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014B1 -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014B1
KR100967014B1 KR1020070042642A KR20070042642A KR100967014B1 KR 100967014 B1 KR100967014 B1 KR 100967014B1 KR 1020070042642 A KR1020070042642 A KR 1020070042642A KR 20070042642 A KR20070042642 A KR 20070042642A KR 100967014 B1 KR100967014 B1 KR 10096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slab
rider member
butt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590A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4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0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2Skids
    • F27D3/024Details of skids, e.g. ri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는, 가열로 내에 설치된 고정파이프 상의 스키드 파이프;와, 상기 스키드 파이프상의 스키드 버튼; 및, 상기 스키드 버튼에 탈락을 방지토록 체결수단으로 조립되고 슬라브가 놓여서 이동되는 라이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라이더부재는, 슬라브 접촉면적을 감소시키어 슬라브 온도 편차를 억제토록 제공되는 슬라브 접촉 계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브 접촉 계면은, 슬라브가 전체면에 안착되는 제1 계면과 슬라브 안착 면적이 축소되면서 제1 계면을 연결하는 제2 계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계면은 제1 계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슬라브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더부재의 스키드버튼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라이더부재의 스키드 버튼 탈락에 따른 소재의 표면 결함이나 스키드 파이프와 버튼의 균열을 방지함은 물론, 슬라브의 라이더부재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슬라브의 상면과 저면 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스키드 마크 발생을 억제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푸셔식 가열로, 스키드 장치, 스키드 파이프, 스키드 버튼, 라이더부재

Description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SKID APPARATUS FOR REHEATING FURNACE}
도 1은 푸셔식 가열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가열로 스키드 버튼에 조립되는 라이더부재의 탈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가여로 스키드 장치에서 스키드 파이프상의 버튼과 라이더부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해 사시도
(b)는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
도 4는 종래 스키드 장치를 통한 소재의 이동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라이더부재의 탈락이 없는 정상적인 조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는 라이더부재의 탈락이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c)는 라이더부재의 탈락부위에서 발생되는 스키드 파이프 균열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에서 라이더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를 통하여 소재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에서 라이더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10.... 고정파이프
30.... 스키드 파이프 50.... 스키드 버튼
70.... 라이더부재 70a.... 슬라브 접촉 계면
70a1.... 제1 계면 70a2.... 제2 계면
72.... 버튼 조립홈 74.... 열차단공간
76.... 스케일 유도홈 78.... 역경사면
90.... 체결수단 92,94.... 핀 체결홈
96.... 조립핀
본 발명은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더부재의 스키드버튼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라이더부재의 스키드 버튼 탈락에 따른 소재의 표면 결함이나 스키드 파이프와 버튼의 균열을 방지함은 물론, 슬라브의 라이더부재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슬라브의 상면과 저면 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는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공정은 소재 예컨대, 슬라브의 가열 → 조압연 → 사상압연 → 냉각 → 정정 등의 순서로 진행되어 열간 압연 강판을 생산한다.
이와 같은 열간 압연에서 사용되는 소재인 슬라브는 통상 두께가 120 - 300mm, 폭이 1200 - 2000mm, 길이가 1480 - 3000mm 정도의 중량이 큰 소재에 속하며, 압연 전에 가열로 내에서 압연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와 같은,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압연에서의 부하 경감은 물론 냉각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되며, 통상의 가열온도는 대략 1200 - 1330℃정도이다.
그리고, 슬라브를 압연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로는 예열대, 가열대, 균열대 등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역에서는 일정량의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가열로에 장입된 슬라브는 푸셔(도 2의 '170' 참조) 등의 작동에 의해 추출 지점까지 이동되며, 추출 지점에 도달할 즈음에는 충분한 온도를 갖도록 가열된 상 태를 유지시킨다.
예컨대, 도 1에서는 통상의 가열로 특히, 푸셔식 타입의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100)의 본체(110) 내부에는 소재 즉, 슬라브(120)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다열의 스키드 빔(13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열로(100)의 출측에는 가열이 완료된 슬라브(120)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140)가 배치되고, 가열로(100)와 추출기(140) 사이에는 추출된 슬라브(120)를 다음의 압연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150)이 배치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가열로(100)에서 압연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된 슬라브(120)는 가열로(100)의 출측에 설치된 추출기(140)에 의해서 1회에 1매씩 추출되며, 이렇게 추출된 슬라브(120)는 추출기(140)에 의해서 이송롤(150)에 안착된 후 압연기로 이송된다.
