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72B1 -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72B1
KR100966072B1 KR1020070128161A KR20070128161A KR100966072B1 KR 100966072 B1 KR100966072 B1 KR 100966072B1 KR 1020070128161 A KR1020070128161 A KR 1020070128161A KR 20070128161 A KR20070128161 A KR 20070128161A KR 100966072 B1 KR100966072 B1 KR 10096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qos
communication
information
piconet coord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231A (ko
Inventor
전해숙
이경희
박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072B1/ko
Priority to PCT/KR2008/004908 priority patent/WO2009075455A1/en
Priority to US12/747,457 priority patent/US20100278127A1/en
Publication of KR2009006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디바이스로부터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에 대한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을 위한 채널 외에 별도의 대체 채널을 예약하고,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이 감지된 경우,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끊김 없이 만족스러운 QoS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PICONET COORDINAT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MOBILE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무선 근거리 통신 방법 및 무선 근거리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대점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무선 통신망에서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47-01, 과제명: 무선홈네트워크기반 HD급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HD Class Mutimedia System Technology over Wireless Home Network)).
근래의 통신 환경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면서 가정 내 가전기기 및 각종정보 기기를 근거리에서 배선의 설치 없이 신호를 연결시켜 주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WPAN은 10m 내외의 단거리에서 통신 가능한 저전력, 소형, 저가의 개인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주요 기술이 될 것이다. 비교적 좁은 영역에서 활용되는 WPAN은 센서 네크워크 구축과 더불어 고속 고품질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 확산을 가능하게 하고, 가정 내의 가전기기 디지털화, TV, 컴퓨터, PDA 및 냉장고, 세탁기, 가스/전등 제어 센서 장치 등 모든 가전기기들의 상호 통신과 외부 망과의 연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편리성에 의해 많은 발전이 기대되는 기술이다.
또한, 최근 통신 환경이 유선과 무선기술이 통합되면서 모든 컴퓨터가 연결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접근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환경으로 발전될 전망이다. 특히, 무선통신 분야에서 WPAN 및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Mesh 네트워크 및 Ad-hoc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주요 기술이 될 것이므로 이에 관한 표준화와 기술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시장규모도 큰 폭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다양한 표준이 정의되어 있다. IEEE 802.11은 WLAN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고 802.15는 WPAN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고, 초고속 WPAN(High Rate WPAN; HR-WPAN)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속화하고 이에 맞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기술을 개발함과 동시에, 초저전력 소모가 가능한 기술의 개발을 병행하여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IEEE 802.15.3 TG(Task Group)에서 개발한 이 기술은 5-55m 전도의 근거리에서 무선 단말들 사이의 초고속 멀티미디어 전송을 목표로 한다. 저속 WPAN(Low Rate WPAN; LW-WPAN)은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 시장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로서 구현 및 운용/유지를 단순화하고 저전력, 저비용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파일 기술을 정의하고 기기간의 상호 운용성, 보안성 및 시험/인증 규격 정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위치인식 WPAN 기술이 있는데, 이것은 저속 WPAN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센서들, 원격 제어, 홈 오토메이션 등을 위한 지정된 저속 WPAN 표준에 대한 대체(alternate) PHY를 정의한다.
