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613B1 - 재배세트 - Google Patents

재배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613B1
KR100968613B1 KR1020090034694A KR20090034694A KR100968613B1 KR 100968613 B1 KR100968613 B1 KR 100968613B1 KR 1020090034694 A KR1020090034694 A KR 1020090034694A KR 20090034694 A KR20090034694 A KR 20090034694A KR 100968613 B1 KR100968613 B1 KR 10096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groove
seeding
seed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883A (ko
Inventor
구선경
Original Assignee
구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선경 filed Critical 구선경
Priority to KR102009003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6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문 농가는 물론 도시민들이 사계절 어느 때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물만 주는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무농약 및 유기농의 싹 채소 또는 어린잎 채소 등을 재배하고 수확할 수 있으며 물주기의 불편함을 해소한 재배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배세트는,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그루브 또는 파종홈이 형성되는 매트형 배지; 상기 그루브 또는 파종홈에 위치되는 씨앗; 및 제오라이트, 숯, 질석, 규조토, 마사토, 황토, 벤토나이트, 맥반석 및 퍼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포함된 복토에 발효전분이 포함된 접착액이 혼합되고, 상기 그루브, 파종홈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면 전체에 투입되는 복토제;를 포함하고, 투입된 상기 복토제를 150∼550 ㎏f/㎠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트형 배지, 그루브, 분할돌기, 파종홈, 복토제, 박판, 관통공, 받침대

Description

재배세트{Cultivation set}
본 발명은 유기농 재배에 대한 지식이 없는 도시민들도 아주 손쉽게 싹 채소 또는 어린잎 채소 등을 재배하고 수확할 수 있으며 한 번의 물공급으로 재배과정 중에 추가적인 물공급이 필요없는 재배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마트 등에서 유통되는 각종 채소류에 다량의 잔류농약과 유해물질이 검출되고 있는 것으로 매스컴을 통해 알려지면서 도시민들의 청정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도시의 각 가정에서 가족의 건강을 위해 싹 채소 또는 어린잎 채소 등을 직접 재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 씨앗과 분말 배양토가 재배 용기에 함께 포장된 제품들이 여러 종류 시판되고 있으며, 분말 배양토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팽연 왕겨, 제오라이트, 질석, 퍼라이트, 규조토 등이 적절히 혼합된 것이다.
그러나 분말 배양토는 여전히 재배 용기에 담아야하는 불편한 작업이 요구되므로, 이를 간편화하기 위하여 재생 펄프, 팽연 왕겨,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규조토 등과 한천, 전분, 당밀 등을 발효시킨 유기 접착제를 적절히 혼합하여 건식으로 압착하거나 습식으로 판형 제작하는 방법인 매트형 배지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매트형 배지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재배 용기에 매트형 배지 넣기, 씨앗 뿌리기, 복토 및 물주기 등의 작업을 스스로 해야하는 불편함이 여전할 뿐 아니라, 다 자란 싹 채소 또는 어린잎 채소 등을 수확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절단가위나 칼 등으로 조심스럽게 일일이 잘라야 하는 불편함도 상당하였다.
