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72B1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72B1
KR102388472B1 KR1020200084002A KR20200084002A KR102388472B1 KR 102388472 B1 KR102388472 B1 KR 102388472B1 KR 1020200084002 A KR1020200084002 A KR 1020200084002A KR 20200084002 A KR20200084002 A KR 20200084002A KR 102388472 B1 KR102388472 B1 KR 10238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food waste
sink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6256A (en
Inventor
최정동
Original Assignee
최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동 filed Critical 최정동
Priority to KR102020008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72B1/en
Publication of KR2022000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2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볼의 배수구 하측에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구로 삽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상부망; 상기 상부망 내에 위치하고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망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망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수용하는 하부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망 및 상기 하부망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빠져나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for a sink, comprising: a main body coupled to a lower side of a drain port of a sink bowl; an upper network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eive food wast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 pulverizing unit located in the upper network and pulverizing food waste; and a lower network located inside the body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network to receive the pulverized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upper network, wherein the upper network and the lower network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o provide the drain hole exits through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먹고 남은 음식물쓰레기가 매일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거름망에 의해 걸러지며, 걸러진 음식물쓰레기는 별도의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저장 및 일정량 저장되면 음식물 쓰레기봉투 등을 통해 배출하고 있다.In homes and restaurants, leftover food waste is discharged every day. In general, such food waste is filtered by a sieve installed at the drain port of the sink, and the filtered food waste is stored in a separate food waste storage bin and, when a certain amount is stored, is discharged through a food waste bag.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하여 지정된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넣어 배출하지 않고 쓰레기봉투 등에 일반쓰레기와 포함하여 배출시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부패가 이루어지고, 이는 악취나 나쁜 세균을 번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이는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However, rather than separating food waste and putting it in a designated food waste bag, it is frequently thrown out together with general waste in garbage bags. It is the cause of the breeding of bad odors and bad bacteria, which is pointed out as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음식물쓰레기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싱크대에 직접 결합시키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개발된 바 있다. 기존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수구 측에서 처리하여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게 되는데, 고형물을 수집하는 수집통은 배수구와 먼 곳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수집통을 비우기 위해서 싱크대 아래의 수납장을 열고, 수집통을 빼내야 한다. In order to easily remove moisture and reduce the volume of food waste, a food waste processor for sink directly coupled to the sink has been developed. Existing food waste disposer for sink separates solids and moisture by treating food waste from the drain side, and the collecting bin for collecting solids is located far from the drain. The user has to open the cabinet under the sink to empty the collection bin and remove the collection bin.

사용자는 수집통을 비우는 방식이 번거롭기 때문에 수집통을 이용하지 않고, 고형물을 수분과 함께 그대로 방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운영시 수질 및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새로운 방식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요구되고 있다.Because the method of emptying the collecting bin is cumbersome, the user does not use the collecting bin and discharges the solids together with moisture. When this method is continuously operated, serious problems that can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contaminating water and soil, occur, and a new type of food waste disposal for the sink i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searched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r a sink for a long time and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rial and error.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capable of pulverizing food waste.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쉽게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in which a user can easily dispose of food waste.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싱크볼의 배수구 하측에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구로 삽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상부망; 상기 상부망 내에 위치하고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망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망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수용하는 하부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망 및 상기 하부망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빠져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of the sink; an upper network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eive food wast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 pulverizing unit located in the upper network and pulverizing food waste; and a lower network located inside the body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network to receive the pulverized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upper network, wherein the upper network and the lower network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o provide the drain hole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for a sink, characterized in that it exits through the sink.

상기 상부망은 측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망의 하면에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상기 하부망으로 유출하기 위한 제1 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network may hav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first hole for discharging the pulverized food waste to the lower network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상기 상부망의 측면에는 상기 제1 홀보다 크기가 작은 제2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may b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상기 하부망은 측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망의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홀보다 크기가 작은 제3 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network may hav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third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상기 하부망으로부터 유출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moisture leaked from the lower network.