IEEE 802.15.3의 네트워크는 피코넷(Piconet)이라고 부른다. 피코넷은 피코넷 코디네이터(PNC)라고 불리는 네트워크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된다. 무선 통신 자원은 피코넷의 비컨 정보에 의해 관리되어, 통신을 원하는 기기(Device; DEV)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사전에 사용할 채널을 예약하고 이 시간대에만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CTA(Channel Time Allocation) 구간을 활용한다. 피코넷은 채널 동기화를 위한 비콘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각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채널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피코넷은 비콘의 채널 변경을 위한 카운트 필드를 설정하여 각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설정된 카운트 필드의 값에 따라, 통상 여러 번의 비콘이 수행되고 난 후에, 채널이 변경된다. 즉, 새로운 채널로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 각 기기는 채널 품질이 좋지 않더라도 그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밖에 없다. 따 라서, 해당하는 시간 동안 채널 품질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 중인 채널이 불량 인 경우, 새로운 채널로 이동함으로써 야기되는 통신 중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방법은, 디바이스로부터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에 대한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을 위한 채널 외에 QOS를 만족하는 채널을 별도의 대체 채널로 예약하는 단계, 상기 QoS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채널의 QoS 특성이 유지되는지에 대해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이 감지된 경우,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이 등록된 QOS 관리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대체 채널을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대체 채널 예약 단계는, 채널 할당 요구가 수신되면, 해당 채널이 일반 채널인지 보장형 QoS가 요구되는 채널인지 구별하여, 보장형 QoS가 요구되는 경우 QoS 관리 리스트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QoS 정보는 지연, 지터, 또는 대역폭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은, 채널의 상태 불량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QoS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관측된 QoS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QoS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바이스가 수신한 QoS 정보에 따라 현재 네트워크 상황에 맞도록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법은 또한,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한 후, 기 사용 중이던 통신을 위한 채널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대체 채널로는 상기 채널을 시분할하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롯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채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대체 채널로는 사용 중인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을 시분할하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롯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 중인 채널을 시분할하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롯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피코넷 코디네이터는, 디바이스로부터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하고, 할당 요구된 채널에 대해 QoS 보장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채널 분리부, 및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에 대해서는 통신을 위한 채널 외에 QOS를 만족하는 채널을 별도의 대체 채널로 예약하고,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이 감지된 경우, 상기 대체 채널이 등록된 QOS 관리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대체 채널을 통신을 위한 채널로 변경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감시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시 처리부는, 상기 QoS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채널의 QoS 특성이 유지되는지에 대해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은,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디바이스로부터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하고, 할당 요구된 채널에 대해 QoS 보장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할당 요구된 채널이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인 경우, 통신을 위한 채널 외에 QOS를 만족하는 채널을 별도의 대체 채널로 예약하는 단계, 상기 QoS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채널의 QoS 특성이 유지되는지에 대해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을 감지한 경우,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이 등록된 QOS 관리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대체 채널을 통신을 위한 채널로 변경할 것을 상기 디바이스에게 명령하고, 피코넷 코디네이터 자신도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단말 장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에 대한 할당 요구를 전송하고,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할당한 통신을 위한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 수행 중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로부터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의 대체 채널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대체 채널로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보장형 QoS를 요구하는 경우의 대체 채널의 예약으로 인해, 해당 채널의 품질이 열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측된 QoS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에게 전달해서 디바이스가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리 예약된 대체 채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끊김 없이 만족스러운 QoS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피코넷(piconet)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코넷은 복수개의 상호 독립적인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ad hoc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개의 디바이스(200-1,200-2) 간에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코넷 코디네이터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피코넷 코디네이터(100)는 채널 분리부(110), 감시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채널 분리부(110)는 채널을 요구하는 송신부의 채널 특성을 파악한다. 보장되는 QoS를 요구하면 QoS용 관리 목록에 추가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전체적인 채널 관리를 하면서 보장형 QoS를 요구하는 채널은 구분을 하게 한다. 그리고 일반 채널의 요구와 보장되는 QoS를 요구하는 채널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즉, 요구하는 채널을 할당하고 송수신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한편, 감시 처리부(120)는 QoS 보장을 위해 관리 목록에 등록이 된 채널의 특성이 유지되는지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채널 분리부(110)는 QoS 보장을 위해 관리 목록에 있는 채널의 정보를 확인하고 대체 채널 할당이 가능한지 자원을 조사하고 추가 할당할 채널이 있는 경우에 자원을 할당한다. 그리고 감시 처리부(120)의 QoS 보장형 채널이 연속적인 에러로 인해 QoS를 지원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감시 처리부(120)에 예약되어 있는 자원을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끊임없는 QoS를 보장받을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코넷의 채널을 구성하는 슈퍼프레임의 형식을 나타낸다.
