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926B1 - 펄프몰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펄프몰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926B1
KR100964926B1 KR1020080027888A KR20080027888A KR100964926B1 KR 100964926 B1 KR100964926 B1 KR 100964926B1 KR 1020080027888 A KR1020080027888 A KR 1020080027888A KR 20080027888 A KR20080027888 A KR 20080027888A KR 100964926 B1 KR100964926 B1 KR 10096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ulp
molding
dry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437A (ko
Inventor
강출성
Original Assignee
강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출성 filed Critical 강출성
Priority to KR102008002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92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D21J3/12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of sheets; of diaphrag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72Wet presse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03Indicating or regulat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몰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펄프수조(10)에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자신의 실린더(21)에 의해 제 1 펄프수조(10)의 수면(S1) 위로 출몰될 수 있고, 제 2 펄프수조(30)에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자신의 실린더(41)에 의해 제 2 펄프수조(30)의 수면(S2) 위로 출몰될 수 있으며, 상기 펄프수조(10, 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가동몰드(50)이 제 1 이송 실린더(55)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어 제 1 펄프수조(10)의 상부 또는 제 2 펄프수조(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린더(51)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제 2 펄프수조(30)의 측상부에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60)에 제 1 내지 제 3 하부건조몰드(61, 62, 63)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60)이 제 2 이송 실린더(65)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고, 하부건조몰드(61, 62, 63)의 상부에 제 1 내지 제 3 상부건조몰드(71, 72, 73)가 배치되고, 각각의 하부건조몰드(61, 62, 63)와 합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상부건조몰드(71), 제 2 상부건조몰드(72) 및 제 3 상부건조몰드(73)가 각각 자신의 실린더(71a, 72a, 73a)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펄프몰드 시스템{PULP MOLD SYSTEM}
본 발명은 펄프몰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펄프수조에 2개의 하부성형몰드가 배치되어, 하부성형몰드의 펄프 성형물이 건조몰드로 이송되기 전에 형성되고 탈수 과정을 거침으로써, 펄프성형물의 건조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펄프몰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170753호(1999년 11월 30일 등록)에 "펄프몰드 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펄프몰드 시스템은 펄프용액이 수용되는 펄프용액수조; 상기 펄프용액수조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형상의 펄프성형물이 형성되는 제1형상부가 형성된 성형메일몰드; 상기 성형메일몰드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형상부에 대응하는 제2형상부가 형성되고, 그 제2형상부로 상기 제1형상부에 형성된 펄프성형물을 흡착하는 성형피메일몰드; 상기 성형메일몰드와 성형피메일몰드 사이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성형피메일몰드에 흡착된 펄프성형물이 치합될 수 있는 제3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형상부에 치합된 펄프성형물에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메일몰드; 및 상기 건조메일몰드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건조메일몰드에서 습기가 제거된 펄프성형물이 치합될 수 있는 제4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형상부에 치합된 펄프성형물을 흡착시켜 상승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피메일몰드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펄프몰드 시스템은 성형메일몰드에 부착된 펄프성형물에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는 과정이 없어, 건조메일몰드에서의 펄프성형물 건조시간이 많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프수조에 2개의 하부성형몰드가 배치되어, 하부성형몰드의 펄프 성형물이 건조몰드로 이송되기 전에 탈수 과정을 거침으로써, 펄프성형물의 