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24B1 -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24B1
KR100966824B1 KR1020047020347A KR20047020347A KR100966824B1 KR 100966824 B1 KR100966824 B1 KR 100966824B1 KR 1020047020347 A KR1020047020347 A KR 1020047020347A KR 20047020347 A KR20047020347 A KR 20047020347A KR 100966824 B1 KR100966824 B1 KR 100966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cord data
base
issu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305A (ko
Inventor
카와모토마사요시
이리야마히로시게
마츠야마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제이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제이씨비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제이씨비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3/00756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107263A1/ja
Publication of KR2005002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5Personalisation of cards for use
    • G06Q20/3558Preliminary personalisation for transfer to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고객의 개인정보를 내장하는 IC카드를 어떠한 보안환경하에 있는 카드회사의 거점에서나, 보안을 확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발권하므로, 카드 발행센터(1)는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거점(2)에 송신하는 센터 교신수단(11)을 갖고, 거점(2)은 센터 교신수단(11)으로부터 카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고, 거점(2)의 단말(21)내에 축적하지 않고 단말(21)과 접속된 IC카드매체(23)에 직접 전송하는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을 갖는다.

Description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CARD ISSUING SYSTEM AND CARD ISSUING METHOD}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내장하는 IC카드를 어떠한 보안환경하에 있는 카드회사의 거점에 있어서나, 보안을 확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발권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C카드가 보급되고 있다. IC카드란, 내장된 집적회로에,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나 개인정보나 카드용도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카드이며, 크레디트카드나 포인트카드나 교통기관의 운임카드 등의 복수의 여러가지 용도로 이용가능하다. IC카드에 기록되는 정보는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카드나 플라스틱카드에 비해 위조가 곤란하며, 고유정보나 개인정보의 보안이 확보된다는 메리트가 있다.
종래, 카드회사 등에서 발행되는 IC카드의 발권처리는 IC카드 자체에 고유정보나 개인정보 등을 기록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고도의 보안환경하에 놓여진 카드회사의 카드 발행센터에서 행해지는 것이 주류였지만, 이 경우, IC카드를 고객에게 발행할 때까지 시간이나 수송비용이 들며, 또한 수송시에 보안에도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각 처에 있는 카드회사의 영업거점에서 IC카드의 발권을 행하여, 고객의 카드신청에서부터 카드발행까지의 시간을 단축한 시스템이 일본 특허공개 2001-266076호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IC카드의 발권을 영업거점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업거점(2a)의 제어단말(21a)은 IC카드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카드 발행센터(1a)의 기록데이터 송신수단(17)으로부터 네트워크(4)를 통해 기록데이터 수신수단(217)에서 수신하거나, 또는 입출력단말(214)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고, 일단 제어단말(21a)의 하드디스크 등의 격납수단(218)에 그 데이터를 축적한 후에, 격납수단(218)으로부터 카드 리더/라이터(22)에 데이터를 보내어 카드매체(23)에 기록한다는 2단계의 공정을 거쳐 IC카드의 발권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2001-266076호 공개공보 및 종래의 발권시스템에 있어서 IC카드의 발권을 행하는 경우, 영업거점은 특히 노면점 등의 경우 오픈된 장소에 있는 것이므로, 고유정보나 개인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단말의 도난이나 이것에 따른 악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 영업거점에서 발권처리를 다루는 조작자의 인원수도 적으므로 상호감시 기능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아, 영업거점내에서의 고유정보나 개인정보의 누설의 리스크도 높으므로, 고객이 안심하고 영업거점에서의 발권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은 현상황에서 곤란하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종래의 발권시스템과 같은, 기록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한 기록데이터를 IC카드에 기록한다는 2단계의 공정을 거 치지 않고, 어떠한 보안환경하의 영업거점에서나, 고객의 안심감과 보안을 확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고유정보나 개인정보 등을 기록하는 IC카드의 발권을 가능하게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을 발명했다.