이때, 미설명 도면부호 160은 가열로 추출측의 도어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슬라브(120)를 가열시키는 푸셔식 가열로의 내부에는 도 2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120)를 받치는 스키드 빔(130)이 소정 간격의 수직빔(131)상에 길게 가열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슬라브들을 연속적으로 밀어서 가열로 내에서 이동시키는 슬라브 이동용 장입 푸셔(도 2의 17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키드 빔(130)은 가열로 본체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빔(131)상에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고정파이프(132)와 그 상측으로 스키 드 파이프(134)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키드 파이프(134)상에는 상면에 실제 슬라브(120)가 접촉하는 라이더부재(138)를 지지하는 스키드버튼(136)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키드 파이프(134)상의 스키드 버튼(136)에 조립되는 라이더부재(138)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이 조립되는 버튼 조립홈(138a)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 3b에서 미설명 부호 'H'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통로이다.
한편, 도 4a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가열로내 스키드 빔(130)에서, 상기 라이더부재(138)는 슬라브가 놓여지는 접촉부분을 최소화하여 가능한 가열로내에서 가열되는 슬라브(120)의 상면 및 저면 간 온도편차를 줄이도록 슬라브(120)의 저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라이더부재(138)는 스키드 파이프(132)상의 버튼(136)을 따라 가열로 내에서 슬라브 진행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가열로의 스키드 빔(130)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예컨대, 도 3b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실제 슬라브(120)가 상부에 놓이면서 푸셔(170)로 이동하는 상기 라이더부재(138)가 스키드 파이프상의 스키드 버튼(136)에 내부 홈(138a)이 끼움으로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스키드 버튼(136)은 스키드 파이프(134)의 내부 냉각수 통로(H)에서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되지만, 상기 슬라브가 접촉하는 라이더 부재는 팽창되므로, 장입 푸셔(170)가 슬라브(120)를 전진 이동시킬때, 도 4b와 같이 라이더부재(138)가 스키드 버튼(136)에서 쉽게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 경우, 도 4c와 같이, 라이더부재(138)가 버튼(136)에서 탈락되면 스키드 버튼(136)과 스키드 파이프(134)가 노출되어 열 피로에 의한 균열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스키드 빔(130)은 도 2와 같이, 안착 이동되는 소재인 슬라브(120)의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무엇보다도 슬라브 상면과 라이더부재에 놓이는 슬라브 저면 간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키드 빔(130)에서 라이더부재(138)는 스키드 파이프를 따라 구비된 버튼(136)상에 일렬로 연이어 조립되기 때문에, 적어도 라이더부재(138)와 접촉하는 슬라브 면의 가열이 방해되고, 결국 슬라브 상면과 라이더부재가 길게 접촉하는 저면 간에는 온도차가 발생된다.
예컨대, 종래의 스키드 빔(130)의 구조에서는 통상 40 ~ 60℃ 정도의 온도차이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라이더부재의 슬라브 접촉 계면의 구조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 스키드 빔(130)의 구조에서는 도 4b와 같이, 라이더부재의 탈락시 탈락된 부분을 통과하는 슬라브의 표면에 결함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통상의 압연 소재인 슬라브가 가여로내에서 가열되는 경우 발생되는 표면 결함은 크게 문제되지는 않으나, 압연된 강판의 표면이 미려한 상태가 되어야 하는 특정 소재나 표면경도가 낮은 소재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라이더부재의 탈락에 따른 표면 결함이 문제가 되고, 이와 같은 표면 결함의 제거나 보상이 쉽지 않은 것이다.
