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840B1 -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 Google Patents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840B1
KR100968840B1 KR1020080056112A KR20080056112A KR100968840B1 KR 100968840 B1 KR100968840 B1 KR 100968840B1 KR 1020080056112 A KR1020080056112 A KR 1020080056112A KR 20080056112 A KR20080056112 A KR 20080056112A KR 100968840 B1 KR100968840 B1 KR 10096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traction
lower support
waist
cross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457A (ko
Inventor
유진곤
Original Assignee
유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곤 filed Critical 유진곤
Priority to KR102008005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4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나요법을 겸비하여 자동으로 신체를 굴곡 및 견인시켜주는 추나 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체지지판(4)과 하체지지판(6)으로 구성되는 침상(2); 베이스프레임(12); 하체지지판 기동부(14)를 포함하는 견인치료기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허리부위를 상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가압부(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허리가압부(32)는 상기 침상(2)의 측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세로대(34); 상기 세로대(34)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침상(2)을 가로지르게끔 연장되는 가로대(36); 상기 가로대(36)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랫방향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가압구(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56112
견인, 굴곡, 추나, 척추, 허리, 디스크, 요통, 물리치료, 지압

Description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Auto flexion-traction apparatus with massage therapy function}
본 발명은 물리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척추측만증 등 각종 척추질환이나 허리 또는 등(요배부(腰背部))의 근육경직을 치료하기 위하여 추나요법을 겸비하여 자동으로 상체를 회전시키거나 요배부를 굴곡 및 견인시켜주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견인치료는 추골과 추골사이를 늘림으로써 주로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관협착증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나는 신경근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하지의 신경자극증상을 완화시키는 보존적 치료법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유용한 견인치료는 일반적으로 피시술자가 베드에 바로 누워서 늑골부분과 골반부분을 고정하여 시행하는 고전적인 견인(traction)의 방법과 피시술자가 베드에 엎드려 있는 상태로 하지를 하강시킴으로써 요추부를 굴곡-견인(flexion-distraction)시키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20-1995-0000803호, 제20-2000-0026515호는 각각 견인 치료기와 척추 견인기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들만의 목적에 맞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현대의학의 척추교정요법(카이로프랙틱)의 주요한 기법 중 하나로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한 작용은 굴곡-견인시 추간판내의 음압을 형성하여 추간판 탈출이 줄어들어 디스크 치료에 효과적이고 척추관 협착이 완화된다. 또한 고전적 견인요법보다는 요배부의 근육경직을 완화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의 방법이 시술자에 의해 시행되는 도수견인(manual traction)과 사용용도에 맞게 제작된 견인침대를 이용한 자동견인(auto traction)으로도 구분될 수 있다. 도수견인(manual traction)은 시술자가 기법에 숙련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시술시 피시술자의 곁에서 시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육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자동견인 장비들은 각각의 견인기능을 수행하나 특히 굴곡-견인치료시 하체를 받치는 받침판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못하고 무엇보다도 시술자의 손을 대신하여 피시술자의 요배부를 지압 고정하는 장치가 따로 없었기 때문에 수기로 하는 도수견인치료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견인치료 중 굴곡-견인(flexion-distraction)의 방법을 시행하되 시술자에 의해 시행되는 도수견인(manual traction)의 장점과 자동으로 시행하는 자동견인(auto traction) 물리치료기의 장점을 접목한 새로운 방식의 자동 추나 견인치료기 내지 디스크 치료에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자동으로 굴곡-견인을 시행하되 이와 동시에 피시술자의 요배부의 특정부위를 지압-고정하는 시술자의 손동작을 대체할 수 있는 추나요법 기능을 가지는 견인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자의 손동작을 대체하는 가압구의 용수철장치로 인해 굴곡되는 각에 따라 증가되는 지압력을 발휘하고 또한 흡착기구의 모양으로 요배부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견인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곡-견인 치료시 피시술자의 하체가 굴곡되는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허리를 견인하는 강도와 요배부를 지압-고정하는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견인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체 받침판의 회전 자유도를 늘림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물리치료를 할 수 있게 하는 견인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피시술자의 상체 및 하체를 각각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체지지판과 하체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침상; 상기 침상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프레임; 상기 침상에 누워있는 피시술자의 허리를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하체지지판을 상기 상체지지판과의 경계선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힌지방식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하체지지판 기동부를 포함하는 견인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침상에 엎드린 피시술자의 허리부위를 