도 3은 채널이 복수 개의 슈퍼프레임으로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슈퍼프레임은 시간 축 상에 놓여진 채널을 구성하는 시간단위 즉, 타임 슬롯이다. 하나의 슈퍼프레임은 비콘 #m, CAP(Contention Access Period), CFP(Contention Free Period)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비콘 #m은 각 디바이스로 기본 타이밍을 제공하며, 피코넷을 위한 통신 관리를 위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비콘 #m은 피코넷의 동기화를 위한 파라미터들과 복수개의 정보 엘리먼트(Informarion Element; IE)로 구성된다. 각 디바이스(200)와 피코넷 코디네이터(100)는 정보 엘리먼트(IE)로 할당된 구간을 사용하여 상호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CAP(Contention Access Period)(320)는 커맨드를 교환하거나 비동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CAP의 사용은 선택적이다. CTA(Channel Time Allocation)(330)는 커맨드를 교환하거나 스트림 또는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MCTA(Management Channel Time Allocation)은 관리용 CTA이다. 본 발명에 따라 추가 대체 채널을 예약하는 것은 CTA를 할당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 재까지 소개된 WPAN의 스펙의 기준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단일 채널로부터 멀티 채널로의 표준화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이 부분은 향후, 단일 채널 내의 CTA 또는 기 사용중인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CTA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추가 대체 채널 예약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 사용되지 않은 다른 리소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피코넷에서 사용하는 MAC 프레임의 포멧을 나타낸다.
MAC 프레임(400)은 MAC 헤더(410)와 MAC 프레임 바디(420)로 구성된다. MAC 헤더(410)는 MAC 레이어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정보가 담기며, MAC 프레임 바디(420)에는 데이터가 실린다. 데이터는 각 디바이스(200)가 다른 디바이스와 상호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MAC 헤더(410) 중 프레임 제어(411) 부분의 프레임 타입이 0인 경우가 비콘 프레임을 나타내는데, 비콘 프레임은 정보 엘리먼트 및 피코넷 파라미터 변화 정보 엘리먼트를 배달한다. MAC 헤더(410)의 프레임 타입이 1인 경우는 즉시 ACK(Immediate ACK), 2인 경우는 지연 ACK(Delayed ACK), 3인 경우는 명령어, 4인 경우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MAC 헤더(410)의 프레임 타입이 명령어를 나타내는 경우에, 채널 타임 요구 응답, 채널 상태 요구 응답 그리고 리모트 스캔과 응답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채널 타임 요구 블록 필드 내부에는 요구하는 송신부의 요구사항이 포함되는데, 해당하는 스트림 요구를 구별하기 위한 스트림 요구 ID는 디바이스의 요구를 알아볼 수 있는 키의 역할을 한다. 동기적인 스트림인 경우에는 목적 디바이스를 1개로 한정하고 비동기적인 스트림인 경우에는 목적 디바이스가 127개까지 허용이 된다. 예를 들어, 비동기 스트림이고 타겟이 5개인 경우에 대체 채널은 동기 스트림과 동일하게 한 개만 예약을 해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코넷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디바이스 A(200-1)가 디바이스 B(200-2)로 가는 통신 채널을 요청하는 채널 타임 요청을 피코넷 코디네이터(100)로 송신한다(S501). 통상의 네트워크에서 이런 부분을 대역폭이라고 표현을 할 수 있다. 이 무선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한 개 채널의 총 타임 슬롯의 수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에 해당된다.
피코넷 코디네이터는 현재 사용 가능한 채널이 있으면 해당 채널을 할당하고(S502), 디바이스 A, B(200-1, 200-2)에게 통지한다(S503, S504). 그리고, 이 채널이 QoS를 보장해야 하는 경우이면, 대체 채널을 예약한다(S505).