이에 따라서, 가열로내 스키드 빔의 라이더부재의 슬라브 계면 구조 개선과 라이더부재의 스키드 버튼 조립구조를 개선한 스키드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라이더부재의 스키드버튼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라이더부재의 스키드 버튼 탈락에 따른 소재의 표면 결함이나 스키드 파이프와 버튼의 균열을 방지함은 물론, 슬라브의 라이더부재를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슬라브의 상면과 저면 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스키드 마크 발생을 억제하는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설치된 고정파이프 상의 스키드 파이프;와, 상기 스키드 파이프 상의 스키드 버튼; 및, 상기 스키드 버튼에 탈락을 방지토록 체결수단으로 조립되고 슬라브가 놓여서 이동되는 라이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라이더부재는, 슬라브 접촉면적을 감소시키어 슬라브 온도 편차를 억제토록 제공되는 슬라브 접촉 계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브 접촉 계면은, 슬라브가 전체면에 안착되는 제1 계면과 슬라브 안착 면적이 축소되면서 제1 계면을 연결하는 제2 계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계면은 제1 계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슬라브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구성된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수단으로 조립되는 상기 라이더부재에는 스키드 버튼이 삽입 조립되는 버튼 조립홈이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라이더부재와 스키드버튼에 각각 구비되는 핀 체결홈 및, 상기 핀 체결홈에 체결되는 조립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이더부재의 버튼 조립홈에는 라이더부재로 부터 스키드 버튼으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열차단공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더부재의 버튼 조립홈과 상기 버튼 조립홈에 조립되는 상기 스키드 버튼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경사면과 수직면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더부재의 슬라브 접촉 계면 하측에는 스케일 유도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더부재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후 라이더부재의 스키드 버튼 이탈을 방지하는 역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가열로와 관련된 구성요소는 100단위의 도면 부호로 설명하되 종래기술과 같은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1)의 관련 구성요소는 1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1)는, 가열로 내에 설치된 고정파이프(10)상의 스키드 파이프(30)와, 상기 스키드 파이프(30)상의 스키드 버튼(50) 및, 상기 스키드 버튼(50)에 소재 이동시 탈락을 방지토록 체결수단(90)으로 조립되고 소재가 접촉 이동하는 라이더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키드 장치(1)는 소재인 슬라브(120)를 도 5와 같이 푸셔(170)로 밀어서 가열로내에서 이동시킬 때, 슬라브(120)가 안착 이동되는 상기 라이더부재(70)의 탈락을 원칙적으로 차단한 것에 그 구성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라이더부재(70)의 탈락에 따른 스키드버튼(50)이나 스키드 파이프(30)의 균열이나 이동되는 슬라브(120)의 표면 결함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장치는 슬라브의 가열로내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슬라브(120)가 상부에 놓여서 이동하는 상기 라이더부재(70)에는 스키드 파이프(30)상의 스키드 버튼(50)이 삽입 조립되는 버튼 조립홈(72)이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라이더부재(70)의 스키드 버튼 탈락을 방지하는 상기 체결수단(9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더부재(70)와 스키드버튼(50)에 각각 관통 구비되는 핀 체결홈(92)(94) 및 상기 핀 체결홈(92)(94)을 통과하여 고정링(96a)으로 체결되는 조립핀(9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에 각각 냉각수 통로(10a)(30a)가 구비된 고정파이프(10)와 그 상부의 스키드 파이프(30)상에 설치된 스키드 버튼(50)은 라이더부재(70)의 내측 조립홈(72)에 삽입된후, 상기 체결수단의 조립핀(96)이 라이더부재(70)와 스키드버튼(50)에 서로 위치가 일치되게 형성된 체결홈(92)(94)을 통과하여 고정링(96a)으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2개의 스키드버튼(50)이 하나의 라이더부재(7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조립홈(72)에 삽입 조립된다.
결국, 이와 같은 체결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라이더부재(70)와 스키드버튼(5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키드 장치(1)에서는 라이더부재(70)가 스키드 버튼(50)에서 탈락되지 않게 한다.
다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1)에서는, 상기 라이더부재(70)의 버튼 조립홈(72)은 스키드 버튼(50) 보다는 상측으로 더 가공되어 라이더부재로 부터 스키드 버튼(50)으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열차단공간(74)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라이더부재(70)를 통하여 스키드버튼(50)으로 열 전달율이 종래 보다는 낮아지고, 이는 라이더부재(70)로 부터 스키드버튼으로의 열 전달에 의한 라이더부재의 냉각을 억제하여 라이더부재(70)로 받쳐지는 슬라브 접촉부위의 냉각을 방지하여 슬라브의 상면과 저면간의 온도 편차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슬라브의 상면과 저면 온도가 편차지게 되면, 실제 다음 압연공정시 압연되는 소재의 선단부가 휘어지는 '와프(warp)' 현상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슬 라브의 상면과 저면간의 온도 편차는 가급적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7 및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스키드 장치(1)에서 상기 라이더부재(70)의 버튼 조립홈(72)과 이에 조립되는 스키드 버튼(50)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경사면(72a)(50a)과 수직면(72b)(50b)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더부재(70)의 내측 버튼 조립홈(72)의 경사면(72a)과 수직면(72b) 및, 이에 밀착되는 스키드 버튼(50)의 경사면(50a)과 수직면(50b)은 라이더부재의 스키드 버튼 조립시 위치 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것이고, 수직면은 라이더부재(70)가 탈락하려고 할 때, 라이더부재의 회전을 지지(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경사면은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 도 7 및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스키드 장치(1)에서 상기 라이더부재(70)는 스키드버튼(50)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키드 버튼(50)보다 라이더부재(70)가 열전도가 높은면, 가열로 내에서 가해지는 열이 스키드 버튼 보다는 라이더부재를 더 고온상태가 되게 하고, 이는 라이더부재의 온도 강하에 따라, 라이더부재에 놓여서 이동되는 슬라브(120)의 온도 강하, 즉 라이더부재와 접촉하는 슬라브 접촉부위의 온도 강하는 최소화시키게 된다.