청구범위1의 발명은,
고객으로부터의 IC카드 신청의뢰에 기초하여 생성된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또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격납하는 카드 발행센터와,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하고, IC카드를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구축되는 카드 발권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행센터는,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거점에 송신하는 센터 교신수단을 갖고, 상기 거점은, 상기 센터 교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하는 카드교신 중개수단을 갖는 것에 의해,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정보 및/또는 개인정보의 보안을 확보하는 카드 발권시스템이다.
삭제
삭제
청구범위5의 발명은,
고객의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또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IC카드에 기록하고, 상기 고객에게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구축되는 카드 발권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하고,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 송신하는 카드교신 중개수단을 상기 단말내에 갖고, 상기 카드 발행센터와의 교신에 의해, 확실하게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는 카드 발권시스템이다.
청구범위9의 발명은,
고객으로부터의 IC카드 신청의뢰에 기초하여 생성된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또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격납하는 카드 발행센터와,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하고, IC카드를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실시되는 카드 발권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행센터는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거점에 송신하고, 상기 거점은,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상기 카드기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정보 및/또는 개인정보의 보안을 확 보하는 카드 발권방법이다.
삭제
삭제
청구범위13의 발명은,
고객의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또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IC카드에 기록하고, 상기 고객에게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실시되는 카드 발권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하고,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 송신하고, 상기 카드 발행센터와의 교신에 의해, 확실하게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는 카드 발권방법이다.
청구범위 1, 5, 9, 13의 발명에 의해, 종래의 2단계의 카드 기록공정으로부터 카드 기록데이터를 단말에 축적하는 공정이나 수단을 삭제하고, 거점에서 IC카드에 직접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었으므로, 거점에서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나 개인정보의 보안을 확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IC카드의 발권을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3의 발명은,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상기 거점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송신한다라는 교신결과를 격납하고,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상기 거점으로부터 수신하여 격납하는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내에 갖는 카드 발권시스템이다.
청구범위11의 발명은,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상기 거점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송신했다라는 교신결과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내의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고,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상기 거점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는 카드 발권방법이다.
청구범위3, 11의 발명에 의해, 카드 발행센터와 거점간의 교신결과를 관리하고, 확실하게 IC카드에의 데이터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4의 발명은,
상기 거점의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단말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제어단말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는 제어단말 인증수단을 상기 카드 발행센터내에 갖는 카드 발권시스템이다.
청구범위12의 발명은,
상기 거점의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단말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제어단말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 는 카드 발권방법이다.
청구범위4, 12의 발명에 의해, 카드 발행센터에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고, 인증된 거점에서만, 확실하게 IC카드의 발권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6의 발명은,
IC카드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 리더/라이터로부터 상기 단말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카드 리더/라이터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리더/라이터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는 리더/라이터 인증수단을 상기 단말내에 갖는 카드 발권시스템이다.
청구범위14의 발명은,
IC카드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 리더/라이터로부터 상기 단말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카드 리더/라이터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리더/라이터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는 카드 발권방법이다.
청구범위6, 14의 발명에 의해, 부정한 카드 리더/라이터의 사용을 방지하고, 인증된 카드 리더/라이터에 의해 확실하게 IC카드의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7의 발명은,
상기 IC카드에 내장된 액세스키와 같은 키를 사용하여, 상기 IC카드의 정규, 비정규를 판단하는 카드 발권시스템이다.
청구범위15의 발명은,
상기 IC카드에 내장된 액세스키와 같은 키를 사용하여, 상기 IC카드의 정규, 비정규를 판단하는 카드 발권방법이다.
청구범위7, 15의 발명에 의해, 부정한 IC카드에의 데이터기록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정규의 IC카드에의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8의 발명은,
상기 거점에서, 고객에게의 신규 IC카드 발행 또는, 발행완료 IC카드내의 개인정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행하는 카드 발권시스템이다.
