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227B1 -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227B1
KR100965227B1 KR1020080031223A KR20080031223A KR100965227B1 KR 100965227 B1 KR100965227 B1 KR 100965227B1 KR 1020080031223 A KR1020080031223 A KR 1020080031223A KR 20080031223 A KR20080031223 A KR 20080031223A KR 100965227 B1 KR100965227 B1 KR 10096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alt
coa
yarn
flame retardan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644A (ko
Inventor
이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쎄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쎄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쎄코텍
Priority to KR102008003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22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47Miner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6Yarns or threads made from mineral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3Heat-resistant, fireproof or flame-retard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6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phosphorus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chlorophosphonic acid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현무암사의 취약점인 낮은 유연성 및 매듭강도를 개선하여 그 취급성을 높이는 한편, 현무암코아사를 위사(緯絲) 및/또는 경사(經絲)로 하여 직조되는 직물의 난연성(亂燃性)을 더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현무암사는 불소계(弗素系)수지가 코팅됨으로써 유연성과 매듭강도가 높아지며, 현무암코아사는 인계(燐系)수지로 코팅됨으로써 유연성과 매듭강도가 개선되어 그 취급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현무암코아사로 직조된 직물은 그 표면에 난연성(難燃性) 실리콘 수지가 더 도포됨으로써 화재시 내천공성(耐穿孔性)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현무암, 섬유, 코팅, 합사, 불소계, 인계, 실리콘

Description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Basalt Fiber Core Twisted Yarn having improved performance of fire resist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무암코아사로 직조된 직물의 내화성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현무암코아사를 인계 난연 코팅액으로 코팅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한편, 이 방법으로 코팅된 현무암코아사로 직조된 직물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화재시 내천공성(耐穿孔性)을 더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무암사(玄武巖絲)는 오랜 시간 동안 풍화가 이루어지고 안정화과정을 거친 현무암으로 제조된 환경친화적 무기섬유로서, 내열성, 내알카리성, 기계적인 물성 등이 뛰어나다.
우수한 품질의 현무암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기술은,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465272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는데, 이 기술은 현무암을 20㎜ 이하의 굵기의 쇄석으로 분쇄하여 공급하는 단계, 상기 현무암 쇄석을 1,440℃∼1,480℃에서 용융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용융된 현무암을 1,380℃∼ 1,480℃로 유지시키면서 현무암사로 인발하는 단계, 인발된 현무암사를 960℃∼ 1,150℃로 서냉각하는 단계; 상기 현무암사의 표면에 표면처리제(사이징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현무암사에 도포된 표면처리제를 건조하고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로서, 이 제법에 의해 내열성, 내알카리성, 기계적인 물성 등이 뛰어난 현무암 연속섬유(현무암사)가 제조되며, 특히 내열성이 뛰어나 불에 타지 않는 난연사가 얻어진다.
그러나, 현무암사는 전단강도 및 매듭강도(Knot Strength)가 대단히 약해 그 현무암사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부러지기 때문에 이러한 현무암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얻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또한 현무암사는 무기재이기 때문에 활발하게 내장재로 사용되기에는 표면 질감이 좋지 않았으며 또한 다른 천연섬유나 유기섬유(합성섬유)에 비해 현무암사 또는 현무암사 직물에 색상을 부여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현무암사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제722409호에서 현무암코아사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현무암코아사를 제시하였는데, 이 기술은 섬유의 굵기가 300∼1000데니아인 현무암사를 롤로부터 풀어주는 공정과, 풀어진 현무암사에 사이징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사이징재가 도포된 현무암사를 100℃∼180℃로 가열하는 공정과, 섬도가 20∼200 데니아인 제1난연사를 롤로부터 풀어, 그 제1난연사를 현무암사의 외측에 감아 현무암코아사로 만드는 연사공정 및 상기 현무암코아사를 권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법 및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술이다.
이렇게 현무암사를 코아(주사(主絲))로 하고 그 코아의 표면에 난연사(부사(副絲)를 꼬아감싸는 구성으로 제조된 현무암코아사(玄武巖Core絲)는, 난연사가 감촉, 흡습성, 촉감 및 광택감이나 발색성이 양호한 경우, 그 난연사로 하여금 섬유가 가져야 할 그러한 일반적인 성질을 발현케 함으로써 현무암사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는 한편 그 내부의 코아(주사)인 현무암사로 하여금 내열성을 발휘하게 하는 이점을 가지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 특허 제722409호에 따른 현무암코아사는 현무암사가 갖고 있는 단점들을 많이 개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사를 반드시 난연사로 사용하여야 하는 한계와, 현무암코아사의 코아를 이루는 현무암사가 직조시 또는 직조 후 여전히 유연성이 부족하고 매듭강도가 약한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현무암코아사로 직조한 직물은 난연성이 충분하지 못해 적극적으로 불연 내장재로 활용되지 못했다.