상기 분쇄부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분쇄날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망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체를 연결하는 로드(ro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rushing unit, the rotating body; and a grinding blade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the motor being positioned below the lower network to rotate the rotating body; and a rod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rotating body.

상기 로드는 상기 하부망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와 상기 하부망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The rod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and the rod and the lower network may be separable.

상기 하부망에는 하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될 수 있다. A guide tube extending upw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is formed, and the rod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상기 하부망의 하면에는 상기 로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커버는 열리고, 상기 로드와 상기 하부망이 분리된 경우, 상기 커버는 닫힐 수 있다. An openable and openable cover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d, and when the rod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the cover is opened, and when the rod and the lower network are separated, the cover is can be closed

상기 하부망과 상기 모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는 방수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bulkhead formed in the body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network and the motor.

상기 상부망 및 상기 하부망은, 서로 끼움결합 또는 자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network and the lower network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fitting or a magn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isture in the food waste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volume of the food wast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 고형분을 싱크대의 배수구 측에서 바로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treat the solid food waste directly from the drain side of the sink.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added that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potential effects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싱크볼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물을 버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상부망과 하부망의 다양한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수격벽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출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ink bowl.
2 is a view showing a food waste treatment process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discarding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ub-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various coupl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upper network and the lower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waterproof bulk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charge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for a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veal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function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싱크볼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ink bowl. 2 is a view showing a food waste treatment process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 이하 번호 생략)는 싱크볼(1)에 직접 결합된다. 싱크볼(1)의 하측에 결합되고, 싱크볼(1)의 배수구(2)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배수구(2)를 통해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여 이를 분쇄처리한 후, 수분은 배출관(600)을 통해 방출하고,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내부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임시 저장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은 사용자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봉투 또는 수집통으로 배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10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upled to the sink bowl 1 . It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nk bowl (1), and is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bowl (1).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receives water and food waste through the drain hole 2 and pulverizes them, then discharges the moisture through the discharge pipe 600, and the pulverized food waste can be temporarily stored inside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The temporarily stored pulverized food waste may be discharged into a food waste bag or a collection bin by a user.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본체(100), 상부망(200), 분쇄부(300), 하부망(400)을 포함하고, 배출관(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망(200) 및 상기 하부망(400)은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싱크볼(1)의 배수구(2)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 an upper network 200 , a crushing unit 300 , and a lower network 400 , and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ipe 600 . may include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come out through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bowl 1 .

본체(100)는 중공부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기둥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싱크볼(1)의 배수구(2) 하측에 결합되고, 본체(100)의 중공부는 싱크볼(1)의 배수구(2)와 연결된다. 본체(100)는 스테인리스 스틸, 기타 금속,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100 may have a hollow part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lose to a cylinder as a whole. The body 1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bowl 1 , and the hollow part of the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bowl 1 . The body 1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other metals, and plastics.

상부망(200)은 음식물쓰레기(F1, 이하 번호 생략)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다. 음식물쓰레기는 배수구(2)를 통과하여 상부망(20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다. The upper network 200 has an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food waste (F1, hereinafter number omitted), and is located inside the body 100 . The food waste passes through the drain hole 2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upper network 200 .

상부망(200)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망(200)의 직경은 본체(100)의 직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망(200)의 측면은 본체(100)의 측면과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상부망(200)의 측면과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network 2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The diameter of the upper network 200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a spaced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

상부망(200)은 테두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210)는 상부망(200)의 최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210)에 의해 상부망(200)의 최상단 직경은 커지고, 테두리부(210)는 싱크볼(1) 상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망(200)은 싱크볼(1)에 걸려 더 이상 하측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The upper network 200 may include an edge portion 210 . The edge portion 210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ly at the top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uppermost diameter of the upper network 200 may be increased by the edge portion 210 , and the edge portion 210 may be placed on the sink bowl 1 . Accordingly, the upper network 200 may be caught by the sink bowl 1 and not fall downward any longer.

상부망(200)은 측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하면에는 제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는 상부망(200) 내에서 분쇄되는데,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은 제1 홀(H1)을 통해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1 홀(H1)은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의 입자(예를 들어, 분쇄 목표 입자) 이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network 200 has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first hole H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Food waste is pulverized in the upper network 200 , and the pulverized food waste may flow downward through the first hole H1 . The first hole H1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or equal to particles of pulverized food waste (eg, pulverized target particles).

