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47B1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6747B1 KR100966747B1 KR1020070124950A KR20070124950A KR100966747B1 KR 100966747 B1 KR100966747 B1 KR 100966747B1 KR 1020070124950 A KR1020070124950 A KR 1020070124950A KR 20070124950 A KR20070124950 A KR 20070124950A KR 100966747 B1 KR100966747 B1 KR 1009667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hood
- food
- present
- waste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싱크대의 상부장 내에 장착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건조 신호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후드와 연결된 공기배출관의 밸브를 스위칭시키고 후드의 팬에 전원을 투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in the upper cabinet of a sink and automatically switches on the valve of the ai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hood when the dehydration / drying signal of the food waste is applied, and feeds the food waste by turning on the fan of the ho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at can automatically discharge odor generated during processing to the outside.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및 건조시킬 때 발생되는 악취를 자동으로 공기배출관을 통해 후드의 배출경로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사용의 편의성이 매우 높으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동 정지시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면서 환풍팬이 정지됨으로써 사용상의 간편성이 높은 효과를 제공한다.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odor generated when dehydrating and drying the food waste to the discharge path of the hood through the air discharge pipe, the ease of use is very high, the solenoid valve automatically when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is stopped As the ventilation fan is stopped while it is closed, it provides an effect of high ease of use.
음식물쓰레기, 자동 밸브 스위칭, 악취 배출. Food waste, automatic valve switching, odor dischar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상부장내에 장착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건조 신호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후드와 연결된 공기배출관의 밸브를 스위칭시키고 후드의 팬에 전원을 투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dehydration / drying signal of the food waste is installed in the upper cabinet of the sink and the food waste is applied, it automatically switches the valve of the ai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hood and turns on the fan of the ho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odor generated during processing of food waste to the outside.
주지된 바와 같이, 도시 인구의 증가로 도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양의 집중적인 증가는 각종 사회, 경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것의 해결을 위한 다양한 기술 및 제도 그리고 쓰레기 문제에 대한 국민적인 인식의 개선에 관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the intensive increase in the amount of food waste generated in cities due to the increase of urban population has caused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public has been challenged by various technologies, institutions, and trash problems.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awareness.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처리방식과, 소각 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그리고 땅속에 매립하는 매립방식 등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방식들은 대체적으로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소위, 님비(NIMBY)라 불리는 사회 문제 를 유발한다.In general, the method of treating food waste includes a fermentation method using microorganisms, an incineration method, a recycling method of feed and fertilizer (compost), and a landfill method which is buried in the ground. Not only do they require large-scale facilities, but they also cause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odor or discomfort from the collection, transportation or storage of food waste, and the so-called NIMBY.
이러한 상황에서 궁극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하는 한 상기의 문제들을 피할 수 없다.In such a situation, the above problems cannot be avoided unless ultimatel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food waste.
한편,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피와 중량이 크고 악취의 원인이 되며, 또한 이를 그대로 소각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 내에 포함된 수분등으로 인하여 열효율의 저하와 2차 환경 오염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는 그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라 할 수 있으나, 그러나 최근 들어 소득수준의 증가와 더불어 음식물 쓰레기의 양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food waste generally contains a lot of moisture, which causes bulk and weight to cause odors, and when incinerated as it is, it provides a cause of degradation of thermal efficiency and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moisture contained in food waste. Therefor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food waste can be said to be the best solution, but recently, the amount of food waste is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of income level.
