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939B1 -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939B1
KR100961939B1 KR1020080098538A KR20080098538A KR100961939B1 KR 100961939 B1 KR100961939 B1 KR 100961939B1 KR 1020080098538 A KR1020080098538 A KR 1020080098538A KR 20080098538 A KR20080098538 A KR 20080098538A KR 100961939 B1 KR100961939 B1 KR 10096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television
audio signal
audio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535A (ko
Inventor
신정식
이근오
Original Assignee
(주) 에프원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프원미디어 filed Critical (주) 에프원미디어
Priority to KR102008009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9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2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audio 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7/52Systems for transmission of a pulse code modulated video signal with one or more other pulse code modulated signals, e.g. an audio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송신기와,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여 출력하는 블루투스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디코더에 사용되는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가변 버퍼에 음성 데이터가 채워지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무선으로 조용하게 텔레비젼의 음성 신호의 청취를 가능하게 하고 텔레비젼의 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텔레비젼(Television), 오디오, 블루투스, 동글(dongle), 블루투스 송신기, 블루투스 수신기

Description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Bluetooth dongle device for television}
본 발명은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무선으로 조용하게 텔레비젼의 음성 신호의 청취를 가능하게 하고 텔레비젼의 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전송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텔레비젼(television; T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날로그 방송에 비하여 디지털 방송은 화질 및 음질이 우수하고 다양한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TV와 비교할 때 화면의 해상도가 훨씬 높고(예컨대, 1920×1080), 영화의 종횡비에 상응하는 화면의 종횡비를 가지며(예컨대, 16:9), 음향이 다채널(예컨대, 5.1 채널)로 공급된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을 점차적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보급은 활발해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디지털 전송 방식은 미국 표준 규격을 채택하여 디지털 방송의 전송 포맷으로 VSB(Vestigial Side Band)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압축 포맷은 비디오 압축에는 엠펙(MPEG)을 채택하고 있으며 오디오 압축에는 돌비 AC-3를 채택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포맷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방법과 호환성을 갖도록 규정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제작이나 전송 과정이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TV가 필요하거나, 기존 아날로그 TV에 셋톱 박스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상기 셋톱 박스는 방송국에서 암호화 상태로 송출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암호를 해독해 TV로 전송하는 방송 신호 수신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TV는 압축된 방송 신호를 전송받기 때문에 아날로그 TV에 비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디지털 TV는 압축되어 암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처리부를 통해 출력 가능한 비디오 신호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압축되어 암호화된 음성 신호를 해독하는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처리하여 스피커 또는 음성 출력단자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편, 블루투스는 IEEE 802.15.1 규격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서, 전자기기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는 음성 부호화 방식인 CVSD(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를 채용해 문자 데이터의 전송은 물론이고, 음성 전송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암호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 근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기술을 텔레비젼에 적용하여 무선으로 음성을 송신하고 수신기에서 음성을 들을 수가 있다. 그러나, 텔레비젼에 블루투스를 적용할 경우 영상과 음성의 어긋남(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디지털 TV는 압축되어 암호화된 음성 신호를 해독하는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처리하여 스피커 또는 음성 출력단자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이러한 영상과 음성의 어긋남 현상이 아날로그 TV에 비하여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텔레비젼에 블루투스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무선으로 조용하게 텔레비젼의 음성 신호의 청취를 가능하게 하고 텔레비젼의 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송신기와,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여 출력하는 블루투스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광 신호를 펄스 코드 변조 포맷으로 변환하고,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후, 변환된 광 신호와 변환된 전기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압축하여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디코더에 사용되는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가변 버퍼에 음성 데이터가 채워지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텔 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광 신호 및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코드 변조 포맷으로 변환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디코더를 통해 변환된 광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압축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를 통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RF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RF 수신부와, 압축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증폭부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오디오 증폭부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는, 상기 RF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가변 버퍼를 이용하여 압축을 푸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증폭부로 전송하는 D/A 변환기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인 경우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디코더에 사용되는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고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디오 신호 판단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판단부에 의해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로 판단된 경우 가변 버퍼의 크기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는 버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파 강도 판단부 및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신호 판단부에 의해 텔레비젼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를 