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881B1 -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881B1
KR100968881B1 KR1020070140658A KR20070140658A KR100968881B1 KR 100968881 B1 KR100968881 B1 KR 100968881B1 KR 1020070140658 A KR1020070140658 A KR 1020070140658A KR 20070140658 A KR20070140658 A KR 20070140658A KR 100968881 B1 KR100968881 B1 KR 10096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ste
waste soil
mixing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522A (ko
Inventor
조영모
Original Assignee
청록환경자원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록환경자원 (주) filed Critical 청록환경자원 (주)
Priority to KR102007014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이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토사와 정수장 등의 바닥에 침적된 친수성이 매우 큰 미립상의 오니를 처리하여 토지개발을 위한 성토재나 복토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화재공급부와; 오니 폐토사공급부와; 상기 오니 폐토사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 및 폐토사와 상기 고화재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고화재를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혼합하고 파쇄하는 파쇄혼합날이 내부에 설치된 함체를 포함하는 파쇄혼합부와; 배출부로 구성된 것이다.
고화재공급부, 오니폐토사공급부, 파쇄혼합부, 파쇄혼합날, 배출부

Description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Waste Recycling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건설현장이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토사와 정수장 등의 바닥에 침적된 친수성이 매우 큰 미립상의 오니를 처리하여 토지개발을 위한 성토재나 복토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니(汚泥)는 하수처리 또는 정수(淨水)과정에서 생긴 침전물로서 슬러지라고도 하며, 특히 하수오니는 약 50%의 유기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함수율도 최초 침전오니의 96∼98%에서 활성오니의 99∼99.5%로 높기 때문에 처리하기 어렵다.
친수성이 매우 큰 미립상의 오니는 함수율이 높은 상태에서 특이한 점성 및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악취를 풍겨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각종 오니를 경화, 안정화하여 폐기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환경을 정화하기 위한 여러가지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발생되는 오니의 량은 날로 발달하는 산업발전에 따라 늘어나고 있는 실정으로써 재활용을 위한 다각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지금까지는 혐기처리(嫌氣處理)에 의해 오니를 안정화한 후 탈수하여 대부분 그대로 매립하는 방법으로 처분하였다.
일반적으로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의 처리장치로는 필터프레스나 벨트프레스 등이 사용하여 탈수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시설 규모가 매우 크게 설치되고 있으나, 그 시설규모에 비하여 처리되는 슬러지의 처리량이 소량이어서 경제적이지 못하며, 이렇게 탈수 처리되어지는 슬러지케이크의 수분함량이 많아 그대로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슬러지케이크를 보다 효용성이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건설현장이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토사를 그대로 활용하는 경우 성토재나 복토재로 활용하기에 문제가 있다.
건폐법 시행령의 건설폐기물의 처리기준에 따른 매립기준에 의하면 매립되는 건설폐기물로 인하여 매립층 안에 공간이 생길 수 있는 건설폐재류는 매립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최대지름이 50센티미터 이하의 크기로, 소각이 곤란한 폐합성수지 등은 최대직경이 15센티미터 이하의 크기로 파쇄/절단 또는 용융한 후 매립하여야 하며, 건설오니의 경우 탈수/건조 등에 의하여 수분함량 85%이하로 사전처리를 한 후에 매립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규격이 균일하지 않은 폐토사와 함수율이 높은 오니를 각각 별도로 처리함으로 인하여 처리기준에 부합하거나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이 연약하여 운반처리 장비 등의 진입이 어렵고, 토지의 활용에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현장이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토사와 함수율이 매우 큰 오니를 동시에 상호 혼합 처리하여 간척지나 골프장 등 토지개발을 위한 성토재 또는 복토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은 고화재를 저장 공급하는 고화재사일로와 상기 고화재사일로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일정량씩 분배 이송하여 파쇄혼합부에 공급하는 고화재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고화재공급부와; 오니와 폐토사를 투입하는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와 폐토사를 연속적으로 상승 이동시켜 파쇄혼합부의 상부에 공급하는 오니 폐토사 이송콘베이어를 포함하는 오니 폐토사공급부와; 상기 오니 폐토사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 및 폐토사와 상기 