청구범위16의 발명은,
상기 거점에서, 고객에게의 신규 IC카드 발행 또는, 발행완료 IC카드내의 개인정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행하는 카드 발권방법이다.
청구범위8, 16의 발명에 의해, 신규 IC카드 발행뿐만 아니라, IC카드의 업데이트처리도, 거점에서 보안을 확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카드 발권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카드 발권방법의 프로세스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챠트도이다.
도3은 종래의 카드 발권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카드 발행센터 11:센터 교신수단
12:제어말단 인증수단 13:제어말단 인증 데이터베이스
14:기록데이터 암호수단 15:암호키 데이터베이스
16: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17:기록데이터 송신수단
18: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 2:영업거점
21:제어말단 211:카드교신 중개수단
212:암호/복호수단 213:키정보 데이터베이스
214:입출력단말 215:리더/라이터 인증수단
216:리더/라이터 인증 데이터베이스 217:기록데이터 수신수단
218:격납수단 22:카드 리더/라이터
23:카드매체 3:전용회선
4:네트워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을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카드 발권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드 발행센터(1)와 영업거점(2)의 시스템구성의 일례이다.
카드 발권시스템은, 고보안환경하에 놓여진 카드회사 등의 서비스제공 사업체의 카드 발행센터(1)와, 비교적 저보안환경하에 놓여진 서비스제공 사업체의 영업거점(2) 사이에서, 전용회선(3)을 통해 통신을 행하여, 고객에 대한 IC카드(이하, 카드라고 함)의 발권을 영업거점(2)에서 행하는 시스템이다. 또, 영업거점(2)은 전국각지에 개설된 고객과의 창구적 역활을 하는 거점이며, 서비스제공 사업체의 지점이나 자회사도 포함되며, 노면점에 한정되지 않고, 백화점이나 역구내에 설치된 점포이어도 된다.
전용회선(3)은 제3자에 의한 누설이 불가능한 전화선 등의 회선 중에서도 또 한 상기 서비스 사업체용으로 할당된 회선이다. 전용회선(3)의 사용에 의해, 카드 발행센터(1)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각종 정보의 보안확보를 행하는 것만으로도 되며, 각 처의 영업거점(2)의 보안환경의 옮고 그름에 상관없이, 영업거점(2) 등의 각 처에서의 카드발권이 가능해진다.
이후는 전용회선(3)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하지만, 전용회선(3) 대신에 제3자의 누설이 곤란한 네트워크 회선이나, 암호화 기술에 의해 제3자에 의한 각종 정보의 해독이 불가능한 네트워크 회선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영업거점(2)으로부터 카드 기록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카드 발행센터(1)로부터 영업거점(2)에 카드 기록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반드시 같은 회선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먼저, 카드 발행센터(1)의 시스템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 발행센터(1)는 센터 교신수단(11), 제어단말 인증수단(12), 제어단말 인증 데이터베이스(13), 기록데이터 암호수단(14), 암호키 데이터베이스(15), 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16),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18)를 갖는다.
센터 교신수단(11)은, 전용회선(3)을 통해 영업거점(2)의 제어단말(21)이라 불리는 컴퓨터단말과 교신을 행하는 수단이다. 센터 교신수단(11)에 있어서는 후술과 같이, 영업거점(2)의 제어단말(21)의 인증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거나, 카드에 기록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한 것을 영업거점(2)에 송신하거나, 영업거점(2)으로부터 카드 기록결과를 수신한다. 또, 센터 교신수단(11)과, 제어단말(21)내의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의 교신기록은, 순차 카드 발행센터(1)내의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18)에 격납된다.
제어단말 인증수단(12)은, 영업거점(2)의 제어단말(21)의 인증을 행하는 수단이다. 영업거점(2)의 제어단말(21)에는 각각 IP어드레스가 할당되고, 또한 전용회선(3)을 통해 카드 발행센터(1)에 액세스해 온 제어단말(21)만을 인증 허가하게 되어 있다.