상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가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허리가압부는 상기 침상의 측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세로대; 상기 세로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침상을 가로지르게끔 연장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랫방향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허리가압부는 상기 가압구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세로대에 대하여 상기 가로대를 상하방향으로 기동되도록 하고; 상기 하체지지판의 기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피시술자의 허리부위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체지지판과 상기 가로대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체지지판의 하단부에는 피시술자의 허리에 적당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중량체(예를 들어 모래주머니)를 사용 하는 발목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체지지판이 상기 침상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침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체지지판을 회전 기동시키기 위한 상체지지판 기동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로대는 상기 침상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 세로대는 제1 세로대와 제2 세로대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2 세로대는 상기 가로대의 상부에 설치된 체결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노브에는 기다란 체결볼트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제2 세로대 상면에 마련되는 너트공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압구는; 가압봉 본체와 상기 가압봉 본체가 끼워지는 원통형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가압봉; 상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가압봉 본체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2 코일스프링; 상하방향으로 기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부에 끼워져 상기 제2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 치료에 큰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요배부를 굴곡-견인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더불어 동시에 추나요법을 시행할 수 있는 견인치료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피시술자의 하체가 굴곡-하강하는 각도에 따라 시술자의 손동작을 대신하는 가압구의 지압력이 증대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추나요법 중 지압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가압구를 병변이 있는 특정 척추분절에 위치함으로써 굴곡-견인시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등 하지의 신경자극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가압구를 요배부의 경직된 특정 근육에 위치하면서 굴곡-견인을 시행함으로써 병변이 있는 근육만을 선택적으로 이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체지지판이 제 2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근육이완을 도와주는 등 치료형태를 다양화시키고 그 효과를 증대시킨다. 이상의 모든 기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하여 시술자의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허리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의 측면도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 5는 가압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허리가압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매트리스와 같은 침상(2)은 피시술자가 누울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쿠션 소재로 되어 있다. 침상(2)은 피시술자의 상체 및 하체를 각각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체지지판(4)과 하체지지판(6)으로 구성된다. 상체지지판(4)과 하체지지판(6)은 상체프레임(8)과 하체프레임(10)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일체형으로 될 수도 있고 분리형이되 인접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체지지판(4)과 하체지지판(6)은 작용상의 구분일 뿐이며, 그의 소재로 라텍스 또는 스펀지와 같은 가요(可撓)성 소재가 사용될 경우에는 물리적으로는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체지지판(4)은 두부(頭部)를 지지하기 위한 두부지지판(4a)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하체지지판(6)은 발을 지지하기 위한 발판(6a)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침상(2)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2)이 사용된다. 베이스프레임(12)을 통해 후술되는 각종의 장치가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2)에 바퀴(미도시됨)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침상에 누워있는 피시술자의 허리를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하체지지판(6)을 상체지지판과의 경계선에 평행한 제1 축(X1, 도 1 참조)을 중심으로 힌지방식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하체지지판 기동부(14)가 제공된다. 하체지지판 기동부(14)의 기본적인 작용방식은 종래의 것과 다름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하체지지판(6)을 기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체지지판(6)의 세부적 구성의 이동(異同)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이하 설명되는 하체지지판 기동부(14)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중 하나이다.
베이스프레임(12)의 바닥판(16) 위에 하체지지판(6)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이 변환수단으로서의 전동실린더(20)가 고정 설치된다. 전동실린더(20)는 양방향 회전 가능한 제1 구동모터(24)가 일단에 일체형으로 부착된다. 저면에 바퀴(26)가 달린 제1 이동블럭(28)은 전동실린더(20)의 피스톤(22)에 결합되어 직선운동을 겪게 된다. 링크부재(30)가 제1 이동블럭(28)과 하체지지판(6)의 하체프레임(10) 사이에 각각 힌지 연결된다. 제1 이동블럭(28)의 직선운동은 링크부재(30)로 하여금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하게 하여 하체지지판(6)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한다. 언급한 것처럼 하체지지판(6)은 제1 축(X1, 도 1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기동하며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진다.