정해진 기준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전파 강도 판단부는 수신되는 전파 강도가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전파 강도가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는 소리가 끊기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파 강도가 기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리가 끊기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리가 끊기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는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사이의 수신 끊김 시간이 정해진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버퍼 제어부에 의해 가변 버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 만큼 늘려진 후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고,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일 경우에는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며,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사이의 수신 끊김 시간이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소 크기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하며,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소 크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고, 최소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에 의해 가변 버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 만큼 줄여진 후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단자는, 두 명의 사용자가 한 대의 블루투스 수신기로 동시에 텔레비젼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두 개가 구비되어 2개의 음성 출력장치에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텔레비젼의 볼륨, 채널, 음소거 및 전원을 포함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제어기와, 텔레비젼에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기부와, 텔레비젼의 볼륨, 채널, 음소거 및 전원을 포함하는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블루투스 모듈부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리모컨 제어기에 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는, 블루투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볼륨 조절 키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텔레비젼의 볼륨이 조절되게 하고, 블루투스 송신기의 오디오 신호 입력부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블루투스 송신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며 블루투스 수신기의 음소거 버튼이 눌러져서 블루투스 모듈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리모컨 제어기의 제어코드 전송 기능을 차단하여 텔레비젼의 볼륨은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되게 하고 볼륨 조절 키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 수신기의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볼륨이 조절되게 하며, 상기 리모컨 제어기는 블루투스 모듈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볼륨 조절 키입력부가 조작되더라도 음소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 제어기는, 음소거 키입력부의 버튼이 일정 시간 초과되게 눌러지면 텔레비젼 제조사 선택 모드로 진입되게 하고, 채널 키입력부의 버튼이 눌러지면 채널 변경 코드를 텔레비젼으로 전송하고, 다시 채널 키입력부의 버튼이 눌러지면 다른 제조사의 원격제어 코드로 전환되게 하며, 음소거 키입력부의 버튼이 눌러지면 선택된 상태의 원격제어 코드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dongle) 장치에 의하면, 무선으로 텔레비젼의 음성 신호의 청취를 가능하게 하고, 조용한 실내에서 타인에게 방해를 하지 않으면서 텔레비젼 시청이 가능하여 수험생이나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한 대의 블루투스 수신기로 두 사람이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여 텔레비젼의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고, 간단한 리모컨 기능도 지원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송신기는 디지털 TV의 압축된 음성 신호를 변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제한이 없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상대와 주변 상황에 따라 버퍼의 크기를 변경하는 가변 버퍼 기 술을 사용한 저지연 엔코더/디코더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블루투스 음성 전송의 문제점인 전송 지연에 의한 영상과 음성의 어긋남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dongle)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루투스 동글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송신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루투스 동글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4는 블루투스 수신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텔레비젼의 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TV 제조사의 원격제어 코드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TV의 측면 또는 후면에는 광 신호 및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RCA 커넥터와 같은 오디오 출력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광 신호 및 전기 신호가 출력된다. 아날로그 TV의 후면에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전기 신호가 출력된다. 광 신호 및 전기 신호와 같은 오디오 신호는 텔레비젼의 볼륨 상태나 음소거(mute)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출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는 텔레비젼의 외부에 부착되어 오디오 신호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송신기(100)와 블루투스 송신기(10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기(20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수신기(2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텔레비젼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형태로 구비된다.
텔레비젼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블루투스 송신기(100)로 입력되고, 블루투스 송신기(100)는 텔레비젼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블루투스 수신기(200)로 전송하며, 블루투스 수신기(200)는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블루투스 수신기(200)에 연결된 출력장치(예컨대, 이어폰, 헤드셋 등)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의 블루투스 송신기(100)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110),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120), 블루투스 모듈부(130), RF(Radio Frequency) 송신부(140), 전원부(150)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부(130)는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132), 엔코더(encoder)(134)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36)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송신기(100)의 오디오 신호 입력부(110)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오디오 신호 입력부(110)는 텔레비젼의 오디 오 출력단자에서 나온 오디오 신호를 받아, 디지털 신호인 광 신호(112)는 오디오 디코더(120)로 보내고 아날로그 신호인 전기 신호(114)는 블루투스 모듈부(130)로 보낸다.
오디오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부(130)로 입력된 전기 신호(114)는 블루투스 모듈부(130)에 내장된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132)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로 변환되며, 오디오 디코더(120)로 입력된 광 신호(112)는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포맷으로 변환되어 인터페이스(예컨대, I2S 버스(bus))(122)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부(130)로 입력된다.