제어단말 인증 데이터베이스(13)는 각 제어단말(21)의 IP어드레스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만일, 제어단말(21)자체를 도난당했다 해도 전용회선(3)을 통해, 또한 특정의 IP어드레스에 의해 액세스하지 않으면 카드 발행센터(1)로부터 부정 액세스인 것으로서 거부당한다. 또, 전용회선(3)은 복수회선 준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시 접속상태이기 때문에, 복수의 영업거점(2)으로부터의 액세스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기록데이터 암호수단(14)은, 카드의 입회신청이나 입회신청 내용에 기초한 심사가 완료되고, 카드발권 대기상태로 되어 있는 고객의 카드에 기록해야할 개인정보나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기록데이터를 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16)에 격납해 두고, 영업거점으로부터 카드발권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기록데이터를 암호키 데이터베이스(15)에 격납되어 있는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하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개인정보에는, 성명 등의 기본정보 외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크레디트용 어플리케이션이나, 포인트시스템용 어플리케이션)마다 필요로 되는 크레디트 지불설정이나 여신한도나 포인트수 등이 포함된다.
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카드 제조공장 출하시에 이미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나, 카드 제조공장으로부터 카드회사의 카드 발행센터(1)에 카드가 납품된 후, 카드 발행센터(1)에서 기록되어 영업거점에 보내어지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영업거점(2)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업거점(2)은, 제어단말(21), 카드 리더/라이터(22)를 갖는다.
제어단말(21)은, 또한 카드교신 중개수단(211), 입출력단말(214), 암호/복호수단(212),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 리더/라이터 인증수단(215), 리더/라이터 인증 데이터베이스(216)를 갖는 컴퓨터단말이다. 제어단말(21)은 종래의 제어단말(21a)(도3참조)과 비교해서, 격납수단(218)을 갖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큰 특징이다.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은, 전용회선(3)을 통해 제어단말(21)마다 고유의 IP어드레스로 카드 발행센터(1)에 액세스하는 수단이다. 또한,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은, 카드 발행센터(1)로부터 카드에의 기록데이터를 수신하고, 후술의 카드 리더/라이터(22)에 전송해서 카드 발행센터(1)와 카드매체(23)사이의 중개를 행하거나, 입출력단말(214) 중, 키보드 등의 입력단말을 이용해서 카드 발행센터(1)에의 액세스 요구나 특정고객의 카드발권 의뢰를 행하거나,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등의 출력단말을 이용해서 발권결과 출력이나 카드 발행센터(1)로부터의 지시수신의 표시를 행한다.
암호/복호수단(212)은, 카드 발행센터(1)로부터 수신한 암호화가 완료된 기록데이터를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안에 격납되어 있는 복호키(카드 발행센터(1) 내의 암호키 데이터베이스(15)에 격납되어 있는 암호키와 대응의 관계에 있음)에 의해 복호하고, 카드 리더/라이터(22)에 삽입된, 공장 출하상태의, 또는 카드 발행센터(1)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기록데이터의 일부가 기록된 카드매체(23)에 미리 내장되어 있는 액세키와 마찬가지의,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격납되어 있는 액세스키를 이용해서 카드매체(23)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 후, 한번 복호된 기록데이터를 카드기록용 암호키에 의해 다시 암호화하는 수단이다.
또,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 및 암호/복호수단(212)은 블랙박스화되어 있으며, 만일 제어단말(21)을 도난당했다 해도,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로부터 키정보 자체를 판독하는 것은 곤란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어단말(21)에는 개인정보를 축적하지 않으므로 개인정보의 유출도 불가능하다.