디바이스 A(200-1)와 디바이스 B(200-2) 사이에는 할당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S506).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채널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507). 채널 상태의 감시는, 채널 상태 요구/응답을 하거나 리모트 스캐닝 요구/응답을 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채널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해당 채널이 열악한 품질임을 알리는 정보가 수 회, 정해놓은 판단의 기준치를 넘어가는 경우, 즉 채널 상태가 불량임을 감지한 경우(S508), 관측된 QoS 정보(지연(delay), 지터, 또는 대역폭 등)를 해당 디바이스 에게 전달해서 디바이스가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거나 대체 채널로 예약을 해놓은 채널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알리게 되는데, 이때 피코넷 파라미터 변경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콘을 각각의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509).
이 정보를 수신한 각각의 디바이스 A(200-1), 디바이스 B(200-2)는 수신한 피코넷 파라미터 변경 정보 엘리먼트에 명시된 시간 내에 새로운 채널로 변경한다(S510). 이때, 디바이스가 변경 명령대로 채널을 바꾸도록 명시하게 되는 시간은 메시지를 읽자마자 디바이스가 상태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짧은 시간이다. 피코넷도 새로운 채널로 바꾼다(S511). 두 디바이스 A,B(200-1, 200-2)은 새로운 채널 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S512). 피코넷 코디네이터(100)는 이 데이터를 위해 기 할당되었던 채널을 회수한다(S513).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피코넷 코디네이터의 채널 할당 및 대체 채널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피코넷 코디네이터(100)가 채널 요구 명령을 수신하면(S601),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이 있는지 검색하고(S602), 만일 자원이 없다면(S602의 No) 자원이 없음을 알리는 원인값을 가지는 채널 타임 응답 명령을 해당 디바이스로 반환하여 전송한다(S603). 만일, 사용 가능한 자원이 있다면(S602의 Yes), 채널을 할당하고(S604), 할당된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타임 응답 명령을 해당 디바이스로 반환하여 송신한다(S605). 할당된 채널이 보장형 QoS를 요구하는지 체크하 여(S606), 만일 그렇다면 QoS 관리 리스트에 해당 스트림 요구 ID를 등록한다(S607). 만약, 보장형 QoS를 요구하지 않는 일반 채널이면, 루틴을 종료한다.
대체 채널의 할당을 위해서는, 피코넷 코디네이터(100)의 QoS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항목과 관련하여, QoS 관련 디바이스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채널이 있는지 검사하고(S608), 만족하는 채널이 있는 경우, 대체 채널을 예약한다(S610). 그리고 사용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에는(S608의 No), 주기적으로 다시 채널의 할당 가능 여부를 묻게 된다(S609, S608).
도 7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른 QoS용 채널 품질 감지와 대체 채널로 전환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QoS 관리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 항목들에 대해서는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701).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채널 상태 요구/응답 또는 리모트 스캐닝 요구/응답 명령을 이용한다. 일단, 불량 링크라고 판단되면(S702), 시스템에 정의된 횟수(N) 이상 연속하여 불량이 발생하였는지 검사한다(S703). N회 이상 연속으로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돌아가 채널을 모니터링한다(S701). 만일 N회 이상 연속 불량이 보고된 것으로 판단되면(S703의 Yes), 발생한 에러에 관한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에게 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검토하고(S804), 그렇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관측된 QoS(딜레이, 지터, 대역폭 등)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에게 전달한다(S705). 디바이스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발생한 에러 정보를 디바이스로에게 통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대체 채널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로 통지한다(S706). 이때, 피코넷 코디네이터도 대체 채널로 변경하여(S707), 관련된 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서, 관측된 QoS 정보의 전달은 파라미터 변환 정보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관측된 QoS 정보를 딜레이, 지터, 현재 사용하는 대역폭 등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에게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기회를 N회 주는 것도 QoS로 사전에 정의할 수 있는데, 이 카운트에 기준하여 한번 디바이스에게 통지할 때마다 카운트 수를 줄여서 더 이상 네트워크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줄 수 없을 때 예약해 놓은 채널로 변환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사전 QoS 예약에 의해, 사용될 수도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PNC가 대체 채널로 변경하면, 기 사용중이던 기존 채널을 반환하고(S708) 해당 채널에 대한 감시를 종료한다.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특정 디바이스를 제거하려고 하거나, 디바이스가 해당 피코넷 코디네이터에서 나가려고 하는 경우, 또는 디바이스의 특정 데이터의 플로우를 멈추려고 할 때, 피코넷 코디네이터는 보장형 QoS에 요구되는 감시를 중단하고 해당 채널은 QoS 관리 리스트에서 삭제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예 및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피코넷(piconet)의 개요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코넷 코디네이터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코넷의 채널을 구성하는 슈퍼프레임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피코넷에서 사용하는 MAC 프레임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코넷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피코넷 코디네이터의 채널 할당 및 대체 채널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른 QoS용 채널 품질 감지와 대체 채널로 전환하는 순서도.

