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634B1 -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634B1
KR100966634B1 KR1020080012213A KR20080012213A KR100966634B1 KR 100966634 B1 KR100966634 B1 KR 100966634B1 KR 1020080012213 A KR1020080012213 A KR 1020080012213A KR 20080012213 A KR20080012213 A KR 20080012213A KR 100966634 B1 KR100966634 B1 KR 100966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ing
heating wire
distan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762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08001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6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 조리실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실 내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이 용이하여 조리에 전문성을 갖지 못한 사람이라도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이 편리한 프랜차이즈 매장용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조리실 내에 복수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전열선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의 사이에는 조리 선반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열선 중 조리실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선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는 1그룹의 전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은 이등분 하는 선의 위에 위치하는 2그룹의 전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에 비해 더 크고, 각 그룹 내에서 이등분 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일수록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전열선에 비해 발열 용량이 더 큰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being able to maintain a cooking chamber at a uniform temperature}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의 온도 분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랜차이즈 업체의 매장에서 사용하는 조리 장치의 경우에는 조리하는 사람이 조리에 전문성을 가지지 못한 경우에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맛을 낼 수 있도록 조리 장치의 조작이 쉽게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프랜차이즈 업체의 매장에서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조리를 완료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양의 조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조리 선반을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는 다단 구조의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다단 구조의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리실 내에 여러 개의 선반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조리 선반에 조리열을 공급하는 열원이 배치되다보면 조리실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여 조리 선반마다 다른 조리 결과가 나오게 될 수 있다.
특히, 직화구이와 같이 열원에서 대류에 의한 간접적인 방식이 아니라 복사와 전도를 주로 이용하여 조리하는 경우에는 조리실 내의 온도 편차가 조리 선반마 다 크기 때문에 일관된 조리 결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프랜차이즈 업체의 매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다단 조리실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실 내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조리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 조리실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실 내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이 용이하여 조리에 전문성을 갖지 못한 사람이라도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이 편리한 프랜차이즈 매장용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조리실 내에 복수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전열선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의 사이에는 조리 선반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열선 중 조리실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선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는 1그룹의 전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은 이등분 하는 선의 위에 위치하는 2그룹의 전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에 비해 더 크고, 각 그룹 내에서 이등분 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일수록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전열선에 비해 발열 용량이 더 큰 조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1그룹의 전열선들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2그룹의 전열선들의 사이의 간격에 비해 더 크고, 각 그룹 내에서 이등분 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전열선들 사이의 간격에 비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의 발열 용량은 0.5kW 내지 2.5kW이고,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 중 발열 용량이 상이한 것 사이의 발열 용량의 차이는 0.05kW 이상 1.0kW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4개인 경우, 각각의 전열선들의 발열 용량의 비율은 최상단의 전열선으로부터 1 : 1.2 : 1.6 : 1.3이고, 발열 용량의 오차 범위는 10% 이내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전열선들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4cm 내지 20cm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최상측의 전열선(17a)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두 번째 전열선(17b)까지의 거리를 B, 위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b)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세 번째 전열선(17c)까지의 거리를 C, 위에서 세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c)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네 번째 전열선(17d)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각각의 전열선들 사이의 거리는 C가 가장 크고, D가 그 다음으로 크며, B가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최상측의 전열선(17a)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두 번째 전열선(17b)까지의 거리를 B, 위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b)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세 번째 전열선(17c)까지의 거리를 C, 위에서 세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c)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네 번째 전열선(17d)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B, C 및 D는 그 비율이 11 : 14 : 13이고, 여기서 거리 비율의 오차는 10%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조리실 내에 복수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전열선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의 사이에는 조리 선반 거치대가 설치되고, 조리실 전체의 온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전체 조리 모드와, 상기 조리 선반 거치대에 놓이는 조리 선반 중 특정 조리 선반을 선택하고 그 조리 선반 주위에 배치된 전열선에만 전력을 인가하는 선택 조리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선택 조리 모드에서는 먼저 선택된 조리 선반에서의 선택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과 독립적으로 다른 조리 선반을 선택하여 선택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 조리실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실 내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이 용이하여 조리에 전문성을 갖지 못한 사람이라도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이 편리한 프랜차이즈 매장용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조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조리 장치(10)는 조리실(16)을 구비하는 본체(11), 조리실(16) 내부에 수평으로 조리 선반(도시하지 않음)이 거치될 수 있는 복수의 거치대(18a, 18b, 18c), 각각의 조리 선반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열선(17a, 17b, 17c, 17d), 그리고 상기 조리실(16)을 외부와 차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는 내부에 조리실(16)을 구비하고, 외벽에 제어판(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리실(16)의 하단에는 조리 중에 나오는 기름 등의 부산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의 하단에는 착탈 가능한 기름 배출 서랍(11b)이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증기 배출구(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증기 배출구(11a)와 연통되어 증기 배출을 조절하도록 본체의 상부에는 증기 배출용 팬(15)이 설치된다. 상기 증기 배출용 팬(15)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 구조(14)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8a, 18b, 18c)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각각의 거치대에는 조리 시에 조리 선반이 놓일 수 있다.