상부망(200)의 측면에는 제2 홀(H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홀(H2)은 제1 홀(H1)보다 크기(직경)가 작을 수 있다. 제2 홀(H2)은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의 입자(예를 들어, 분쇄 목표 입자)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은 제1 홀(H1)을 통해 하측으로는 유출되지만 제2 홀(H2)을 통해 측부로는 유출되지 않는다. 다만, 제2 홀(H2)을 통해 수분은 유출될 수 있다. 제1 홀(H1)과 제2 홀(H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한 개의 제2 홀(H2)의 크기는 한 개의 제1 홀(H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A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 and the size (diameter) of the second hole H2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H1 . The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particles of the pulverized food waste (eg, pulverized target particles). In this case, the pulverized food waste flows downward through the first hole H1 but not to the side through the second hole H2. However, moisture may flow out through the second hole H2. The first hole H1 and the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the size of one second hole H2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one first hole H1 .

분쇄부(300)는 상부망(200) 내에 위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분쇄부(300)는 회전체와 분쇄날(3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날(320)은 회전체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분쇄날(320)이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는 분쇄될 수 있다.The pulverizing unit 300 may be located in the upper network 200 to pulverize food waste. The crushing unit 300 may include a rotating body and a crushing blade 320 . The grinding blade 32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s the rotating body rotates, the grinding blade 320 rotates together, and accordingly, the food waste may be crushed.

회전체는 회전축(311)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날(320)은 회전축(311)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311)은 상부망(200)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다. 분쇄날(320)은 회전축(311)의 축분쇄날(320)은 일단이 회전축(311)에 결합되고 회전축(311)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며, 엣지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분쇄날(32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회전체(회전축(311))가 상부망(200)의 하면을 관통하는 경우, 회전체(회전축(311))와 상부망(200) 사이는 방수가 가능하도록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311 . The grinding blade 32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11 . The rotation shaft 311 may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grinding blade 320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11 and a long extension from the rotation shaft 311, and may have a thin edge. However, the shape of the grinding blade 32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ng body (rotating shaft 311)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a packing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otating body (rotating shaft 311) and the upper network 200 to be waterproof.

회전체는 회전축(311) 및 회전판(31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312)은 회전축(311)에 결합되고, 분쇄날(320)은 회전판(312)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판(312)은 상부망(200) 내에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판(312)의 직경은 상부망(200)의 내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분쇄날(320)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삼각형의 변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분쇄날(32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rotating body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311 and a rotating plate 312 . The rotating plate 312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11 , and the grinding blade 32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312 . The rotating plate 312 may be formed horizontally in the upper network 200 , and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plate 312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grinding blade 320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the triangular side may be thinly formed. However, the shape of the grinding blade 32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회전축(311)에 결합된 분쇄날과 회전판(312)에 결합된 분쇄날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동일하여도 무관한다.The grinding blad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11 and the grinding blade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312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but may be the same.

한편, 회전판(312)에는 홀(HH)이 형성될 수 있다. 홀(HH)의 크기는 상부망(200)의 제1 홀(H1)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홀(HH)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판(312)의 홀(HH)은 필수 구성은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a hole HH may be formed in the rotating plate 312 . The size of the hole HH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pulverized food waste may move downward through the hole HH. The hole HH of the rotating plate 312 is not essential and may be omitted.

하부망(400)은 음식물쓰레기(또는 음식물쓰레기 분쇄물)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다. 하부망(400)은 상부망(200)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network 400 has an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food waste (or pulverized food waste), and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 The lower network 4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detachably coupled.

음식물쓰레기는 배수구(2)를 통과하여 상부망(20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부망(200) 내에서 분쇄부(300)에 의해 분쇄된다. 음식물쓰레기(또는 음식물쓰레기 분쇄물)(F2, 이하 번호 생략)는 상부망(200)으로부터 배출되어 하부망(400)에 수용된다.The food waste passes through the drain hole 2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upper net 200 , and is pulverized by the crusher 300 in the upper net 200 . Food waste (or pulverized food waste) (F2, hereinafter number omitted)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network 200 and accommodated in the lower network 400 .