이러한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와 일체로 결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된바 있는데, 통상의 일반적인 싱크대 구조를 우선 보면, 이는 그 내부 공간에 그릇 등 주방용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상면에는 싱크대(4)가 안착되며 그 측방에는 가스렌지(6)를 설치한 싱크대 다이(2)의 구성을 포함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recently, as shown in Figure 1 has been develope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sink, a conventional general sink structure, first, which is a kitchen utensil such as a bowl in the interior space It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the
또한, 상기 가스렌지(6)의 상부에는 음식물의 조리시 음식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8)가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4)의 배수구 입구부에는 미세 걸름망이 외주연에 형성된 음식물 수거통(12)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이 음식물 수거통(12)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내부에 삽입된다.In addition, a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상기 음식물 수거통(12)을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키기 위한 회전통(14)이 그 음식물 수거통(12)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 으며, 상기 회전통(14)의 외주연에는 히터(16)가 구비된다.The food
또한, 상기 회전통(14)은 그 하단 중앙에 모터축과 너트로 결합되어져 있고, 그 모터축은 모터(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회전통(14)의 외부는 배수외통(20)에 의해 둘러 싸여져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배수외통(20)의 내벽은 배수망(22)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방출된 오수를 배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 외통(20)의 하단에는 배수관(24)이 연결되고 이 배수관(24)은 배수로(미도시)와 연결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inner wall of the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상기 모터(18)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처리하고, 그 회전통(14)의 외주연에 권취된 히터(16)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ood
그러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히터(16)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때 심한 악취가 발생되지만 그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마련되지 아니하여 필연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를 통하여 음식물의 중량 및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심한 악취를 사용자가 스스로 견뎌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o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싱크대의 상부장 내에 장착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건조 신호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후드와 연결된 공기배출관의 밸브를 스위칭시키고 후드의 팬에 전원을 투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악취의 배출경로인 공기배출관이 위치한 후드 근방까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악취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관 설치의 단순화 및 후드의 배출저항을 낮출 수가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state of the art. When the dehydration / drying signal of food waste is applied and installed in the upper cabinet of the sink, the valve automatically switches the valve of the ai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hood and turns on the fan of the hood.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odor generated during the disposal of food waste to the outside, the pipe is installed by discharging the odor while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is raised to the vicinity of the hood where the air discharge pipe, which is the discharge path of the odor, is rai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simplifying and reducing the discharge resistance of the ho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탈수 및 건조시간 동안 발생된 악취를 후드와 연결된 공기 배출관의 유통로측으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후드내에 장착된 환풍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기토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관은 싱크대다이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장의 내부로 부터 설치되면서 그 일측은 후드와 연통되게 하고 타측은 싱크대다이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은 그 전방이 개방되면서 그 내부는 가이드통로로 구성되어 이 가이드통로의 내부에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ening the valve to exhaust the odor generated during the dehydration and drying time for food waste toward the distribution path side of the ai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hood, 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unted fan to drive the odor generated during the disposal of food waste to the outside, the air discharge pipe is installe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cabine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die One side i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hoo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ink die, the guide rail is opened in its front while the inside is composed of a guide passage is driven up / down inside the guide passage Allowing food waste disposal devices to be moved up or down by means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is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및 건조 시킬때 발생 되는 악취를 자동으로 공기배출관을 통해 후드의 환풍팬으로 배기시킴으로써 악취발생의 배제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이 높으면서, 악취의 배출경로인 공기배출관이 위치한 후드 근방까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악취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관 설치의 단순화 및 후드의 배출저항을 낮출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leasing the odor generated when dehydrating and drying the food waste to the fan fan of the hood automatically through the air discharge pipe while the ease of use due to the elimination of odor generation, the discharge of odo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the pipe and lower the discharge resistance of the hood by discharging the odor while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raised to the vicinity of the hood in which the air discharge pipe is located.