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388B1 -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388B1
KR100964388B1 KR1020030090741A KR20030090741A KR100964388B1 KR 100964388 B1 KR100964388 B1 KR 100964388B1 KR 1020030090741 A KR1020030090741 A KR 1020030090741A KR 20030090741 A KR20030090741 A KR 20030090741A KR 100964388 B1 KR100964388 B1 KR 10096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terminal
incoming signal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773A (ko
Inventor
최승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9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3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1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ing his telephone line, e.g. dial-up connection,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유선 전화망을 동시에 이용가능한 원폰 단말기의 개별 착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각각의 식별자 및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후,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검출하여 검출한 단말기에게 착신 신호를 전달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설비로 개별 착신 기능을 원폰 단말기에 부여하여 유선 전화로 활용시 취약한 개별 착신 기능을 제공하고 원폰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한다.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 원폰,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 CID

Description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LOCAL AREA ACCESS POINT AND METHODE FOR ONE-PHONE'S RECEIVING CALL IN BLUETOOTH MODE}
도 1은 원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폰 개별 착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ID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형태를 도시한 테이블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개별 착신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착신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모드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무선 전화기를 지원하는 원폰(ONE-PHONE)의 개별 착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드에서 수신되는 호를 개별적으로 착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작고, 저렴한 가격, 적은 전력소모로 휴대폰, 휴대용 PC등과 같은 휴대장치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기타 주변장치들 근거리 (10m~100m)내의 무선 연결(2.4GHz ISM Open Band)을 위한 기술적 규격으로서 근거리 통신망으로 각광 받고 있는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랜(Wireless LAN) 전송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이 대역에 80MHz 폭의 주파수가 공통으로 할당되어 별도의 정부 허가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대역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송신 출력의 크기를 100mW 또는 1mW로 제한하여 상호간섭을 억제하고 있다. 블루투스의 기본은 패킷 통신이지만 데이터와 음성 통신 모두 가능하다. 두 개의 기기를 일대일로 연결하면 단방향 최대 721kbps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블루투스에서는 여덟 개 이내의 기기들이 모여 피코넷(piconet)이라는 하나의 망을 형성하는데, 이때는 기기 사이에 필요에 따라 전체 용량을 적절히 배분하여 쓰게 된다.
또한, 같은 공간 안에서 여러 개의 독립된 피코넷을 중첩해 형성할 수도 있어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들의 밀도가 높은 장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전송오류 정정, 신원확인, 암호 및 절전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전술한 블루투스의 장점으로 인해, 블루투스의 응용중 앞서나가는 분야는 휴대폰에 관한 응용이다. 이러한 응용중, 이동 통신과, 유선망을 이용하는 무선 전화기등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폰(two in one-phone 또는 three in one-phone)이 있으며 에릭슨, 노키아등에서는 이미 상기 원폰 단말기를 생산하고 있다. 상기 원폰은 CDMA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하나의 단말기에 통합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PSTN이나 XDSL등의 외부 네트워크의 연결점인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폰 이용자는 블루투스 영역 내에서는 유선망의 이용요금으로 발신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이동성을 보장하면서도 저렴한 요금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전술한 원폰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CDMA 이동통신 및 블루투스 기능을 갖춘 원폰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영역 (10) 밖에서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로서 이용이 가능하고, 블루투스 영역(100)에 진입하게 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블루투스 모드로 전환하여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원폰 단말기(100)의 발신 호는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200)를 통해 유선망(30)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발신호는 착신자의 환경에 따라 유선망(30) 또는 이동전화망(40)을 통해 착신자(60)에게 전달된다. 또한, 발신자 및 착신자의 지정에 따라 지능망(50)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원폰 서비스의 블루투스 모드는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와 원폰 사이에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 외에는 통상의 유선망을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선 전화망의 요금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원폰이 블루투스 커버리지 내에서 유선 전화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선 전화의 특성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지는 개별 착신 기능이 제한된다. 