하부망(400)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망(400)의 직경은 본체(100)의 직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망(400)의 측면은 본체(100)의 측면과 서로 이격될 수 있고, 하부망(400)의 측면과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network 4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The diameter of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a spaced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4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

하부망(400)은 측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H3)은 상부망(200)의 제1 홀(H1)보다 크기(직경)가 작을 수 있다. 제3 홀(H3)은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의 입자(예를 들어, 분쇄 목표 입자)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은 제3 홀(H3)을 통해 유출되지 않는다. 다만, 제3 홀(H3)을 통해 수분은 유출될 수 있다. 제3 홀(H3)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개의 제3 홀(H3)의 크기는 한 개의 제1 홀(H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e lower network 400 has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third hole H3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third hole H3 may have a smaller size (diameter) than the first hole H1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third hole H3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food waste (eg, pulverized target particles). In this case, the pulverized food waste does not flow out through the third hole H3. However, moisture may flow out through the third hole H3. The third hole H3 may be formed in plurality. A size of one third hole H3 may be smaller than a size of one first hole H1 .

한편, 제3 홀(H3)의 크기는 상부망(200)의 제2 홀(H2)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size of the third hole H3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of the upper network 2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싱크볼(1)의 배수구(2)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을 분리하고, 하부망(400)에 포집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upper network 200 and lower network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come out through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bowl 1 . Accordingly, the user can separate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 and discharge the pulverized food waste collected in the lower network 400 to the outside.

도 2를 참조하여, 음식물쓰레기와 수분의 이동 경로를 살펴본다. 도 2에서 실선 화살표는 음식물쓰레기의 이동 경로, 점선 화살표는 수분의 이동 경로를 대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2 , a movement path of food waste and moisture will be described. In FIG. 2 , a solid arrow indicates a movement path of food waste, and a dotted arrow indicates a movement path of moisture.

음식물쓰레기는 물과 함께 배수구(2)를 통해 상부망(200)에 수용된다. 음식물쓰레기는 분쇄되어 제1 홀(H1)을 통해 하부망(400)으로 이동한다.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은 하부망(400)에 포집되며, 하부망(400)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The food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network 200 through the drain hole 2 together with water. The food waste is pulverized and moves to the lower network 400 through the first hole H1. The pulverized food waste is collected in the lower network 400 and does not flow out of the lower network 400 .

수분(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유입된 물, 또는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물)은 상부망(200)에서 제2 홀(H2)을 통해 상부망(200)과 본체(1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유출된다. 또한, 하부망(400)에서도 제3 홀(H3)을 통해 하부망(400)과 본체(1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수분은 배출관(600)으로 방출된다.Moisture (water introduced with the food waste or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flows out from the upper network 200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econd hole H2. . In addition, the lower network 400 also flows out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network 400 and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third hole H3. This moistur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60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는 현저히 감소할 수 있고, 수분만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volume of food was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only moisture can be selectively and easily removed.

사용자는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을 배수구(2)를 통해 꺼내고,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을 분리하고, 하부망(400)에 포집된 음식물쓰레기(분쇄물)을 봉투 또는 수집함에 쏟아버릴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다 버리고나면, 상부망(200), 하부망(400)을 다시 배수구(2)를 통해 넣어 본체(100) 내부에 위치시키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재사용할 수 있다.The user takes out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through the drain hole 2 , separates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 and collects food waste (pulverized material) in the lower network 400 . ) into a bag or collection box. After disposing of the pulverized food waste, the upper net 200 and the lower net 400 are again put through the drain hole 2 to be plac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can be reused.

한편, 배출관(600)은 상부망(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 및/또는 하부망(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본체(100)에 형성된다. 배출관(600)은 본체(100)의 중공부와 연통된다. 배출관(600)은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ipe 600 is formed in the body 100 to discharge the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upper network 200 and / o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lower network (400). The discharge pipe 600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part of the body 100 . The discharge pipe 60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모터(500), 로드(550), 방수격벽(7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tor 500 , a rod 550 , a waterproof bulkhead 700 , and the like.

