, 서비스 관리, 서비스 해제, SV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 서버 {Method for managing service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ice management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3GPP 규격에서 통신 단말기의 고유넘버를 IMEI와 IMEISV의 두 가지로 관리하고 있다.
우선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GSM)의 통신 단말기가 서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식별 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라 한다.
IMEI는 형식 승인 코드(TAC : Type Approval Code), 최종 조합 코드(FAC : Final Assembly Code), 일련 번호(SNR : Serial Number)를 포함하고, 여분(spare)을 포함하여 15자리로 구성된다.
반면에 IMEISV(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and Software Version Number)는 IMEI에 통신 단말기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업데이트 상태를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식별 번호이다.
IMEISV는 IMEI의 다른 구성은 모두 포함하되, 여분(spare)이 제외되고, 소프트웨어 버전(Software Version, 이하 SV) 정보를 포함하여 총 16자리로 구성된다.
3GPP 규격상에 SV 필드는 2 digit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의 버전을 관리한다는 내용만 언급되어 있을 뿐 현재 사용하지는 않는다. 즉, SV 필드를 적절히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WCDMA에서 통신 단말기 이동성이 도입됨에 따라 기존의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되었던 서비스가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인 경우 미지원되는 서비스를 해지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지원되는 서비스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IMEI 정보를 확인하여 가입자 정보 DB에서 해당 모델명을 조회하여 해당 모델명에 따른 지원 가능 서비스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지원 불가능 서비스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해지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다.
즉, 단말의 이동으로 인해 지원 불가능 서비스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과 정을 거쳐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목록을 서비스 그룹별로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하여 수신된 식별자에 따라 서비스의 활성화를 보다 수월하기 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MEISV의 잉여 영역에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 서버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독출된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는 서비스 목록 독출부; 및 상기 독출된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목록을 서비스 그룹별로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하여 수신된 식별자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활성화 및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의 비활성화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MEISV의 잉여 영역에 식별자를 포함하므로, 추가적인 공간 없이도 보다 효율적인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 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1과는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수신부(110),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 식별자 독출부(140),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 등을 포함한다.
도 1에는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150)가 서비스 관리 서버(100)의 일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150)는 서비스 관리 서버(100)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수신부(110)는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지원 가능한 서비스가 다르다. 예를 들면, 어떤 통신 단말기는 투폰 서비스가 지원되는 반면에 다른 단말기는 투폰 서비스가 지원 되지 않는다거나 또는 특정 통신 단말기는 VOD 서비스를 지원하는 반면에 또 다른 통신 단말기는 VOD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는 통신 단말기의 버전, 모델명 등에 의해 결정되고,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의 종류는 매우 다양함은 자명하다.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는 문자, 숫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식별자는 다른 식별자와 구별되는 고유한 값이어야 한다.
즉, A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가 '01'이고 B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가 '02'인 경우에는 각각의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이 다르다는 점을 나타낸다.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식별자는 IMEISV(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and Software Version Number)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는 IMEISV의 특정 필드(field)에 식별자를 삽입하여 서비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IMEISV는 IMEI에 통신 단말기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업데이트 상태를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식별 번호이고 총 16자리로 구성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식별자는 IMEISV 중 SV 필드에 삽입될 수 있다. SV 필드는 총 2digit로 구성되므로 식별자가 2진수인 경우에는 총 4가지, 식별자가 16진수인 경우에는 총 256가지의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IMEISV의 구성 및 SV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식별자는 다른 식별자와 구별되는 고유한 값이어야 함은 설명하였으며, 따라서 각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은 다르다.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식별자는 '01', '02', '03', '04'의 4개가, 서비스 그룹은 A, B, C, D의 4개가 있으며 각 식별자는 각 서비스 그룹에 상응(('01'과 A), ('02'와 B), ('03'과 C), ('04'와 D))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서비스 그룹 A에는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의 4가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고, 서비스 그룹 B에는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의 3가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며, 서비스 그룹 C에는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의 2가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고, 서비스 그룹 D에는 투폰 서비스의 1가지 서비스 목록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상기 예에서 수신부(110)에서 '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는 식별자 '01'과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A에 포함된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의 4가지 서비스 목록을 독출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 수신부(110)에서 '04'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는 식별자 '04'와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D에 포함된 투폰 서비스 의 1가지 서비스 목록을 독출한다.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에서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는 것은 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 가능하였으나,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 불가능 한 서비스의 경우 해당 서비스가 어떤 서비스인지 판단하여 해당 서비스를 비활성화 시키기 위함이다.