본 발명은 내화성(耐火性)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에 착색할 수 있는 현무암코아사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耐火性)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제조방법은,
현무암사를 주사로 하고 그 주위에 부사를 감아 합사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를 제조하는 단계와;
인계 난연액 35∼45 중량%, 솔벤트인 톨루엔 50∼59.9 중량% 및 열안정제 0.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코팅처리용액을 95∼105℃로 유지하면서, 이 코팅처리용액에 현무암 코아사를 280∼320m/hr의 속도로 통과시켜 코팅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인계난연액이 코팅된 현무암 코아사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건조된 현무암코아사를 위·경사로 하여 직조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그리고,
실리콘 수지에 비할로겐(Non-Halogen)계 난연제가 혼합된 난연성 실리콘수지를 상기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표면에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무암코아사 직물은 인계 난연 코팅액으로 현무암코아사를 코팅하여 난연처리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의 섬유로서의 기능성(유연성, 매듭강도)이 향상된다. 이렇게 기능성이 향상되도록 코팅처리된 현무암사는 유연성이 우수하여 직조가 용이하며 색상의 부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현무암코아사로 짠 직물의 표면에 난연성 실리콘 수지층이 피복된 내장마감재는 화재시 그 내천공성이 우수하여, 불연성 내장마감재로 널리 쓰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현무암코아사로 직조되는 직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사 용되는 현무암사는, 그 물리적 특성(유연성, 매듭강도)을 개선하지 위하여 불소계 코팅액을 주성분으로 하여 20∼25℃의 온도를 유지하는 코팅처리용액에 1∼2m/분의 속도로 통과됨으로써 그 표면이 불소계 코팅액으로 코팅처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처리용액은, PTFE 50∼60 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2∼5중량%, 잔부 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처리 전에 현무암사를 380∼42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 선행단계는 현무암사 표면에 잔존하는 사이징재를 제거함으로써 차후 염색처리 등을 할 경우 그 발색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코팅처리 이후 상기 현무암사를 80∼11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후 180∼27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단계 후 360∼420℃의 온도로 소결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유연성이 좋아지고 매듭강도가 좋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현무암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제품을 대상으로 하지만, 또다른 방법으로서는 현무암사를 주사로 하고 이 현무암사의 외측에 감겨지는 섬유를 부사로 하여 제직되는 현무암코아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을 대상으로 한다.
즉, 인계 난연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처리용액을 95∼105℃로 가열하여 유지하고, 상기 코팅처리용액에 부사를 280∼320m/hr의 속도로 통과시켜 코팅처리한 부사를 현무암 주사의 외주면에 꼬아 합사하거나 또는 먼저 현무암 주사와 부사를 합사하여 현무암코아사를 만든 후 이 현무암코아사를 인계 난연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95∼105℃의 코팅처리용액에 280∼320m/hr의 속도로 통과시켜 얻은 현무암코 아사로 직조된 직물을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현무암코아사의 기능성 코팅방법에 사용되는 코팅처리용액은, 인계 난연액 35∼45 중량%, 솔벤트인 톨루엔 50∼59.9 중량% 및 열안정제 0.1∼1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현무암코아사를 이용하여 제직된 직물을 대상으로 하여, 그 직물의 표면에 난연성 실리콘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화재시 열에 대한 내천공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현무암사의 기능성 코팅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현무암사는 연속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465272호에 제시되어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현무암사는 내열성, 내알카리성, 기계적인 물성 등이 뛰어나며,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여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사의 용도로 적합하다.
현무암사는 불소계 코팅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처리용액에 의해 코팅된다.
상기 코팅처리용액은, PTFE 50∼60 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2∼5 중량%, 잔부 물로 이루어진다.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소계 용액으로, 5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농도가 낮아 충분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60 중 량% 이상으로 사용하면 농도가 너무 높아 코팅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섬유유연제는 비이온계로 사용하며, 예컨대 Triton-X100을 사용한다. 이러한 섬유유연제는 현무암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2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충분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5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은 더 이상의 유연성 향상에 기여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불소계 코팅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처리용액은, 20∼25℃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무암사는 그 코팅처리용액에 1∼2 m/분의 속도로 통과된다.