또한, 후술하는 카드 리더/라이터(22)에 부정한 카드를 삽입하고, 기록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한 경우,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격납되어 있는 액세스키와 같은 키를 내장한 카드가 아니면 카드에의 기록은 행할 수 없으므로, 부정한 카드로부터의 액세스는 이 시점에서 거부되고, 키정보만이 있어도 의미가 없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암호/복호수단(212)과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의한 암호화와 복호화의 처리공정은, 영업거점(2)의 제어단말(21)이 반드시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카드 발행센터(1)내의 기록데이터 암호수단(14)에 있어서 최초부터 카드기록용 암호키에 의해 암호화한 기록데이터를 제어단말(21)의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에 송신하고, 카드 발행센터(1)내의 암호키 데이터베이스(15)에 보유되어 있는 액세스 키를 사용해서, 카드 발행센터(1)로부터 카드매체(23)에 액세스함으로써, 직접 카드매체(23)에의 기록을 행해도 좋다. 이 경우도, 제어단말(21)의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은 단지, 카드 발행센터(1)와 카드매체(23)사이의 중개를 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리더/라이터 인증수단(215)은, 후술의 카드 리더/라이터(22)를 제어단말(21)에 접속할 때, 카드 리더/라이터(22)의 인증을 행하는 수단이다. 즉, 부정한 카드 리더/라이터(22)는 카드의 기록 및 판독에 사용할 수 없다. 리더/라이터 인증 데이터베이스(216)에 격납되어 있는 카드 리더/라이터(22) 고유의 인증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행하여, 부정한 카드 리더/라이터(22)와의 액세스는 거부한다.
카드 리더/라이터(22)는, 공장 출하상태의, 또는 카드 발행센터(1)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기록데이터의 일부가 기록된 카드매체(23)를 삽입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호/복호수단(212)에 의해 카드매체(23)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 후,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을 통해 카드 발행센터(1)로부터 수신한 기록데이터를 카드매체(23)에 직접 전송해서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수단이며, 미리 제어단말(21)의 리더/라이터 인증수단(215)에 있어서 인증된 카드 리더/라이터(22)만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카드매체(23)에 기록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카드매체(23)로부터 카드 리더/라이터(22)에 있어서 판독하여,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을 통해 센터 교신수단(11)에 전달함으로써, 마치 카드 발행센터(1)와 카드가 직접 교신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 만일 부정한 데이터가 기록되었다 해도 카드 발행센 터(1)에서 교신결과를 수시 수신함으로써, 부정인지 아닌지를 체크할 수 있다.
또,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데이터가 영업거점(2)에 축적되는 일은 없으므로, 종래와 같은 축적, 기록이라는 2단계의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지며, 보안을 확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영업거점(2)에 있어서의 카드의 발권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카드내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수단이면, 카드 리더/라이터(22)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흐름의 일례를 도2의 플로챠트도 및 도1의 시스템 구성도를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고객이 영업거점(2)을 방문해서, 카드의 발권을 요구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고객은 이미 영업거점(2) 또는 카드 발행센터(1)에서 카드발행을 위한 입회신청을 FAX나 전화나 전자 메일에 의해 행하고, 카드 발행센터(1)에서의 심사를 거쳐, 고객에게 발행하는 카드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데이터를 카드 발행센터(1)내의 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16)내에 격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영업거점(2)의 제어단말(21)은,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에 의해, 전용회선(3)을 통해 카드 발행센터(1)의 센터 교신수단(11)에 액세스를 요구한다(S210).
센터 교신수단(11)은 제어단말(21)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고, 제어 단말 인증수단(12)에 있어서, 제어단말(21)에 고유의 IP어드레스와 액세스해 온 전용회선번호에 의해, 제어단말 인증 데이터베이스(13)내에 합치하는 IP 어드레스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제어단말(21)의 액세스를 허가한다(S220). IP 어드레스가 다르거나, 전용회선(3)을 통하지 않는 등의 부정한 액세스인 경우에는 액세스를 불허가 로 하여, 카드발권을 행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한다(S310).
액세스가 허가된 제어단말(21)은, 센터 교신수단(11)에 고객의 기록데이터를 요구한다는 요지를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으로부터 송신한다(S230). 예를 들면, 입출력단말(214)로부터 카드발권 대상이 되는 고객의 ID나 패스워드를 입력해서 송신한다.
