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824B1 -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824B1
KR100962824B1 KR1020080060244A KR20080060244A KR100962824B1 KR 100962824 B1 KR100962824 B1 KR 100962824B1 KR 1020080060244 A KR1020080060244 A KR 1020080060244A KR 20080060244 A KR20080060244 A KR 20080060244A KR 100962824 B1 KR100962824 B1 KR 100962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die head
fuel tank
plastic
plastic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663A (ko
Inventor
김석환
주승돈
권오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8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의 유동음 감소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원가절감 및 경량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중공형 플라스틱 코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기의 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헤드와; 상기 다이헤드를 상하로 관통 형성되되, 외주부를 따라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수지배출통로와; 상기 다이헤드의 저면 중심부에 일체로 장착된 중공 형성용 파이프와; 상기 다이헤드를 소정의 각도로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과; 상기 다이헤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중공 공간을 갖는 성형 유도관과; 상기 다이헤드로부터 배출되는 배플의 적층 안착을 위해 상기 성형 유도관내에 배치되는 배플 받침대와; 상기 배플 받침대의 바로 아래쪽에서,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벽면에 장착되는 배플 받침대 개폐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연료탱크, 차량, 플라스틱 코일, 배플, 제조 장치

Description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coil baffl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의 유동음 감소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원가절감 및 경량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중공형 플라스틱 코일 배플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탱크 내부에는 연료를 엔진의 인젝터쪽으로 공급하는 연료펌프가 내설되어 있고, 연료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연료필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특히 차량 정지 및 출발시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유동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이 장착되어 있다.
종래기술로서, 일반적인 연료 탱크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10)의 내부에는 연료의 유동을 줄이기 위하여 다공을 갖는 금속재의 배플 플레이트(12)가 격벽의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배플 플레이트(12)는 차량의 운행시에 불규칙한 지면이나 경사로상을 운행할 때에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지나치게 출렁이는 것이 방지하고, 또한 연료 탱크(10) 내에 연료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 연료펌프로의 연료공급이 끊이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스틸재 배플은 금속재료를 프레스기로 판금하는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판상형 구조로 단위 부피당 면적이 작아 스틸재 배플을 다량 투입해야 하는 등 원가 상승이 큰 단점이 있고, 자동차 경량화에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첨부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 내부에 연료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음을 억제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 배플(14: baffle)을 연료탱크(10)내에 삽입 설치하였는 바, 스틸 재질과 같이 판상형 구조로 단위 부피당 면적이 작아 효율이 낮고, 스틸재 연료탱크와 부착을 위해 스틸재 브라켓을 플라스틱 배플에 조립한 후, 연료탱크와 용접하므로 공정이 많아지고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블로우 공법으로 제작되는 플라스틱재 연료탱크내의 연료 유동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연료탱크내에 삽입 장착되는 폴리우레탄(PU) 발포 폼(foam) 배플이 제조되어 왔는 바, 이 폴리우레탄 발포 폼 배츨은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커서 기존의 판상형 배플 대비 유체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야기시켜 배플로서 효과가 좋지만, PU 원재료비와 발포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고, PU 폼을 플라스틱 연료탱크내에 효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없어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며, 일정 온도(80℃)의 가솔린에 침적시 1000시간 이내에 PU 폼 분해되어 자동차에 요구 되는 내구 성능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의 유동음 감소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원가절감 및 경량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기의 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헤드와; 상기 다이헤드를 상하로 관통 형성되되, 외주부를 따라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수지배출통로와; 상기 다이헤드의 저면 중심부에 일체로 장착된 중공 형성용 파이프와; 상기 다이헤드를 소정의 각도로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과; 상기 다이헤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중공 공간을 갖는 성형 유도관과; 상기 다이헤드로부터 배출되는 배플의 적층 안착을 위해 상기 성형 유도관내에 배치되는 배플 받침대와; 상기 배플 받침대의 바로 