즉,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내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원폰 단말기는 하나의 착신번호로 사용 되게 되므로,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착신된 전화는 가족 구성원 전원에게 착신 신호음을 보내주어야 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지는 개별 착신 기능이 크게 제한되고 사생활 보호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유선 전화의 결합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모드에 있어서도 원폰의 최소한의 개별 착신 기능을 보장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설비와 적은 비용으로서 개별 착신 기능을 제공하는 원폰 시스템 및 원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기존의 CID 기술을 이용하여 발신자측에서 통화료 절감 효과를 가져오며 수신인에게는 사생활 보호를 보장할 수 있는 원폰의 개별 착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각각의 식별자 및 상기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테이블;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검출하는 착신 신호 검출부; 상기 착신 신호 검출부가 검출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검출하는 장치 검출부; 및 상기 장치 검출부가 검출한 단말기에 상기 착신 신호 검출부가 수신한 착신 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착신 호 처리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각각의 식별자 및 상기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착신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폰 개별 착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동통신과 블루투스 모드의 무선 전화를 지원하는 원폰 단말기(100a, 100b, 100c)들과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200), 공중망 (PSTN)(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중망과 연결되어 있는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는 CID 테이블 (210), 착신 검출부(220), 불루투스 장치 검출부(230), 블루투스 모듈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200)는 댁내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CID 테이블(210)은 발신자 전화 번호(Caller ID)와 원폰 단말기들 (100a, 100b, 100c)의 블루투스 장치 식별자를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 식별자는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 또는 블루트스 장치 시리얼 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CID 테이블은 원폰 단말기와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200)의 개별 통신을 통하여 등록하여 둘 수 있으며 갱신 추가가 가능하다.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는 등록 및 갱신을 요구하는 원폰 단말기의 블루투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CID 테이블(210)에 저장하게 된다.
착신 검출부(220)는 공중망(300)으로부터 착신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착신 신호에는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착신 검출부(220) 착신신호 를 검출하면 상기 CID 테이블(210)을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장치 식별자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블루투스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착신 신호와 함께 상기 장치 식별자를 블루투스 장치 검출부(230)에 전송한다.
블루투스 장치 검출부(230)는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내의 커버리지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장치 식별자의 블루투스 장치가 접속 상태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모듈 제어부(240)에 이를 통보하여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를 가진 원폰에 착신호를 설정하게 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ID 테이블(210)에 저장된 정보형태를 도시한 테이블도이다.
도 3에서 CID 테이블(210)에는 단말기 어드레스 필드에는 원폰 단말기(100a, 100b, 100c)의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가 각각 기록된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CID 가 각각 CID 테이블(210)에 기록된다. 상기 CID는 그 특성에 따라서, 일반전화, 내선번호, 이동 단말 전화번호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에 대하여 사용자는 임의의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는 원폰 단말기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블루투스 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서 상기 테이블을 구현하는 것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개별 착신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원폰 단말기의 개별 착신 발신자 번호를 등록이 개시되면,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는 주변 원폰 단말기의 장치 어드레스를 검색한다(S20). 검색이 완료되면, 검색된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중 하나의 단말을 선택한다(S30). 여기서, 선택된 단말에는 고유의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단계(S40)에서는, 선택된 원폰 단말에 대하여 발신자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단말에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 전화번호와 더불어 발신자 이름 또는 발신 단말에 관한 정보를 부가하여 작성할 수 있다. 추가 입력이 있는 경우,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추가의 발신자 정보를 입력하고, 더 이상 입력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발신자 정보의 등록이 완료된다(S5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착신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공중망(300)을 통하여 원폰 AP가 가입된 유선 전화번호로 착신 요청이 있는 경우, 착신 신호 검출부(220)은 착신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S100). 착신 신호가 검출되면, 착신 신호 검출부는 착신 신호와 함께 전송된 CID 정보를 이용하여 CID 테이블(210)에서 원폰의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를 검색한다(S200).
단계(300)에서는 CID 테이블(210)에서 착신 신호의 CID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장치가 검색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원폰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원폰 단말기에게만 개별적으로 착신 신호를 전달한다(S400). 여기서, 동일한 CID 에 대하여 복수의 원폰이 등록된 경우에는 복수의 원폰에 대해서 착신 신호를 전달한다.
만약 CID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가 검색되지 않으면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는 등록된 모든 원폰에 대하여 착신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S500).
