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53B1 -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53B1
KR100966853B1 KR1020090002906A KR20090002906A KR100966853B1 KR 100966853 B1 KR100966853 B1 KR 100966853B1 KR 1020090002906 A KR1020090002906 A KR 1020090002906A KR 20090002906 A KR20090002906 A KR 20090002906A KR 100966853 B1 KR100966853 B1 KR 10096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tz tube
radioactive material
producing
process cell
v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돈
최선주
박울재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0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10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in the event of leakage, e.g. double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공정 셀;과, 상하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의 상면에 설치된 석영관 고정부와, 상기 석영관 고정부에 고정된 석영관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석영관을 절단하도록 좌우로 이동가능한 커팅부를 포함하는 석영관 커팅장치;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의 상면에 설치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시린지와, 상기 공정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의 일단부에 고정된 고무마개를 포함하는 바이얼 밀봉장치; 및 상기 공정 셀 내부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이얼 고정부를 포함하는 석영관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 작업 중에 방사성물질이 외계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 해체, 석영관, 석영관 커팅, 바이얼, 방사성물질 분주,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 할로겐족 제거필터

Description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Disassembling device of irradiated capsule containing radioactive materials for radioisotope production}
본 발명은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자로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사성동위원소 물질을 담은 석영관 조사용기를 해체하는 과정 중에 방사성물질이 외계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주변환경의 오염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영관 조사용기의 해체작업이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성동위원소는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하여 진단 및 치료를 행하는 의료분야, 비파괴 검사 등의 산업분야, 농학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액체형태 또는 캡슐(Capsule)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I-123, I-131, Ga-67, TI- 201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는 비교적 방사선의 세기가 약한 20mCi에서 50mCi 정도의 방사선 세기의 용량을 갖춘 액체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방사성물질인 방사성동위원소는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안전하게 운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방사능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차폐가 이루어지는 운반용기를 필요로 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운반용기가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의 연구는 주로 방사성동위원소가 생산된 이후에 소비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하는 용기 쪽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된 경향이 있다. 이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자로와 같은 특수한 설비가 필요하고, 이러한 원자로 설비가 갖춰진 곳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와 같은 방사성물질의 취급과 관리가 매우 철저하게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 공정 자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개발 내지는 개선이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방사성물질의 유출이 위험한 것은 원자로 설비를 갖춘 생산지 역시 마찬가지이고, 오히려 원자로 설비와 관련된 환경에서 방사성물질이 누출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성물질의 환경 누출 및 작업자의 안전을 신뢰있게 보장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사성동위원소 물질, 그 중에서도 특히 입자상 방사성동위원소 물질을 담은 석영관 조사용기를 해체하는 과정 중에서 방사성물질이 외계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주변환경의 오염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영관 조사용기의 해체작업이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공정 셀;과, 상하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의 상면에 설치된 석영관 고정부와, 상기 석영관 고정부에 고정된 석영관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석영관을 절단하도록 좌우로 이동가능한 커팅부를 포함하는 석영관 커팅장치;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의 상면에 설치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시린지와, 상기 공정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의 일단부에 고정된 고무마개를 포함하는 바이얼 밀봉장치; 및 상기 공정 셀 내부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이얼 고정부를 포함하는 석영관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정 셀의 적어도 한 면은 그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석영관 고정부에 고정되는 석영관은 별도로 마련된 홀더를 통하여 상기 석영관 고정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다이아몬드 칼날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공정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의 일단부에는 바늘 형상을 가진 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영관 이송장치는 상기 바이얼 고정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공정 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바이얼 고정부가 직선이송된다.
여기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바이얼 고정부가 상기 석영관 고정부와 상기 시린지 사이에서만 직선이송이 가능하도록 그 스트로크가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는, 어느 하나의 유로가 상기 공정 셀 외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3방향 밸 브와, 상기 3방향 밸브의 다른 두 개의 유로에 각각 고정되는 관 및 주사기를 포함하는 용액 주입/분주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액 주입/분주장치의 상기 3방향 밸브의 어느 하나의 유로에 고정된 관의 개방된 단부에는 분주용 바이얼에 꽂기 위한 주사바늘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 셀과 통하는 입구 및 진공펌프와 연결된 출구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 또는 할로겐족 제거필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는 기체의 흐름은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을 통과하여 그 중공부로 모인 후에 상기 출구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장치의 몸체 내부에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와 할로겐족 제거필터가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 내부를 흐르는 기체의 흐름은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을 통과하여 그 중공부로 모인 후에 상기 할로겐족 제거필터로 흐르는 방향을 따른다.