블루투스 모듈부(130)는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입력된 광 신호(112)와 전기 신호(114)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내장된 엔코더(encoder)(134)로 압축하여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RF 송신부(140)를 통해 블루투스 수신기(200)로 전송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송신하는데 일반적으로 200∼300msec 정도의 지연이 발생하지만, 텔레이젼의 영상 및 음성의 어긋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지연 엔코더(low latency encoder)(13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지연 엔코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100msec 정도의 지연이 발생하여 영상과 음성의 어긋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부(130)는 오디오 디코더(120)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36)가 구비되어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136)는 오디오 디코더(120)에 필요한 레지스트를 세팅(setting)하거나 오디오 디코더(120)를 동작시키 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설정하여 인터페이스(예컨대, I2C 버스, SPI 버스 등)(124)를 통해 오디오 디코더(120)로 전송한다.
한편, 오디오 신호 입력부(110)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디지털 신호인지 아날로그 신호인지를 검출하여 이에 대한 정보가 블루투스 모듈부(13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의 블루투스 수신기(200)는 블루투스 송신기(100)를 통해 송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실제 음성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젼의 리모컨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200)는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RF 수신부(210), 압축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증폭부(230)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부(220), 블루투스 모듈부(22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오디오 증폭(앰프)부(230),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단자(240), TV의 볼륨, 채널, 음소거, 전원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제어기(250), 블루투스 모듈부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리모컨 제어기(250)에 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260), 적외선 송신기부(270), 전원부(280), 충전부(290) 및 볼륨, 채널, 음소거 등의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부(220)는 블루투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222), D/A 변환기(224), A/D 변환기(226) 및 저지연 디코더(228)를 포함한다.
RF 수신부(210)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부(220)로 수신된 음성 데이터는 가변 버퍼(221)를 이용한 저지연 디코더(low latency decoder)(228)에 의해 압축이 풀린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블루투스 수신기의 버퍼 크기는 주변의 외란과 야외에서의 사용을 고려하여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경우는 블루투스 수신기(200)의 버퍼를 충분히 채울 때의 시간 만큼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영상과 음성의 어긋남(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수신기(200)의 블루투스 모듈부(220)에 내장되는 저지연 디코더(228)에 사용되는 버퍼는 가변 버퍼를 사용한다.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경우는 버퍼의 크기를 최소로 설정하여 음성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그외의 경우는 전파 상태에 따라 버퍼의 크기를 변경하여 음성의 끊김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블루투스 모듈부(2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2)는 오디오 신호 판단부(310), 버퍼 제어부(320), 데이터 전송 판단부(330), 전파 강도 판단부(340),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350) 및 볼륨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 판단부(310)는 블루투스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블루투스 송신기(100)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것이라는 송신 정보를 블루투스 수신기(200)에 보낸다.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인지 여부는 블루투스 송신기로부터 송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로 판단하고 송신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MP3와 같은 일반적인 오디오 신호로 판단한다. 블루 투스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된 송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로 판단한다. 오디오 신호 판단부(310)는 송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수신기(200)와 연결된 블루투스 송신기(100)가 텔레비젼용 오디오를 송신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버퍼 제어부(320)에 그에 대한 정보를 보내어 가변 버퍼의 크기가 음성 데이터를 끊김 없이 수신할 수 있는 최소 크기로 되게 한다.
버퍼 제어부(320)는 블루투스 송신기(100)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일 경우에는 가변 버퍼의 크기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음성 데이터를 끊김 없이 수신할 수 있는 최소 크기)로 설정한다(S420). 예컨대, 버퍼 제어부(320)는 가변 버퍼의 크기를 가변 버퍼 최대 크기의 1/4 정도가 되게 제어한다. 가변 버퍼의 크기를 기준 크기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경우에 음성의 지연을 최소화하여 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버퍼 제어부(320)에 의해 가변 버퍼의 크기가 음성 데이터를 끊김 없이 수신할 수 있는 최소 크기로 되면(예를 들면, 최대 가변 버퍼 크기의 1/4 정도로 설정되면)(S412),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는 과정이 수행된다(S414).
가변 버퍼에 채워진 음성 데이터는 저지연 디코더(228)에 의해 압축이 해제되고, 음성 데이터의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신호는 D/A 변환기(224)로 전송되게 된다. 데이터 전송 판단부(330)에 의해 데이터 전송이 끝났는지 여부가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이 끝난 경우에는 저지연 디코더(228)의 동작은 종료되고, 데이터 전송이 끝나지 않은 경우에는 S414, S418, S420 과정이 반복되어 실행된다.