건조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펄프몰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시스템은 제 1 펄프수조에 제 1 하부성형몰드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가 자신의 실린더에 의해 제 1 펄프수조의 수면 위로 출몰될 수 있고, 제 2 펄프수조에 제 2 하부성형몰드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하부성형몰드가 자신의 실린더에 의해 제 2 펄프수조의 수면 위로 출몰될 수 있으며, 상기 펄프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가동몰드이 제 1 이송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어 제 1 펄프수조의 상부 또는 제 2 펄프수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제 2 펄프수조의 측상부에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에 제 1 내지 제 3 하부건조몰드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이 제 2 이송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고, 하부건조몰드의 상부에 제 1 내지 제 3 상부건조몰드가 배치되고, 각각의 하부건조몰드와 합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상부건조몰드, 제 2 상부건조몰드 및 제 3 상부건조몰드가 각각 자신의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수조는 격막에 의해 제 1 수조와 구분되고, 제 2 하부성형몰드가 상부가동몰드와 합형되기 전에 수면 위로 상승되어 제 2 하부성형몰드에 부착된 펄프 성형물을 탈수시키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의 펄프 성형물이 상부가동몰드를 통해 제 1 하부건조몰드로 공급되는 동안, 제 2 하부성형몰드에 형성되고 탈수과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제 2 하부성형몰드의 펄프 성형물이 상부가동몰드를 통해 제 1 하부건조몰드로 공급되는 동안, 제 1 하부성형몰드에 펄프 성형물이 형성되고 탈수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시스템은 펄프 성형물이 건조과정을 거치기 전에 먼저 탈수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건조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펄프 성형물의 제조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시스템은 제 1 펄프수조(10)에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자신의 실린더(21)에 의해 제 1 펄프수조(10)의 수면(S1) 위로 출몰될 수 있고, 제 2 펄프수 조(30)에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자신의 실린더(41)에 의해 제 2 펄프수조(30)의 수면(S2) 위로 출몰될 수 있으며, 상기 펄프수조(10, 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가동몰드(50)가 제 1 이송 실린더(55)에 의해 화살표(56) 방향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어 제 1 펄프수조(10)의 상부 또는 제 2 펄프수조(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린더(51)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제 2 펄프수조(30)의 측상부에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60)에 제 1 내지 제 3 하부건조몰드(61, 62, 63)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60)이 제 2 이송 실린더(65)에 의해 화살표(67) 방향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고, 하부건조몰드(61, 62, 63)의 상부에 제 1 내지 제 3 상부건조몰드(71, 72, 73)가 배치되고, 각각의 하부건조몰드(61, 62, 63)와 합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상부건조몰드(71), 제 2 상부건조몰드(72) 및 제 3 상부건조몰드(73)가 각각 자신의 실린더(71a, 72a, 73a)에 의해 승하강된다.
상기 제 2 펄프수조(30)는 격막(15)에 의해 제 1 펄프수조(10)와 구분되고,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상부가동몰드(50)와 합형되기 전에 수면(S2) 위로 상승되어 제 2 하부성형몰드(40)에 부착된 펄프 성형물(W)을 탈수시키기 위한 공간부(31)를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성형몰드(20, 40)에 흡입구멍이 형성되고, 펌프 및 흡입구멍에 의해 펄프가 흡착 성형되는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제 1 및 제 2 하부성형몰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가동몰드(50), 하부건조몰드(61, 62, 63) 및 상부건조몰드(71, 72, 73)는 각각 자신의 히터를 가지며, 히터에 의해 성형부에 부착된 펄프 성형물이 건조되고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펌프에 의해 증기구멍을 통해 배출되며, 이러한 구성 또한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시스템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펄프 성형물(W1)이 부착된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제 1 펄프수조(10)의 수면(S1) 위로 상승되고, 제 1 하부성형몰드(2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가동몰드(50)가 하강되어,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20)와 상부가동몰드(50)가 합형된다. 