고화재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고화재를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혼합하고 파쇄하는 파쇄혼합날이 내부에 설치된 함체를 포함하는 파쇄혼합부와; 상기 파쇄혼합부의 함체 하단부에 설치되어 가공된 오니 폐토사를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스크류와 배출구 및 배출된 오니 폐토사를 연속 이송하여 출하하도록 하는 출하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배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화재공급부는 상부에 집진기가 구비되어 있고, 하 단의 호퍼에 연결되어 고화재를 파쇄혼합부의 중앙부에 낙하시키도록 상기 파쇄혼합부의 함체내부에 연장 설치된 연장관을 포함하는 고화재이송스크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쇄혼합부는 혼합파쇄날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스프로켓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파쇄혼합날과; 상기 파쇄혼합날의 하단부 일측이 차단판에 의해 막혀있고, 타측에는 파쇄 혼합된 오니 폐토사가 선별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린망에 의해 하부의 배출부와 경계를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쇄혼합부는 함체의 내측 상부에 폐토사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을 분사 공급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함체의 하단부는 경사판에 의해 오니,고화재, 폐토사가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쇄혼합부의 파쇄혼합날은 "ㄱ"자 형 칼날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함수량이 많은 오니와 규격이 불균일한 폐토사를 동시에 혼합 파쇄하여 연속적으로 가공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처리작업 및 가공된 오니 폐토사를 성토재 또는 복토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환경보호 및 폐기물 재활용을 동시에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를 보인 처리시스템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장치부 정면도이며, 도 3는 도 2의 평면상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은 고화재를 공급하는 고화재공급부(10)와 오니 폐토사공급부(20)와 파쇄혼합부(30) 및 처리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고화재공급부(10)는 고화재를 저장 공급하는 고화재사일로(11)와 상기 고화재사일로(1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일정량씩 분배 이송하여 파쇄혼합부(30)에 공급하는 고화재이송스크류(14)를 포함한다.
오니 폐토사공급부(20)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와 폐토사를 동시에 투입하는 투입호퍼(21)와 상기 투입호퍼(21)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와 폐토사를 연속적으로 상승 이동시켜 파쇄혼합부(30)의 상부에 공급하는 오니 폐토사 이송콘베이어(22)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혼합부(30)는 상기 오니 폐토사공급부(20)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 및 폐토사와 상기 고화재공급부(10)로 부터 공급되는 고화재를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혼합하고 파쇄하는 파쇄혼합날(32)이 내부에 설치된 함체(31)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40)는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함체(31) 하단부에 설치되어 가공된 오니 폐토사를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스크류(41)와 배출구(42) 및 배출된 오니 폐토사를 연속 이송하여 출하하도록 하는 출하컨베이어(43)를 포함한다.
상기 고화재공급부(10)는 상부에 집진기(12)가 구비되어 있고, 하단의 호퍼(13)에 연결되어 고화재를 파쇄혼합부(30)의 중앙부에 낙하시키도록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함체(31)내부에 연장 설치된 연장관(15)을 포함하는 고화재이송스크류(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쇄혼합부(30)는 혼합파쇄날구동모터(33)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35)과 스프로켓(36)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파쇄혼합날(32)와; 상기 파쇄혼합날(32)의 하단부 일측이 차단판(37)에 의해 막혀있고, 타측에는 파쇄 혼합된 오니 폐토사가 선별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린망(38)에 의해 하부의 배출부(40)와 경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쇄혼합부(30)는 함체(31)의 내측에서 폐토사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을 분사 공급하는 상부에 다수의 분사노즐(5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함체(31)의 하단부는 경사판(39)에 의해 오니,고화재, 폐토사가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하여 폐토사가 완전하게 파쇄되도록 함과 아울러 오니 및 고화재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파쇄혼합날(32)은 "ㄱ"자 형 칼날부로 형성되어 파쇄기능과 혼합기능이 배가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처리하고자 하는 오니와 폐토사를 오니 폐토사공급부(20)의 투입호퍼(21)에 동시에 투입하면 오니와 폐토사는 오니 폐토사 이송콘베이어(22)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상승 이동하여 파쇄혼합부(30)의 상부에 공급된다.