Claims (18)

  1. 디바이스로부터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에 대한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을 위한 채널 외에 QOS를 만족하는 채널을 별도의 대체 채널로 예약하는 단계; 와
    QoS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채널의 QoS 특성이 유지되는지에 대해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와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이 감지된 경우,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이 등록된 QOS 관리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대체 채널을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체 채널 예약 단계는,
    채널 할당 요구가 수신되면, 해당 채널이 일반 채널인지 보장형 QoS가 요구되는 채널인지 구별하여, 보장형 QoS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QoS 관리 리스트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oS 정보는 지연, 지터, 또는 대역폭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은,
    채널의 상태 불량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것을 나타내는, 통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QoS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관측된 QoS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QoS 정보를 수신한 상기 디바이스가 수신한 QoS 정보에 따라 현재 네트워크 상황에 맞도록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한 후, 기 사용 중이던 통신을 위한 채널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체 채널로는 상기 채널을 시분할하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 롯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멀티 채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대체 채널로는 사용 중인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을 시분할하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롯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멀티 채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대체 채널로는 사용 중인 채널을 시분할하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롯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디바이스로부터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하고, 할당 요구된 채널에 대해 QoS 보장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채널 분리부; 와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에 대해서는 통신을 위한 채널 외에 QOS를 만족하는 채널을 별도의 대체 채널로 예약하고,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이 감지된 경우, 상기 대체 채널이 등록된 QOS 관리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대체 채널을 통신을 위한 채널로 변경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감시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시 처리부는, 상기 QoS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채널의 QoS 특성이 유지되는지에 대해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분리부는, 할당 요구된 채널에 대해 QoS 보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QoS 관리 리스트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QoS 정보는 지연, 지터, 또는 대역폭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은,
    채널의 상태 불량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것을 나타내는, 피코넷 코디네이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감시 처리부는,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이 감지되고,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QoS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관측된 QoS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한 후, 기 사용 중이던 통신을 위한 채널을 회수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
  17.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디바이스로부터 채널 할당 요구를 수신하고, 할당 요구된 채널에 대해 QoS 보장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할당 요구된 채널이 QoS 보장이 요구되는 채널인 경우, 통신을 위한 채널 외에 QOS를 만족하는 채널을 별도의 대체 채널로 예약하는 단계;
    상기 QoS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채널의 QoS 특성이 유지되는지에 대해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상기 통신을 위한 채널에 대해 관측된 QoS 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상태 불량을 감지한 경우, 예약된 상기 대체 채널이 등록된 QOS 관리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대체 채널을 통신을 위한 채널로 변경할 것을 상기 디바이스에게 명령하고, 피코넷 코디네이터 자신도 상기 대체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법.