블루투스 모듈부(220)의 오디오 신호 판단부(310)는 블루투스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블루투스 송신기(100)로부터 송신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MP3와 같은 일반 오디오 신호로 판단한다. 오디오 신호 판단부(310)는 송신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수신기(200)와 연결된 블루투스 송신기(100)가 텔레비젼 오디오 신호가 아닌 일반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버퍼 제어부(320)에 그에 대한 정보를 보내어 가변 버퍼의 크기를 정해진 기준 크기로 설정한다.(S422) 블루투스 수신기(200)로 보내지는 오디오 신호가 텔레비젼용 오디오 신호가 아닌 일반 오디오 신호일 경우에는 영상과 음성의 어긋남이 없고 음성의 지연이 발생하더라도 무방하므로 가변 버퍼의 크기를 작게 할 필요가 없다.
가변 버퍼의 크기가 기준 크기로 정해지면, 전파 강도 판단부(340)는 수신되는 전파 강도가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4). 전파 강도가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350)는 소리가 끊기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26), 전파 강도가 기준 미만일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320)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8).
소리가 끊기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26), 소리가 끊기는 경우(예컨대, 수신되는 압축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고 끊기는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320)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28), 소리가 끊기지 않는 경우에는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350)는 가변 버퍼의 크기를 변경함이 없이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사이의 수신 끊김 시간이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28),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가 아닐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320)는 가변 버퍼의 크기를 정해진 크기 만큼 늘리고(S434)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는 과정이 수행되며(S436),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일 경우에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는 과정이 수행된다(S436).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사이의 수신 끊김 시간이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30),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는 과정이 수행되고(S436),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320)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소 크기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S432).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소 크기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하여(S432), 최소 크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는 과정이 수행되고(S436), 최소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가변 버퍼의 크기를 정해진 크기 만큼 줄이고(S438)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는 과정이 수행된다(S436).
가변 버퍼에 채워진 음성 데이터는 저지연 디코더(228)에 의해 압축이 해제되고, 음성 데이터의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신호는 D/A 변환기(224)로 전송되게 된다. 데이터 전송 판단부(330)에 의해 데이터 전송이 끝났는지 여부가 판단하여 데 이터 전송이 끝난 경우에는 저지연 디코더(228)의 동작은 종료되고, 데이터 전송이 끝나지 않은 경우에는 S424 단계로 돌아간다.
저지연 디코더(228)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신호는 D/A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22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오디오 증폭부(230)로 입력된다. 저지연 디코더(228)는 블루투스 송신기를 통해 전송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고 오디오 증폭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디코딩한다.
오디오 증폭부(230)는 한 대의 블루투스 수신기(200)로 두 사람이 동시에 텔레비젼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오디오 증폭부(2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디오 증폭부(230)에 의해 증폭된 음성은 오디오 증폭단자(240)에 연결된 음성 출력장치(예컨대, 이어폰, 헤드셋 등)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오디오 출력단자(240)는 두 명의 사용자가 한 대의 블루투스 수신기로 동시에 텔레비젼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두 개가 구비되어 2개의 음성 출력장치에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TV의 오디오 볼륨은 블루투스 수신기(TV 리모컨)(200)에 구비된 볼륨 조절을 위한 키입력부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블루투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TV 리모컨의 기능에 따라 볼륨 조절 키입력부를 통해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블루투스 수신기(TV 리모컨)의 볼륨 조절 키입력부를 통해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블루투스 송신기(100)의 오디오 신호 입력부(110)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 고 블루투스 송신기(1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며 블루투스 수신기(200)의 음소거(mute)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2)에 의해 블루투스 활성화 신호가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260)로 전송된다. 블루투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260)는 리모컨 제어기(250)의 제어코드 전송 기능을 차단하여 TV의 볼륨은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되게 하고 오디오 증폭부(230)를 통해 볼륨이 조절되게 하는 회로는 온(on)시켜 오디오 출력단자에 통해 볼륨이 조절된 오디오가 출력되게 한다. 따라서, 블루투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볼륨 조절 키입력부를 통해 볼륨이 조절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2)의 볼륨 제어부(360)는 이를 인식하여 오디오 증폭부(230)를 제어하여 조절되는 볼륨에 따라 출력되는 음량이 조절되게 한다. 따라서, 오디오 출력단자(240)에 연결된 이어폰과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볼륨이 조절된 오디오를 청취할 수가 있게 된다. 블루투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리모컨 제어기(250)에 의해 볼륨 조절 키입력부가 눌러지더라도 음소거(mute)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TV 제조사마다 원격제어 코드가 상이하므로 블루투스 수신기의 원격제어기능에서 TV 제조사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수신기(TV 리모컨)가 정상동작 상태에서 TV 제조사 선택 모드로의 진입, 탈출 및 설정 방법을 제시하며, 이러한 조작은 리모컨 제어기(2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블루투스 수신기(TV 리모컨)의 음소거(mute) 버튼을 일정시간(예컨대, 5초) 이상 누르면(S510) TV 제조사 선택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블루투스 수신 기(TV 리모컨)의 채널 선택 버튼을 눌러 채널변경 코드를 TV로 전송하고(S520), TV의 방송 채널이 바뀌는지 확인한다(S530). 만약 채널이 변경되면 현재의 원격제어 코드와 TV 제조사의 원격제어 코드가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TV의 방송 채널이 변하지 않는다면 원격제어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므로 다른 제조사의 원격제어 코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수신기(TV 리모컨)의 채널 버튼을 누르면 다른 제조사의 원격제어 코드로 전환되어 채널변경 코드가 TV로 송신된다(S540).