또한, 재배과정 중에 규칙적으로 물주기를 하여야 하는데, 물 공급량이 조금만 잘못되어도 재배하는 작물이 썩거나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 농가는 물론 도시민들이 사계절 어느 때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물만 주는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무농약 및 유기농의 싹 채소 또는 어린잎 채소 등을 재배하고 수확할 수 있는 재배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을 흡수하여 씨앗부로 공급하는 심지를 구비한 받침대를 포함하여 빈번한 물공급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하는 재배세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배세트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 및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로 공급하는 심지를 구비한 받침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는,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그루브 또는 파종홈이 형성되는 매트형 배지; 상기 그루브 또는 파종홈에 위치되는 씨앗; 및 제오라이트, 숯, 질석, 규조토, 마사토, 황토, 벤토나이트, 맥반석 및 퍼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포함된 복토에 발효전분이 포함된 접착액이 혼합되고, 상기 그루브, 파종홈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면 전체에 투입되는 복토제;를 포함하며, 투입된 상기 복토제를 150∼550 ㎏f/㎠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그루브 또는 파종홈이 형성되는 매트형 배지; 상기 그루브, 파종홈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면 전체에 분사되는 발효전분이 포함된 접착액; 상기 그루브 또는 파종홈에 위치되는 씨앗; 및 제오라이트, 숯, 질석, 규조토, 마사토, 황토, 벤토나이트, 맥반석 및 퍼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그루브, 파종홈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면 전체에 투입되는 복토;를 포함하며, 투입된 상기 복토를 150∼550 ㎏f/㎠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씨앗부의 하부에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씨앗부로 공급하는 심지를 구비한 받침대를 설치함으로써, 초기 한번의 물공급으로 재배과정 중에 추가적인 물공급이 전혀 요구되지 않으므로 채소의 재배가 훨씬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시민들이 유기농 재배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없더라도 사계절 어느 때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물만 주는 간편한 방법으로 손쉽게 무농약 및 유기농의 싹 채소 또는 어린잎 채소 등을 재배할 수 있고, 압착매트의 상부에 박판이 구비된 경우 채소의 밑줄기를 동시에 절단하여 아주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루브를 비연속적으로 형성하거나 그루브에 분할돌기를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씨앗이 발아되게 할 수 있어 작물의 품질이 향상되고, 그루브 또는 파종홈을 글자 또는 로고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재배자에게 메시지 전달 및 재배의 기쁨을 전달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는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형 배지(10), 씨앗(20) 및 복토제(30)를 포함하고, 상기 복토제(30)를 압축하여 성형된다. 또한, 매트형 배지(10), 분사된 접착액, 씨앗(20) 및 복토를 포함하고, 상기 복토를 압축하여 성형될 수 있다.
매트형 배지(10)는, 코코피트 60∼80 부피%; 피트모스 3∼10 부피%; 규조토,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맥반석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조성된 중량원료 2∼20 부피%; 및 크기가 1∼5㎜인 입상형태를 50 부피% 이상으로 함유하는 퍼라이트, 질석, 마사토, 황토, 연탄재, 산성백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조성된 경량원료 3∼20 부피%;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압축(556∼850 ㎏f/㎠) 성형한 것으로서, 출원인이 이미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18867호에 상세하게 소개한 바 있으며, 배지 원료에는 화학비료가 아닌 액상비료인 질소, 인산, 가리 등과, 팜박, 유채박, 대두박, 해바리기박 등의 각종 식물성 유기물 또는 당밀을 미생물로 발효시킨 첨가물이 혼합될 수 있고, 작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배지 원료 및 압축 압력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때, 매트형 배지(10)는 금형에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고 금형에 의해 압축 성형되어 제작되는데, 압축 성형된 매트형 배지는 금형에서 배출되자마자 약간 자연팽창하므로 금형의 크기를 매트형 배지의 크기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형에는 그루브(11), 분할돌기(12) 또는 파종홈(13)에 대응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 매트형 배지에 자연스럽게 압축 성형되어 그루브(11), 분할돌기(12) 또는 파종홈(13)이 형성된다.
매트형 배지(10)에 형성되는 그루브(11)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그루브(11)가 형성되지 않아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그루브(11)가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파종 후 매트형 배지를 이동시키더라도 그루브(11)에 파종된 종자의 이동이 일정한 범위 내로 자연스럽게 제한된다.
또한,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11)에는 그루브(11)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분할돌기(12)가 형성되어 그루브(11)에 줄 파종 또는 점 파종된 씨앗의 이동을 분할돌기(12)의 간격 내로 제한하여 씨앗이 그루브(11) 내의 일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루브(11) 단면의 형상으로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반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고, 파종홈(12)의 형상으로는 원뿔, 원 기둥, 육면체, 다면체 등의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1e 및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이 글자나 로고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에 위치한 씨앗(20)으로부터 발아한 싹 채소와 어린잎 채소는 글자나 로고 등의 형상을 따라 자라게 되므로 재배하는 사람에게 메시지 전달의 효과 및 재배의 기쁨을 한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싹 채소와 어린잎 채소로 구분하여 매트형 배지의 규격을 살펴보면 아래의 표 1과 같고, 단위는 ㎜이다. 이때, 매트형 배지가 안착되는 용기의 가로×세로 (215∼225×108∼113㎜) 크기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분 흡수시 부피 팽창을 고려하여 매트형 배지는 가로 205∼215㎜, 세로 103∼108㎜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요구되는 규격에 맞게 얼마든지 크기에 변화를 줄 수 있다.