결국, 라이더부재와 접촉하는 슬라브 접촉부위의 온도 강하가 억제되면 그 만큼 슬라브의 상면과 저면 간 온도 편차를 줄이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5,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키드 장치(1)에서 상기 라이더부재(70)는 슬라브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슬라브 접촉 계면(70a)을 구비하여 슬라브 온도 편차를 억제토록 제공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라이더부재(70)의 슬라브 접촉 계면(70a)은, 슬라부(120)가 전체면에 안착되는 제1 계면(70a)과 슬라브가 접촉면적을 감소시킨 제2 계면(70a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도 1과 같이 라이더부재의 상면 전체에 걸쳐서 슬라브가 접촉되기 보다는 본 발명의 경우에는, 라이더 전체 상면에서 전,후측으로 슬라브가 전체가 안착되는 제1 계면(70a1)과 슬라브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제2 계면(70a2)에 의하여 슬라브와 라이더부재간의 접촉면을 줄이게 한다.
즉, 라이더부재와 슬라브간의 접촉 면적을 줄이면 줄일 수록 슬라브 가열시 라이더부재 접촉부위와 접촉하지 않는 부위 간의 온도 편차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라이더부재(70)에서 제1 계면과 제2 계면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라이더부재의 강도면에서는 문제가 없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더부재(70)의 슬라브 접촉 계면(70a) 중 제2 계면(70a2)은 제1 계면(70a2) 보다 낮게(D만큼) 형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경우 제2 계면(70a2)은 실질적으로 라이더부재(70)에서 제1 계면(70a1)을 연결하는 면으로 작용되어 라이더부재의 강도를 유지시키지만 슬라브(120)와는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는 슬라브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이어 슬라브 미 가열부위나 온도편차를 감소시키고, 특히 스키드 마크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즉,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에서 전,후 측의 제1 계면(70a1)은 슬라브가 놓여서 이동하는 면으로 제공되고, 제2 계면(70a2)은 적어도 그 면적이 감소되어 슬라브 접촉면이 종래 보다는 적게 하거나, 제1 계면보다 낮은 경우에는 슬라브의 접촉 자체가 없어진다.
다음,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1)에서, 상기 라이더부재(70)의 슬라브 접촉 계면(70a)의 하부 예를 들어, 제1 계면(70a1)과 제2 계면(70a2) 사이에는 스케일 유도홈(76)이 더 구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케일 유도홈(76)은 라이더부재상에 슬라브가 놓여서 이동할 때 발생되는 스케일이 유도되어 스케일이 라이더부재상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1)에서, 상기 라이더부재(7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 후 이탈을 차단토록 역경사면(78)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경사면(78)의 반대측 면은 상기 역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 면(78a)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키드 장치(1)에서 라이더부재(70)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90)을 통하여 스키드버튼(50)에 조립되면 라이더부재(70)의 전면 역경사면(78)은 라이더부재 후면의 경사면(78a)으로 눌려지게 된다.
결국, 라이더부재(70)가 스키드버튼(50)에 조립된 후, 체결수단(90)의 조립핀(96)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어 라이더부재(70)가 스키드버튼상에서 탈락되려고 할때, 상기 역경사면(78)은 이에 접하는 라이더부재의 경사면(78a)을 압박하기 때문에, 라이더부재의 탈락을 방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1)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슬라브(120)를 받치는 라이더부재(70)의 스키드 버튼 탈락이 방지되고, 라이더부재에 의한 슬라브의 상면 및 저면 간 온도편차를 최소화하면서, 스케일의 유도를 가능하게 하여 슬라브 가열 조업을 원활하게 하면서, 슬라브의 균일한 가열로 인하여 압연 품질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에 의하면, 가열로에서 가열되는 소재인 슬라브의 가열로 내 이동을 지지하는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 버튼에 조립되면서 소재가 접촉하는 라이더부재의 소재 접촉면적을 줄이어 라이더부재를 통한 열 전달을 최소화하여 슬라브에서의 스키드 마크 방지나 소재의 편열 최소화를 가 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더하여, 라이더부재의 스키드버튼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라이더부재의 이탈에 따른 소재의 표면 결함 발생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는, 궁극적으로 소재 가열이나 가열된 소재의 압연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9)

