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381B1 - 공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381B1
KR100967381B1 KR1020080075500A KR20080075500A KR100967381B1 KR 100967381 B1 KR100967381 B1 KR 100967381B1 KR 1020080075500 A KR1020080075500 A KR 1020080075500A KR 20080075500 A KR20080075500 A KR 20080075500A KR 100967381 B1 KR100967381 B1 KR 10096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main body
discharge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807A (ko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주)울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울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울산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7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3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6Construction of inlets or outlets to the vortex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B04C5/13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formed as a vortex finder and extending into the vortex chamber; Discharge from vortex finder otherwise than at the top of the cyclone;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ver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4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filters, in the cyclone chamber or in the vortex find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개시된 공기 집진장치는, 내부를 정화실 및 비정화실로 구획하는 상하격벽이 마련된 통 형상의 본체; 상하격벽에 결합되고, 비정화실에서 정화실로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이동하는 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필터들; 필터들 내부로 압축공기를 펄스방식으로 송풍하여, 필터들에 걸러진 분진을 털어내는 필터청소부; 필터청소부에 의해 털어져서 본체 바닥에 적층된 분진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분진배출부; 정화실로 이동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공기배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기 집진장치는, 필터청소부가 일정한 주기로 필터들에 부착된 분진들을 털어내며, 털어낸 분진들은 분진배출부에 의해 본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여과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공기 집진장치{A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실이나 장치 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집진기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집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 집진기(1)는 복수 개의 필터판(10)들을 적층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공기 집진기(1)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면, 공기 중의 분진입자는 상기 필터판(10)에서 걸러지고, 깨끗한 공기는 대기중으로 배출함으로써,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특히 인체의 건강을 보호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집진기(1)는, 필터판(10)들에 걸러진 분진들의 제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 집진기는, 작업자가 항상 수작업으로 상기 필터판(10)들에 걸러진 분진들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판(10)들에 걸러진 분진을 제때 제거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필터판(10)들에 이미 걸러진 분진들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분진을 안정적으로 걸러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터에 걸러진 분진들을 일정하게 자동 제거시켜, 유입되는 공기의 분진을 필터가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공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를 정화실 및 비정화실로 구획하는 상하격벽이 마련된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상하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비정화실에서 상기 정화실로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이동하는 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필터들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들 내부로 압축공기를 펄스방식으로 송풍하여, 상기 필터들에 걸러진 분진을 털어내는 필터청소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청소부에 의해 털어져서 상기 본체 바닥에 적층된 분진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분진배출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실로 이동된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공기 집진장치는, 상기 상하격벽과 함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필터, 상기 필터청소부, 정화공기배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공간부들을 구획하는 좌우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필터들은 상기 상하격벽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 며,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헤더와; 상기 공기헤더와 연결된 상태로 각 상기 필터들의 열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들에 대향되게 복수 개의 분출노즐들이 형성된 분출관; 및 상기 공기헤더와 상기 분출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헤더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펄스방식으로 송풍시켜, 상기 분출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들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게 하는 펄스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진배출부는 상기 필터청소부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떨어져 적층되는 분진들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분진들을 상기 본체 외부로 이송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밀대이송가이드 및 포집홈이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밀대이송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복수 개의 밀림방지대들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대들이 행으로 배치된 밀대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밀대프레임을 슬라이딩 이송되게 하는 밀대실린더와; 연성을 가지면서 상기 각 밀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실린더에 의해 상기 밀대프레임이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때는 상기 밀림방지대에 지지된 상태로 분진들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밀어주며, 상기 밀대프레임이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때는 젖혀지면서 상기 제1방향으로 밀려진 분진들이 다시 상기 제2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분진들이 상기 포집홈으로 이송 포집되게 하는 밀대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포집모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포집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분진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 크류와; 상기 본체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통되는 배출관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송모터; 및 상기 배출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분진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스크류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분진을 담는 분진저장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공기배출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배출모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진이 제거되어 상기 정화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집진장치는, 필터청소부가 일정한 주기로 필터들에 부착된 분진들을 털어내며, 털어낸 분진들은 분진배출부에 의해 본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여과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집진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후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정단면도이다.