구분 배지의 두께 그루브 사이의
간격(I)
그루브 또는
파종홈의 폭(W)
그루브 또는
파종홈의 깊이(D)
싹 채소 1.8∼3.5 10∼35 0.3∼1.8 0.3∼1.8
어린 잎 채소 3.5∼7 25∼55 0.5∼25 0.5∼5
상기와 같이 작물의 종류에 따라 배지의 두께, 그루브 사이의 간격(I), 그루브의 폭(W)과 깊이(D), 파종홈의 길이(L)와 깊이(D)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표 1의 규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물별로 생육 특성과 적정 재배기간 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매트형 배지의 규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고, 표 2는 싹 채소 및 어린 잎 채소에 대한 매트형 배지의 규격을 ㎜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구분 작물 배지의
두께
그루브 또는 파종홈
사이의 간격(I)
그루브 또는
파종홈의 깊이(D)
싹 채소 배추,상추,브로콜리,
알팔파 등
1.8∼2.3 10∼20 0.3∼1
무,적무,옥수수,밀,
보리, 소송채 등
2.3∼3.5 20∼35 1∼1.8
어린 잎
채소
배추,상추,브로콜리,
알팔파 등
3.5∼5 25∼40 0.5∼2
무,적무,부추,홍화,
더덕,적목이 등
5∼7 40∼55 2∼5
상기와 같이 작물에 적합한 매트형 배지(10)에 형성된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에 줄 파종 또는 점 파종하여 씨앗을 위치시키고 그루브(11), 파종홈(13), 또는 매트형 배지(10)의 상면 전체에 복토제(30)를 투입한 후에 압축하거나, 그루브(11), 파종홈(13), 또는 매트형 배지(10)의 상면 전체에 접착액을 분사하고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에 씨앗을 위치시키며 그루브(11), 파종홈(13) 또는 매트형 배지(10)의 상면 전체에 복토를 투입한 후에 압축하여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를 제조한다.
복토는 제오라이트, 숯, 질석, 규조토, 마사토, 황토, 벤토나이트, 맥반석 및 퍼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접착액은 발효전분을 포함한다. 이때, 발효전분은 전분을 발효하지 않고 사용하면 쉽게 부패하여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발효전분의 경우 발효과정에서 유익한 미생물이 충분히 배양되어 투입되기 때문에 작물의 건강한 생육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전분 발효에 사용되는 혐기성, 호기성, 광합성 미생물은 병해 예방과 토양 개량 등의 효능이 있는 간균(Bacillus),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유산균(Lactobasillus) 등을 활용하고,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으로는 상림화학의 ‘특허탄’, 서울환경산업의 ‘바이오키’, 한국바이오케미칼의 ‘썬박타’또는‘게브자임’, 한국유기농업개발의 ‘VIP’, (주)제노바이오텍의 ‘바이오닥터’등이 있으며, 상기 미생물을 투입하고 미생물 발효기를 이용하여 전분을 발효시킨다.
발효전분 2∼5 부피%의 분말을 물에 혼합하여 접착액을 제조하며, 필요에 따라 셀레늄 또는 게르마늄 0.5∼3 부피%, 및/또는 목초액 0.5∼3 부피%를 추가로 첨가하고 나머지 부피%인 물을 혼합하여 접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복토제(30) 또는 복토의 압착시에 접착액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켜 복토제(30) 또는 복토가 매트형 배지(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작물은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셀레늄 또는 게르마늄을 흡수하여 무기태에서 인체가 흡수할 수 있는 유기태로 변환한 후에 작물의 체내에 축적되므로, 작물을 섭취하는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복토와 접착액의 혼합 또는 사용 부피비율은 1:0.01∼0.15 정도가 되고, 복토제(30) 또는 복토는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 깊이(D)의 1.5∼3배 정도 투입하며, 압축 압력은 150∼550 ㎏f/㎠ 정도로서 매트형 배지 성형시의 압축 압력보다 작게 하여 복토제(30) 또는 복토의 압착시에 매트형 배지 및 씨앗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토제(30) 또는 복토의 투입량, 접착액의 사용량 및 압축 압력은 사용되는 복토제(30), 복토 또는 접착액의 종류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토제(30) 또는 복토의 압착 후에는 압착매트의 건조 및/또는 살균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씨앗부의 상부에는 씨앗(20)이 발아하여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41)이 형성되는 박판(40)이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41)은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과 같거나 크다. 이때, 씨앗부는,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이거나, 배경기술에 소개한 것과 같은 분말 배양토 또는 매트형 배지; 상기 분말 배양토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씨앗; 및 상기 씨앗을 덮는 복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박판(40)은 PET, PP, PC 등의 합성수지 또는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 등으로 제작되고, 박판(40)의 크기는 물을 흡수하기 전 또는 물을 흡수하여 부풀어오른 압착매트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때, 압착매트의 외부와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박판(40)에 관통공(41)과 별도로 다수의 통기공(4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판(40)은 작물 재배과정 중에 물주기 할 때, 매트형 배지 또는 복토가 튀어올라 작물에 달라붙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 더욱 청결한 채소를 수확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와 같이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가 완성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50)에 표시된 만큼의 물을 붓고, 본 발명에 따른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를 넣으면, 대략 2∼7초 동안에 상기 압착매트는 용기에 있는 물을 완전히 흡수하여 상기 압착매트 두께의 2∼4배 정도로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일정기간 경과 후에 내장되어 있던 씨앗이 발아하여 상기 압착매트의 상부에 위치한 박판(40)의 관통공(41)을 통과하여 자라게 된다. 