반대로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 불가능하였으나,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 가능 한 서비스의 경우 해당 서비스가 어떤 서비스인지 판단하여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 시키기 위함이다.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목록을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별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에는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및 지원 가능한 서비스 목록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예에서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목록을 서비스 그룹별로 저장된 예시는 다음 <표1>과 같다.
<표 1>
식별자 서비스 그룹 서비스 목록
01 A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
02 B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03 C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04 D 투폰 서비스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되어 식별자가 쿼리(query)로 들어오면 해당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의 형태는 상기와 같이 테이 블(table)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저장 형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식별자 독출부(14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식별자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식별자 독출부(140)는 식별자가 IMEISV에 포함되고, 수신부(110)에서 IMEISV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IMEISV에 포함된 식별자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MEISV 중 SV 필드에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식별자 독출부(140)는 식별자를 독출하기 위해 SV 필드만을 검색하면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식별자를 독출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150)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유 식별자 정보는 특정 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식별자에 대한 정보이다. 고유 식별자 정보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교체하는 경우 교체 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를 의미하는 것이고, 교체 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는 고유 식별자 정보로 갱신(update)된다.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면,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는데 있어서 더 적은 노력이 든다는 장점이 있다.
<표 1>과 같은 예에서, 사용자는 식별자가 '03'인 통신 단말기에서 식별자가 '01'인 통신 단말기로 통신 단말기를 교체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투폰 서비스 및 VOD 서비스만 지원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서 투폰 서비 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 교체하였다고 가정한다.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부(110)에서 교체된 통신 단말기로부터 '01'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01'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A의 서비스 목록인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의 4가지를 모두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교체하기 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인 '03'이 고유 식별자 정보로 고유 식별자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교체된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자 '01'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A의 서비스 목록과 고유 식별자 정보 '03'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C의 서비스 목록을 비교하여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의 2가지만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160)는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수신부(110),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 식별자 독출부(140) 및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150)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수신부(110)를 제어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별자가 IMEISV에 포함된 경우 제어부(160)는 식별자 독출부(140)를 제어하여 IMEISV에 포함된 식별자를 독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V 필드를 검색하여 식별자를 독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를 제어하여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에서 독출된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 1>의 예에서 수신부(110)에서 '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식별자 '01'과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A에 포함된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의 4가지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도록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를 제어하고, 상기 4가지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신부(110)에서 '04'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를 제어하여 식별자 '04'와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D에 포함된 투폰 서비스의 1가지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고, 독출된 투폰 서비스만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의 활성화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측에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반대로 서비스의 비활성화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의 활성화는 실제로 사용자가 해당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이며, 특히 유료 서비스의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해도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유 의해야 한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교체로 인하여 특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방법에 의해 해당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통신 단말기로 교체된 경우에 해당 서비스를 비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요금이 과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 1>과 같이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고, 사용자는 식별자가 '03'인 통신 단말기에서 식별자가 '01'인 통신 단말기로 통신 단말기를 교체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예에서, 교체 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인 '03'이 고유 식별자 정보로 고유 식별자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식별자는 교체 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인 '01'일 것이다.
제어부(160)는 양자('03' 및 '01')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므로, '01'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A에 포함된 서비스 중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 중 '03'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C에 포함된 서비스인 투폰 서비스 및 VOD 서비스를 제외한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이미 투폰 서비스 및 VOD 서비스에 대해서는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다시 활성화할 필요가 없고, 추가적으로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만 활성화하면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식별자와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 1>과 같이 서비스 목록 저장부(130)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하고, 사용자는 식별자가 '01'인 통신 단말기에서 식별자가 '03'인 통신 단말기로 통신 단말기를 교체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예에서, 교체 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인 '01'이 고유 식별자 정보로 고유 식별자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식별자는 교체 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인 '03'일 것이다.
