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490B1 - 에너지절감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490B1
KR100963490B1 KR1020070111683A KR20070111683A KR100963490B1 KR 100963490 B1 KR100963490 B1 KR 100963490B1 KR 1020070111683 A KR1020070111683 A KR 1020070111683A KR 20070111683 A KR20070111683 A KR 20070111683A KR 100963490 B1 KR100963490 B1 KR 10096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outlet
hol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722A (ko
Inventor
백현숙
Original Assignee
백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현숙 filed Critical 백현숙
Priority to KR102007011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490B1/ko
Priority to PCT/KR2007/005993 priority patent/WO2009057846A1/en
Publication of KR2009004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supplied to the iron from an external sour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4Arrangements of the heating means within the iron; 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conducting or storing the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7/00Apparatus for moiste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the article to be ironed or pre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6Steam-sepa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에너지를 사용한 후 발생되는 폐스팀에너지를 활용하여 다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절감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장착되어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상부에 물과 스팀이 유입되는 입구부와;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본체부내에 플롯트를 구성하여 물이 발생되면 플롯트가 상승하여 배출구를 열리도록 하고 물이 배출되면 하강하여 배출구를 막도록 하여 압력과 부력의 차이에 의하여 개폐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개폐되도록 기수분리수단부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스팀, 물, 분리, 에너지절감, 다리미