이때, 씨앗이 작물로 다 자란 후에 작물의 밑줄기는 박판(40)의 관통공(41)을 통과하게 되므로 박판(40)을 살짝 경사지게 들고 끌어당김으로써 압착매트에서 자란 작물을 동시에 아주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다. 즉, 박판(40)의 관통공(41) 주위가 칼날의 역할을 하게 되고, 박판(40)은 수확된 작물이 놓이는 쟁반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용기(50)에 단턱을 형성하여 박판(40)을 살짝 들게 되면, 어느 정도의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박판(40)의 양측에 손잡이부(42)를 형성하여 박판(40)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씨앗부의 하부에는 용기(50)에 담겨져 있는 물을 흡수하여 씨앗부로 공급하는 심지(65)를 구비한 받침대(60)가 위치할 수 있다. 심지(65)는 물 흡수성이 뛰어난 섬유 또는 부직포 등으로 제작되고, 작물의 수분 요구량에 적합한 심지(65)의 재료 및 규격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용기(50)에 담겨져 있는 물이 썩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심지(65)에는 목초액, 식초(감, 사과, 배 등의 과일로 제조될 수 있음), 과산화수소, 제오라이트, 맥반석, 숯 또는 활성탄 등이 흡착될 수 있고, 상기 목초액 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주머니가 심지(65)의 일단에 형성되어 용기(50)에 담겨져 있는 물속에 투입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60)는 PET, PP, PC 등의 합성수지 또는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 등으로 제작되고, 받침대(60)의 크기는 물을 흡수하여 부풀어오른 압착매트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때, 용기(50)에 담겨져 있는 물을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로 고르게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매트의 하면과 심지(65)의 접촉면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받침대(6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과공(61)을 형성하고, 심지(65)가 투과공(61)에 끼워져 받침대(60)에 고정되며, 그루브(11)의 양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받침대(60)에 투과공(61)을 형성하여 그루브(11)가 형성된 압착매트의 하면에 심지(65)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압착매트의 하부에 위치한 심지(65)를 통해 씨앗(20)으로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며, 받침대(60)에는 배수를 위해 투수공(6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지(65)를 구비한 받침대(60)가 용기(50)의 걸림턱(51)에 걸려 고정되도록 받침대(60)를 용기에 넣고, 받침대(60)의 상면에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를 위치시킨 후에 압착매트와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양의 물을 용기(50)에 붓게 되면, 대략 2∼7초 동안에 상기 압착매트는 용기에 있는 물을 완전히 흡수하여 압착매트 두께의 2∼4배 정도로 부풀어 오르게 되고, 남은 물은 투과공(61) 또는 투수공(62)을 통해 받침대(60) 하부의 용기(50)에 고이게 되며, 부풀어 오른 상기 압착매트의 상면에 박판(40)을 위치시킨다. 일정기간 경과 후에 내장되어 있던 씨앗(20)이 발아하여 상기 압착매트의 상부에 위치한 박판(40)의 관통공(41)을 통과하여 자라게 되고, 싹 채소(대략 7∼15일) 또는 어린 잎 채소(대략 25∼35일) 등이 자라는 동안 요구되는 물은 심지(65)를 통해 상기 압착매트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추가적으로 상기 압착매트에 물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되고, 너무 많거나 적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 채소의 생육을 방해하는 일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씨앗이 작물로 다 자란 후에 작물의 밑줄기는 박판(40)의 관통공(41)을 통과하게 되므로 박판(40)을 살짝 경사지게 들고 끌어당김으로써 압착매트에서 자란 작물을 동시에 아주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가 작물에 적용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브로콜리 싹 채소 재배]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 사이의 간격(I) 18㎜,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의 폭(W)과 깊이(D) 1㎜, 두께 2.2㎜인 매트형 배지의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에 브로콜리 씨앗을 줄 파종 또는 점 파종하고,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에 복토제(30)를 2㎜ 투입하고 압착하여 성형된 압착매트를 제작하였다.