아래쪽에서,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벽면에 장착되는 배플 받침대 개폐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다이헤드의 외둘레면 소정 위치에 일체로 고정된 커넥터바와; 상기 다이헤드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커넥터바를 연결하는 크랭크샤프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배플 받침대 개폐장치는: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부 또는 외부로 각회전하는 한 쌍의 반원형 개폐체와; 상기 반원형 개폐체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단과;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벽면으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된 공간으로서, 상기 조작단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공간이 되는 조작단 회전공간;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부에는 상기 배플 받침대에 적층되는 배플에 차가운 공기를 불어주는 블로워 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헤드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수지배출통로는 원형 배열 또는 직사각 배열을 이루되, 원형 또는 직사각 배열을 이루는 각 수지배출통로의 단면은 일자형, 십자형, Y자형, 눈 결정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성형 유도관의 출구부에는 상기 플라스틱 배플을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 형상의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에 의하면, 연료탱크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료 유동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킬 수 있는 플라스틱 코일 배플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유동음 감소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원가절감 및 경량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중공형 플라스틱 코일 배플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내에서 유체가 이동할 때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단위 부피당 넓은 접지면을 가지고 있는 플라스틱 코일형 구조물, 즉 디젤등의 연료유에 녹지 않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틸렌 및 POM 계열의 소재를 이용하여 코일 형태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을 이용하면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소실시킬 수 있고 연료 유동음 절감에 효과적인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료의 원료를 펠릿(pellet)상태로 압출하는 압출기의 끝단에 용융 수지를 수직으로 하강시키는 다이 헤드 장치를 부착하여, 압출기로부터 나온 용융수지를 여러 가닥으로 나눈 뒤, 원형 다이 축을 중심으로 교반시키는 동시에 하강시켜 적층하되, 불규칙한 코일 형태를 이루는 여러 가닥의 고온 용융 수지가 뒤엉키며 적층되기 전에 차가운 공기를 불어넣어, 그 내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의 내부에 중공형 원형 통로가 만들어지도록 다이 헤드 중심에 원형 파이프를 부착시켜, 최종 제조된 코일형 배플을 연료탱크 안에 고정시 코일형 배플의 중공형 원형통로에 연료탱크에 용접 고정을 위한 스틸재 바를 삽입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다이헤드를 교반시키는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배플 받침대를 개폐시키는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는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기(20)의 출구부에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압출기(20)의 출구부에 다이헤드(1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예를 들어 압출기(20)의 출구부에 다이헤드(16)의 상면 중심부를 힌지핀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압출기(20)의 출구부 내에는 수지의 온도를 200~300℃사이로 조 절하여 용융수지가 초당 1cm~5cm 사이의 속도로 내려올 수 있게 보조하는 히터(18)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헤드(16)는 원통형으로서, 그 외주부를 따라 지름 0.5mm~3mm 사이의 8~30개의 홀로 구성된 다수의 수지배출통로(22)가 관통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다이헤드(16)의 저면 중심부에는 10~30mm의 원형파이프 즉, 중공 형성용 파이프(24)가 일체로 부착되어, 이 중공 형성용 파이프(24)의 외둘레부에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이 적층되도록 하여,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이 중공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이헤드(16)를 소정의 각도로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이 설치되는데, 이 교반수단은 상기 다이헤드(16)의 외둘레면 소정 위치에 일체로 고정된 커넥터바(26)와, 상기 다이헤드(16)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배치된 모터(27)와, 상기 모터(27)의 축과 상기 커넥터바(26)를 연결하는 크랭크샤프트(28)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모터(27)와 다이헤드(16)를 크랭크샤프트(28)로 연결함으로써, 모터(27)가 360°로 돌아가는 동안 상기 다이헤드(16)는 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 45°사이로 회전을 하게 되어,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코일 가닥들이 무작위로 꼬이게 해준다.
물론, 상기 크랭크사프트(28)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해줌으로서, 다이헤드(16)의 교반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헤드(16)의 아래쪽에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중공 공간을 갖는 성형 유도관(30)이 배치되며, 상기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로부터 배출되는 플라스틱 코일이 성형 유도관(30)으로 낙하하는 바, 낙하하는 플라스틱 코일이 적층되도록 성형 유도관(30)의 내부에는 배플 받침대(32)가 배열된다.