또한, 여기서, 개별적으로 착신 신호를 전달한 해당 원폰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에는 모든 원폰 단말기에 착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는 블루투스 장치들과 접속을 할때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를 수집 관리하는 단계와, 유선 전화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CID 정보를 원폰의 개별 착신에 응용하여 이용함에 의해 추가 장비나 설비 없이 경제적으로 개별 착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별 착신 시스템은 원폰이 블루투스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원폰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유선 전화번호, 내선 전화 번호, 평생 전화 번호등으로 자동 착신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이동통신 전화와 유선 전화를 동시에 이용가능한 원폰의 개별 착신의 제한을 해소하고 사생활 보호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존의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의 블루투스 모듈의 구성과 CID 서비스를 응용하여 큰 추가 비용이나 추가 설비 없이 개별 착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각각의 식별자 및 상기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테이블;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검출하는 착신 신호 검출부;
    상기 착신 신호 검출부가 검출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검출하는 장치 검출부; 및
    상기 장치 검출부가 검출한 단말기에 상기 착신 신호 검출부가 수신한 착신 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식별자는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의 식별자 및 전화번호는 추가 및 갱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전화번호는 발신자 번호이고, 상기 발신자 번호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유선 전화번호, 내선 전화번호가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5.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상기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각각의 식별자 및 상기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로부터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착신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 호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단말기중에서 등록을 원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단말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 호 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식별자는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처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단말기에게 상기 착신 신호를 전달하는 착신 호 처리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착신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단말기에게 상기 착신 신호를 전달하는 착신 호 처리 방법.
KR1020030090741A 2003-12-12 2003-12-12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 KR10096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41A KR100964388B1 (ko) 2003-12-12 2003-12-12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41A KR100964388B1 (ko) 2003-12-12 2003-12-12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773A KR20050058773A (ko) 2005-06-17
KR100964388B1 true KR100964388B1 (ko) 2010-06-17

Family

ID=3725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741A KR100964388B1 (ko) 2003-12-12 2003-12-12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88B1 (ko) * 2005-04-07 2006-10-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콜러 아이디를 이용한 원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억세스포인트 및 그 방법
KR100671872B1 (ko) * 2005-04-07 2007-01-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원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3384B1 (ko) * 2005-11-15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교환 전화망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메시지 착발신방법 및 장치
KR101156598B1 (ko) * 2006-01-13 2012-06-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원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49816B1 (ko) * 2006-06-30 2008-07-31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
KR101016919B1 (ko) * 2008-09-22 2011-02-25 김홍근 확장번호를 통한 수신자 지정 통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757A (ko) * 2000-08-23 2002-03-02 김대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에서의 자동 호 전환 방법
JP2003125104A (ja) * 2001-10-15 2003-04-25 Pioneer Electronic Corp 電話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757A (ko) * 2000-08-23 2002-03-02 김대기 블루투스 서비스 영역에서의 자동 호 전환 방법
JP2003125104A (ja) * 2001-10-15 2003-04-25 Pioneer Electronic Corp 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773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370B2 (en) Method for handling calls received at a wireless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hort-range interface, corresponding wireless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US7319874B2 (en) Dual mode terminal for accessing a cellular network directly or via a wireless intranet
US77693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ing wireless communications
ES2260806T3 (es) Metodo y disposicion para el uso de un telefono movil en una red de oficina inalambrica.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JP2007529140A (ja) 選択可能な発信者識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511131A (ja) セルラーと、ボイスオーバー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通信との間での移行を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3081557A1 (en) Terminal device emulator
US85097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calls in a wireless enabled PBX system using mobile switching protocols
US70432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20060116115A1 (en) Automatic call convers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0964388B1 (ko)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착신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장치의 착신 호 처리 방법
KR20130120213A (ko)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JP4993100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発信方法
JP2005192163A (ja) 通信方法及び携帯電話機
US20050202810A1 (en) Mobile and landline connection
JP2010041149A (ja) 交換機、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方法
CN1568068A (zh) 一种利用动态分机号实现蓝牙手机呼叫转移的方法
KR20040107977A (ko)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US200602814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ll forwarding for dual-mode handsets
KR1011555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29158A (ja) 場内電話システム
KR101033687B1 (ko) 원폰 단말기 통화중 대기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53943A (ko) 복수의 원폰 단말기의 통화 방법 및 통화 시스템
KR20050001127A (ko) 원폰 단말기의 유무선 통합 발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