이때, 제 2 펄프수조(30)의 수면 아래에 배치된 제 2 하부성형몰드(40)에 펄프가 부착되고, 제 2 이송 실린더(65)에 의해 가동 프레임(60)이 화살표(68)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60)에 장착된 제 1 하부건조몰드(61)가 제 2 펄프수조(40)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후, 제 1 하부성형몰드(20)와 상부가동몰드(50)가 파형되는 과정동안, 펄프의 부착이 완료되어 제 2 하부성형몰드(40)에 펄프 성형물(W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20)는 제 1 펄프수조(10)의 수면 아래로 하강되고, 제 1 하부성형몰드(20)에서 분리된 상부가동몰드(50)에 펄프 성형물(W1)이 부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후, 제 1 이송 실린더(55)에 의해 상부가동몰드(50)가 제 2 펄프수조(30)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하부건조몰드(61)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자신의 실린더(41)에 의해 제 2 펄프수 조(30)의 수면위 공간부(31)로 상승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후, 상부가동몰드(50)가 자신의 실린더(51)에 의해 제 1 하부건조몰드(61)와 합형되는 동안, 상부가동몰드(50)와 제 1 하부건조몰드(61)가 펄프 성형물(W1)를 저온 가압하여, 펄프 성형물(W1)을 저온 상태로 탈수성형한다. 그리고, 제 2 펄프수조(30)의 공간부(31)에 배치된 제 2 하부성형몰드(40)에서 펌프(42)에 의해 펄프 성형물(W2)이 탈수된다. 이때, 제 1 펄프수조(10)의 수면(S1) 아래에 배치된 제 1 하부성형몰드(20)에 펄프가 부착된다. 여기서, 저온은 90℃ 이하로로써, 일반적으로 증기압에 의해 펄프 성형물(W1)가 파손되지 않는 70℃ ~ 80℃가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후, 상부가동몰드(50)와 제 1 하부건조몰드(61)가 파형되고, 펄프 성형물(W1)이 부착된 제 1 하부건조몰드(61)가 제 2 이송 실린더(65)에 의해 제 1 상부건조몰드(71)의 하부로 이송된다. 이때, 제 1 하부성형몰드(20)에 펄프 성형물(W3)의 부착이 완료되어,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제 1 펄프수조(10)의 수면(S1) 위로 상승되고,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합형위치로 상승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후, 상부가동몰드(50)와 펄프성형물(W2)이 부착된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합형되고, 하부건조몰드(61, 62, 63)와 상부건조몰드(71, 72, 73)가 합형되어, 펄프 성형물(W1)이 건조된다. 이때, 제 1 하부성형몰드(20)에서 펌프(42)에 의해 펄프 성형물(W3)이 탈수된다.
이후, 상부가동몰드(50)와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파형되고, 도 2에 도시 된 바와같이, 제 1 이송실린더(55)에 의해 상부가동몰드(50)가 제 1 하부성형몰드(20)의 상부로 이송되고, 위에서 설명한 사이클이 반복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시스템은 펄프 성형물이 건조과정을 거치기 전에 먼저 저온탈수과정을 거치게 되므로서, 건조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펄프 성형물의 제조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펄프 성형물이 증기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펄프몰드 시스템의 작동 설명도

Claims (3)

  1. 제 1 펄프수조(10)에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20)가 자신의 실린더(21)에 의해 제 1 펄프수조(10)의 수면(S1) 위로 출몰될 수 있고, 제 2 펄프수조(30)에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자신의 실린더(41)에 의해 제 2 펄프수조(30)의 수면(S2) 위로 출몰될 수 있으며, 상기 펄프수조(10, 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가동몰드(50)가 제 1 이송 실린더(55)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어 제 1 펄프수조(10)의 상부 또는 제 2 펄프수조(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린더(51)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제 2 펄프수조(30)의 측상부에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60)에 제 1 내지 제 3 하부건조몰드(61, 62, 63)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60)이 제 2 이송 실린더(65)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고, 하부건조몰드(61, 62, 63)의 상부에 제 1 내지 제 3 상부건조몰드(71, 72, 73)가 배치되고, 각각의 하부건조몰드(61, 62, 63)와 합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상부건조몰드(71), 제 2 상부건조몰드(72) 및 제 3 상부건조몰드(73)가 각각 자신의 실린더(71a, 72a, 73a)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펄프수조(30)는 격막(15)에 의해 제 1 펄프수조(10)와 구분되고, 제 2 하부성형몰드(40)가 상부가동몰드(50)와 합형되기 전에 수면(S2) 위로 상승되어 제 2 하부성형몰드(40)에 부착된 펄프 성형물(W)을 탈수시키기 위한 공간부(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성형몰드(20)의 펄프 성형물(W1)이 상부가동몰드(50)를 통해 제 1 하부건조몰드(61)로 공급되는 동안, 제 2 하부성형몰드(40)에 형성되고 탈수과정을 거치며,
    상기 제 2 하부성형몰드(40)의 펄프 성형물(W2)이 상부가동몰드(50)를 통해 제 1 하부건조몰드(61)로 공급되는 동안, 제 1 하부성형몰드(20)에 펄프 성형물이 형성되고 탈수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 시스템.