센터 교신수단(21)은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에 대해서, 영업거점(2)의 카드 리더/라이터(22)를 제어단말(21)과 접속해서, 카드 리더/라이터(22)에 카드를 삽입하도록 요구한다(S240). 또한, 센터 교신수단(11)과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의 교환시마다, 실시간으로 입출력단말(214)에도 표시된다.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은 카드삽입요구를 수신하고, 제어단말(21)에 카드 리더/라이터(22)를 접속하고, 또한 카드매체(23)를 삽입한다(S250). 또한, 카드 리더/라이터(22)는 제어단말(21)의 리더/라이터 인증수단(215)에 의해, 접속허가를 받고 있는 정규의 카드 리더/라이터(22)인 것으로 한다.
삽입된 카드매체(23)와 카드 발행센터(1) 사이에서 교신이 개시된다(S260). 먼저, 제어단말(21)내의 암호/복호수단(21)은, 카드매체(23)에 내장되어 있는 액세스키와 같은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내의 액세스키에 의해, 카드매체(23)에 액세스한다. 부정한 카드인지 아닌지는, 액세스키 자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내에 격납되어 있는 액세스키와 다른 키가 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것 등으로 판별할 수 있다. 부정한 카드나, 카드내의 칩이 고장난 등의 불량카드인 경우는, 정규의 카드를 카드 리더/라이터(22)에 삽입하여 재시행한다(S255).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으로부터, 카드매체(23)가 삽입된 것, 삽입된 카드매체(23)가 정규의 것임을 수신한 센터 교신수단(11)은 기록데이터 암호수단(14)에 의해 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16)에 격납된 해당 고객의 기록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송신한다(S270).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은 암호화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고, 암호/복호수단(212)에 있어서 카드 발행센터(1)에서 암호화한 암호키와 대응되고 있는 키정보 데이터베이스(213)내의 복호키에 의해 기록데이터를 복호하고, 또한 카드매체(23)에 기록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암호키에 의해 그 기록데이터를 암호화한 후에, 카드 리더/라이터(22)에 전송하고, 삽입되어 있는 카드매체(23)에 기록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S280). 이 때, 제어단말(21) 및 카드 리더/라이터(22)에는 기록데이터의 축적은 행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암호, 복호처리 및 카드매체(23)에의 기록을 행한다.
카드 리더/라이터(22)에의 전송결과, 카드매체(23)에의 기록가부를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으로부터 센터 교신수단(11)에 송신한다(S290). 기록을 행할 수 없었을 경우는 그 요지를 센터 교신수단(11)에서 수신하고, 센터 교신수단(11)으로부터 기록데이터를 재송하는 등의 처치를 취한다.
또한, 센터 교신수단(11)과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의 쌍방의 교신결과의 이력은, 카드 발행센터(1)측의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18)에 순차 격납해 두면 바람직하다. 만일, 교신도중에 전원이 차단된, 액세스 불가능하게 된 등의 트러블이 발생했을 때라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드에 부정한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는,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18)내의 교신결과로부터 카드 발행센터(1)에서 판별할 수 있다.
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16)에, 아직 기록데이터가 남아 있는 경우는, 이전에 송신한 기록데이터가 확실하게 카드매체(23)에 기록되었다는 결과를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으로부터 수신한 것을 먼저 확인하고 나서, 센터 교신수단(11)으로부터 다음의 기록데이터를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에 송신한다(S300). 또, 마지막의 기록데이터라면, 마지막인 것을 알 수 있는 플래그 등을 붙여 기록데이터와 함께 송신한다.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에서 수신한 기록데이터는, 앞의 S280, S290과 동일한 스텝에서 카드매체(23)에의 기록을 행한다. 또한, 마지막의 기록데이터를 수신했을 때는, 다시 액세스키를 사용해서 액세스를 종료하거나 해서, 카드매체(23)에의 기록을 폐쇄하는 처리를 카드 리더/라이터(22)측에서 행하고, 카드기록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을 카드교신 중개수단(211)으로부터 센터 교신수단(11)에 송신한다.