용기(50)에 물을 붓고 상기 압착매트를 투입하며 압착매트가 물을 완전히 흡수하여 부풀어오른 후에 압착매트의 상부에 박판을 놓았다.
10일 경과 후에 브로콜리 싹 채소가 잘 자랐고, 균일한 파종 깊이와 파종 간격으로 인해 브로콜리 싹 채소의 품질도 월등히 향상되었으며, 수확시에도 박판(40)을 살짝 들고 끌어줌으로써 아주 간편하게 브로코리 싹 채소의 밑줄기를 절단하여 완벽하게 수확을 마쳤다.
[상추 어린 잎 채소 재배]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 사이의 간격(I) 35㎜,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의 폭(W)과 깊이(D) 2㎜, 두께 5㎜인 매트형 배지의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에 수동 또는 자동파종기를 이용하여 한번에 상추 씨앗을 파종하고, 접착액을 그루브(11) 또는 파종홈(13)에 분사하고 복토를 4㎜ 투입하고 압착하여 성형된 압착매트를 사용하였다.
25일 경화 후에 브로콜리 싹 채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추 어린 잎 채소가 잘 자랐고, 생육이 균일하고 품질도 월등히 향상되었으며, 수확도 아주 짧은 시간에 완벽하게 마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로 인해 가정에서 아주 간편하게 싹 채소 및 어린 잎 채소를 재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일일이 가위질을 할 필요없이 수확도 굉장히 편리해졌으며, 본 발명은 싹 채소 및 어린 잎 채소뿐 아니라 엽채류, 과채류 또는 화훼류와 같은 다양한 작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그루브가 형성된 매트형 배지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홈이 형성된 매트형 배지의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연속 그루브가 형성된 매트형 배지의 사시도.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돌기를 구비하는 그루브가 형성된 매트형 배지의 사시도.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가 글자의 형상으로 형성된 매트형 배지의 사시도.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홈이 글자의 형상으로 형성된 매트형 배지의 사시도.
도 2a는 도 1a의 A-A선 단면에 씨앗과 복토제가 형성되어 압착된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의 단면도.
도 2b는 도 1a의 A-A선 단면에 씨앗과 복토제가 형성되어 압착된 다른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지를 구비한 받침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와 재배세트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매트형 배지 11: 그루브
12: 분할돌기 13: 파종홈
20: 씨앗 30: 복토제
40: 박판 41: 관통공
42: 손잡이부 43: 통기공
50: 용기 51: 걸림턱
60: 받침대 61: 투과공
62: 투수공 65: 심지
I: 간격 W: 폭
D: 깊이 L: 길이

Claims (4)

  1.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 및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로 공급하는 심지를 구비한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는,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그루브 또는 파종홈이 형성되는 매트형 배지;
    상기 그루브 또는 파종홈에 위치되는 씨앗; 및
    제오라이트, 숯, 질석, 규조토, 마사토, 황토, 벤토나이트, 맥반석 및 퍼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포함된 복토에 발효전분이 포함된 접착액이 혼합되고, 상기 그루브, 파종홈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면 전체에 투입되는 복토제;를 포함하며,
    투입된 상기 복토제를 150∼550 ㎏f/㎠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세트.