모터(500)는 분쇄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분쇄부(300)가 회전체와 분쇄날(320)을 포함하고, 모터(500)는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500)는 하부망(4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500)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motor 500 may drive the crushing unit 300 . The grinding unit 300 includes a rotating body and a grinding blade 320 , and the motor 500 may rotate the rotating body. The motor 500 may be located below the lower network 400 . The type of the motor 500 is not limited.

로드(rod)(550)는 모터(500)와 회전체를 연결하여, 모터(500)의 동력을 회전체로 전달할 수 있다. 로드(550)는 하부망(400)의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회전체(회전축(311))는 상부망(200)의 하면을 관통하고, 로드(550)는 하부망(400)의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체(회전축(311))와 로드(55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rod 550 may connect the motor 500 and the rotating body to transmit power of the motor 500 to the rotating body. The rod 550 may exten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400 to the rotating body. In particular, the rotating body (rotation shaft 311)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the rod 550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400, the rotating body (rotation shaft 311) and the rod 550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하부망(400)을 관통하는 로드(550)는 하부망(400)과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부망(400)에 포집된 음식물쓰레기(분쇄물)를 버리려고 한다면, 하부망(400)을 로드(5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rod 550 passing through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network 400 . If the user intends to discard the food waste (pulverized material) collected in the lower network 400 ,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rod 550 .

도 3(a)를 참조하면, 하부망(400)에는 가이드관(450)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550)는 가이드관(450)에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a guide tube 450 may be formed in the lower network 400 . The rod 55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450 .

도 3(b)를 참조하면, 가이드관(450)은 하부망(400)의 하면을 관통하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관(450) 내부에 로드(550)가 삽입되기 위한 중공부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관(450)이 하부망(4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관(450)의 높이는 하부망(400)의 최상단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 the guide tube 450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400 and may extend upward. A hollow portion for inserting the rod 550 into the guide tube 450 may be provided. The guide tube 450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network 400 . The height of the guide tube 450 may be formed below the uppermost end of the lower network 400 .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이 결합되고, 로드(550)는 가이드관(450)에 삽입되고 회전체(회전축(311))와 결합된다. 모터(500)의 작동에 따라 회전체는 회전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는 분쇄될 수 있다. 로드(550)는 직접 회전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이드관(450)과 로드(550)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are coupled, and the rod 5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450 and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rotation shaft 31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500, the rotating body may rotate, and the food waste may be pulverized. The rod 550 may rotate directly, and in this case, a bea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tube 450 and the rod 550 .

한편, 로드(550)는 회전하지 않는 외곽과, 회전하는 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하는 내부는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외곽과 내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d 550 may include a non-rotating outer and a rotating inner. The rotating inside may rotate the rotating body. A bea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art and the inner par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물을 버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discarding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음식물쓰레기는 하부망(400)의 가이드관(450) 외측 부분에 수용된다.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배수구(2)를 통해 빠져나옴으로써 본체(100)로부터 분리되고, 하부망(400)(가이드관(450))은 로드(550)로부터 분리된다. 상부망(200)과 하부망(400) 역시 분리되고, 하부망(400)에 포집된 음식물쓰레기(분쇄물)는 버려진다(도 4(b)).Referring to FIG. 4A , the food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guide tube 450 of the lower network 400 .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by exiting through the drain hole 2 , and the lower network 400 (guide pipe 450 ) is separated from the rod 550 .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are also separated, and the food waste (pulverized material) collected in the lower network 400 is discarded (FIG. 4(b)).

방수격벽(700)은 하부망(400)과 모터(5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100) 내에 형성되어, 수분이 모터(500) 측으로 침투하지 않게 한다. 로드(550)는 방수격벽(700)을 관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수격벽(700)과 로드(550) 사이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패킹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proof bulkhead 700 is formed in the body 100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network 400 and the motor 500 , so that moisture does not penetrate toward the motor 500 . The rod 550 may penetrate the waterproof bulkhead 700 . In this case, a packing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waterproof bulkhead 700 and the rod 550 so that moisture does not penetrate.

