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03B1 - 휴대폰용 집음기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집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03B1
KR100966003B1 KR1020080039261A KR20080039261A KR100966003B1 KR 100966003 B1 KR100966003 B1 KR 100966003B1 KR 1020080039261 A KR1020080039261 A KR 1020080039261A KR 20080039261 A KR20080039261 A KR 20080039261A KR 100966003 B1 KR100966003 B1 KR 10096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bile phone
collector
microphone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507A (ko
Inventor
최영순
Original Assignee
최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순 filed Critical 최영순
Priority to KR102008003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0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집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10)의 본체(12), 보호케이스(14), 휴대폰 액세서리 또는 휴대폰용 이어폰(104)의 마이크(105)에 결합되며, 발화자의 음성을 내부로 수집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112)이 형성된 집음부(110)와, 상기 집음부(110)의 내부 또는 후단에 배치되며 소리를 흡수 또는 감쇄시키거나 감쇄음을 배출하는 소음부(120)와, 상기 집음부(110) 내부 또는 상기 집음부(110)에 인접한 소음부(120)에 설치되며 통화음을 수신하는 마이크(105)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집음기(100)가 제공된다.
휴대폰, 집음기, 소음부, 마이크, 소음, 프라이버시

Description

휴대폰용 집음기 {Sound collector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집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휴대폰용 보호커버, 액세서리 또는 핸드프리세트 등에 장착되어 발화자의 통화내용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으면서도 발화자의 음성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소음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집음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통화가 가능함에 따란 편리함과 함께, 타인들이 함께 있는 장소에서 통화를 하게 됨에 따라 사생활 노출과 정보 유출, 주변이 소음 유발과 같은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 통화를 할 때, 통상의 휴대전화를 사용할 경우에, 주변 사람들이 통화내용을 듣게 되어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고, 나아가서는 중요한 정보가 노출되게 된다. 또한 휴대폰 통화자의 주변에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통화소리가 시끄럽게 들리면 소음으로 느껴져서 불쾌감을 느끼며, 자신은 의도하지 않은 통화내용을 듣게 되어 불편하거나 어색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에 사생활 노출과 정보유출 또는 소음유발 등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폰용 케이스, 액세서리 또는 핸드프리세트 등에 장착되어 통화내용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으면서도, 발화자가 용이하게 발음하고 발화자의 음성을 수신자에게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휴대폰용 집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휴대폰(10)의 본체(12), 보호케이스(14), 휴대폰 액세서리 또는 휴대폰용 이어폰(104)의 마이크(105)에 결합되며, 발화자의 음성을 내부로 수집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112)이 형성된 집음부(110)와, 상기 집음부(110)의 내부 또는 후단에 배치되며 소리를 흡수 또는 감쇄시키거나 감쇄음을 배출하는 소음부(120)와, 상기 집음부(110) 내부 또는 상기 집음부(110)에 인접한 소음부(120)에 설치되며 통화음을 수신하는 마이크(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집음기(1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집음부(110)와 소음부(120)는 서로 연통되는 통형상의 하우징(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음부(120)에는 이 하우징(122) 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음파를 우회시키도록 형성된 다수의 격판(124)과, 상기 격판(124)의 표면에 피복되는 직물 또는 발포시트 이루어진 흡음재(126)와, 상기 소음부(120)의 하우징(122) 후단에 형성된 통공(1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집음기(1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집음부(110)와 소음부(120)는 서로 연통되는 통형상의 하우징(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음부(120) 내부에는 블록 또는 벌크형태의 다공성 흡음재(13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집음기(100)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10)의 본체(102), 보호케이스(104), 액세서리 또는 휴대폰용 이어폰(104)의 마이크에 결합되는 휴대폰용 집음기에서, 집음부(110)의 내부 또는 후단에 소리를 흡수 또는 감쇄시키거나, 감쇄된 소리를 배출하는 소음부(120)를 구비함으로써, 통화자가 집음부(110)에 입을 대고 말하는 경우에, 집음부(110)에 의해 소리가 외부로 잘 누출되지 않으므로, 주위사람들이 통화내용을 알지 못하거나 주위가 통화음으로 시끄러워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집음부(110) 내부에 또는 후단에 배치된 소음부(120)를 통해 소리가 흡수 또는 감쇄되므로, 집음부(110)에서 소리가 반사되어 음파들이 서로 간섭됨으로 인해, 음파가 왜곡되어 발음이 불명료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명료한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집음기가 휴대폰의 마이크부착 이어폰기구에 적용된 것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에 휴대폰(10)의 잭에 끼워지는 이어폰플러그(106)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스피커(135)가 형성되며 케이블(120) 포함하는 휴대폰용 이어폰의 케이블(125)의 중간에는 집음기(100)가 구비된다. 