상기 전열선(17a, 17b, 17c, 17d)은 평판 형상의 조리 선반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16)의 폭(W) 방향과 깊이(l)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상에 고 르게 분포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전열선은 상기 조리 선반 하나에 대해 상하에서 각각 하나의 전열선이 열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조리 선반 거치대의 사이마다 하나의 전열선이 배치된다.
조리실(16) 내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범위(±5℃ 이내의 오차 범위)에 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열선들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발열 용량을 가지도록 정해진다.
상기 복수 개의 전열선 중 조리실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이 더 멀리 위치하는 전열선에 비해 발열 용량이 더 크도록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 개의 전열선 중 조리실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선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전열선들(1그룹)의 각각의 발열 용량은 이등분하는 선의 위에 위치하는 전열선들(2그룹)의 각각의 발열 용량에 비해 더 크다. 또한, 각 그룹(1그룹 또는 2그룹) 내에서 이등분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일수록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전열선에 비해 발열 용량이 더 크다.
이때, 상기 전열선들의 발열 용량은 배치된 위치에 따라 220V에서 0.5kW 내지 2.5kW이며, 각각의 전열선들 중 발열 용량이 상이한 것들 사이의 발열 용량의 차이는 220V에서 0.05kW 이상 1.0kW 이하 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인 경우, 각각의 전열선들의 발열 용량의 비율은 최상단의 전열선(17a)을 1이라고 할 때, 각각 1 : 1.2 : 1.6 : 1.3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리실 내의 ±5℃ 이내의 온도 오차를 고려할 때, 발열 용량의 오차 범위는 최상단의 전열선을 기준으로 ±10% 내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열선들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4cm 내지 20cm의 범위에 속하는데, 전열선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최상측의 전열선(17a)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두 번째 전열선(17b)까지의 거리를 A, 위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b)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세 번째 전열선(17c)까지의 거리를 B, 위에서 세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c)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네 번째 전열선(17d)까지의 거리를 C라고 할 때, 각각의 전열선들 사이의 거리는 B가 가장 크고, C가 그 다음으로 크며, A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는 위의 A, B 및 C는 그 비율이 11 : 14 : 13이고, 조리실 내의 ±5℃ 이내의 온도 오차를 고려할 때, 거리 비율의 오차는 10% 이하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리 장치는, 조리실 전체의 온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전체 조리 모드, 또는 조리 선반 중 특정 조리 선반을 선택하고 그 조리 선반 주위에 배치된 전열선에만 전력을 인가하는 선택 조리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체 조리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전체 조리실의 온도가 원하는 설정온도에서 ±5℃ 이내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체 조리실에 대한 균일한 온도 유지 기능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 중, 복수 개의 전열선 중 조리실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선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는 1그룹의 전 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은 이등분하는 선의 위에 위치하는 2그룹의 전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에 비해 더 크고, 각 그룹 내에서 이등분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일수록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전열선에 비해 발열 용량이 더 크게 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조리 모드에서는 먼저 선택된 조리 선반에서의 선택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과 독립적으로 다른 조리 선반을 선택하여 선택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 조리 모드에서는 선택된 조리 선반 주위의 전열선에만 전력을 인가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리 장치 11: 본체
11a: 증기 배출구 11b: 기름 배출 서랍
12: 도어 13: 제어판
14: 지붕 구조 15: 증기 배출용 팬
16: 조리실 17a, 17b, 17c, 17d: 전열선
18a, 18b, 18c: 거치대

Claims (9)

  1.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조리실 내에 복수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전열선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의 사이에는 조리 선반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열선 중 조리실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선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는 1그룹의 전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은 이등분하는 선의 위에 위치하는 2그룹의 전열선들의 각각의 발열 용량에 비해 더 크고, 각 그룹 내에서 이등분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일수록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전열선에 비해 발열 용량이 더 큰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그룹의 전열선들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2그룹의 전열선들의 사이의 간격에 비해 더 크고, 각 그룹 내에서 이등분하는 선에 가까이 위치하는 전열선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 그룹 내의 다른 전열선들 사이의 간격에 비해 더 큰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의 발열 용량은 220V에서 0.5kW 내지 2.5k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 중 발열 용량이 상이한 것 사이의 발열 용량의 차이는 220V에서 0.05kW 이상 1.0kW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4개인 경우,