상부망(200) 및/또는 하부망(400)에서 유출된 수분은 방수격벽(700)으로 낙하하여 배출관(600)으로 이동할 수 있다.Water leaked from the upper network 200 and/or the lower network 400 may fall to the waterproof bulkhead 700 and move to the discharge pipe 600 .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망(40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ower network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망(400)은 테두리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410)는 하부망(400)의 최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lower network 400 may include an edge portion 410 . The edge portion 410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ly at the top of the lower network 400 .

또한, 본체(100)에는 하부망(400)의 테두리부(410)에 대응되는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망(400)의 테두리부(410)는 상기 홈(110)에 구속됨으로써, 하부망(4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망(200)의 회전체는 로드(550)와 결합하되, 하부망(400)과 상부망(200)은 직접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a groove 110 corresponding to the edge portion 410 of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formed in the body 100 . The edge portion 410 of the lower network 400 is constrained by the groove 110 ,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fixed. In this case, the rotating body of the upper network 200 is coupled to the rod 550 , but the lower network 400 and the upper network 200 may not be directly coup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부망(400)은 홈(110)에 들어가는 것도, 빠져나오는 것도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부(410)의 탄성이 충분하여, 홈(110)에 들어갈 때에는 상측으로 꺾이고, 홈(110)에서 나올 때에는 하측으로 꺾일 수 있다. The lower network 400 can be easily implemented to enter and exit the groove 110 . For example, the elasticity of the rim portion 410 is sufficient, and when entering the groove 110, it can be bent upward, and when it comes out of the groove 110, it can be bent downwar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의 다양한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상하로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6 and 7 are views showing various coupl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vertically and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도 6을 참조하면,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자석(8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망(200)과 하부망(400) 중 하나에 자석(8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망(200)에 마련된다면 상부망(200)의 하면에 위치하고, 하부망(400)에 마련된다면 하부망(400)의 최상단(또는 테두리부(41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자석(800)이 마련되지 않은 망에는 철 소재의 물체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부망(200)과 하부망(400) 모두에 자석(800)이 마련될 수 있고, 양 망의 자석(800)은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자석(800)의 자력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체결은 해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detachably coupled by a magnet 800 . A magnet 800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 If it is provided on the upper network 200, it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and if it is provided on the lower network 400, it may be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or the edge portion 410) of the lower network 400. In addition, an object made of iron may be provided in the net on which the magnet 800 is not provided. Alternatively, magnets 800 may be provided on both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 and the magnets 800 of both networks may be disposed to face different poles from each other. In both cases,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fasten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800 . In addition, the coupling may be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도 7을 참조하면,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망(200)의 하면에 하부망(400)을 바라보는 끼움홈(9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900)은 상부망(200)의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망(400)의 최상단은 끼움홈(9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끼움홈(900)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망(400)에 형성된 가이드관(450)의 높이는 하부망(400)의 최상단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fitted. For example, a fitting groove 900 facing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fitting groove 90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200 . The uppermost end of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900 . In addition,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900 by an external force.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guide tube 450 formed in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lower network 400 .

이 외에도, 상부망(200)과 하부망(400)은 탈착 가능한 어떠한 방식으로도 체결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pper network 200 and the lower network 400 can be fastened in any detachable manner.