그리고,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에는 PVDF(polyvinyl-difluoride)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할로겐족 제거필터에는 활성탄 또는 은담지 제올라이트가 충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는, 입자상 방사성동위원소 물질을 담은 석영관 조사용기를 해체하는 과정이 밀폐된 공정 셀 내에 장치된 석영관 커팅장치와 바이얼 밀봉장치 및 석영관 이송장치 등을 공정 셀의 외부에서 행하는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해체 작업 중에 방사성물질이 외계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주변환경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공정 셀 내에 장치된 석영관 커팅장치와 바이얼 밀봉장치 및 석영관 이송장치 등을 이용하여 석영관 조사용기를 해체하기 때문에, 석영관 조사용기의 해체작업이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으며, 용액 주입/분주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석영관 조사용기의 해체작업에 연속하여 방사성물질의 분주작업까지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는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 및 할로겐족 제거필터로 구성된 필터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나노크기를 갖는 방사성동위원소 입자는 물론 할로겐족 물질인 Cl, Br, I 등을 포함한 기체가 외계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개폐가 가능한 도어(12)를 구비한 공정 셀(10)이 잘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정 셀(10)은 정사각형의 상하면을 가진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정 셀(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공정 셀(1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여기에 각종 구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정 셀(10)의 적어도 한 면은 그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외부의 작업자가 그 내부에서 진행되는 작업과정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 공정 셀(10)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공정 셀(10) 내부에는 석영관 커팅장치(20)와, 바이얼 밀봉장치(30) 및 석영관 이송장 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석영관 커팅장치(20)는 상하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10)의 상면에 설치된 석영관 고정부(22)와, 상기 석영관 고정부(22)에 고정된 석영관(100)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석영관(100)을 절단하도록 좌우로 이동가능한 커팅부(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석영관 고정부(22)를 상하로 이동시켜 절단되어야 하는 석영관(100)의 수직방향의 위치를 커팅부(24)에 일치시키고, 커팅부(24)를 좌우로 이동시켜 석영관(100)의 표면에 접촉시킨 후 석영관 고정부(22)를 회전시키면 석영관(100)의 절단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석영관(100)은 입자상 방사성동위원소 물질을 담은 조사용기로서, 그 표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바로 절단되어야 하는 지점이다.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 3에는 상기 석영관(100)과 커팅부(24)의 상대적인 배치가 잘 나타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팅부(24)는 다이아몬드 칼날(28)로 이루어져서, 경도가 높은 석영관(100)을 쉽게 자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석영관 고정부(22)에 고정되는 석영관(100)은 별도로 마련된 홀더(26)를 통하여 상기 석영관 고정부(22)에 고정되는 것이 적절한데, 이는 석영관(100)의 크기, 특히 그 직경이 여러 종류일 수 있으므로 석영관(100)을 잡을 수 있는 별도의 홀더(26)를 준비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체장치(1)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방사성물질을 담은 석영관(100)의 취급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석영관 고정부(22)와 커팅부(24)의 직선이동과 석영관 고정부(22)의 회전운동은, 작업자가 공정 셀(10)의 외부로 돌출된 각각의 노 브(knob)(22',24')를 조작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바이얼 밀봉장치(30)는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10)의 상면에 설치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시린지(32)와, 상기 공정 셀(10)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32)의 일단부에 고정된 고무마개(3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바이얼 밀봉장치(30)는 석영관(100)을 담은 용기인 바이얼(200)의 입구를 고무마개(36)로 막으면서, 동시에 상기 고무마개(3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절단된 석영관(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시린지(3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고무마개(36)는 방사성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시린지(32)는 석영관(100) 내부에 수용된 방사성물질의 이동 통로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정 셀(10)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32)의 일단부에는 바늘 형상을 가진 핀(34)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무마개(36)를 관통하는 시린지(32)의 크기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방사성물질의 누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석영관 이송장치(40)는 상기 공정 셀(10) 내부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42)과, 상기 가이드 레일(42)을 따라 직선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이얼 고정부(44)를 포함한다. 석영관 이송장치(40)에 구비된 바이얼 고정부(44)에는 석영관(100)을 담는 용기인 바이얼(200)이 안착되어, 석영관(100)을 절단하는 작업과 바이얼(200)의 입구를 고무마개(36)로 막는 작업을 진행하는 중에도 바이 얼(200)이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석영관 이송장치(40)는 상기 바이얼 고정부(44)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공정 셀(10)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46)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레버(46)를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바이얼 고정부(44)가 가이드 레일(42)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레버(46)의 스트로크(S)는, 상기 바이얼 고정부(44)가 상기 석영관 고정부(22)와 상기 시린지(32) 사이에서만 직선이송이 가능하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바이얼 고정부(44)의 좌우위치가 석영관 고정부(22) 또는 시린지(32)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정해진 스트로크(S)를 갖는 레버(46)를 끝까지 밀고 당기는 조작만 하면 되므로, 작업 효율성이 매우 향상된다.