제어부(160)는 양자('01' 및 '03')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므로, '01'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A에 포함된 서비스 중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 중 '03'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C에 포함된 서비스인 투폰 서비스 및 VOD 서비스를 제외한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예에 따르면,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는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가 지원 불가능하므로 교체 전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되던 서비스 중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만 비활성화하면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의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갱신(update)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통신 단말기가 교체된 경우 교체된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를 고유 식별자 정보로 관리함으로써, 추후에 다시 통신 단말기 교체 시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목록 독출부(120), 식별자 독출부(140) 및 제어부(160)가 서비스 관리 서버(100)의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고 하나의 회로에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 (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단계 S210)한다.
이 때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방법은 3GPP 국제표준상의 네트웍에서 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식별자(IMEI 및 IMEISV) 요청 메시지 및 식별자 보고 메시지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본 WCDMA망에서의 식별자 요청/송신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이다.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서 수신되는 식별자는 IMEISV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MEISV 중 SV 필드에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3GPP 규격상에 SV 필드는 2 digit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의 버전을 관리한다는 내용만 언급되어 있을 뿐 현재 사용하지는 않으므로, SV 필드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단계 S210에서 식별자가 IMEISV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IMEISV 중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독출(단계 S220)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과 같이, 식별자는 '01', '02', '03', '04'의 4개가, 서비스 그룹은 A, B, C, D의 4개가 있으며 각 식별자는 각 서비스 그룹에 상응(('01'과 A), ('02'와 B), ('03'과 C), ('04'와 D))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서비스 그룹 A에는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의 4가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고, 서비스 그룹 B에는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의 3가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며, 서비스 그룹 C에는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의 2가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고, 서비스 그룹 D에는 투폰 서비스의 1가지 서비스 목록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상기 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자 '01'과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A에 포함된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의 4가지 서비스 목록을 독출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04'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자 '04'와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 D에 포함된 투폰 서비스의 1가지 서비스 목록만을 독출한다.
이후 단계 S220에서 독출된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과정(단계 S230)이 수행된다.
상기 예에서 '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투폰 서비스, VOD 서비스, MP3 서비스 및 프리존 서비스를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들을 언제나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목록을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별로 미리 저장하여 두고, 식별자를 수신할 때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을 활성화하는 경우 보다 수월하게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단계 S210)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서 수신되는 식별자는 IMEISV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MEISV 중 SV 필드에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3GPP 규격상에 SV 필드는 2 digit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의 버전을 관리한다는 내용만 언급되어 있을 뿐 현재 사용하지는 않으므로, SV 필드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음은 도 2에서 설명하였다.
도 3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단계 S210에서 식별자가 IMEISV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IMEISV 중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통신 단말기의 서비 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단계 S210 이후에 수신된 식별자와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단계 S215)을 수행한다.
고유 식별자 정보는 특정 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식별자에 대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가 교체된 경우 교체 전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단계 S215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00)의 판단 결과 수신된 식별자와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는 통신 단말기가 교체되지 아니하였거나, 교체되었더라도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와 교체 전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가 동일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경우 과정은 종료된다.
반면에 단계 S215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00)의 판단 결과 수신된 식별자와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21로 진행하여 활성 서비스 목록을 독출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 서비스 목록은 교체 전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되지 않았으나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의미한다.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의 목록을 독출함으로써 비활성 서비스 목록을 독출할 수 있다.
이후 비활성 서비스 목록을 독출하는 과정(단계 S223)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활성 서비스 목록은 교체 전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 가능하였으나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의 목록을 의미한다.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수신된 식별 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의 목록을 독출함으로써 비활성 서비스 목록을 독출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235로 진행하여 활성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활성화시키고, 비활성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3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단계 S235 이후에 고유 식별자 정보를 수신된 식별자로 갱신(update)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통신 단말기가 교체된 경우 교체된 통신 단말기의 식별자를 고유 식별자 정보로 관리함으로써, 추후에 다시 통신 단말기 교체 시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전체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교체 전 통신 단말기와 교체 후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서비스의 차이만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으므로 더 적은 노력으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EISV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IMEISV(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and Software Version Number)는 IMEI에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추가한 것을 의미한다.