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정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는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건조 신호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후드(8)와 연결된 공기배출관(28)의 밸브(50)를 스위칭시키고 후드(8)의 팬에 전원을 투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자동으로 악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악취의 배출경로인 공기배출관(28)이 위치한 후드(8) 근방까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악취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관 설치의 단순화 및 후드의 배출저항을 낮출 수가 있도록 한 장치이다.Referring to this, the foo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는 싱크대 다이(2)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장(10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되, 그 일측상단은 후드(8)와 상호 연통되도록 공기배출관(28)이 설치되며, 그 하부로는 내부가 가이드통로(112)로 구성된 가이드레일(110)이 배치되어진 구성이다.To this end, the food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는 상부장(10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그 하부로 배치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가이드레일(110)의 상부 내벽에 마련된 승하강 구동수단(120)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가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In more detail, the food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이는 원통 형상 내지 육각면체 형상으로 구성된 외부 케이스(32)가 구성되고, 이 외부 케이스(32)의 바닥면에는 모터(18)가 설치되며, 그 모터(18)를 둘러싸는 방수격벽(36)이 상기 외부 케이스(3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구성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ood
상기 방수격벽(36)의 상부에는 그 외주연에 다수의 배수공(38a)이 형성되면서 내주연에 히터(42)와 볼베어링(44)이 일정간격으로 배설된 고정외통(38)이 구비되는 바, 상기 히터(42)는 전원 투입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상기 고정외통(38)의 내부에는 배수공(40a)이 그 측벽 및 저면에 다수개 형성되면서 그 저면의 중앙이 상기 모터(18)의 축과 결합된 회전통(4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통(40)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통(40)의 내벽면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 벽면 및 저면에 다수의 배수공(12a)이 형성된 일반적인 음식물 수거통(12)이 장착된다.Inside the fixed
즉, 상기 음식물 수거통(12)은 일반적인 싱크대(4)에 구비된 음식물 수거통(12)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그 직경이나 전체 크기는 표준화되어 있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음식물 수거통(12)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덮기 위한 음식물 이탈 차단커버(46)가 마련되어져 있고, 그 음식물 이탈 차단커버(46)에는 다수개의 통기공(46a)이 형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32)의 내부 상단에는 공기 유통로(48)가 구성되어져 있고 이 공기 유통로(48)의 일측 소정부는 공기배출관(28)과 연통되며, 그 공기 배출관(28)과 연결된 공기 유통로(48)의 소정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5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공기 유통로(48)의 상단에는 외부 케이스(32)를 덮기 위한 커버(52)가 마련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는 우선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면 도 3 과 같이 가이드레일(110)의 저면부분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를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의 커버(52)및 음식물 이탈 차단커버(46)를 각각 분리하여 음식물 수거통(12)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킨다.Therefore, the food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의 음식물 수거통(12)내에 음식물 찌꺼기의 투입이 완료되면, 승하강구동수단(120)을 작동시켜 가이드레일(110)의 저부로 부터 그 상부방향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를 이동시킨다. When the input of food waste into the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의 상승이 완료되면, 이때부터 탈수 및 건조동작이 시작되는데 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탈수시키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비중 및 부피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When the ascending of the foo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의 탈수와 건조시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밸브(50)가 개방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후드(8)로 강제 배출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oo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는 그 외부 케이스(32)의 소정부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 및 구동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 조작부(60) 및 정지조작부(62)가 마련되어져 있다.Referring to this, the food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 및 모터(18), 히터(42)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밸브 구동부(64), 모터구동부(66), 히터구동부(68)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 조작부(60) 및 정지조작부(62)로 부터 구동신호 또는 구동정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밸브 구동부(64), 모터구동부(66), 히터구동부(68)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스위칭부(51)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후드의 환풍팬(미도시)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부(70)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 및 모터(18), 히터(42)를 구동하기 위해 시간을 타이밍하는 타이머(70a)가 구비되어져 있다.In addition, a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는 상기 회전 조작부(60)로부터 조작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 및 모터(18), 히터(42)를 구동시킴으로써 모터(18)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히터(42)를 구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며, 모터(18)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를 개방한다.Therefore, the food