현무암사가 코팅처리용액을 통과하는 속도는 충분한 코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 생산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설정하며, 1 m/분 미만으로 설정하면 생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2 m/분 이상으로 설정하면 충분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현무암사를 제조할 때 그 표면에 사이징제, 예컨대 에폭시수지나 아크릴계 수지가 코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이징제는, 특히 발색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불소계 코팅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이징제의 제거는 본 발명의 코팅처리용액에 의한 코팅 처리 전에 현무암사를 380∼42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380℃ 미만인 경우, 사이징제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420℃ 이상인 경우, 온도를 과도하게 높임으로써 운전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 지 않다.
불소계 코팅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처리용액이 코팅된 현무암사는 80∼11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 후 180∼27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공정과, 상기 가열 후 360∼420℃의 온도로 소결 처리하는 공정을 거친다. 바람직하게는, 현무암사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처리용액이 균일하게 펴지도록 롤 또는 나이프에 의해 조정 공정을 거친 후 건조 공정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무암사는 80∼110℃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영역(Drying zone)을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현무암사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처리용액이 건조된다.
계속하여, 현무암사는 180∼270℃의 온도를 유지하는 가열영역(Baking zone)과, 360∼420℃의 온도를 유지하는 소결영역(sintering zone)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코팅처리용액이 현무암사의 표면에 견고하게 코팅된다.
상기 소결영역의 길이는 상기 건조영역, 가열영역 및 소결영역의 전체 길이에 대한 5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정 공정은, 한 쌍의 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롤 사이로 현무암사가 통과하는 구조를 갖거나, 현무암사의 표면에 나이프가 접촉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가짐에 의해, 현무암사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처리용액이 현무암사의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게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현무암사는 자체의 물성, 특히 난연성이 유지되고, 게다가 구부러졌을 때 쉽게 부러지지 않는 기능, 즉 유연성이 우수하여 직조가 용이하다. 또한, 색상을 쉽게 부여할 수 있어 난연성이 우수하면서 다양한 색깔을 갖는 난연내장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현무암코아사의 기능성 코팅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무암코아사는 현무암사를 주사로 하고 이의 외측에 감겨지는 섬유를 부사로 하여 연사로 제작된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제722409호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현무암코아사를 구성하는 부사가 인계 난연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처리용액에 일정 시간 이상 접촉하여 난연처리될 수 있다.
상기 코팅처리용액은 인계 난연액 35∼45 중량%, 솔벤트인 톨루엔 50∼59.9 중량% 및 열안정제 0.1∼10 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팅처리용액을 이루는 인계 난연액은 난연효과와 함께 환경 안전성이 뛰어난 난연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코팅과정에서 인계 난연액이 35중량% 미만 함유되면 현무암코아사에 충분한 난연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45중량% 이상 함유되면 솔벤트에 인계 난연액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난연처리효과를 저하시킨다.
솔벤트는 인계 난연액이 위사의 표면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충분히 용해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솔벤트의 경우, 50중량% 미만 함유되면 인계 난연액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난연처리효과가 떨어지며 59.9 중량% 이상 함유되면 인계 난연액의 농도가 너무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열안정제는,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9,10-dehydro-9-oxa-10-phosphor phenanthrene-10-oxide)로 구성된다. 이러한 열안정제는 0.1 중량% 미만 함유되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10 중량% 이상 함유되면 과도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코팅처리용액은 솔벤트에 인계 난연액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공정과, 열안정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솔벤트와 인계 난연액은 5분 이상의 교반에 의해 고르게 섞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교반된 솔벤트와 인계 난연액의 혼합 용액에 열안정제를 투입한 후 3분 이상 교반에 의해 고르게 섞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시간이 너무 짧으면 고르게 섞이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며 너무 길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처리용액은 95∼105℃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지며, 이러한 범위에서 코팅효율이 최대로 나타난다.