IMEISV는 6 digits의 길이를 갖는 형식 승인 코드(TAC : Type Approval Code), 2 digits의 길이를 갖는 최종 조합 코드(FAC : Final Assembly Code), 6 digits의 길이를 갖는 일련 번호(SNR : Serial Number) 및 2 digits의 길이를 갖는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SVN : Software Version Number)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형식 승인 코드, 최종 조합 코드, 일련 번호는 고유한 값으로서, 모든 통신 단말기마다 각기 다른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보고 통신 단말기를 구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SVN)는 줄여서 SV라 불리우기도 한다.
통신 단말기의 SV는 소프트웨어 버전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TAC, FAC 및 SNR의 값은 특정한 루트를 통하지 않고서는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보호되는 반면에 IMEISV의 SV 필드는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SV 필드는 2digits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자를 SV 필드에 포함시키는 경우 추가적인 공간 없이도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 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EISV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16)

  1. 서비스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의 목록을 활성 서비스 목록으로 독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독출된 활성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IMEISV(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and Software Version Number)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MEISV에 포함된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IMEISV 중 SV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상기 수신된 서비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의 목록을 비활성 서비스 목록으로 독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비활성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신된 식별자로 갱신(updat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8.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의 목록을 활성 서비스 목록으로 독출하는 서비스 목록 독출부; 및
    상기 독출된 활성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목록을 상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별로 저장하는 서비스 목록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IMEISV(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and Software Version Number)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MEISV에 포함된 식별자를 독출하는 식별자 독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독출부는,
    상기 IMEISV 중 SV 필드에서 상기 식별자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저장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4. 삭제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식별자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 중 상기 수신된 서비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그룹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의 목록을 비활성 서비스 목록으로 독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독출된 비활성 서비스 목록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신된 식별자로 갱신(update)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
KR1020080076189A 2008-08-04 2008-08-04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KR10096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89A KR100968962B1 (ko) 2008-08-04 2008-08-04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89A KR100968962B1 (ko) 2008-08-04 2008-08-04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35A KR20100015235A (ko) 2010-02-12
KR100968962B1 true KR100968962B1 (ko) 2010-07-14

Family

ID=4208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89A KR100968962B1 (ko) 2008-08-04 2008-08-04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047A (ko) * 1999-08-24 2001-03-1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서비스 상태정보 제공방법
KR20070069647A (ko) *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서비스 정보 제공이 가능한 망 연동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0885279B1 (ko) 2007-12-07 2009-02-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가능 서비스 판단 방법및 시스템
KR100885280B1 (ko) 2007-12-07 2009-02-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여부 판단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047A (ko) * 1999-08-24 2001-03-1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서비스 상태정보 제공방법
KR20070069647A (ko) *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서비스 정보 제공이 가능한 망 연동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0885279B1 (ko) 2007-12-07 2009-02-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가능 서비스 판단 방법및 시스템
KR100885280B1 (ko) 2007-12-07 2009-02-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여부 판단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35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3259B2 (en) Method for updating an application program on a wireless terminal in a controlled manner
US7127570B2 (en) Proximity communication system, proximity communication method, data managing apparatus and data management method,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CN103167465B (zh) 一种嵌入式uicc卡激活处理方法和装置
CN102422658B (zh) 用于用多个服务帐户编程移动装置的方法和设备
US8463258B2 (en) Extended wireless device activation
CN102868998A (zh) 物联网业务访问方法和装置
CN103024782A (zh) 一种基站软件版本管理的方法和系统
CN100403263C (zh) 按配置下载设备软件的方法
US201201025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Card Migration
CN109445902B (zh) 一种数据操作方法和系统
CN105228123A (zh) 移动终端用户在漫游地进行通信业务的方法和系统
CN105095313A (zh) 一种数据访问方法和设备
CN107295503A (zh) 确定移动终端接入方式的方法、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1425930B (zh) 一种确定单板运行软件的方法和设备
CN101330500A (zh) 在设备管理中访问权限的控制方法
CN107105399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服务器、网元
KR100968962B1 (ko)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CN114374965A (zh) 一种用户签约数据处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731881A (zh) 对移动终端进行主动查询维护的方法
CN101706928A (zh) 产品信息的认证方法和系统及控制平台
CN101877071A (zh) 一种数据更新方法、装置及系统
CN113422644B (zh) 一种告警处理方法、装置、设备、系统和存储介质
JP7034355B2 (ja) 通信設定方法、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EA018217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оумингом мобиль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102651877B (zh) 一种多模设备数据管理方法及多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