도 8은 본 발명의 방수격벽(70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waterproof bulkhead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방수격벽(700)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은 배출관(600) 측으로의 수분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방수격벽(700)은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관(600) 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waterproof bulkhead 70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Such an inclined surface may induce a water flow toward the discharge pipe 600 . That is, the waterproof bulkhead 70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ipe 60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도 9는 본 발명의 배출관(600a)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charge pipe (600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배출관(600a)은 본체(100)의 측면이 아닌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방수격벽(700a)은 모터(500)를 감싸도록 본체(100)의 중앙에 위치하고, 배출관(600a)은 방수격벽(700a)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수격벽(700a)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수분이 배출관(600a)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600a)의 적어도 일부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discharge pipe 600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stead of the side surface. The waterproof bulkhead 700a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0 to surround the motor 500 , and the discharge pipe 600a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waterproof bulkhead 700a. Here, the waterproof bulkhead 700a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downwardly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so that moisture may be guided toward the discharge pipe 600a.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600a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for a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상술한 가이드관(450)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하부망(400)의 커버(420)가 추가될 수 있다. 커버(420)는 하부망(400)의 하면에 상기 로드(55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개폐 가능하다.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FIGS. 10 and 11 , the above-described guide tube 450 may be omitted. In addition, a cover 420 of the lower network 400 may be added. The cover 4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4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d 55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420)는 열려 있고, 로드(550)는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체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분쇄부(300)는 모터(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cover 420 is open, and the rod 550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ccordingly, the crushing unit 300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500 .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로드(550)와 상기 하부망(400)이 분리되며, 커버(420)는 닫혀있다. 이 때, 커버(420)는 하면에 힌지결합되되, 힌지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또는, 커버(420)는 여러 조각의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로드(550)는 여러 조각 사이를 관통하되, 로드(550)와 하부망(400)이 분리될 때에는 여러 조각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밀폐력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rod 550 and the lower network 400 are separated, and the cover 420 is closed. At this time, the cover 420 is hinged to the lower surface, and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hinge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closed. Alternatively, the cover 420 is made of several pieces of silicone or rubber material, and the rod 550 penetrates between the several pieces, but when the rod 550 and the lower network 400 are separated, the several pieces come closer to each other. It may have sealing power.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로드(550)는 모터(500)와 분리될 수 있다. 모터(500)에는 회전결합부(510)가 마련되고, 로드(550)는 회전결합부(5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1 , the rod 550 may be separated from the motor 500 . The motor 50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coupling unit 510 , and the rod 5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unit 510 .

이 경우, 로드(550)는 하부망(400)의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커버(420)를 열 수 있다. 또한, 로드(550)는 하부망(400)의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여 커버(420)를 닫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od 550 may mov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ower network 400 to open the cover 420 . In addition, the rod 550 may move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lower network 400 to close the cover 420 .

하지만, 도 11와 같은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드(550)는 모터(500)에 계속 결합해있고, 모터(500)와 회전체(회전축(3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도 4). 이 때에는 하부망(400)이 로드(550)에 대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로드(550)가 커버(420)를 열고, 하부망(400)이 로드(550)에 대해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서 커버(420)가 닫힐 수 있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shown in FIG. 11 . The rod 550 is continuously coupled to the motor 500 ,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tor 500 and the rotating body (rotation shaft 311 ) ( FIG. 4 ). At this time, while the lower network 400 moves from top to bottom with respect to the rod 550 , the rod 550 opens the cover 420 , and the lower network 400 mov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with respect to the rod 550 . 420 may be closed.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 싱크볼
2: 배수구
10: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100: 본체
110: 홈
200: 상부망
210: 테두리부
300: 분쇄부
311: 회전축
312: 회전판
320: 분쇄날
400: 하부망
410: 테두리부
420: 커버
450: 가이드관
500: 모터
510: 회전결합부
550: 로드
600: 배출관
700: 방수격벽
800: 자석
900: 끼움홈
1: sink ball
2: Drain
10: food waste disposal device
100: body
110: home
200: upper network
210: border
300: crushing unit
311: axis of rotation
312: rotating plate
320: grinding blade
400: lower network
410: border
420: cover
450: guide tube
500: motor
510: rotation coupling part
550: load
600: discharge pipe
700: waterproof bulkhead
800: magnet
900: fitting groove

Claims (11)