본 발명은 공정 셀(10)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석영관 커팅장치(20)와, 바이얼 밀봉장치(30) 및 석영관 이송장치(40)를 통하여 석영관(100)을 해체하는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셀(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용액 주입/분주장치(50)를 더 포함함으로써 해체된 석영관(100)에 수용된 방사성동위원소 물질을 별도의 분주용 바이얼(300)로 분배하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용액 주입/분주장치(50)는 어느 하나의 유로가 상기 공정 셀(10) 외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32)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3방향 밸브(52)와, 상기 3방향 밸 브(52)의 다른 두 개의 유로에 각각 고정되는 관(54) 및 주사기(5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3방향 밸브(52)의 어느 하나의 유로에 고정된 관(54)의 개방된 단부에는 분주용 바이얼(300)에 꽂기 위한 주사바늘(58)이 구비된다.
3방향 밸브(52)는 주사기(56) 안에 충진된 용액을 선택적으로 시린지(32)와 연결된 석영관(100) 내부 또는 관(54)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3방향 밸브(52)의 개도 위치의 변경과 주사기(56)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용액과 혼합된 입자상 방사성물질은 석영관(100)으로부터 뽑아올려진 후 분주용 바이얼(300)로 분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1)는 공정 셀(10)과 통하는 입구(63) 및 진공펌프(400)와 연결된 출구(64)를 구비하는 몸체(62)와, 상기 진공펌프(400)에 의하여 생성되는 흐름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 상기 몸체(62)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65) 및 할로겐족 제거필터(66)로 구성된 필터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장치(60)의 몸체 내부를 흐르는 기체의 흐름은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65)의 표면을 통과하여 그 중공부로 모인 후에 상기 할로겐족 제거필터(66)로 흐르는 방향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이러한 필터장치(60)의 구성을 보여준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장치(60)는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65) 또는 할로겐족 제거필터(66)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필터장치(60)를 통하여 제거되어야 할 물질의 종류나 성상 또는 제거용량 등을 고 려하여 필터장치(60)를 적절히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65)를 구성하는 중공사 맴브레인(hollow fiber membrane)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다공성의 중공사의 표면에 고분자 물질인 PVDF (polyvinyl-difluoride) 재질이 코팅된 것으로서, 수십나노 크기의 범위에서 공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경의 크기에 따라서 나노크기의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나노분리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액상의 방사성물질에 입자가 결합된 입자상의 방사선물질의 취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고분자 물질의 코팅이 없는 공중사로만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를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할로겐족 제거필터(66)는, 방사성물질 중 입자상 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설치된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65)를 통과한 후에도 존재할지 모르는 입자와 할로겐족 물질인 Cl, Br, I 등을 포함한 기체를 제거할 목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할로겐족 제거필터(66)에는 활성탄 또는 은담지 제올라이트가 충진된다.
한편 상기 필터장치(60)를 통과하여 정화된 기체는 그대로 대기로 방출되거나, 또는 공정 셀(10) 내부로 다시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정화된 기체를 대기로 방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정 셀(10)의 상면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공정 셀(10) 내부에 과도한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1)를 사용하 여, 입자상 방사성물질이 담긴 석영관(100)을 해체하고, 그 안에 들어있는 방사성물질을 분주용 바이얼(300)로 분주하는 작업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자상 방사성물질이 담긴 석영관(100)을 납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공정 셀(10)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시린지(32)의 끝에 고무마개(36)를 달아서 바이얼 밀봉장치(30)에 장착시킨다.
그 다음 시린지(32) 끝단에 3방향 밸브(52)를 위치시키고, 한쪽은 분배를 위한 관(54)을 설치한 후 관(54)의 끝에 있는 주사바늘(58)을 분주용 바이얼(300)에 꽂고, 용액이 담긴 주사기(56)를 3방향 밸브(52)의 남은 한쪽에 위치시킨다.
납컨테이너에 들어있는 석영관(100)을 홀더(26)를 사용하여 석영관 고정부(22)에 고정시키고, 석영관 고정부(22)와 커팅부(24)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석영관 고정부(22)를 회전시켜 석영관(100)을 해체시킨다. 이때 필요하다면 커팅부(24)에 구비된 다이아몬드 칼날(28)의 깊이를 조절한다.