제1 이동블럭(28)과 베이스프레임(12) 사이에는 하체지지판(6)을 탄성력으로써 들어올리려는 작용을 위해 인장스프링(31)과 같은 탄성복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은 이하 설명되는 허리가압부(32)에 있다.
허리가압부(32)는 침상에 엎드린 피시술자의 허리부위를 상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대략 원형 파이프 형태를 가지는 세로대(34)는 침상(2)의 측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프레임(12)에 설치되며 힘의 균형을 위해 침상(2)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다. 각파이프 형태의 가로대(36)는 세로대(34)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압구(38)가 아랫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가로대(36)의 길이방향을 따라 1 개 이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3개의 가압구(38)가 가로대(36) 상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3개의 가압구(38)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압구(38)는 봉 형상의 가압봉(40)과 가압봉(40)의 선단에 결합되는 가압판(42)으로 구성된다. 가압판(42)은 손바닥 또는 흡착판과 유사한 형태의 실리콘 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판의 바닥면(42a)은 움푹 패여 있다(도 5 참조). 가압판(42)에는 온열찜질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공지의 발열수단(미도시됨)이 내재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나아가 공지의 진동발생기 또는 저주파 발생기가 더욱 부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압구(38)는 시술자의 선택에 의해 피시술자의 허리부를 누르고 있는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가압구(38)는 기본적으로 수동으로 그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당업자는 가압구(38)로 하여금 가로대(36)를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가압봉(40)으로 하여금 가로대(36)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나사식으로 가로대(36)에 결합되는 각각의 조절노브(46)를 마련함으로써 가능하다. 조절노브(46)의 선단은 가압봉(40)을 가압하여 가압구(38)의 높이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허리가압부(32)는 상기 가압구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가압력조절수단은 적어도 가로대(36)를 상하방향으로 기동되도록 하고, 하체 지지판(6)의 기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피시술자의 허리부위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체지지판(6)과 가로대(36)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하,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로대(34)는 직립 고정되는 원통파이프(48); 원통파이프(48) 내부에서 탄성수단인 제1 코일스프링(50)에 의해 상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유동봉(52)으로 구성된다. 하체지지판(6)의 저부에 설치되는 하체프레임(10)은 베이스프레임(12)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힌지점(H1)을 기준으로 시소운동할 수 있게끔 설치된다. 와이어(54)는 일단은 하체프레임(10)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세로대(34),특히 유동봉(52)의 하단에 연결됨으로써 가로대(36)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와이어(54)는 원통파이프(48)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롤러(56)를 거침으로써 변곡된 상태가 된다. 하체지지판(6)이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제1 힌지점(H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코일스프링(50)을 누르면서 유동봉(52)을 하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하체지지판(6)이 원상복귀하게 되면 유동봉(52)은 탄성적으로 상방향을 향해 복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구(38)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언급된 것처럼 가압구(38)는 가압봉(40)과 가압판(42)을 포함한다. 가압판(42)은 도시된 것처럼 제2 코일스프링(58)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봉(40)은 가압봉 본체(60)와 가압봉 본체(60)가 끼워지는 원통형 하우징(62)으로 구성된다. 제2 코일스프링(58)의 상단은 하우징(62)에 지지되고 하단은 가압봉 본체(60)의 상단에 지지된다. 또한, 지압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가압판(42)이 가압봉(40)에 대하여 360°회전 자재하도록 조인트(63)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로써 가압판(63)은 도면상 우측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기동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체지지판(6)의 하단부에는 피시술자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발목고정수단(64)이 설치된다. 발목고정수단(64)은 모래주머니와 같은 중량체가 사용되며 벨크로가 부착된 밴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체지지판(4)이 침상(2)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며 침상(2)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축(X2, 도 1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체지지판(4)을 회전 기동시키기 위한 상체지지판 기동부(66)가 베이스프레임(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는 도 3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체지지판(4)은 제2 축(X2)을 중심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요동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는 피시술자의 허리를 좌우로 비트는 효과를 부여한다. 상체지지판(4)은 베이스프레임(12)에 설치되는 제2 힌지점(H2)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체지지판(4)을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실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구동모터(68)와 제2 구동모터(6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나사봉(70)이 사용된다. 나사봉(70)은 베이스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봉(70)을 따라 제2 이동블럭(71)이 상하방향으로 기동된다. 작동봉(72)의 하단은 제2 이동블럭(71)에 힌지 연결되고 상단은 상체프레임(8)에 힌지 연결된다.