  1. 가열로 내에 설치된 고정파이프 상의 스키드 파이프;와, 상기 스키드 파이프상의 스키드 버튼; 및, 상기 스키드 버튼에 탈락을 방지토록 체결수단으로 조립되고 슬라브가 놓여서 이동되는 라이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라이더부재는, 슬라브 접촉면적을 감소시키어 슬라브 온도 편차를 억제토록 제공되는 슬라브 접촉 계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브 접촉 계면은, 슬라브가 전체면에 안착되는 제1 계면과 슬라브 안착 면적이 축소되면서 제1 계면을 연결하는 제2 계면으로 이루어 지되, 상기 제2 계면은 제1 계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슬라브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구성된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으로 조립되는 상기 라이더부재에는 스키드 버튼이 삽입 조립되는 버튼 조립홈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라이더부재와 스키드버튼에 각각 구비되는 핀 체결홈및, 상기 핀 체결홈에 체결되는 조립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부재의 버튼 조립홈에는 라이더부재로 부터 스키드 버튼으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열차단공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부재의 버튼 조립홈과 상기 버튼 조립홈에 조립되는 상기 스키드 버튼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경사면과 수직면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부재의 슬라브 접촉 계면 하측에는 스케일 유도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9.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부재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후 라이더부재의 스키드 버튼 이탈을 방지하는 역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KR1020070042642A 2007-05-02 2007-05-02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KR100967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42A KR100967014B1 (ko) 2007-05-02 2007-05-02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42A KR100967014B1 (ko) 2007-05-02 2007-05-02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590A KR20080097590A (ko) 2008-11-06
KR100967014B1 true KR100967014B1 (ko) 2010-06-30

Family

ID=4028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642A KR100967014B1 (ko) 2007-05-02 2007-05-02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13B1 (ko) 2023-08-22 2024-02-22 황보위자 유도가열장치의 가열코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605B1 (ko) * 2020-04-27 2020-10-23 주식회사 디케이씨 후판용 열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409U (ko) * 1977-08-25 1979-03-15
JPS54176703U (ko) * 1978-06-01 1979-12-13
JPS60193957U (ja) 1984-06-01 1985-12-24 黒崎炉工業株式会社 プツシヤ−式連続加熱炉用スキツドレ−ル
JPS61291916A (ja) 1985-06-18 1986-12-22 Nissei Kk ホツトスキツドレ−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409U (ko) * 1977-08-25 1979-03-15
JPS54176703U (ko) * 1978-06-01 1979-12-13
JPS60193957U (ja) 1984-06-01 1985-12-24 黒崎炉工業株式会社 プツシヤ−式連続加熱炉用スキツドレ−ル
JPS61291916A (ja) 1985-06-18 1986-12-22 Nissei Kk ホツトスキツドレ−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13B1 (ko) 2023-08-22 2024-02-22 황보위자 유도가열장치의 가열코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590A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014B1 (ko) 가열로의 스키드 장치
KR20080111850A (ko) 가열로의 소재 추출영역 스케일 처리장치
US6945776B2 (en) Method and a skid member for reducing temperature difference in a heating subject and a skid apparatus using them
JP5682205B2 (ja) 連続鋳造鋳片の欠陥検出方法及び欠陥検出システム
KR101392843B1 (ko) 스키드 장치의 라이다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키드 장치
KR101077174B1 (ko) 인라인 압연기의 워크롤 냉각 장치
KR20090024432A (ko) 푸셔식 가열로의 균열대 프레임
KR101714644B1 (ko) 열 변형 방지 장치, 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쵸크 복원 방법
KR101382712B1 (ko) 가열로의 워킹빔
JP2006297463A (ja) アルミニウム板の熱間圧延ラインにおける通板方法
KR101938583B1 (ko) 가열로용 대차
KR101442915B1 (ko) 가열로 스키드 빔의 이동 패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148942B1 (ko) 측면안내장치
US20180328665A1 (en) Slab reheat furnace skid button and method to reduce gouge of stainless steel slabs
US4629422A (en) Frame apparatus for supporting workpieces in a reheat furnace
KR100961338B1 (ko) 가열로의 추출기 진입부 실링장치
KR101066571B1 (ko) 열간 슬래브의 폭 단조 프레스 금형장치
KR102169605B1 (ko) 후판용 열처리 장치
KR200301639Y1 (ko) 보열커버내열판의변형방지구조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KR101417516B1 (ko) 가열로의 스케일 처리 장치
KR100843843B1 (ko) 후판재 냉각장치
KR20050063498A (ko) 가열로의 슬라브 지지용 스키드 버튼
JP2617034B2 (ja)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のスキッド配置
KR101075909B1 (ko) 가열로의 슬라브 지지용 스키드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