석영관(100)의 해체가 완료되면, 석영관 이송장치(40)를 이용하여 해체된 석영관(100)이 들어있는 바이얼(200)을 바이얼 밀봉장치(30)로 이동시키고, 시린지(32)의 끝에 부착된 고무마개(36)로 해체된 석영관(100)이 있는 바이얼(200)을 폐쇄한다.
필터장치(60)에 연결된 진공펌프(400)를 가동시켜 공정 셀(10) 내부의 공기를 필터장치(60)로 순환시켜 정화한다.
그리고, 시린지(32) 말단에 구비된 바늘 형태의 핀(34)을 석영관(100)에 담긴 용액의 바닥에 위치시킨다.
용액 주입/분주장치(50)의 3방향 밸브(52)의 주입방향을 석영관(100)이 들어 있는 분주용 바이얼(300) 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주사기(56) 안의 용액을 석영관(100) 안으로 서서히 주입한다.
용액 주입이 완료되면, 주사기(56)를 이용하여 석영관(100)에 들어 있는 용액과 방사성물질의 혼합물을 회수한다.
회수가 완료되면, 3방향 밸브(52)의 방향을 바꿔 분배를 위하여 준비된 분주용 바이얼(300)에 주사기(56)로 회수된 용액을 서서히 넣는다. 이때 그 내부가 진공으로 형성된 진공 바이얼을 사용하면 모든 용액을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난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석영관 커팅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에 구비되는 필터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에 용액 주입/분주장치와 필터장치가 설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10: 공정 셀 12: 도어
20: 석영관 커팅장치 22: 석영관 고정부
22': 석영관 고정부의 노브 24: 커팅부
24': 커팅부의 노브 26: 홀더
28: 다이아몬드 칼날 30: 바이얼 밀봉장치
32: 시린지 34: 핀
36: 고무마개 40: 석영관 이송장치
42: 가이드 레일 44: 바이얼 고정부
46: 레버 50: 용액 주입/분주장치
52: 3방향 밸브 54: 핀
56: 주사기 58: 주사바늘
60: 필터장치 62: 몸체
63: 입구 64: 출구
65: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 66: 할로겐족 제거필터
100: 석영관 200: 바이얼
300: 분주용 바이얼 400: 진공펌프

Claims (14)

  1.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공정 셀;
    상하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의 상면에 설치된 석영관 고정부와, 상기 석영관 고정부에 고정된 석영관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석영관을 절단하도록 좌우로 이동가능한 커팅부를 포함하는 석영관 커팅장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 셀의 상면에 설치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시린지와, 상기 공정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의 일단부에 고정된 고무마개를 포함하는 바이얼 밀봉장치; 및
    상기 공정 셀 내부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이얼 고정부를 포함하는 석영관 이송장치;
    를 포함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정 셀의 적어도 한 면은 그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영관 고정부에 고정되는 석영관이 별도로 마련된 홀더를 통하여 상기 석영관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다이아몬드 칼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정 셀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의 일단부에 바늘 형상을 가진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영관 이송장치는 상기 바이얼 고정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공정 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바이얼 고정부가 직선이송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바이얼 고정부가 상기 석영관 고정부와 상기 시린지 사이에서만 직선이송이 가능하도록 그 스트로크가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유로가 상기 공정 셀 외부에 위치한 상기 시린지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3방향 밸브와, 상기 3방향 밸브의 다른 두 개의 유로에 각각 고정되는 관 및 주사기를 포함하는 용액 주입/분주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액 주입/분주장치의 상기 3방향 밸브의 어느 하나의 유로에 고정된 관의 개방된 단부에는 분주용 바이얼에 꽂기 위한 주사바늘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셀과 통하는 입구 및 진공펌프와 연결된 출구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 또는 할로겐족 제거필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는 기체의 흐름은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을 통과하여 그 중공부로 모인 후에 상기 출구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의 몸체 내부에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와 할로겐족 제거필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몸체 내부를 흐르는 기체의 흐름은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을 통과하여 그 중공부로 모인 후에 상기 할로겐족 제거필터로 흐르는 방향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에는 PVDF(polyvinyl-difluoride)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족 제거필터에는 활성탄 또는 은담지 제올라이트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KR1020090002906A 2009-01-14 2009-01-14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KR10096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06A KR100966853B1 (ko) 2009-01-14 2009-01-14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06A KR100966853B1 (ko) 2009-01-14 2009-01-14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853B1 true KR100966853B1 (ko) 2010-06-29