    각각의 전열선들의 발열 용량의 비율은 최상단의 전열선으로부터 1 : 1.2 : 1.6 : 1.3이고, 조리실 내의 ±5℃ 이내의 온도 오차를 고려할 때 발열 용량의 오차 범위는 최상단의 전열선을 기준으로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열선들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4cm 내지 20cm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최상측의 전열선(17a)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두 번째 전열선(17b)까지의 거리를 B,
    위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b)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세 번째 전열 선(17c)까지의 거리를 C,
    위에서 세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c)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네 번째 전열선(17d)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각각의 전열선들 사이의 거리는 C가 가장 크고, D가 그 다음으로 크며, B가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최상측의 전열선(17a)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두 번째 전열선(17b)까지의 거리를 B,
    위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b)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세 번째 전열선(17c)까지의 거리를 C,
    위에서 세 번째 위치하는 전열선(17c)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네 번째 전열선(17d)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할 때,
    B, C 및 D는 그 비율이 11 : 14 : 13이고, 조리실 내의 ±5℃ 이내의 온도 오차를 고려할 때 여기서 거리 비율의 오차는 1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9.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조리실 내에 복수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전열선을 구비하는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열선들의 사이에는 조리 선반 거치대가 설치되고,
    조리실 전체의 온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전체 조리 모드와,
    상기 조리 선반 거치대에 놓이는 조리 선반 중 특정 조리 선반을 선택하고 그 조리 선반 주위에 배치된 전열선에만 전력을 인가하는 선택 조리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선택 조리 모드에서는 먼저 선택된 조리 선반에서의 선택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과 독립적으로 다른 조리 선반을 선택하여 선택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080012213A 2008-02-11 2008-02-11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 KR100966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213A KR100966634B1 (ko) 2008-02-11 2008-02-11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213A KR100966634B1 (ko) 2008-02-11 2008-02-11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762A KR20090086762A (ko) 2009-08-14
KR100966634B1 true KR100966634B1 (ko) 2010-06-29

Family

ID=4120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213A KR100966634B1 (ko) 2008-02-11 2008-02-11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6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466A (ko) * 1996-08-08 1998-06-05 다까노 야스아끼 균일한 가열이 가능한 오븐 기능을 갖는 토스터
JPH11235280A (ja) 1998-02-24 1999-08-31 Toshiba Tec Corp 加熱調理器
KR200209671Y1 (ko) 2000-05-09 2001-01-15 오예환 조리용 전기오븐
KR20020009671A (ko) * 2000-07-26 2002-02-02 김순택 터치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JP2006026213A (ja) 2004-07-20 2006-02-02 Tsutomu Oishi 食品の減圧乾熱調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466A (ko) * 1996-08-08 1998-06-05 다까노 야스아끼 균일한 가열이 가능한 오븐 기능을 갖는 토스터
JPH11235280A (ja) 1998-02-24 1999-08-31 Toshiba Tec Corp 加熱調理器
KR200209671Y1 (ko) 2000-05-09 2001-01-15 오예환 조리용 전기오븐
KR20020009671A (ko) * 2000-07-26 2002-02-02 김순택 터치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JP2006026213A (ja) 2004-07-20 2006-02-02 Tsutomu Oishi 食品の減圧乾熱調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762A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8718C (en) Convection oven
US9677774B2 (en)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cavity sizes
US8991383B2 (en) Convection oven using rack support ducts for air flow
US3270660A (en) Cooking oven
CN110115516B (zh) 具有可变容积的蒸汽辅助式烹饪区的多区烤箱
KR100672475B1 (ko) 멀티 덕트 컨벡션 오븐 레인지
US20130284161A1 (en) Oven appliance with features for selecting convection air flow direction
US10495319B2 (en) Oven
KR102556755B1 (ko) 오븐
KR20200076266A (ko) 오븐
KR100966634B1 (ko) 조리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
CN111407158B (zh) 一种多层烤箱
US11503954B2 (en) Cabinet with opposed air curtains
JP4987539B2 (ja) 加熱装置
JP2016179159A (ja) クラスタ型業務用炊飯システム
US20120328753A1 (en) Non rotating rack oven
KR101233246B1 (ko) 슬라이딩 랙걸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061822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드로워랙
KR20130052556A (ko)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오븐
JP2019205518A (ja) 蒸し機及び加熱処理方法
US716366A (en) Electrical cooking apparatus.
US11937728B2 (en) High temperature cooking accessory for an oven appliance
US20230366562A1 (en) Oven appliance including a high temperature cooking zone
CN208176477U (zh) 一种高效蒸饭箱
US20210302029A1 (en) Elevated countertop coo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