  2.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 및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로 공급하는 심지를 구비한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는,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그루브 또는 파종홈이 형성되는 매트형 배지;
    상기 그루브, 파종홈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면 전체에 분사되는 발효전분이 포함된 접착액;
    상기 그루브 또는 파종홈에 위치되는 씨앗; 및
    제오라이트, 숯, 질석, 규조토, 마사토, 황토, 벤토나이트, 맥반석 및 퍼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그루브, 파종홈 또는 매트형 배지의 상면 전체에 투입되는 복토;를 포함하며,
    투입된 상기 복토를 150∼550 ㎏f/㎠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의 상부에는 씨앗이 발아하여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박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세트.
  4. 삭제
KR1020090034694A 2009-04-21 2009-04-21 재배세트 KR10096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94A KR100968613B1 (ko) 2009-04-21 2009-04-21 재배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94A KR100968613B1 (ko) 2009-04-21 2009-04-21 재배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496A Division KR100913020B1 (ko) 2007-11-08 2007-11-08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883A KR20090053883A (ko) 2009-05-28
KR100968613B1 true KR100968613B1 (ko) 2010-07-08

Family

ID=4086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694A KR100968613B1 (ko) 2009-04-21 2009-04-21 재배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6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85B1 (ko) 2013-06-13 2013-09-09 대한민국 식물 관찰용 키트
KR101436847B1 (ko) * 2013-03-20 2014-09-02 박정윤 식생용 코코피트 디스크
KR200478841Y1 (ko) 2013-11-18 2015-11-20 대한민국 파종보조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454B1 (ko) * 2009-07-14 2012-06-27 대한민국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101121032B1 (ko) * 2009-07-14 2012-06-27 대한민국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SE544469C2 (en) * 2019-06-28 2022-06-07 Nordamark Ab A growing tray for a hydroponic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504A (ko) * 2002-04-15 2002-05-03 조신형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0502839B1 (ko) * 2003-01-22 2005-07-21 강태호 종자부착형 식물 재배 블럭
KR20060110176A (ko) * 2005-04-19 2006-10-24 유승삼 메밀순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504A (ko) * 2002-04-15 2002-05-03 조신형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0502839B1 (ko) * 2003-01-22 2005-07-21 강태호 종자부착형 식물 재배 블럭
KR20060110176A (ko) * 2005-04-19 2006-10-24 유승삼 메밀순 재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47B1 (ko) * 2013-03-20 2014-09-02 박정윤 식생용 코코피트 디스크
KR101303785B1 (ko) 2013-06-13 2013-09-09 대한민국 식물 관찰용 키트
KR200478841Y1 (ko) 2013-11-18 2015-11-20 대한민국 파종보조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883A (ko)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613B1 (ko) 재배세트
CN109717048A (zh) 一种促进瓜叶菊生长的培养基质及培养方法
CN101297629A (zh) 一种植物生长容器的制作及栽培方法
KR100718867B1 (ko) 모종 재배용 매트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CN106478184B (zh) 一种盆栽韭菜栽培基质和栽培方法
CN105777354A (zh) 一种牛粪蚯蚓堆肥育苗基质块及其制备方法
JP2005333850A (ja) 植物育成床
CN110150096A (zh) 一种花卉种植营养土及其生产方法
CN106818160A (zh) 一种毛酸浆育苗移栽新方法
CN103936488B (zh) 一种适合于速生林育苗的森林采伐剩余物育苗基质及制备方法
KR101278758B1 (ko) 음식물쓰레기 및 우분이 주재료로 사용된 육묘용 포트
CN103340096B (zh) 一种生态垫
KR20090013517A (ko) 매트형 배지
JP3806732B2 (ja) 植物育成用容体
CN109588290A (zh) 一种基于少量基质栽培植物的方法
KR100913020B1 (ko)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
KR100750656B1 (ko) 압축 배양토 조성 및 그 제조방법
WO2010128699A1 (ko) 씨앗 내장형 압착매트 및 재배세트
CN108617300A (zh) 一种番石榴树的嫁接育苗方法
KR100554709B1 (ko) 그린 수도용 매트형 상토
KR20180047634A (ko) 화분용 성형배양토
WO2002045480A1 (en) Transplant for 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7340670U (zh) 一种生态保水育苗基质盒
JP3811802B2 (ja) 繊維製育苗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543253A (zh) 一种用于大球盖菇的发酵料、制备方法及其套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