TV 방송 채널이 변경되어 TV 제조사와 일치하는 원격제어 코드를 찾았으면, 음소거(mute) 버튼을 누르게 되면(S550), 현재 상태의 원격제어 코드가 TV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S560), 블루투스 수신기(TV 리모컨)가 정상 동작 상태로 된다(S570). 원격제어 코드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게 되면 블루투스 수신기(200)의 전원을 오프(off)시켰다가 온(on)시키더라도 TV에 대한 리모컨 동작은 설정 상태대로 유지된다.
사용자는 텔레비젼의 전원을 온(ON) 시키고, 블루투스 송신기의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 단자에 연결하게 되면, 블루투스 수신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이어폰과 같은 음성 출력수단을 연결하여 텔레비젼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게 되고, 블루투스 수신기의 볼륨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텔레비젼의 음성을 조작할 수도 있어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루투스 동글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송신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루투스 동글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블루투스 수신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텔레비젼의 영상에 비하여 음성이 지연되어 청취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TV 제조사의 원격제어 코드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블루투스 송신기 110: 오디오 신호 입력부
120: 오디오 디코더 130: 블루투스 모듈부
140: RF 송신부 150: 전원부
160: 동작 상태 표시부 200: 블루투스 수신기
210: RF 수신부 220: 블루투스 모듈부
230: 오디오 증폭부 240: 오디오 출력단자
250: 리모컨 제어기 260: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
270: 적외선 송신기부 280: 전원부
290: 충전부

Claims (9)

  1.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송신기; 및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여 출력하는 블루투스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광 신호를 펄스 코드 변조 포맷으로 변환하고,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후, 변환된 광 신호와 변환된 전기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압축하여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디코더에 사용되는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가변 버퍼에 음성 데이터가 채워지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는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광 신호 및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코드 변조 포맷으로 변환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상기 A/D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디코더를 통해 변환된 광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압축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를 통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RF 송신부를 포함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압축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증폭부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부;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오디오 증폭부;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부는,
    상기 RF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가변 버퍼를 이용하여 압축을 푸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증폭부로 전송하는 D/A 변환기; 및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인 경우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디코더에 사용되는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고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가변 버퍼를 기준 크기로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블루투스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디오 신호 판단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판단부에 의해 텔레비젼의 오디오 신호로 판단된 경우 가변 버퍼의 크기를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는 버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파 강도 판단부 및 오디오 연속 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판단부에 의해 텔레비젼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를 정해진 기준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전파 강도 판단부는 수신되는 전파 강도가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전파 강도가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는 소리가 끊기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파 강도가 기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리가 끊기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리가 끊기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연속성 판단부는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사이의 수신 끊김 시간이 정해진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버퍼 제어부에 의해 가변 버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 만큼 늘려진 후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고,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대일 경우에는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며,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사이의 수신 끊김 시간이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는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소 크기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하며,