도 1에 따르면 가로대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으로부터 비켜설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은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된 허리가압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피시술자의 편이를 위한 것으로서, 피시술자가 침상(2)에 오를 때 가로대(36)를 침상(2)의 상부로부터 일시적으로 제쳐놓기 위한 것이다. 세로대(34)는 침상(2)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다. 그중 일측 세로대(34')는 제1 세로대(74)와 제2 세로대(76)로 분리되어 있고, 제1,2 세로대(74,76)는 가로대(36)의 상부에 설치된 체결노브(78)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체결노브(78)에는 기다란 체결볼트(80)가 일체로 연결되며, 이 체결볼트(80)는 제2 세로대 상면에 마련되는 너트공(8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체결볼트(80)와 너트공(82)의 손쉬운 결합을 위해 제2 세로대(76)의 측면에는 반원통 형태의 받침편(84)이 제2 세로대(76)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허리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의 측면도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 5는 가압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허리가압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침상 4 ; 상체지지판
6 ; 하체지지판 12 ; 베이스프레임
14 ; 하체지지판 기동부 20 ; 전동실린더
24 ; 제1 구동모터 28 ; 제1 이동블럭
30 ; 링크부재 32 ; 허리가압부
34(34') ; 세로대 36 ; 가로대
38 ; 가압구 42 ; 가압판
54 ; 와이어 64 ; 발목고정수단
66 ; 상체지지판 기동부 68 ; 제2 구동모터
70 ; 나사봉 71 ; 제2 이동블럭
72 ; 작동봉

Claims (8)

  1. 피시술자의 상체 및 하체를 각각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체지지판(4)과 하체지지판(6)으로 구성되는 침상(2), 상기 침상(2)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프레임(12), 상기 침상(2)에 누워있는 피시술자의 허리를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하체지지판(6)을 상기 상체지지판과(4)의 경계선에 평행한 제1 축(X1)을 중심으로 힌지방식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하체지지판 기동부(14)를 포함하는 견인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침상(2)에 누운 피시술자의 허리부위를 상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가압부(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허리가압부(32)는
    상기 침상(2)의 측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세로대(34),
    상기 세로대(34)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침상(2)을 가로지르게끔 연장되는 가로대(36),
    상기 가로대(36)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래 방향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가압구(38),
    상기 세로대(34)에 대하여 상기 가로대(36)를 상하방향으로 기동되도록 하고, 상기 하체지지판(6)의 기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피시술자의 허리부위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체지지판(6)과 상기 가로대(36)가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가압구(38)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력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지지판(6)과 가로대(36)는,
    일단은 상기 하체지지판(6)을 지지하는 하체프레임(10)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56)를 거쳐 상기 가로대(36)에 연결되는 와이어(54)에 의해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지지판(6)의 하단부에는 발목고정수단(6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고정수단(64)은 모래주머니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판(4)이 상기 침상(2)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침상(2)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축(X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체지지판(4)을 회전 기동시키기 위한 상체지지판 기동부(66)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34)는 상기 침상(2)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 며; 일측 세로대(34')는 제1 세로대(74)와 제2 세로대(76)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2 세로대(74,76)는 상기 가로대(36)의 상부에 설치된 체결노브(78)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노브(78)에는 기다란 체결볼트(80)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체결볼트(80)는 상기 제2 세로대(76) 상면에 마련되는 너트공(82)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38)는; 가압봉 본체(60)와 상기 가압봉 본체(60)가 끼워지는 원통형 하우징(62)으로 구성되는 가압봉(40); 상단은 상기 하우징(62)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가압봉 본체(6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2 코일스프링(58); 상하방향으로 기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부에 끼워져 상기 제2 코일스프링(58)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가압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KR1020080056112A 2008-06-16 2008-06-16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KR10096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112A KR100968840B1 (ko) 2008-06-16 2008-06-16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112A KR100968840B1 (ko) 2008-06-16 2008-06-16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457A KR20090130457A (ko) 2009-12-24