동시에 상기 고화재공급부(10)는 고화재사일로(11)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고화재가 상기 고화재사일로(11)의 하단부에 설치된 고화재이송스크류(14)에 의하여 일정량씩 분배 이송하여 파쇄혼합부(30)의 함체(31) 내부에 공급된다.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합체(31) 내부에 투입된 오니와 폐토사 및 고화재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파쇄혼합날(32)에 의해 연속적으로 혼합하고 파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골고루 혼합되게 된다.
상기 고화재공급부(10)의 고화재이송스크류(14)는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함체(31) 내부에 연장 설치되어 고화재를 함체(31)의 중앙부에 낙하시켜 오니와 폐토사에 골고루 혼합 처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파쇄혼합부(30)의 내부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파쇄혼합날(32)에 의하여 폐토사의 덩어리 등이 잘게 파쇄됨과 동시에 골고루 혼합되는 것이다.
상기 파쇄혼합부(30)에서 처리된 오니와 폐토사는 일측 차단판(37) 부위에서는 배출되지 않고 타측 스크린망(38)을 통하여 일정 규격 이하로 파쇄되어 혼합된 폐토사와 오니가 선별되어 배출되어 배출부(40)의 배출스크류(41)에 낙하된다.
상기 배출스크류(41)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된 처리물은 배출구(42)를 통하여 출하컨베이어(43)에 옮겨지며 트럭이나 기타 운반체에 담겨져 복토나 성토지로 옮 겨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함체(3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다수의 분사노즐(50)은 수분을 공급하여 폐토사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파쇄혼합부(30)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ㄱ"자 형 칼날부를 갖는 파쇄혼합날(32)은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구비되어 매우 고르게 폐토사를 파쇄하게 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토사 및 오니를 재처리하여 성토재나 복토재로 활용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날로 증가하는 산업 폐기물을 재처리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를 보인 처리시스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장치부 정면도.
도 3는 도 2의 평면상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화재공급부 11: 고화재사일로
12: 집진기 13: 호퍼
14: 고화재이송스크류 15: 연장관
20: 오니 폐토사공급부 21: 오니 폐토사투입호퍼
22: 오니 폐토사이송컨베이어 23: 컨베이어 구동모터
30: 파쇄혼합부 31: 함체
32: 파쇄혼합날 33: 파쇄혼합날구동모터
35: 체인 36: 스프로켓
37: 차단판 38: 스크린망
39: 경사판 40: 배출부
41: 배출스크류 42: 배출구
43: 출하컨베이어 50: 분사노즐

Claims (5)

  1. 고화재를 저장 공급하는 고화재사일로(11)와 상기 고화재사일로(11)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집진기(12)가 구비되어 있고, 하단의 호퍼(13)에 연결되어 고화재를 일정량씩 분배 이송하여 파쇄혼합부(30)의 중앙부에 낙하시키도록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함체(31)내부에 연장 설치된 연장관(15)을 구비한 고화재이송스크류(14)를 포함하는 고화재공급부(10)와;
    오니와 폐토사를 투입하는 투입호퍼(21)와 상기 투입호퍼(21)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와 폐토사를 연속적으로 상승 이동시켜 파쇄혼합부(30)의 상부에 공급하는 오니 폐토사 이송콘베이어(22)를 포함하는 오니 폐토사공급부(20)와;
    상기 오니 폐토사공급부(20)로 부터 공급되는 오니 및 폐토사와 상기 고화재공급부(10)로 부터 공급되는 고화재를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혼합하고 파쇄하도록 혼합파쇄날구동모터(33)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35)과 스프로켓(36)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며, "ㄱ"자 형 칼날부로 형성된 다수의 파쇄혼합날(32)이 내부에 설치된 함체(31)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혼합날(32)의 하단부 일측이 차단판(37)에 의해 막혀있고, 타측에는 파쇄 혼합된 오니 폐토사가 선별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린망(38)에 의해 하부의 배출부(40)와 경계를 이루도록 한 파쇄혼합부(30)와;
    상기 파쇄혼합부(30)의 함체(31) 하단부에 설치되어 가공된 오니 폐토사를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스크류(41)와 배출구(42) 및 배출된 오니 폐토사를 연속 이송하여 출하하도록 하는 출하컨베이어(43)를 포함하는 배출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혼합부(30)는
    함체(31)의 내측 상부에 폐토사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을 분사 공급하는 다수의 분사노즐(50)이 구비되고,
    상기 함체(31)의 하단부는 경사판(39)에 의해 오니,고화재, 폐토사가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5. 삭제