Description

에너지절감장치{Enegy-Saving device}
본 발명은 에너지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에너지를 사용한 후 발생되는 폐스팀에너지를 활용하여 다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증기다리미는 공급되는 증기의 질에 따라, 즉 증기의 건도에 따라서 작업능률이 좌우되는바, 증기다리미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보일러의 가동 압력을 높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보일러의 운전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배관상의 제반 문제점들로 인하여 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방울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증기의 건도를 높여줄 수 있는 없어 사용상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기를 공급하는 공급판이프에서 냉각된 응축수는 증기 다리미내로 공급된 증기속에 포함되어 있던 물방울과 증기다리미의 내부에서 증기 다리미의 사용중 냉각에 의한 응축수의 발생을 증기다리미 바닥에 수막을 형성하게 되어 결국 열 전도를 방해하게 되고, 증기다리미의 저면 바닥으로 부터 분사되는 증기중에도 수분이 다량 포함되기 때문에 작업능률 및 제품의 질을 떨어트리게 된다.
또한, 증기를 사용하고 남거나 순환된 폐스팀에너지는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게됨으로서, 온난화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되고 특히 에너지고유가 시대에 부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발생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개발한 것으로 물과 스팀을 분리하여 물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스팀을 재사용할 수 있는 스팀에너지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과 스팀의 배출을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스팀에너지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스팀을 공급하는 배관에 장착되어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상부에 물과 스팀이 공급되는 입구부와,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본체내에 플롯트를 구성하여 물이 발생되면 플롯트가 상승하여 배출구를 열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수분리수단부를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기수분리수단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스팀공급관에 결합하도록 상부에 입구부와 하부에는 배출구가 구성되고, 플롯트의 하부에는 구성된 분리체는 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출구의 개폐수단인 지지대와 마개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체의 가이드역활 및 분리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결합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개폐부를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기수분리수단부는 플롯트의 중앙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배출구의 개폐수단인 마개가 장착된 지지대를 삽입하고 상부에는 고정형 링을 구성하여 개폐부의 배출구에 구성하고, 플롯트의 하부에는 구성된 분리체는 측면에 관통구가 형성하고, 상기 분리체의 가이드역활 및 분리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결합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개폐부를 구성하여 결합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팀에너지절감장치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폐스팀을 재활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연료 절감장치는 관내 압력과 공의 부력을 이용하여 본체 내에서 물이 고이면 배수구의 열림, 닫힘과 상하 완전 자동 반복운동의 원리로 본체 내 응축 수만 간격적으로 배출하며 스팀은 배출하지 않아 수중기와 물을 완전히 분리하여 대량의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에너지절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너지절감장치에 히터를 구성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절감장치는 스팀을 이송하는 통로인 배관을 통하여 이송이 이루어지며, 상기 배관을 타고 이송되는 스팀은 온도의 차이로 인하여 이송중에 물이 발생되어 물과 스팀이 섞여있는 것을 양질의 스팀으로 분리하거나 마지막에 사용하고 남은 스팀을 버리게 되는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본 발명의요지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스팀에너지절감장치는 수중기와 물을 분리시키는 기기로서 현재 기존의 설비는 수중기와 물을 완전히 분리시키지 못하여 대량의 연료를 낭비하고 있다. 봉제공장에서 사용하는 다리미는 보일러에서 공급하는 고압스팀을 배관에 통해 사용하는데 옷을 다리고 나서 남은 스팀과 보일러에서 공급하는 미사용의 스팀은 다리미를 통해 회수 관으로 직접 연결되어 대량의 스팀을 방출함으로 에너지를 낭비한 것을 재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절감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배관에 장착되어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상부에 물과 스팀이 공급되는 입구부(200)와;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본체(250)내에 플롯트(100)를 구성하여 물이 발생이 되면 플롯트가 상승하여 배출구(150)를 개폐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수분리수단부(270)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수분리장치(270)는 기체와 물이 입구부(200)를 통하여 들어오게 며, 물은 저면으로 떨어져 고이게 되고 기체는 상부에 형성하게 되어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일정량의 물이 고여지게 되면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150)가 오픈이 되어 물이 배출되도록 반복하여 작동된다.
상기 기수분리수단부(270)의 구성은 원형 또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스팀공급관에 결합하도록 상부에 입구부를 구성하였다. 상기 입구부는 용접에 의하여 공급관에 고정이 가능하고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이 가능하다. 본체부의 하부에는 배출구를 구성하여 외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필요시에 물을 수동으로 배출하는 있는 밸브(280)를 구성하였다.
플롯트(100)의 구성은 열의 압력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며 내부는 빈상태로 구성하여 쉽게 물에 뜰 수 있도록 하였다.
플로트의 하부에는 분리체를 구성하여 물이 배출할 수 있는 관통구(130)를 형성하고, 플롯트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폐부(160)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분리체의 중앙에는 개폐부에 형성된 배출구(150)의 단속을 지지대의 끝단에 형성된 마개(120)가 개폐시키므로 분리체(170)의 중앙에 구성하고 있다. 즉 분리체는 측면에 관통구(13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출구의 개폐수단인 지지대(110)와 마개(120)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체의 가이드역활 및 분리체에 형성된 관통구(130)를 개폐하도록 결합구(240)와 배출구(150)가 형성된 개폐부(160)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개폐부(160)는 상부에는 분리체(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본체부(25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 개폐부는 본체부의 하부커버에 장착되며, 하부커버(190)는 다수개의 볼트(170)와 너트(180)으로 고정하였다. 하부커버를 결합방법은 본체부와 나사결합하여 결합하거나 별도의 볼트로 고정하여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에너지절감장치의 작용은 도 2와 도 3과 같이 사용시 고압수증기와 관내 응축수가 본체부(250)에 주입되어 물이 고이게 되면 압력보다 부력이 약하면 배출구(150)를 막아 외부로 배출을 차단하도록 작용한다. 또 고인물이 많아지게 되면 압력부보다 부력이 커지게 되어 플롯트는 위로 부상하게 되고 동시에 분리체가 개폐부에서 벗어나 관통구를 통하여 배출구가 오픈하게 된다. 이때 응축수는 고압의 작용하에 배출구를 통하여 강제 배출된다.(압력<부력)
응축수 배출로 부력이 감소되면 수위가 낮아지고, 플롯트와 지지대가 하강하면서 마개는 다시 배출구를 막는다.(압력>부력) 이렇게 자동반복 운동하에 본체부내 응축수만 배출되며 스팀은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급관에 생성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므로 제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수분리수단부(270)는 플롯트의 중앙을 관통한 관통구(230)와 상부에 지지대(110)를 고정링(220)으로 고정하였다.
플롯트(100)의 구조는 중앙에 관통구(230)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배출구의 개폐수단인 마개(120)가 장착된 지지대(110)를 삽입하고 상부에는 고정링을 구성하여 개폐부(160)의 배출구에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플롯트의 중앙에 관통구(230)를 형성하여 스팀과 분리된 물이 하부 저수조에 담겨지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플롯트의 하부에는 구성된 분리체(140)는 측면에 관통구(130)가 형성하고, 상기 분리체의 가이드역활 및 분리체에 형성된 관통구(130)를 개폐하도록 결합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개폐부(160)를 구성하여 결합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실시예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짐으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았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에네지절감장치는 전기가열 장치가 내장된 히터(260)를 입구부에 구성한 소켓을 구성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스팀과 물이 분리된 스팀은 다른 스팀보다 온도가 낮은 상태이므로 양질의 스팀을 얻기 위해 재가열하여 스팀의 온도를 높이도록 하여 재사용되는 스팀의 질을 높이고, 다시 물로 변하는 시간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팀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팀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팀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스팀에너지절감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스팀에너지절감장치에 히터를 구성한 사 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플롯트 110 : 지지대
120 : 마개 130 : 관통구
140 : 분리체 150 : 배출구
160 : 개페부 170 : 볼트
180 : 너트 190 : 커버
200 : 입구부 210 : 공급관
220 : 고리링 230 : 관통구
250 : 본체부 260 : 히터
270 : 기수분리수단부

Claims (4)