    가변 버퍼의 크기가 최소 크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RF 수신부로부터 수 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고, 최소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버퍼 제어부에 의해 가변 버퍼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 만큼 줄여진 후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가변 버퍼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단자는,
    두 명의 사용자가 한 대의 블루투스 수신기로 동시에 텔레비젼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두 개가 구비되어 2개의 음성 출력장치에 연결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텔레비젼의 볼륨, 채널, 음소거 및 전원을 포함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제어기;
    텔레비젼에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기부;
    텔레비젼의 볼륨, 채널, 음소거 및 전원을 포함하는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는,
    블루투스 모듈부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리모컨 제어기에 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 상태 검출부는, 블루투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볼륨 조절 키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텔레비젼의 볼륨이 조절되게 하고, 블루투스 송신기의 오디오 신호 입력부가 텔레비젼의 오디오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블루투스 송신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며 블루투스 수신기의 음소거 버튼이 눌러져서 블루투스 모듈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리모컨 제어기의 제어코드 전송 기능을 차단하여 텔레비젼의 볼륨은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되게 하고 볼륨 조절 키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블루투스 수신기의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볼륨이 조절되게 하며,
    상기 리모컨 제어기는 블루투스 모듈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볼륨 조절 키입력부가 조작되더라도 음소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제어기는,
    음소거 키입력부의 버튼이 일정 시간 초과되게 눌러지면 텔레비젼 제조사 선택 모드로 진입되게 하고, 채널 키입력부의 버튼이 눌러지면 채널 변경 코드를 텔레비젼으로 전송하고, 다시 채널 키입력부의 버튼이 눌러지면 다른 제조사의 원격 제어 코드로 전환되게 하며, 음소거 키입력부의 버튼이 눌러지면 선택된 상태의 원격제어 코드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장치.
KR1020080098538A 2008-10-08 2008-10-08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 KR10096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538A KR100961939B1 (ko) 2008-10-08 2008-10-08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538A KR100961939B1 (ko) 2008-10-08 2008-10-08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535A KR20100039535A (ko) 2010-04-16
KR100961939B1 true KR100961939B1 (ko) 2010-06-10

Family

ID=4221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538A KR100961939B1 (ko) 2008-10-08 2008-10-08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51A2 (ko) * 2010-07-23 2012-01-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장치의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4032B2 (en) 2019-01-24 2023-01-0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dio connection and transmission device
KR20210101696A (ko)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퍼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226A (ja) 2004-06-04 2005-12-15 Alps Electric Co Ltd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226A (ja) 2004-06-04 2005-12-15 Alps Electric Co Ltd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651A2 (ko) * 2010-07-23 2012-01-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장치의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2011651A3 (ko) * 2010-07-23 2012-03-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장치의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80224B1 (ko) 2010-07-23 2013-07-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장치의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535A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7843A1 (en) Audiovisual system
US8649538B2 (en) Hearing aid having multiple sound inputs and methods therefor
US8446533B2 (en) Telev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750404B1 (en) Audio level based closed-captioning control
US20120307157A1 (en) Audio/video device and audio/video system comprising same
JP414310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WO2008069304A1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CN101754087A (zh) 音频装置及其信号校准方法
CN102970633A (zh) 设备控制装置、设备控制方法和程序
JP7467513B2 (ja) 端末、音声連携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装置
CN102970506A (zh) 设备控制装置、设备控制方法和程序
CN111836097A (zh) 通过蓝牙收听电视的智能多媒体装置及通信方法
KR100961939B1 (ko) 텔레비젼용 블루투스 동글 장치
CN102355587A (zh) 同步接收转播电视子节目的实现方法及其装置
KR20030058118A (ko) 디지털 티브이 셋탑박스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간의무선 접속 장치
JP4401063B2 (ja) 映像音声伝送送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映像音声伝送システム
JP2007110391A (ja) 放送受信機
KR20030010233A (ko) 다기능 텔레비전 수상기
US20060264250A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a wireless earphone fun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JP3781744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の音声出力方法、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2158888A (ja) リモコン付き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662867B1 (ko) 아날로그 오디오의 디지털 변환장치
CN101304243A (zh) 电子产品频道切换的个别音量的控制方法与装置
JP2003518838A (ja) テレビジョンオーディオを有するテレビ受像機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713277B1 (ko)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장치와 그를 이용한 텔레비젼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