동시에,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스위칭부(51)에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후드(8)의 환풍팬(미도시)을 강제 구동시킨다. 그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0)의 내부에서 음식물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후드(8)를 통해 강제 배기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이때, 상기 제어부(70)에는 미리 탈수와 건조시간이 설정 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모터(18)와 히터(42)의 구동을 설정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dehydration and drying time are set in advance in the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는 상기 모터(18)의 구동 개시시간부터 상기 히터(42)의 구동 완료시간까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후드(8)의 환풍팬도 해당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정지조작부(62)로 부터 구동 중간에 정지 명령신호가 인가되거나, 상기 타이머(70a)에 기설정된 탈수 및 건조시간이 모두 경과된 경우라면 상기 모터(18) 및 히터(42)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공기 유통로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In addition, if the stop command signal is applied in the middle of driving from the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스위칭부(51)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후드(8)의 환풍팬에 투입된 전원을 차단하여 환풍팬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싱크대에 일체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is integrally installed in a sink;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8:모터, 28:공기배출관,18: motor, 28: air discharge pipe,
30: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60:회전조작부,30: food waste treatment device, 60: rotary control unit,
62:정지조작부, 50:솔레노이드밸브,62: stop operation section, 50: solenoid valve,
51:스위칭부, 70:제어부.51: switching unit, 70: control uni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4950A KR100966747B1 (en) | 2007-12-04 | 2007-12-04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4950A KR100966747B1 (en) | 2007-12-04 | 2007-12-04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8256A KR20090058256A (en) | 2009-06-09 |
KR100966747B1 true KR100966747B1 (en) | 2010-06-29 |
Family
ID=4098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4950A KR100966747B1 (en) | 2007-12-04 | 2007-12-04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67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8472B1 (en) * | 2020-07-08 | 2022-04-19 | 최정동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422A (en) * | 1991-07-12 | 1993-01-26 | Matsushita Seiko Co Ltd | Cooking device |
JPH11216442A (en) * | 1998-01-30 | 1999-08-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Air feed and discharge structure of crude refuse treatment apparatus |
KR100358920B1 (en) | 1999-12-02 | 2002-11-01 | 최용원 | Garbage Drying Apparatus |
KR20070109365A (en) * | 2006-05-11 | 2007-11-15 | 김정호 | Food waste processor |
-
2007
- 2007-12-04 KR KR1020070124950A patent/KR10096674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422A (en) * | 1991-07-12 | 1993-01-26 | Matsushita Seiko Co Ltd | Cooking device |
JPH11216442A (en) * | 1998-01-30 | 1999-08-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Air feed and discharge structure of crude refuse treatment apparatus |
KR100358920B1 (en) | 1999-12-02 | 2002-11-01 | 최용원 | Garbage Drying Apparatus |
KR20070109365A (en) * | 2006-05-11 | 2007-11-15 | 김정호 | Food waste proc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8256A (en) | 2009-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8130B1 (en) | garbage disposer | |
WO2005061134A1 (en) |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 |
CN111672872A (en) |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with deodorization mechanism | |
CN111405948A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1209789B1 (en) |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KR100966747B1 (en)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
JP3953448B2 (en) | Kitchen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 |
JP3057169B2 (en) | Garbag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0748853B1 (en) | Food garbage crusher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 |
KR100512256B1 (en) | A treatment apparatus of a food refuse | |
KR102255835B1 (en) | Dryer for garbage | |
KR200173892Y1 (en) | Kitchen evaporator for wet-food waste | |
KR200468989Y1 (en) | Cooling system for food waste treatment and food waste treatment using thereof | |
KR101035477B1 (en) | Boiler with Food Waste Dryer | |
KR20000072156A (en) | Kitchen refuse disposal apparatus | |
KR20060028359A (en) | Dewatering Device of Food Waste | |
CN219008801U (en) | Dustbin with deodorization function | |
KR200146350Y1 (en) | A device for treating garbage | |
CN205165333U (en) | Organic refuse treatment machine of intelligence with integral type blowdown channel device | |
KR100663702B1 (en) | Automatic drier for food waste | |
KR10082013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ood waste | |
KR101466114B1 (en)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
KR100277383B1 (en) | Food Waste Drying Processor | |
KR100780821B1 (en) | Food waste drier | |
KR200155216Y1 (en) | Dehydrator for garb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0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