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집진장치는, 본체(100), 필터(200), 필터청소부(300), 분진배출부(400), 정화공기배출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필터(200), 필터청소부(300), 분진배출부(400), 정화공기배출부(500)가 설치되는 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를 상하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이동하는 정화실(111) 및 외부에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비정화실(112)로 구획하는 상하격벽(110)을 구비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상하격벽(110)과 함께, 상기 본체(100)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부들로 구획하는 좌우격벽(12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격벽(120)은 상기 본체(100)를 복수 개의 공간부들로 구획하여, 구획된 각 상기 공간부에 상기 필터(200), 상기 필터청소부(300), 상기 정화공기배출부(500)를 구획 설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외부에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유입구(130)들 및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출구(140)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30)에는 상기 유입구(130)를 개폐시켜, 상기 본체(100) 내부로의 분진이 포함된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개폐밸브(13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개폐밸브(131)는 상기 유입구(130)를 개폐하여,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상기 본체(100) 내부로의 분진이 포함된 공기 유입량을 조절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개폐밸브(131)는 정화하고자 하는 공기가 적을 경우에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좌우격벽(120)에 의해 구획된 어느 하나의 공간부에서만 유입되게 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분진배출부(400)가 슬라이 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밀대이송가이드(150)를 마련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 내 바닥부에는 상기 분진배출부(400)에 의해 분진들이 포집되는 포집홈(1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2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시 분진을 제거한다. 즉, 상기 필터(200)는 상기 본체(100)의 비정화실(112)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정화실(111)로 이동하는 공기에서 분진을 제거하여 정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필터(200)는 통 형상의 백필터(Bag filter)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2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복수 개를 구비하는데, 상기 상하격벽(110)의 저면에 상기 복수 개의 필터(200)들을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게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필터(200)들은 상기 상하격벽(110)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정화실(111)과 상기 비정화실(112)을 연통되게 하여, 이후 상기 비정화실(112)에 유입되는 공기에서 분진을 여과한 후, 상기 정화실(111)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필터청소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200)들에 걸러진 분진을 털어내게 한다. 상기 필터청소부(300)는 상기 필터(200)들 내부로 압축공기를 펄스방식으로 송풍하여, 부착된 분진들을 주기적으로 털어내게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청소부(300)는 상기 필터(200)들의 여과효율 및 사용수명을 증대되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부(300)는 공기헤더(310), 분출관(320), 펄스밸브(33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헤더(31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공기헤더(310)는 압축공기 저장탱크나 압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출관(320)은 상기 공기헤더(310)에 연결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분출관(320)은 상기 각 필터(200)들의 열 상방에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분출관(320)에는 상기 공기헤더(31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각 필터(200)들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필터(200)들에 대향되게 복수 개의 분출노즐(321)을 형성한다.
상기 펄스밸브(330)는 상기 공기헤더(310)와 상기 분출관(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헤더(31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분출관(320)의 분출노즐(321)을 통해 압축공기가 펄스방식으로 분사 송풍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분출노즐(32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사이 필터(200)들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게 한다.
상기 분진배출부(40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청소부(300)에 의해 털어져서 상기 본체(100) 바닥에 적층된 분진을 포집하여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진배출부(400)는 포집부(410), 이송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410)는 상기 필터청소부(300)에 의해 상기 필터(200)들에서 떨어져 적층되는 분진들을 상기 포집홈(160)으로 포집한다. 상기 이송부(420)는 상기 포집부(410)에 의해 상기 포집홈(160)에 포집된 분진들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이송 배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포집부(410)는 밀대프레임(411), 밀대실린더(414), 밀대판(415)을 포함한다. 상기 밀대프레임(411)은 상기 본체(100)의 밀대이송가이드(1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밀대프레임(411)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412)들이 행으로 배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대(411)들에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하방 연장되게 복수 개의 밀림방지대(413)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밀림방지대(413)들은 이후 설명될 상기 밀대판(415)을 일방향으로는 젖혀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밀대실린더(414)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드가 상기 밀대프레임(4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밀대실린더(414)가 작동하면서 상기 밀대프레임(411)이 상기 밀대이송가이드(15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밀대판(415)은 상기 각 지지대(412)들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실린더(414)가 작동되면, 상기 본체(100) 바닥에 적층된 분진들을 상기 포집홈(160)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밀대판(415)은 연성을 가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밀대판(415)은 상기 밀대실린더(414)에 의해 상기 밀대프레임(411)이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때는 상기 밀림방지대(413)에 지지된 상태로 분진들을 제1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반면에, 상기 밀대판(415)은 상기 밀대프레임(411)이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때는 젖혀지면서 제1방향으로 밀려진 분진들이 다시 제2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게 한다.