Family

ID=4237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906A KR100966853B1 (ko) 2009-01-14 2009-01-14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8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61B1 (ko) 2011-12-01 2013-01-0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을 위한 시료 조사용 석영 용기
KR101308543B1 (ko) * 2011-10-27 2013-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석영 용기 절단장치
KR101355391B1 (ko) * 2012-03-14 2014-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석영 앰플 내 고압가스 성분분석을 위한 가스포집 장치
CN108324573A (zh) * 2017-01-19 2018-07-27 张扬 一种麻醉科用药物处理装置
CN111755141A (zh) * 2020-07-04 2020-10-09 深圳市东昂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核电厂用移动集成式过滤器组装系统
KR20220081103A (ko) 2020-12-08 2022-06-15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97U (ja) * 1991-06-28 1993-01-22 日立造船株式会社 放射性物質取扱用セル
JP2009047668A (ja) 2007-08-23 2009-03-05 Japan Atomic Energy Agency 放射化された金属材料及び放射性ガスを含む密閉容器の切断・開封装置
KR20090057407A (ko) * 2006-09-29 2009-06-05 르메르 쁘로떽시옹 앙띠-엑스 빠르 아브레비아숑 소시에떼 르베르 빡스 의학용 방사능원의 운반 및 저장을 위한 새로운 차폐 용기 구조체
KR100913355B1 (ko) 2007-12-12 2009-08-20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위원소 방사선원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97U (ja) * 1991-06-28 1993-01-22 日立造船株式会社 放射性物質取扱用セル
KR20090057407A (ko) * 2006-09-29 2009-06-05 르메르 쁘로떽시옹 앙띠-엑스 빠르 아브레비아숑 소시에떼 르베르 빡스 의학용 방사능원의 운반 및 저장을 위한 새로운 차폐 용기 구조체
JP2009047668A (ja) 2007-08-23 2009-03-05 Japan Atomic Energy Agency 放射化された金属材料及び放射性ガスを含む密閉容器の切断・開封装置
KR100913355B1 (ko) 2007-12-12 2009-08-20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위원소 방사선원 개폐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43B1 (ko) * 2011-10-27 2013-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석영 용기 절단장치
KR101218761B1 (ko) 2011-12-01 2013-01-0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을 위한 시료 조사용 석영 용기
KR101355391B1 (ko) * 2012-03-14 2014-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석영 앰플 내 고압가스 성분분석을 위한 가스포집 장치
CN108324573A (zh) * 2017-01-19 2018-07-27 张扬 一种麻醉科用药物处理装置
CN108324573B (zh) * 2017-01-19 2020-07-14 张扬 一种麻醉科用药物处理装置
CN111755141A (zh) * 2020-07-04 2020-10-09 深圳市东昂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核电厂用移动集成式过滤器组装系统
KR20220081103A (ko) 2020-12-08 2022-06-15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853B1 (ko) 방사성물질 제조용 조사용기의 해체장치
CN102083484B (zh) 输注系统的屏蔽组件
CN203070793U (zh) 一种运输放射性废树脂的屏蔽转运装置
AU2014295975A1 (en) Compou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medicament transport
US7727403B2 (en) Automated simultaneous separation system for radionuclides in multiple sample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uranium (U) using the same
CN100427580C (zh) 收集并分离环境空气中出现的颗粒和微生物的设备
DE3117016C2 (ko)
US20130334443A1 (en) Radiopharmacy and devices
JP2020517909A (ja) 原子力プラント用モジュール式水浄化システム
EP1298675A1 (en) Installation,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radioactivity measurement in a nuclear power plant
JP2013242155A (ja) 除染方法
GB2092885A (en) Underwater suction device for irradiated materials
EP3491652B1 (en) Tank closure cesium removal
TWI660368B (zh) 盛裝具輻射酸性廢液重砂屏蔽桶之洩壓與取樣裝置及其方法
KR102201852B1 (ko) 배관 제염장치,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배관 제염방법
JP6276779B2 (ja) 原子炉の中で生成される材料を採取および貯蔵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49552B1 (ko) 배기배관이 개선된 핵연료 집합체의 락커 도포장치
KR102645619B1 (ko) 방사성 폐필터 감용 처리용 방사능오염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U2014342210A1 (en) Parent radionuclide container
WO2018235686A1 (ja) 局所排気機能を備えた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集塵・排気システム
CN205019526U (zh) 到位检测装置、输出机构及自动分装设备
CN219778539U (zh) 一种放射性管道的在线去污装置
KR101494074B1 (ko) 이동형 복합식 공기 중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
CN210931874U (zh) 一种医疗废液收集装置
DE202010017082U1 (de) Vorrichtung zur Markierung von Molekülen mit Radionukliden und Verwendung derselben zur Herstellung einer radiopharmazeutischen Verbi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