이 집음기(100)는 통형상의 하우징(122)으로 이루어지고, 발화자의 음성을 내부로 수집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112)이 형성된 집음부(110)와, 이 집음부(110)의 후단 일측에 구비되는 소음부(120)와, 집음부(110) 내부에 배치되는 마이크(105)를 포함한다. 이 마이크(105)는 상기 휴대폰용 이어폰기구의 케이블(120)의 중간에 접속되는 마이크(105)로서, 사용자는 이러한 이어폰기구를 이용하여, 핸드프리상태에서 핸드폰을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음부(110)의 내부공간(112)의 크기는 이어폰스피커(135) 및 케이블(125)의 일부가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이어폰기구의 휴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소음부(120)는 집음부(110)와 연통되는 하우징(122)의 내측에 형성되며, 집음부(110)와의 연결부위에는 연통공(127)이 형성되어 집음부(110)로 수집된 소리가 마이크(105)로 유입됨과 동시에 소음부(120)로 빠져나간다. 상기 소음 부(120)에는 유입된 소리 또는 음파를 우회시키기 위한 다수의 격판(124)이 교호로 형성되고, 이러한 격판(124)에 의해 형성되는 음파통로의 최종단은 하우징(120)의 후단에 형성된 통공(128)을 통해 외부로 연통된다. 그리고 이러한 격판(124)의 표면에는 직물이나 발포시트로 이루어진 흡음재(126)가 피복 또는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휴대폰 통화자가 공공장소나 회의 중에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집음기(100)의 집음부(110)를 입에 대고 말을 하면, 집음부(110) 외부로 소리가 빠져나가는 것이 상당히 억제되므로, 소음유발을 방지하거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다. 이 때 통화자의 통화소리 또는 음파의 일부는 집음기(100)의 마이크(105)를 통해 휴대폰으로 전송되고, 나머지 소리와 음파는 소음부(120)의 격판(124) 사이의 통로를 지나면서 충분히 흡음재(126)에 접촉하여 흡수되거나 감쇄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소음부(120)의 하우징(122) 후단에 형성된 통공(128)을 통해 매우 감쇄된 소리가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소리 또는 음파는 충분히 감쇄된 상태이므로, 주변에 소음을 유발하거나 통화내용을 다른 사람들이 알아차릴 수 없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러한 집음기(100)를 휴대폰용 액세서리로 사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를 참조하면, 집음기(100) 본체의 일측에 연결고리(111) 또는 스트립을 매달아서, 휴대폰의 액세서리로 매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집음기(100) 내부에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된 집음부(110)와, 집음부(110)의 내부 또는 후단에 배치되는 소음부(120)가 구비되고, 집음부(110)에는 마이크(105)가 구비된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소음부(120)는 하우 징(122) 내부에 배치되는 블록형태의 다공성 흡음재(130)로 이루어진다. 이 다공성 흡음재는 덩어리, 즉 블록형태를 갖거나, 섬유상 또는 시트상의 흡음재를 감거나 접거나 뭉쳐서 벌크형태로 만든 것, 기타 소음부(120)에 삽입하기 용이한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집음기(100)에 연결고리(111) 또는 스트립을 부착하여 휴대폰의 액세서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음기(100)의 본체의 형상은 액세서리에 걸맞는 장식적 형태와 칼라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집음기(110)를 연결고리(111)를 통해 휴대폰에 매달아서 휴대하면서, 통화시에 집음기(100)의 집음부(110)를 입에 대고 통화를 하면, 소리가 주변으로 새어나가는 것이 억제되어 소음발생을 줄이면서도 프라이버시가 보호되고, 또한 발화자의 소리중 마이크(105)로 유입되는 소리 이외의 음파는 소음부(120)의 다공성 흠음재(130)에 흡수되어 감쇄되어 소멸되므로, 집음부(110)에서 소리가 반사되어 서로 간섭됨으로 인해 소리가 불명료해지거나 발음이 곤란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명료한 통화가 가능하다.
도 4는 휴대폰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집음기(100)에 내장된 마이크(105)를 무선마이크로 하여 별도의 이어폰용 케이블을 생략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폰의 핸드프리세트의 마이크에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데, 집음부(110)를 주름관 또는 자바라형태로 제작하여, 이어폰기구의 마이크본체(106)의 마이크(105) 주위에 형성된 수납홈(107)에 수납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집음부(110) 내부의 마이크(105) 주변의 마이크본 체(106)에는 다공성 흡음재(130)가 충전된 소음부(120)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평소에는 도 5a와 같이 집음부(106)를 마이크본체(106)의 수납홈(107)에 수납하여 보관하다가, 공공장소나 회의중에 통화소음을 방지하거나 통화비밀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주름관 형태의 집음부(110)를 인출하여 통화를 할 수 있고, 이 때, 집음부(110) 내부의 소음부(120)에서 소리의 반사로 인한 간섭을 억제하므로, 명료한 소리로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폰 본체(12)의 일측에 집음기(100)를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부에 부가적인 마이크(105)를 구비하되, 이 마이크(105)를 하우징(122) 내에 형성하여, 이 하우징(122)이 상부가 개방된 집음부(110)와, 이 집음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마이크(105) 주변에 흡음재(130)가 삽입된 소움부(12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마이크(105)는 통상적인 휴대폰사용시에 사용하는 마이크(도시안됨)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마이크로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통화하는 소리가 주변사람들에게 들리지 않도록 통화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마이크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폰 본체(12)를 보호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호케이스(14)에 본 발명의 집음기(100)를 적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보호케이스(14)의 상단에 별도의 마이크(105)를 구비하고, 이 마이크(105)를 집음기(100)의 하우징(122)에 내장한 것이다. 이 하우징(122)의 상부는 상면이 개방된 집음부(110)이고, 이 하우징(122)의 하부는 흡음재(130)가 충전된 소음부(120)이다. 상기 집음기(100)의 마이크(105)는 도시안된 케이블 또는 무선통 신모듈을 통해 휴대폰 본체(12)와 통신가능하게 구성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Claims (3)