KR100968840B1 true KR100968840B1 (ko) 2010-07-09

Family

ID=4168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112A KR100968840B1 (ko) 2008-06-16 2008-06-16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976A (zh) * 2015-06-12 2017-01-04 耿宏伟 椎体保健运动床
CN107550616A (zh) * 2017-08-29 2018-01-09 邵梦晴 一种背部健身按摩器
KR101822750B1 (ko) 2016-07-14 2018-01-26 이성완 골반 척추 교정 장치
KR20180059220A (ko) * 2016-11-25 2018-06-04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CN110742717A (zh) * 2019-12-04 2020-02-04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电动腰椎牵引床
KR102278217B1 (ko) 2021-05-20 2021-07-16 김영현 디스크 치료기
KR102330544B1 (ko) 2021-04-05 2021-11-23 신준식 추나 요법 치료 전후의 비교자세를 보여주는 자세 비교장치 및 그 방법
KR102340875B1 (ko) 2021-04-27 2021-12-16 신준식 추나 요법의 시술이 가능한 정형용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나 요법 시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047B1 (ko) * 2014-09-26 2015-12-16 최현배 다용도의 기능성 침대
PL431381A1 (pl) * 2019-10-04 2021-04-06 Akademia Górniczo-Hutnicza im. Stanisława Staszica w Krakowie Urządzenie do rehabilitacji kręgosłupa i sposób rehabilitacji kręgosłupa z wykorzystaniem urządzenia do rehabilitacji kręgosłupa
KR102051794B1 (ko) * 2019-10-30 2019-12-04 윤제필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 치료기
KR102333735B1 (ko) * 2021-08-09 2021-12-03 이시우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62B1 (ko) * 2001-11-24 2005-02-07 홍성진 척추교정용 견인장치
KR20050121582A (ko) * 2004-06-22 2005-12-27 정승연 골반 및 척추교정기
KR100696391B1 (ko) * 2006-02-09 2007-03-19 김민성 척추교정 및 성장촉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62B1 (ko) * 2001-11-24 2005-02-07 홍성진 척추교정용 견인장치
KR20050121582A (ko) * 2004-06-22 2005-12-27 정승연 골반 및 척추교정기
KR100696391B1 (ko) * 2006-02-09 2007-03-19 김민성 척추교정 및 성장촉진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976A (zh) * 2015-06-12 2017-01-04 耿宏伟 椎体保健运动床
KR101822750B1 (ko) 2016-07-14 2018-01-26 이성완 골반 척추 교정 장치
KR20180059220A (ko) * 2016-11-25 2018-06-04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KR101865539B1 (ko) 2016-11-25 2018-06-08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CN107550616A (zh) * 2017-08-29 2018-01-09 邵梦晴 一种背部健身按摩器
CN110742717A (zh) * 2019-12-04 2020-02-04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电动腰椎牵引床
KR102330544B1 (ko) 2021-04-05 2021-11-23 신준식 추나 요법 치료 전후의 비교자세를 보여주는 자세 비교장치 및 그 방법
KR102340875B1 (ko) 2021-04-27 2021-12-16 신준식 추나 요법의 시술이 가능한 정형용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나 요법 시술방법
KR102278217B1 (ko) 2021-05-20 2021-07-16 김영현 디스크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457A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840B1 (ko) 추나요법 수행이 가능한 견인치료기
CN108938371B (zh) 一种神经内科护士用多功能康复辅助治疗仪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1155787B1 (ko) 골반 및 상체교정장치
KR100696391B1 (ko) 척추교정 및 성장촉진기
KR102165681B1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CN101754738B (zh) 用于自主进行物理治疗练习的器械
KR20080042427A (ko)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CN108852588A (zh) 骨科辅助牵引装置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CN107811806A (zh) 一种医疗用肩颈保健装置
KR101003407B1 (ko) 굴곡, 신전 및 회전 기능을 가지는 견인치료기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KR200275693Y1 (ko) 환자의 자중을 이용한 척추교정기
KR100997739B1 (ko) 만능전신운동기
JP5345855B2 (ja) 背骨矯正用運動器具
KR200386069Y1 (ko) 정형용 척추 견인기
KR20130086672A (ko) 자동 안마장치
KR102532823B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1649347B1 (ko)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WO2015019351A2 (en) Novik mehanurgichesky table or portable traction apparatus for manual therapy and massage
WO2005000172A1 (ja) 健康器具
KR102278217B1 (ko) 디스크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