다른 고객의 카드발권을 행하는 경우에는, S230으로 되돌아오고, 동일한 순서로 카드 발행센터(1) 사이와 제어단말(21)사이에서 교신을 행한다(S320).
이상과 같이, 영업거점(2)의 제어단말(21)내에는 기록데이터를 축적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제어단말(21)은 직접 카드 발행센터(1)와 카드간의 중개역활을 함으로써, 고유정보나 개인정보의 보안을 확보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카드의 발권을 행할 수 있으므로, 공항이나 철도의 역이나 백화점의 창구 등에서도, 급한 고객에 대해서 카드의 발권을 행할 수 있고, 카드의 발권업무를 카드회사 이외의 업자에게 위탁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 발권시스템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신규의 카드발권 외에, 발권이 완료된 카드의 기록데이터(개인정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카드 발행센터(1)에 기록데이터만 격납되어 있으면, 고객이 가장 가까운 영업거점(2)에 방문하는 것만으로, 업데이트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수단, 데이터베이스는, 그 기능이 논리적으로 구별되어 있을 뿐이며, 물리상 혹은 사실상은 동일의 영역을 행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대신에 데이터파일이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데이터베이스라고 기재한 것에는 데이터파일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매체를 시스템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의 컴퓨터가 기억매체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자체가 상기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으로 되고, 그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 상기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 어떠한 보안환경하에 놓여진 각 처의 영업거점에서나, 고객이 안심하고 카드발권을 요구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보다 나은 IC카드의 보급에 연결된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실시간으로 IC카드를 발권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카드회사의 영업거점뿐만 아니라, 공항이나 철도의 역이나 백화점의 창구 등에서도 IC카드의 발권을 행할 수 있다. 급한 고객에게도 편리하다.
IC카드에 기록되는 정보는 영업거점내에 축적되지 않으므로, 영업거점의 점원을 비롯해,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제3자에게 알려지는 것이 절대적으로 없으며, 카드회사 이외의 업자가 카드발권을 대행할 수도 있다.
신규발권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 발행되어 있는 IC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변경을 행할 때에도 본 발명은 유용하며, 카드 발행센터에 기록용 데이터만 격납되어 있으면, 영업거점에서의 카드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되어, 일부러 카드 발행센터(5)에서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과 수송비용의 삭감으로 연결된다.

Claims (16)

  1. 고객으로부터의 IC카드 신청의뢰에 기초하여 생성된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격납하는 카드 발행센터와,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하고, IC카드를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구축되는 카드 발권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행센터는,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거점에 송신하는 센터 교신수단을 갖고,
    상기 거점은, 상기 센터 교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하는 카드교신 중개수단을 갖는 것에 의해,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안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시스템은,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상기 거점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송신했다라는 교신결과를 격납하고,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상기 거점으로부터 수신하여 격납하는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시스템은,
    상기 거점의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단말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제어단말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는 제어단말 인증수단을 상기 카드 발행센터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5. 고객의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IC카드에 기록하고, 상기 고객에게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구축되는 카드 발권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하고,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 송신하는 카드교신 중개수단을 상기 단말내에 갖고,
    상기 카드 발행센터와의 교신에 의해, 확실하게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시스템은,
    IC카드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 리더/라이터로부터 상기 단말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카드 리더/라이터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리더/라이터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는 리더/라이터 인증수단을 상기 단말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7.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시스템은,
    상기 IC카드에 내장된 액세스키와 같은 키를 사용하여, 상기 IC카드의 정규, 비정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8.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시스템은,
    상기 거점에서, 고객에게의 신규 IC카드 발행 또는, 발행완료 IC카드내의 개인정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시스템.