  1. 휴대폰(10)의 본체(12), 보호케이스(14), 휴대폰 액세서리 또는 휴대폰용 이어폰(104)의 마이크(105)에 결합되며, 발화자의 음성을 내부로 수집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112)이 형성된 집음부(110)와, 상기 집음부(110)의 내부 또는 후단에 배치되며 소리를 흡수 또는 감쇄시키거나 감쇄음을 배출하는 소음부(120)와, 상기 집음부(110) 내부 또는 상기 집음부(110)에 인접한 소음부(120)에 설치되며 통화음을 수신하는 마이크(105)를 포함하며, 상기 집음부(110)와 소음부(120)는 서로 연통되는 통형상의 하우징(1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집음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부(120)에는 이 하우징(122)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음파를 우회시키도록 형성된 다수의 격판(124)과, 상기 격판(124)의 표면에 피복되는 직물 또는 발포시트 이루어진 흡음재(126)와, 상기 소음부(120)의 하우징(122) 후단에 형성된 통공(1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집음기(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부(120) 내부에는 블록 또는 벌크형태의 다공성 흡음재(13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집음기(100).
KR1020080039261A 2008-04-28 2008-04-28 휴대폰용 집음기 KR10096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61A KR100966003B1 (ko) 2008-04-28 2008-04-28 휴대폰용 집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61A KR100966003B1 (ko) 2008-04-28 2008-04-28 휴대폰용 집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07A KR20090113507A (ko) 2009-11-02
KR100966003B1 true KR100966003B1 (ko) 2010-06-24

Family

ID=4155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261A KR100966003B1 (ko) 2008-04-28 2008-04-28 휴대폰용 집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2418A (zh) * 2015-10-09 2017-04-19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语音助手的扩展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959B1 (ko) * 1977-02-23 1980-09-15 이구오 노사가 피아노음의 집음 방법
KR19990017756U (ko) * 1997-11-03 1999-06-05 윤종용 저음 보강용 마이크로폰
JP2001197584A (ja) 2000-01-12 2001-07-19 Washi Kosan Kk 集音器
KR200233077Y1 (ko) * 2001-03-02 2001-09-28 이휘웅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집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959B1 (ko) * 1977-02-23 1980-09-15 이구오 노사가 피아노음의 집음 방법
KR19990017756U (ko) * 1997-11-03 1999-06-05 윤종용 저음 보강용 마이크로폰
JP2001197584A (ja) 2000-01-12 2001-07-19 Washi Kosan Kk 集音器
KR200233077Y1 (ko) * 2001-03-02 2001-09-28 이휘웅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집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07A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2464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or an earpiece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via a keypad
US6137883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US20050018838A1 (e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isolating in-ear driver
US5058154A (en) Telephone handset having a pure acoustic resistance connection
US20190333493A1 (en) Privacy sleeve for smart speakers
WO2007099893A1 (ja) 音声入力イヤーマイク
JP2006222877A (ja) 音声送話装置及び音声送受話装置
US200402596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ound in surrounding area resulting from speaking into communication device
KR100966003B1 (ko) 휴대폰용 집음기
KR20100021199A (ko) 흡음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헤드셋
JP2009130756A (ja) 電話器用消音マスク
RU166740U1 (ru) Маска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KR100882614B1 (ko) 방음송화부
CN201114260Y (zh) 话筒消音器
CN101184118A (zh) 隔音口罩
KR100991346B1 (ko) 프라이버시보호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 액세서리
KR200252560Y1 (ko) 마스크 폰
JP2000349882A (ja) 携帯電話用漏洩音防止装置
KR101019804B1 (ko) 비밀통화가 가능한 송수화기
JP2000078678A (ja) 音声漏洩防止型通信装置
KR200197324Y1 (ko) 전화기용 방음 송수화기
WO2012174782A1 (zh) 一种移动终端
GB2439765A (en) Passive telephone privacy device
KR20100011610U (ko) 마이크 삽입부를 갖는 방음 마스크
CN106605980A (zh) 一种新型隔音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