특히, 상기 배플 받침대(32)의 바로 아래쪽에서, 상기 성형 유도관(30)의 내벽면에는 배플 받침대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플 받침대 개폐장치는 상기 성형 유도관(3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각회전하는 한 쌍의 반원형 개폐체(34)와, 상기 반원형 개폐체(34)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성형 유도관(30)의 외측부로 연장되는 조작단(36)과, 상기 성형 유도관(30)의 내벽면으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된 공간으로서, 상기 조작단(36)이 삽입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조작단 회전공간(3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단(36)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반원형 개폐체(34)가 상기 성형 유도관(30)의 내부에 닫힘 위치되고, 닫힘 위치된 반원형 개폐체(34)상에는 배플 받침대(32)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배플 받침대(32)에 소정 높이로 플라스틱 코일 배플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단(36)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반원형 개폐체(34)가 성형 유도관(30)의 내부로 이동하여, 결국 성형 유도관(30)의 내부는 열림상태가 되고, 이에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 및 이를 안착시키고 있던 배플 받침대(32)가 성형 유도관(30)의 배출구(39)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성형 유도관(30)의 내부에는 상기 배플 받침대(32)에 적층되는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에 차가운 공기를 불어주도록 공기블로워(미도시됨)와 연결된 블로워 관(40)이 장착되는 바, 용융수지가 상기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배플 받침대(32)상에서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로 만들어질 때, 상기 블로워 관(40)을 통해 80℃ 이하의 찬 공기를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쪽으로 불어넣어 굳게 해줌으로써,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의 내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기(20)의 출구부에 장착된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로부터 용융수지가 배출되어, 상기 성형 유도관(30)내의 배플 받침대(32)상에 쌓이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모터(27)를 구동시켜, 모터(27)의 축과 크랭크샤프트(28)로 연결된 다이헤드(16)를 회전시킨다.
이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7)가 360°로 돌아가는 동안 상기 다이헤드(16)는 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 45°사이로 회전을 하게 되어,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코일 가닥들이 무작위로 꼬이게 된다.
연이어,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수지가 굳기 시작하여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이 원하는 길이로 적층 구성되면, 상기와 같이 배플 받침대 개폐 장치를 열어서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 및 이를 받치고 있는 배플 받침대(32)가 상기 성형 유도관(30)의 배출구(39)쪽으로 낙하되며, 이때 상기 모터(27)를 정지시켜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 가닥이 꼬이지 않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 받침대 개폐 장치의 반원형 개폐체(34)를 닫고, 모터(27)를 구동시켜 플라스틱 코일이 꼬이면서 배플 받침대 개폐 장치 위에 쌓이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배플 받침대 개폐 장치의 반원형 개폐체(34)를 열어주어서,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이 배출되도록 하고, 이때 일시적으로 모터(27)를 정지시켜 플라스틱 코일이 꼬이지 않게 한 후, 다시 모터(27)를 구동시켜 적정 높이의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이 연이어 제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본 발명의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이 성형 유도관(30)의 배출구(39)를 통해 배출되는 바, 상기 성형 유도관(30)의 배출구(39)에 배치된 톱니 형상의 컨베이어(42)가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을 배출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최종 제조된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을 낱개의 단위로 분리시킴으로써, 원통형의 중공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100)이 완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코일 배플의 중공부에 금속 플레이트(44) 를 삽입한 후,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플레이트(44)의 양단을 절곡시켜 연료탱크(10)의 원하는 위치에 용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플라스틱 코일 형 배플(100)이 연료탱크(10)내에 장착 완료되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유동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헤드(16)를 직사각형 구조로 채택하고, 그 수지배출통로(22)를 직사각형 배열로 형성하여, 사각 구조물의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헤드(16)의 저면에 중공 형성용 파이프(24)를 두 개 이상 장착하면, 두 개 이상의 중공통로를 가진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을 만들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헤드(16)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수지배출통로(22)는 원형 배열 또는 직사각 배열을 이루되, 원형 또는 직사각 배열을 이루는 각 수지배출통로(22)의 단면을 일자형, 십자형, Y자형, 눈 결정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십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가 통과하는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를 십자형으로 형성하면, 단위 부피 및 질량당 표면적을 더욱 늘릴 수가 있고, 늘어난 표면적으로 인해 연료 유동시의 운동량을 효과적으로 차단 및 분산시켜 연료탱크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줄여 연료 유동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헤드(16)의 수지배출통로(22)의 단면을 십자형 이외에, 상기 와 같이 일자형, Y자형, 눈 결정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단순한 원형 단면에 비하여 연료 유동음을 줄이는 효과를 더 얻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다이헤드를 교반시키는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배플 받침대를 개폐시키는 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을 연료탱크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다이헤드에 형성된 수지배출통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의 다이헤드에 형성된 수지배출통로를 십자형으로 적용한 경우, 십자형 코일 배플에 의해 분산되는 연료 유동 경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연료탱크용 배플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12 : 배플 플레이트