  18. 삭제
KR1020070128161A 2007-12-11 2007-12-11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KR10096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61A KR100966072B1 (ko) 2007-12-11 2007-12-11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PCT/KR2008/004908 WO2009075455A1 (en) 2007-12-11 2008-08-22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piconet coordinat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mobile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the method
US12/747,457 US20100278127A1 (en) 2007-12-11 2008-08-22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piconet coordinat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mobile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61A KR100966072B1 (ko) 2007-12-11 2007-12-11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31A KR20090061231A (ko) 2009-06-16
KR100966072B1 true KR100966072B1 (ko) 2010-06-28

Family

ID=4075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161A KR100966072B1 (ko) 2007-12-11 2007-12-11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78127A1 (ko)
KR (1) KR100966072B1 (ko)
WO (1) WO20090754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384B1 (ko) 2015-03-19 2015-08-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원격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매체 접속 제어 장치
KR101543385B1 (ko) 2015-03-19 2015-11-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저전력 운영을 고려한 매체 접속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77B1 (ko) * 2009-06-09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JP5953689B2 (ja) * 2010-12-22 2016-07-20 株式会社リコー 伝送管理システム、伝送システム、及び伝送管理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US9585109B2 (en) 2013-03-14 2017-02-28 Vivint, Inc. Simultaneous channel switching within a mesh network
KR20150045639A (ko) * 2013-10-21 201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63735B1 (ko) * 2013-12-24 2015-11-09 전자부품연구원 무선환경 변화에 따른 wpan 네트워크 채널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9860762B2 (en) 2014-03-11 2018-01-02 Vivint, Inc. Simultaneous channel switching within a mesh network
US11627011B1 (en) 2020-11-04 2023-04-11 T-Mobile Innovations Llc Smart device network provisioning
US11676591B1 (en) 2020-11-20 2023-06-13 T-Mobite Innovations Llc Smart computing device impleme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nic assistant
US11374781B1 (en) * 2020-11-30 2022-06-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mart device spectrum assign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748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적응적 주파수 선택 방식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전송방법및 장치
KR100646854B1 (ko) * 2005-10-06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ecap을 이용한 채널타임할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316100A (en) * 1998-10-27 2000-05-15 Fujitsu Network Communications, Inc. Frame based quality of service
US6597919B1 (en) * 2000-06-23 2003-07-22 Motorola, Inc. Optimal radio channel allocation in a distributed connection and transport network
US7801067B2 (en) * 2003-08-05 2010-09-21 Motorola, Inc. Method for mitigating collisions on a data channel upon request from a subscriber
US7301958B2 (en) * 2003-11-26 2007-11-27 Intel Corporation Cycle-efficient TDM timeslot remapping for network processing engines
US7500013B2 (en) * 2004-04-02 2009-03-03 Alcatel-Lucent Usa Inc. Calculation of link-detour paths in mesh networks
KR100572051B1 (ko) * 2004-05-28 2006-04-18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근거리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US7613171B2 (en) * 2004-08-31 2009-11-03 Ephraim Zehavi Cellular network service over WLAN
JP2007158485A (ja) * 2005-12-01 2007-06-21 Hitachi Ltd 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748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적응적 주파수 선택 방식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전송방법및 장치
KR100646854B1 (ko) * 2005-10-06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ecap을 이용한 채널타임할당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384B1 (ko) 2015-03-19 2015-08-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원격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매체 접속 제어 장치
KR101543385B1 (ko) 2015-03-19 2015-11-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저전력 운영을 고려한 매체 접속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8127A1 (en) 2010-11-04
WO2009075455A1 (en) 2009-06-18
KR20090061231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072B1 (ko) 통신 방법, 이를 적용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KR10124190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881462B1 (ko) 백본네트워크의 서브네트워크 간 릴레이 전송이 가능한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축방법
US763966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2851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6559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hosts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
US97301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638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US20060114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hannel among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s
US20060092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and management of beacon periods in distributed wireless networks
US200402354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rough wireless network
US103978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SME network fluctuation in industrial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250036B1 (ko) 센서 네트워크의 저전력 시분할 접속 방식에서 신뢰성이 높은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24352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관리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
EP2545728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0177097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004105B2 (en) Method for network self-healing in cluster-tree structu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6793114B (zh) 动态时隙分配方法、所适用的媒介访问控制系统及节点
KR100653080B1 (ko) 주파수대역을 공유하는 시스템간 간섭 회피 장치 및 방법
US20100278124A1 (en) Adaptive beacon coordin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using signal formats
JP426464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009741A (ko)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 장치
JP200516770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11223B1 (ko)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JP4748217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