도 3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420)는 포집모터(421), 이송스크류(422), 배출관(423), 이송모터(424), 배출스크류(425)를 포함한다. 상기 포 집모터(421)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422)를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이송스크류(422)는 상기 본체(100)의 포집홈(160)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포집모터(42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스크류(422)는 상기 포집모터(4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포집부(410)의 밀대판(415)에 의해 상기 포집홈(160)에 포집된 분진들을 일 방향으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 배출관(423)은 상기 본체(100)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422)의 일 단부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423)은 이후 설명될 상기 배출스크류(425)에 의해 이송되는 분진들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배출관(423)의 단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배출스크류(425)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분진들을 담는 분진저장통(42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모터(424)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이후 설명될 상기 배출스크류(425)를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배출스크류(425)는 상기 배출관(423)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이송모터(42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스크류(425)는 상기 이송모터942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422)에 의해 일 단부에 포집된 분진들이 상기 배출관(423)을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이송 배출되게 한다.
상기 정화공기배출부(50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200)들을 거쳐 상기 정화실(111)로 이동된 공기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정화공기배출부(5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본 체(100)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 압력을 낮아지게 하면서, 상기 유입구(130)를 통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력도 발생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화공기배출부(500)는 배출모터(510), 배출팬(52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모터(51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520)을 회전 구동되게 한다.
상기 배출팬(520)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모터(510)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팬(520)은 상기 필터(200)들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후, 상기 정화실(11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집진장치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정화공기배출부(500)의 배출모터(5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배출팬(52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본체(100)의 유입구(130)를 통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 내부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구(13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비정화실(112)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필터(200)들에 의해 분진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정화실(111)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배출팬(520)에 의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된다.
이렇듯, 상기 필터(200)들에 의해 분진이 걸러진 공기들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 주기적으로 상기 필터청소부(300) 및 상기 분진배출부(400)가 작동 되면서, 상기 필터(200)들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낸 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청소부(300)는 상기 공기헤더(31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펄스밸브(330)가 펄스방식으로 상기 분출관(320)에 공급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분출관(20)의 분출노즐(321)을 통해 펄스방식의 압축공기가 상기 필터(200)들의 내부를 가격하면서, 부착된 분진들을 털어내게 한다.
이렇게, 상기 필터청소부(300)에 의해 분진들이 상기 필터(200)들에서 털어져 상기 본체(100) 바닥에 적층되면, 상기 분진배출부(400)가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상기 밀대실린더(414)에 의해 상기 밀대프레임(411)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밀대판(415)이 분진들을 상기 포집홈(160)에 포집되게 한다.