14 : 사출 배플 16 : 다이헤드
18 : 히터 20 : 압출기
22 : 수지배출통로 24 : 중공 형성용 파이프
26 : 커넥터바 27 : 모터
28 : 크랭크샤프트 30 : 성형 유도관
32 : 배플 받침대 34 : 반원형 개폐체
36 : 조작단 38 : 조작단 회전공간
39 : 배출구 40 : 블로워 관
42 : 컨베이어 44 : 금속 플레이트
100 :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Claims (6)

  1.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기의 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이헤드와;
    상기 압출기의 출구부내에 설치되어 다이헤드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와;
    상기 다이헤드를 상하로 관통 형성되되, 외주부를 따라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수지배출통로와;
    상기 다이헤드의 저면 중심부에 일체로 장착된 중공 형성용 파이프와;
    상기 다이헤드를 소정의 각도로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과;
    상기 다이헤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중공 공간을 갖는 성형 유도관과;
    상기 다이헤드로부터 배출되는 배플의 적층 안착을 위해 상기 성형 유도관내에 배치되는 배플 받침대와;
    상기 배플 받침대의 바로 아래쪽에서,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벽면에 장착되는 배플 받침대 개폐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다이헤드의 외둘레면 소정 위치에 일체로 고정된 커넥터바와;
    상기 다이헤드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커넥터바를 연결하는 크랭크샤프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플 받침대 개폐장치는: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부 또는 외부로 각회전하는 한 쌍의 반원형 개폐체와;
    상기 반원형 개폐체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단과;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벽면으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된 공간으로서, 상기 조작단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공간이 되는 조작단 회전공간;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도관의 내부에는 상기 배플 받침대에 적층되는 배플에 차가운 공기를 불어주는 블로워 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헤드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수지배출통로는 원형 배열 또는 직사각 배열을 이루되, 원형 또는 직사각 배열을 이루는 각 수지배출통로의 단면은 일자형, 십자형, Y자형, 눈 결정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도관의 출구부에는 상기 플라스틱 배플을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 형상의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KR1020080060244A 2008-06-25 2008-06-25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KR10096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44A KR100962824B1 (ko) 2008-06-25 2008-06-25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44A KR100962824B1 (ko) 2008-06-25 2008-06-25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63A KR20100000663A (ko) 2010-01-06
KR100962824B1 true KR100962824B1 (ko) 2010-06-10

Family

ID=4181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244A KR100962824B1 (ko) 2008-06-25 2008-06-25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8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431A (en) 1969-12-19 1972-03-21 Phillips Petroleum Co Safety container
US4764408A (en) 1988-01-19 1988-08-16 Foamade Industries, Inc. Foam plastic baffle for fluid containers
JP2719002B2 (ja) 1989-08-17 1998-0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431A (en) 1969-12-19 1972-03-21 Phillips Petroleum Co Safety container
US4764408A (en) 1988-01-19 1988-08-16 Foamade Industries, Inc. Foam plastic baffle for fluid containers
JP2719002B2 (ja) 1989-08-17 1998-0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63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3123B2 (en)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having four molded surfaces
US956161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US20120216513A1 (en) Exhaust line with injection system
JP2003502168A (ja) プラスチック粘度制御方法及び装置
US8828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KR20080113404A (ko) 장섬유 열가소성 복합재 머플러 시스템
KR20080113403A (ko) 통합 충돌 관리를 갖는 장섬유 열가소성 복합재 머플러 시스템
WO2001045635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gelules sans raccord
US201201046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ted structure
US9194066B2 (en) Three dimensional netted structure
KR100962824B1 (ko) 연료탱크용 플라스틱 코일형 배플 제조 장치
US20140037907A1 (en) Three dimensional netted structure
WO2009075525A2 (en) Field-assembl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el pipes
US78418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thermoplastic profiles
CN201099135Y (zh) 一种全自动油画棒成型机
CN220681593U (zh) 一种汽车内饰板料加热烘烤装置
CN117382026A (zh) 用于发动机盖板的增强pa56和pa6复合材料制备方法
CN212979053U (zh) 一种冷却效果好的高效率注塑模具
CN215203327U (zh) 一种塑料杯热成型装置
CN106671338A (zh) 一种生物合成树脂发泡片材制造设备
CN2683627Y (zh) 烧碱造粒装置
CN106626319A (zh) 一种管材挤出机用多孔板
CN219789234U (zh) 一种管材成型均匀冷却装置
CN213564242U (zh) 一种硅胶皮生产用融化挤料设备
CN207156404U (zh) 一种挤出设备及塑料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