  9. 고객으로부터의 IC카드 신청의뢰에 기초하여 생성된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격납하는 카드 발행센터와,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하고, IC카드를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실시되는 카드 발권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행센터는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거점에 송신하고,
    상기 거점은,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상기 카드기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안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방법은,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상기 거점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송신했다라는 교신결과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내의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고,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수신하여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상기 거점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로그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방법은,
    상기 거점의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단말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제어단말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방법.
  13. 고객의 카드번호 등의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드 기록데이터를 IC카드에 기록하고, 상기 고객에게 발권하는 거점에 의해 실시되는 카드 발권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카드 기록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점의 단말내에 축적하는 일없이 상기 단말과 접속된 상기 IC카드에 전송하고,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드 발행센터에 송신하고,
    상기 카드 발행센터와의 교신에 의해, 확실하게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상기 카드 발행센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방법.
  14. 제9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방법은,
    IC카드에 상기 카드 기록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 리더/라이터로부터 상기 단말에의 액세스의 가부를, 상기 카드 리더/라이터에 고유의 인증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리더/라이터 인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방법.
  15. 제9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방법은,
    상기 IC카드에 내장된 액세스키와 같은 키를 사용하여, 상기 IC카드의 정규, 비정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방법.
  16. 제9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발권방법은,
    상기 거점에서, 고객에게의 신규 IC카드 발행 또는, 발행완료 IC카드내의 개인정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방법.
KR1020047020347A 2002-06-14 2003-06-13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 KR100966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74991 2002-06-14
JP2002174991 2002-06-14
PCT/JP2003/007560 WO2003107263A1 (ja) 2002-06-14 2003-06-13 カード発券システム及びカード発券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305A KR20050023305A (ko) 2005-03-09
KR100966824B1 true KR100966824B1 (ko) 2010-06-29

Family

ID=4178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347A KR100966824B1 (ko) 2002-06-14 2003-06-13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8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943A (ja) * 1998-05-22 1999-12-10 Pfu Ltd カード発行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40665A (ja) 2000-11-01 2002-05-17 Hitachi Ltd Ic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の再利用搭載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943A (ja) * 1998-05-22 1999-12-10 Pfu Ltd カード発行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40665A (ja) 2000-11-01 2002-05-17 Hitachi Ltd Ic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の再利用搭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305A (ko)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5920A (en) Integrated circuit card
US7996326B2 (en) Financial card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authent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0520476B1 (ko) 디지털 컨텐츠 발행시스템 및 발행방법
US5864667A (en) Method for safe communications
CN100504819C (zh) 访问认证方法、信息处理单元以及可拆卸记录装置
CN100562902C (zh) 用于安全管理存储在电子标签上的数据的方法和系统
JP4501197B2 (ja) 情報携帯処理システム、情報携帯装置のアクセス装置及び情報携帯装置
US7917760B2 (en) Tamper resistant module having separate control of issuance and content delivery
US20020138761A1 (en) Authentication system
JP200152595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履歴リストを有する集積回路カード
US20070021141A1 (en) Record carrier,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ditional access to data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KR100818244B1 (ko) 태그-관련정보 보안방법 및 이를 적용한 태그-관련정보보안시스템
KR20060101343A (ko)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
US7979357B2 (en) Electronic commerce method, electronic commerce system, certificate terminal, and principal certification method by agent
JPH08249286A (ja) 電子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2943861B2 (ja) 電子貨幣カードの発行照合方法およびその方式
EP1515266A1 (en) Card issuing system and card issuing method
KR100966824B1 (ko) 카드 발권시스템 및 카드 발권방법
JP3564301B2 (ja) 勤怠管理システムおよび通門管理システム
WO2010007178A1 (en) A token delivery system
JP4295561B2 (ja) カード発券システム
CN101424898A (zh)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系统
KR100838297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백화점카드 중계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
JP3693709B2 (ja) 携帯可能情報記録媒体に対する情報書込/読出方法
JP5133743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リーダ/ライタ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