싱크볼의 배수구 하측에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구로 삽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상부망;
상기 상부망 내에 위치하고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망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망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수용하는 하부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망 및 상기 하부망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빠져나오며,
상기 분쇄부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분쇄날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망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체를 연결하는 로드(rod)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망과 상기 모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는 방수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망으로부터 유출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격벽은 상기 배출관 측으로의 수분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of the sink;
an upper network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to receive food wast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 pulverizing unit located in the upper network and pulverizing food waste; and
It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network and includes a lower network for accommodating the pulverized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upper network,
The upper network and the lower network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exit through the drain hole,
The crushing unit,
rotating body; and
It includes a grinding blade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 motor positioned below the lower network to rotate the rotating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rod (rod) for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rotating body,
Further comprising a waterproof bulkhead formed in the body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network and the motor,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body to discharge the moisture leaked from the lower network,
The waterproof bulkhea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to induce a water flow to the discharge pipe side,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은 측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망의 하면에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상기 하부망으로 유출하기 위한 제1 홀이 형성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network has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hole for discharging the pulverized food waste to the lower network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의 측면에는 상기 제1 홀보다 크기가 작은 제2 홀이 형성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upper network,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망은 측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망의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홀보다 크기가 작은 제3 홀이 형성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network has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third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하부망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와 상기 하부망은 분리 가능한,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d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The rod and the lower network are separable,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망에는 하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guide tube extending upw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the lower network,
The rod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망의 하면에는 상기 로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커버는 열리고,
상기 로드와 상기 하부망이 분리된 경우, 상기 커버는 닫히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 openable and openable cover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wor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d,
When the rod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the cover is opened,
When the rod and the lower network are separated, the cover is closed,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 및 상기 하부망은, 서로 끼움결합 또는 자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network and the lower network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itting or detachably coupled by a magnet,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KR1020200084002A 2020-07-08 2020-07-08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KR102388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002A KR102388472B1 (en) 2020-07-08 2020-07-08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002A KR102388472B1 (en) 2020-07-08 2020-07-08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256A KR20220006256A (en) 2022-01-17
KR102388472B1 true KR102388472B1 (en) 2022-04-19

Family

ID=8005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002A KR102388472B1 (en) 2020-07-08 2020-07-08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4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364B1 (en) * 1998-05-26 2001-10-27 엄완영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osing food garbage
KR200440415Y1 (en) * 2008-03-24 2008-06-12 박창수 An apparatus for grinding garbage of sink
KR101215310B1 (en) * 2012-07-03 2013-01-03 김찬동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kichen sink
KR101413883B1 (en) * 2011-11-28 2014-08-06 박창수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47B1 (en) * 2007-12-04 2010-06-29 (주)세퍼스 시스템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364B1 (en) * 1998-05-26 2001-10-27 엄완영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osing food garbage
KR200440415Y1 (en) * 2008-03-24 2008-06-12 박창수 An apparatus for grinding garbage of sink
KR101413883B1 (en) * 2011-11-28 2014-08-06 박창수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KR101215310B1 (en) * 2012-07-03 2013-01-03 김찬동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kichen s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256A (en)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3836B2 (en) 厨 芥 Processing device
CN104411410B (en) Utilize the broken and dehydration equipment of the food refuse of centrifugal process
EP0469122B1 (en) Domestic waste processor
CA2845099C (en) Organic waste liquid solid separator
KR101438024B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102388472B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KR20110004867U (en)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KR101792113B1 (en) Food waste reduction device in sink with dehydration function
US5513804A (en) Method for recycling solid waste using a decentralized recycling system
KR101112491B1 (en) Disposer of food garbage
KR10238848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in sink
JP6153216B2 (en) Garbage disposal equipment
KR200470873Y1 (en)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JP2011041884A (en) Garbage disposer
KR20150003588U (en) Apparatus for disposal of garbage
KR101474291B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20120032958A (en) Net changing type food waste treatment system
JPH07204534A (en) Disposer having dehydrating function
KR100847074B1 (en) The garbage disposal structure which uses the microbe
JP2514198Y2 (en) Waste treatment equipment
JPH07330102A (en) Garbage disposing device
KR200320324Y1 (en) Apparatus of food sweepings disposal using household
JP2003190824A (en) Crushing apparatus
JP2022138909A (en) Used disposable container processing device
KR200428935Y1 (en) Apparatus for Managing Garbage having Axis of R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