KR1020080027888A 2008-03-26 2008-03-26 펄프몰드 시스템 KR10096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88A KR100964926B1 (ko) 2008-03-26 2008-03-26 펄프몰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88A KR100964926B1 (ko) 2008-03-26 2008-03-26 펄프몰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37A KR20090102437A (ko) 2009-09-30
KR100964926B1 true KR100964926B1 (ko) 2010-06-23

Family

ID=4135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888A KR100964926B1 (ko) 2008-03-26 2008-03-26 펄프몰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5758B (zh) * 2017-07-21 2018-11-27 嵊州市雾非雾机械设备商行 安装除湿器的喷枪放置箱
JP2023510902A (ja) * 2020-05-15 2023-03-15 永発(河南)模塑科技発展有限公司 パルプ成形の一体型ボトル、成形金型、装置及び製造プロセ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281A (ko) * 1999-11-17 2000-03-06 이상한 펄프몰드용기 성형장치
KR200385397Y1 (ko) 2005-03-07 2005-05-27 주식회사 잎성 병렬 습식 펄프몰드성형장치
KR200385399Y1 (ko) 2005-03-07 2005-05-27 주식회사 잎성 복, 복형 습식 펄프몰드성형장치
KR100675340B1 (ko) 2006-09-11 2007-01-30 유진하이텍(주) 턴테이블형 펄프 몰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281A (ko) * 1999-11-17 2000-03-06 이상한 펄프몰드용기 성형장치
KR200385397Y1 (ko) 2005-03-07 2005-05-27 주식회사 잎성 병렬 습식 펄프몰드성형장치
KR200385399Y1 (ko) 2005-03-07 2005-05-27 주식회사 잎성 복, 복형 습식 펄프몰드성형장치
KR100675340B1 (ko) 2006-09-11 2007-01-30 유진하이텍(주) 턴테이블형 펄프 몰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37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926B1 (ko) 펄프몰드 시스템
CN101967767A (zh) 纸浆模塑成型真空挤压低温干燥工艺及设备
KR100877008B1 (ko) 압축하는 동안 펄프-성형된 산출물들의 잔여 수분을감소시키는 주형 공동부 장치
CN102409578A (zh) 纸浆模塑成型真空挤压低温干燥工艺及设备
KR102157017B1 (ko) 건식 콘크리트 양각 블록 성형틀
CN205115920U (zh) 用于湿纸塑成型的捞浆系统及湿纸塑产品
KR101078418B1 (ko) 펄프몰드 성형장치
JPH0742100A (ja) パルプモ―ルドの製造方法
CN201389896Y (zh) 模压排气装置
KR100856509B1 (ko) 일방향 성형물 공급구조의 펄프 성형장치
KR200170753Y1 (ko) 펄프몰드 시스템
CN203393456U (zh) 一种湿布真空脱水机
KR101108323B1 (ko) 펄프성형물 제조장치
CN104652178B (zh) 大型厚体纸浆模压设备
US20240035236A1 (en) Energy-saving production process method for rapid drying and dewatering of paper-plastic products
CN114277616A (zh) 成型模具
CN209010858U (zh) 一种具有高效冷压成型的环保包装成型机
CN217298464U (zh) 一种锅炉尾气热量再利用加热纸浆成型装置
KR20120066427A (ko) 그린타이어의 진공 가류 콘테이너
CN114277617B (zh) 成型模具的冷压控制方法
KR200165587Y1 (ko) 펄프몰드 시스템
CN107268342B (zh) 一种重载纤维模塑托盘的热成型模具及热压成型方法
CN2387134Y (zh) 往复式定量吸浆纸杯碗生产装置
JPH10227000A (ja) パルプモールドの製造方法
RU2129630C1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волокнистой суспензии и машин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3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2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