상기 포집홈(160)에 분진들이 포집되면, 상기 포집모터(421)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422)가 작동하면서, 분진들을 상기 이송스크류(422) 일단부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송모터(424)에 의해 상기 배출스크류(425)가 작동하면서, 분진들이 상기 배출관(423)을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배출관(423)을 통해 배출되는 분진들은 상기 분진저장통(426)을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집진장치는, 상기 필터청소부(300)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필터(200)들에 부착된 분진들을 털어내며, 털어낸 분진들은 상기 분진배출부(400)에 의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여과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집진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포집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이송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본체 110: 상하격벽
111: 정화실 112: 비정화실
120: 좌우격벽 130: 유입구
140: 배출구 150: 밀대이송가이드
160: 포집홈 200: 필터
300: 필터청소부 310: 공기헤더
320: 분출관 321: 분출노즐
330: 펄스밸브 400: 분진배출부
410: 포집부 411: 밀대프레임
412: 지지대 414: 밀대실린더
415: 밀대판 420: 이송부
421: 포집모터 422: 이송스크류
423: 배출관 424: 이송모터
425: 배출스크류 426: 분진저장통
500: 정화공기배출부 510: 배출모터
520: 배출팬

Claims (8)

  1. 내부에는 밀대이송가이드 및 포집홈이 형성되며, 내부를 정화실 및 비정화실로 구획하는 상하격벽이 마련된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상하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비정화실에서 상기 정화실로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이동하는 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필터들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들 내부로 압축공기를 펄스방식으로 송풍하여, 상기 필터들에 걸러진 분진을 털어내는 필터청소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청소부에 의해 털어져서 상기 본체 바닥에 적층된 분진을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분진배출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실로 이동된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공기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배출부는, 상기 필터청소부에 의해 상기 필터에서 떨어져 적층되는 분진들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분진들을 상기 본체 외부로 이송 배출시키는 이송부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밀대이송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복수 개의 밀림방지대들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대들이 행으로 배치된 밀대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밀대프레임을 슬라이딩 이송되게 하는 밀대실린더와, 연성을 가지면서 상기 각 밀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실린더에 의해 상기 밀대프레임이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때는 상기 밀림방지대에 지지된 상태로 분진들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밀어주며, 상기 밀대프레임이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때는 젖혀지면서 상기 제1방향으로 밀려진 분진들이 다시 상기 제2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분진들이 상기 포집홈으로 이송 포집되게 하는 밀대판을 포함하는 공기 집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격벽과 함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필터, 상기 필터청소부, 정화공기배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공간부들을 구획하는 좌우격벽을 더 포함하는 공기 집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들은 상기 상하격벽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며,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헤더와;
    상기 공기헤더와 연결된 상태로 각 상기 필터들의 열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들에 대향되게 복수 개의 분출노즐들이 형성된 분출관; 및
    상기 공기헤더와 상기 분출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헤더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펄스방식으로 송풍시켜, 상기 분출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들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게 하는 펄스밸브를 포함하는 공기 집진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포집모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포집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분진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본체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통되는 배출관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송모터; 및
    상기 배출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분진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는 공기 집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스크류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분진을 담는 분진저장통을 더 포함하는 공기 집진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화공기배출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배출모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진이 제거되어 상기 정화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는 공기 집진장치.
KR1020080075500A 2008-08-01 2008-08-01 공기 집진장치 KR10096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00A KR100967381B1 (ko) 2008-08-01 2008-08-01 공기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00A KR100967381B1 (ko) 2008-08-01 2008-08-01 공기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807A KR20100013807A (ko) 2010-02-10
KR100967381B1 true KR100967381B1 (ko) 2010-07-05

Family

ID=420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500A KR100967381B1 (ko) 2008-08-01 2008-08-01 공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3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633A (ko) * 2007-03-23 2008-09-26 한스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633A (ko) * 2007-03-23 2008-09-26 한스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807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115B1 (ko) 고성능 탈진장치를 구비한 여과집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8460443B2 (en) Portable dust collector
KR20080086633A (ko) 집진장치
JP2009233665A (ja) ブローパイプ付きドアを備える水平型集塵機
WO2013173691A1 (en) Filter systems with dirty air chamber spacer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400487Y1 (ko) 집진기
KR100559371B1 (ko) 집진기
US4637825A (en) Filter system for power sweeper
KR100967381B1 (ko) 공기 집진장치
CN202700258U (zh) 离线式布袋除尘器
KR100645845B1 (ko)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KR100845958B1 (ko) 집진기의 필터고정구조
CN110652827A (zh) 一种高效脉冲式复合布袋除尘器
CN213101316U (zh) 一种多级脉冲除尘器
CN210814344U (zh) 一种除尘机
JPH08224500A (ja) 電気集じん装置
CN211189612U (zh) 一种高效脉冲式复合布袋除尘器
CN209866473U (zh) 一种干式漆雾净化装置
CN209752438U (zh) 一种组合式脉冲滤筒除尘器
KR20170009800A (ko) 여과 집진 정화장치
CN210057713U (zh) 一种便于检修的布袋式脉冲除尘器
CN219744221U (zh) 一种行喷脉冲布袋除尘器
JPH11179122A (ja) オイルミスト捕集装置
CN109894314B (zh) 一种干式漆雾净化装置
CN211116331U (zh) 一种发动机空气滤清器的自动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