상기 부사는 280∼320m/hr의 속도로 코팅처리용액을 통과하며, 너무 낮은 속도로 설정하면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고 너무 높은 속도로 설정하면 코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조된 부사를 주사인 현무암사의 외측에 감음으로써 현무암코아사가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현무암코아사를 이루는 부사가 난연 처리되면 난연성이 우수한 현무암사와 함께 현무암코아사 전체의 난연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전술한 현무암코아사의 기능성 코팅방법은 현무암코아사를 이루는 부사에 대하여 인계 난연코팅처리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지만, 부사만을 코팅하는 것이 아니라,먼저 부사를 현무암사 주사에 합사하여 코아사를 만든 후에 이 코아사에 전술한 과정의 인계난연코팅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현무암코아사 전체의 난연기능을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현무암코아사를 이용하여 제직되는 직물은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며 부사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처리용액 또는 코아사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처리용액이 부사와 주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기능도 아울러 가짐으로써 직조의 용이성 및 직조된 직물의 품질 특히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현무암코아사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사는, 특히 천연의 면섬유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까닭은 면섬유는 천연의 유기소재로서 친환경적이고 흡수, 발수, 발색성이 우수하여 무기섬유로서의 현무암사의 단점을 카바할 수 있을 할 뿐만 아니라 특히 불에 탈 경우 그 재가 그 직조되었던 위치에 그대로 잔존(殘存)됨으로써 후술하는 실리콘수지 백업코팅처리부와 함께 현무암코아사직물의 화재에 대한 내천공성 발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현무암코아사 제조용 부사로서의 면섬유는 바람직하게는 0.3-0.6mm 굵기의 것이 바람직한데, 0.6mm 이상으로 너무 굵으면 내부의 현무암 주사에 합사하여 연사(꼰 실)로 만들기가 적합치 않으며, 0.3mm 이하로 너무 가늘면 그러한 현무암코아사로 만든 직물은 화재시 내천공특성을 발휘하는 데에 미흡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코팅처리공정을 거친 현무암코아사를 사용하여 직조된 난연성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난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어느 한 면에 난연성 실리콘수지가 더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연성 실리콘 수지는 실리콘 수지에 난연제, 바람직하게는 비할로겐(Non-Halogen)계 난연제가 혼합된 실리콘 수지로서, 예컨대 대한민국의 주식회사 진보에서 생산한 제품명 FR-319 또는 FR-319A를 사용할 수 있다. 롤로부터 풀려나오는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한 면에 전술한 난연성 실리콘수지를 호퍼를 통해 연속으로 공급하되 그 피복두께를 조절하는 한편 균일하게 도포를 하기 위하여 나이프(Knife)로 스크레이핑(Scraping)하면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그 도포두께는 0.01mm ~ 0.1mm가 바람직하다. 0.01mm이하이면 도포량이 적어 내천공성이 저하되며, 0.1mm 이상이면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난연특성이 포화하여 비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은 현무암코아사 직물지(예컨대, 0.6mm의 현무암주사+표면에 인계난연액이 코팅된 0.55mm의 면사(부사)+0.05mm 두께의 난연성실리콘수지재 코팅)를 실내장식물, 예컨대 내장마감재(벽지)로 사용하는 경우, 이 내장마감재가 준불연재(난연재)로서의 요건을 충족하는가를 한국소방검정공사(Korea Fire Euipment Inspection Corporation)에서 시험한 결과 다음과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8024312037-pat00001
이상과 같은 시험결과를 얻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물리적 특성은, 시험체에 관통균열이나 구멍 또는 용융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으로서, 만약 시험체에 균열이나 구멍 또는 용융이 생길 경우에는 그 균열이나 구멍을 통해 방출열량 및 열방출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유해가스의 유동량이 급격히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현무암코아사 직물에 난연성 실리콘수지를 코팅하여 완성되는 제품은 그 심사(주사)가 무기재인 현무암사이고, 그 외주면에 감긴 부사가 면인 천연의 유기섬유로서 불에 탄 이후 그 재가 잔존되며, 난연성 실리콘수지 피복층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종래의 그 어떤 벽지와 같은 내장마감재보다도 난연요구특성에 적합한 제품으로 된다.