  1.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장착되어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상부에 물과 스팀이 유입되는 입구부와;
    물과 스팀을 분리하도록 본체부내에 플롯트를 구성하여 물이 발생되면 플롯트가 상승하여 배출구가 열리고, 물이 배출되면 하강하여 배출구를 막도록 하여 압력과 부력의 차이에 의하여 개폐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스팀공급관에 결합하도록 상부는 입구부와 하부에는 배출구를 구성하고,
    본체부내에 구성한 플롯트는 하부에 구성한 분리체는 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출구의 개폐수단인 지지대와 마개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체의 가이드역활 및 분리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결합구가 형성되어 끼워 장착되고, 중앙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개폐부를 포함한 기수분리수단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에너지절감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분리수단부는
    본체부내에 형성된 플롯트의 중앙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배출구의 개폐수단인 마개가 장착된 지지대를 삽입하고 상부에는 고정링을 구성하여 개폐부의 배출구와 결합구성하고,
    플롯트의 하부에는 구성된 분리체는 측면에 관통구가 형성하고, 상기 분리체의 가이드역활 및 분리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결합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개폐부를 구성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에너지절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입구부에 스팀을 재가열하도록 히터부를 내장하여 양질의 스팀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에너지절감장치.
KR1020070111683A 2007-11-02 2007-11-02 에너지절감장치 KR100963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83A KR100963490B1 (ko) 2007-11-02 2007-11-02 에너지절감장치
PCT/KR2007/005993 WO2009057846A1 (en) 2007-11-02 2007-11-26 Energy-sa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683A KR100963490B1 (ko) 2007-11-02 2007-11-02 에너지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22A KR20090045722A (ko) 2009-05-08
KR100963490B1 true KR100963490B1 (ko) 2010-06-17

Family

ID=4059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683A KR100963490B1 (ko) 2007-11-02 2007-11-02 에너지절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3490B1 (ko)
WO (1) WO20090578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2111A (zh) * 2015-03-19 2015-05-27 周盈裕 挂烫机导流伸缩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2908A (zh) * 2011-05-08 2011-09-14 江苏联宏纺织有限公司 一种水汽分离器
KR101384066B1 (ko) * 2012-08-27 2014-04-09 이도형 찜 장치의 배수설비
CN103196029B (zh) * 2013-04-15 2015-06-24 淮安万邦香料工业有限公司 一种蒸发系统疏水装置
CN104928902B (zh) * 2015-06-30 2017-03-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挂烫机排水结构及挂烫机
CN107228743B (zh) * 2017-08-09 2023-05-23 华峰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密度的疏水阀在线测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628A (ja) * 1983-05-13 1984-11-28 Kogata Gas Reibou Gijutsu Kenkyu Kumiai ドレン分離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217A (en) * 1979-10-01 1981-05-26 Flanagan James P Separator valve
JP4489377B2 (ja) * 2003-06-13 2010-06-23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排液弁を備えた気液分離器
DE102006006211B3 (de) * 2006-02-09 2007-09-20 Rehau Ag + Co Baugruppe zum Leiten und Temperieren einer Harnstoff-Wasser-Lös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628A (ja) * 1983-05-13 1984-11-28 Kogata Gas Reibou Gijutsu Kenkyu Kumiai ドレン分離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2111A (zh) * 2015-03-19 2015-05-27 周盈裕 挂烫机导流伸缩管
CN104652111B (zh) * 2015-03-19 2016-11-30 周盈裕 挂烫机导流伸缩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22A (ko) 2009-05-08
WO2009057846A1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490B1 (ko) 에너지절감장치
CN104862936B (zh) 干衣机
CN201029748Y (zh) 一种快速节能蒸柜
CN102132107A (zh) 燃料电池废热发电系统
CN207179623U (zh) 一种锅炉启动系统
CN201599789U (zh) 一种凝结水和蒸汽的回收装置
CN201372387Y (zh) 一种锅炉蒸汽管道尾汽再利用装置
CN211695411U (zh) 一种高效的导热油加热用油箱
CN111664440A (zh) 一种锅炉排污余热回收再利用装置及方法
CN201129716Y (zh) 除氧器排汽回收装置
CN111485350A (zh) 一种定型机余热回收系统
CN100434497C (zh) 蜡的回收处理装置
CN1721617B (zh) 蒸汽发生装置及使用该蒸汽发生装置的蒸汽熨斗
CN213711503U (zh) 一种机械液压设备快速降温装置
CN211854953U (zh) 一种造纸烘干机的冷凝余热回收装置
KR100371666B1 (ko) 증기 온수보일러
CN210663988U (zh) 一种适用于炼油厂节能降耗的蒸汽利用装置
CN214581004U (zh) 具备节能功能的锅炉疏水扩容器
CN212390343U (zh) 一种锅炉排污余热回收再利用装置
CN201306729Y (zh) 燃煤燃油蒸汽锅炉余热再利用装置
JP2003329382A (ja) 蓄熱装置
KR102072694B1 (ko) 열교환 모듈을 포함하는 콤비 오븐
CN215583860U (zh) 即热预热一体式热水胆及一种饮水机
CN219384816U (zh) 一种环保型浸渗废水处理机构
CN220852102U (zh) 一种挂烫机蒸汽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