KR1020070140658A 2007-12-28 2007-12-28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096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58A KR100968881B1 (ko) 2007-12-28 2007-12-28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58A KR100968881B1 (ko) 2007-12-28 2007-12-28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522A KR20090072522A (ko) 2009-07-02
KR100968881B1 true KR100968881B1 (ko) 2010-07-09

Family

ID=4132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658A KR100968881B1 (ko) 2007-12-28 2007-12-28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69B1 (ko) 2011-01-05 2011-05-12 장대식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KR200462418Y1 (ko) 2012-03-16 2012-09-10 진정곤 소화 슬러지, 복합양생저장 시스템
KR101567759B1 (ko) * 2014-09-05 2015-11-11 조성인 유기성 또는 무기성 오니의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58B1 (ko) * 2010-01-06 2013-03-25 주식회사 코스코 친환경 이동식 준설퇴적토의 고화처리장치 및 방법
CN117161056A (zh) * 2023-09-23 2023-12-05 国能浙江北仑第一发电有限公司 一种固化土系统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718A (ja) * 1994-04-27 1995-11-07 Sumiyoshi Heavy Ind Co Ltd 建設汚泥の処理装置
JPH10244297A (ja) 1997-03-03 1998-09-14 Nippon Kosan Kk 建設汚泥の再生処理方法
JP2002263698A (ja) 2001-03-06 2002-09-17 Kochi Recycle Center:Kk 細粒廃棄物を有価物にする方法
JP2007029777A (ja) 2005-07-22 2007-02-08 Sumiyoshi Heavy Ind Co Ltd 建設汚泥等の破砕混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718A (ja) * 1994-04-27 1995-11-07 Sumiyoshi Heavy Ind Co Ltd 建設汚泥の処理装置
JPH10244297A (ja) 1997-03-03 1998-09-14 Nippon Kosan Kk 建設汚泥の再生処理方法
JP2002263698A (ja) 2001-03-06 2002-09-17 Kochi Recycle Center:Kk 細粒廃棄物を有価物にする方法
JP2007029777A (ja) 2005-07-22 2007-02-08 Sumiyoshi Heavy Ind Co Ltd 建設汚泥等の破砕混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69B1 (ko) 2011-01-05 2011-05-12 장대식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KR200462418Y1 (ko) 2012-03-16 2012-09-10 진정곤 소화 슬러지, 복합양생저장 시스템
KR101567759B1 (ko) * 2014-09-05 2015-11-11 조성인 유기성 또는 무기성 오니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522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881B1 (ko) 폐기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EP23466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material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EP223383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staubförmigen und/oder flüssig/pastösen Abfallstoffen sowie Herstellung eines Mischbrennstoffes
CN110560476A (zh) 一种土壤治理预处理装置
US201402031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echanical or Mechanical-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CN111001473A (zh) 一种节能环保的生活垃圾处理装置
US20200070178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wet aggregate material
KR100725842B1 (ko)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처리방법 및그 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CN105408262A (zh) 用于处理淤渣、尤其港口淤渣的方法和设备
KR100421812B1 (ko) 이물질 분류기
KR100919276B1 (ko) 오염토양 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2208394B1 (ko) 굴삭기 버킷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JP5110699B2 (ja) 可燃性廃棄物の燃料化システム及び燃料化方法
CN110918637B (zh) 一种修复土壤用搅拌混合系统及工艺
KR100739427B1 (ko)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스템
CN110238115B (zh) 油泥清洗机
JP3680123B2 (ja) 細粒化再生処理装置
EP01047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liquid and semi-solid organic waste materials
KR101634556B1 (ko) 교반효율을 높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운반차
JP3778689B2 (ja) 埋立廃棄物の処分方法
KR20110102017A (ko) 발효물 퇴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