Claims (4)

  1. 인계 난연액 35∼45 중량%, 솔벤트인 톨루엔 50∼59.9 중량% 및 열안정제 0.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코팅처리용액을 95∼105℃로 유지하면서, 이 코팅처리용액에 부사를 280∼320m/hr의 속도로 통과시켜 부사의 외주면을 인계난연액으로 코팅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인계난연액이 코팅된 부사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건조된 부사를 현무암사 주위에 감아 합사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현무암코아사를 위·경사로 하여 직조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그리고,
    실리콘 수지에 비할로겐(Non-Halogen)계 난연제가 혼합된 난연성 실리콘수지를 상기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표면에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제조방법
  2. 현무암사를 주사로 하고 그 주위에 부사를 감아 합사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를 제조하는 단계와;
    인계 난연액 35∼45 중량%, 솔벤트인 톨루엔 50∼59.9 중량% 및 열안정제 0.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코팅처리용액을 95∼105℃로 유지하면서, 이 코팅처리 용액에 현무암 코아사를 280∼320m/hr의 속도로 통과시켜 코팅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인계난연액이 코팅된 현무암 코아사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건조된 현무암 코아사를 위·경사로 하여 직조함으로써 현무암코아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그리고,
    실리콘 수지에 비할로겐(Non-Halogen)계 난연제가 혼합된 난연성 실리콘수지를 상기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표면에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사는 면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의 제조방법
  4. 상기 청구항 3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KR1020080031223A 2008-04-03 2008-04-03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23A KR100965227B1 (ko) 2008-04-03 2008-04-03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23A KR100965227B1 (ko) 2008-04-03 2008-04-03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644A KR20090105644A (ko) 2009-10-07
KR100965227B1 true KR100965227B1 (ko) 2010-07-20

Family

ID=4153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223A KR100965227B1 (ko) 2008-04-03 2008-04-03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876B1 (ko) * 2021-07-22 2023-11-16 주식회사 대웅에프엔티 (F.N.T) 난연성 수지코팅 현무암섬유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541A (ja) * 1994-10-20 1996-05-14 Nichias Corp 耐火クロス
US6187426B1 (en) 1996-11-15 2001-02-13 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 Gmbh Composite materials
KR100465272B1 (ko) 2002-03-20 2005-01-13 주식회사 쎄코텍 현무암 연속섬유 제조장치
KR100722409B1 (ko) 2006-02-27 2007-05-28 주식회사 쎄코텍 현무암 코아사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현무암 코아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541A (ja) * 1994-10-20 1996-05-14 Nichias Corp 耐火クロス
US6187426B1 (en) 1996-11-15 2001-02-13 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 Gmbh Composite materials
KR100465272B1 (ko) 2002-03-20 2005-01-13 주식회사 쎄코텍 현무암 연속섬유 제조장치
KR100722409B1 (ko) 2006-02-27 2007-05-28 주식회사 쎄코텍 현무암 코아사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현무암 코아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644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895B2 (ja) 玄武岩糸と玄武岩コア糸の機能性コーティング方法、この方法でコートされた玄武岩糸と玄武岩コア糸、およびこれらから製織された製品
US20180187351A1 (en) Flame-blocking nonwoven fabric
DK158941B (da) Fibroese sammensatte materialer omfattende ikke braendbare fibre og vermikulit og deres fremstilling og anvendelse
CN101368313A (zh) 阻燃防火面料
TR201809401T4 (tr) Ateşe dayanıklı özelliklere sahip denim kumaşı ve indigo mavi boya kullanılarak kumaş sargısının boyanmasına yönelik işlem.
KR100639793B1 (ko) 난연직물과 그 제조방법
US3628995A (en) Flame resistant cloth
KR100722409B1 (ko) 현무암 코아사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현무암 코아사
KR101873652B1 (ko) 내광성이 우수한 차양막용 폴리에스테르난연원단의 제조방법
KR100965227B1 (ko) 내화성이 개선된 현무암코아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1252B1 (ko) 난연성 면직물의 제조방법
KR101189982B1 (ko) 불연성 무기성분이 함유된 방적사의 제조방법, 그 방적사 및 그 방적사를 이용한 직물
CN110725032A (zh) 一种耐日晒耐洗涤的pbi混纺纱线及其织物
KR20150080497A (ko) 박형 시트 유리의 제조 방법
KR101532548B1 (ko) 질석분말을 도포한 불연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001467A (ja) 難燃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CN113550063B (zh) 一种熔体直纺强涤纶长丝的垫纸制作工艺
CN112477332A (zh) 一种柔性热反射面料及其制备方法
CN102505343B (zh) 一种麻纤维无纺复合墙布
CN110512337B (zh) 玄武岩纤维和芳纶混纺阻燃隔热面料及其制造方法
Öncü et al. Protective properties of different fabrics using micronized pumice
JPH04219350A (ja) 不燃織物用着色原糸の製造方法
JP2022097698A (ja) 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JPH073009B2 (ja) 金属光沢を有する不燃性糸の製造方法
FR3008434A1 (fr) Procede de coloration d'un support textile non feu en un coloris haute visibil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