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935B1 -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935B1
KR100961935B1 KR1020080088105A KR20080088105A KR100961935B1 KR 100961935 B1 KR100961935 B1 KR 100961935B1 KR 1020080088105 A KR1020080088105 A KR 1020080088105A KR 20080088105 A KR20080088105 A KR 20080088105A KR 100961935 B1 KR100961935 B1 KR 10096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ir
temperature
cool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354A (ko
Inventor
김홍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트
Priority to KR102008008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9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 원리의 제습장치가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재열히트를 응축코일로 사용하므로 그에 따른 소비 전력을 낮추어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가습/제습, 냉방/난방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적으로 실용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제습장치, 쿨링코일, 히트코일, 가습기

Description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Thermo-hygrostat}
본 발명은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 원리의 제습장치가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재열히트를 응축코일로 사용하므로 그에 따른 소비 전력을 낮추어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가습/제습, 냉방/난방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적으로 실용성이 높은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전산시스템이나 전산센터, 통신실, 교환기실, 문서보관실, 지적서고 등 전산시스템장치의 장애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실내는 일정한 온습도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반도체, 전자, 제약, 화학, 섬유, 제지, 펄프 등의 한 각종 산업제조분야에서 생산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생산 공장내부를 일정한 온습도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항온항습장치는 냉각기능으로 일반적인 압축냉동장치가 구성되어 있고, 하절기에 온도보상 및 제습기능을 위하여 전기히터방식의 재열기가 구성되어 있으며, 동절기에는 실내의 적정한 습도유지를 위해 전기히터방식의 전극봉식 가습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항온항습장치의 사계절 운전가동상태로 살펴보면 중간기(봄, 가을)에는 외기부하의 온/습도 조건이 양호하여 냉각용량이 감소되어 용량제어가 된 상태에서 냉각기능으로 가동되고, 전가동비율이 적어 에너지소비가 작게 소요되며, 하절기(여름)에는 외기의 제습부하와 잠열부하의 증가 및 실내의 장비발열량으로 인한 현열부하가 많아 냉각기능 및 재열부하의 증가로 에너지소모가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동절기(겨울)에는 영하의 외기조건으로 가습부하가 증가하고 실내는 전산장비의 발열량으로 인한 현열부하가 많아 가습부하와 냉각부하가 증가되고 오히려 난방기능은 필요 없어 냉각기능과 가습기능으로 가동되는데 외기로 인한 가습부하 및 실내의 현열로 인하여 가습부하의 증가로 나타나게 된다.
종래의 항온항습장치는 난방기능과 가습기능으로 전기히터방식의 가습기가 가동되어 전기에너지 소비가 현격하게 증가하여 최대의 에너지소비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습 원리의 제습장치가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재열히트를 응축코일로 사용하므로 그에 따른 소비 전력을 낮추어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가습/제습, 냉방/난방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적으로 실용성이 높은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반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로 변환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변환된 저온, 저압의 액 냉매가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쿨링코일과,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직접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히트코일을 포함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①)가 유입되도록 일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유니트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①)가 유니트의 내부 유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습용 쿨링코일과, 제습용 재열코일을 통해 제습된 공기(②,③)로 변환시키는 제 습장치와;
상기 유니트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절기시, 상기 제습장치를 통과한 공기(②,③)를 냉각시키는 쿨링과;
상기 유니트의 내부에 설치되되, 동절기시, 유입된 실내 공기(①)를 가열시키는 히트겸용코일과;
상기 유니트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히트코일을 통과한 공기(⑤)를 외부에서 관을 통해 전달된 가습수를 증발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와;
상기 유니트의 내부 배출구 측에 설치되되, 상기 장치들을 통과한 공기(④,⑥)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는 제습원리의 제습장치가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소비 전력을 낮추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는 계절에 변화에 따라 가습/제습, 냉방/난방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적으로 실용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반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로 변환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변환된 저온, 저압의 액 냉매가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쿨링과,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직접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히트겸용코일을 포함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①)가 유입되도록 일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유니트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①)가 유니트의 내부 유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습용 쿨링코일과, 제습용 재열코일을 통해 제습된 공기(②,③)로 변환시키는 제습장치와;
상기 유니트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절기시, 상기 제습장치를 통과한 공기(②,③)를 냉각시키는 쿨링과;
상기 유니트의 내부에 설치되되, 동절기시, 유입된 실내 공기(①)를 가열시키는 히트겸용코일과;
상기 유니트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히트겸용코일을 통과한 공기(⑤)를 외부에서 관을 통해 전달된 가습수를 증발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와;
상기 유니트의 내부 배출구 측에 설치되되, 상기 장치들을 통과한 공기(④,⑥)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의 외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절기에 사용되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의 습공기선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절기에 사용되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의 습공기선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는 유니트(10)와, 제습장치(20)와, 쿨링코일(30)과, 히트코일(40)와, 가습기(50)와, 송풍기(60)로 구성된다.
먼저, 위와 같이 제습장치(20)와 쿨링코일(30) 및 히트코일(40)에 공급되는 냉매를 구비한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는 도 2를 참고하여, 통상적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와 동일하게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70)와,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반 액체 상태가 되게 응축하는 응축기(80)와, 상기 응축기(8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로 변환하는 팽창밸브(90)와, 상기 팽창밸브(90)에 의해 변환된 저온, 저압의 액 냉매가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쿨링코일(30)과,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직접 공급받아 재열 응축하는 히트코일(40)을 포함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스템 중 쿨링코일(30)과 재열 응축하는 히트코일(40)은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이외의 장치들(70,80,90)은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의 통상적인 설치위치인 외부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는 상기에서 기술된 시스템에 의해 내부에 설치되는 제습장치(제습용 쿨링코일(21)과, 제습용 재열코일(22))에 냉매를 공급하고, 동시에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쿨링코일(30)과 히트코일(40)에도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시스템이 제습장치(20)와 쿨링코일(30) 및 히트코일(40)에 일괄적으로 연결되지만 각각 하나의 시스템이 별도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는 자체의 구조장치(유니트(10), 제습장치(20), 쿨링코일(30), 히트코일(40), 가습기(50), 송풍기(60))에 대해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유니트(10)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를 이루고 있는 몸체로써, 실내의 공기(①)가 유입되도록 일단부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①)가 유니트(10)의 내부에서 열교환 후, 실내로 다시 배출되도록 끝단부에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니트(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별도의 필터장치(13)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필터장치(13)는 외부에서 교체가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니트(10)의 내부 유입구 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니트(10)의 배출구(12) 측 내부에는 송풍기(60)가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이송시키는데, 상기 송풍기(6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송풍기와 유사한 구조 및 형태로써 별도의 기술은 더 하지 않는다.
상기 제습장치(20)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①)를 제습하기 위해 제습용 쿨링코일(21)과, 제습용 재열코일(2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습용 쿨링코일(21)과, 제습용 재열코일(22)은 유니트(10)의 내부 유입구 측 즉, 필터장치(13)의 다음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렇게 상기 제습장치(20)를 통과하면 습도는 떨 어지고 온도는 높아진 제습된 공기(②,③)로 변환되는 것이다.
상기 쿨링코일(30)은 하절기때를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써,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습장치(20)의 다음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장치(20)를 통과한 공기(②,③)를 하절기에 실내기온을 낮추기 위해 쿨링코일(30)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냉각 공기(④)로 변환시킨다.(도 3을 참고)
이렇게 상기 변환된 상기 공기(④)는 송풍기(60)를 통해 다시 실내로 보내지고, 그렇게 해서 하절기에는 실내공기에 습도는 제거하면서 냉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히트코일(40)은 동절기때를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써,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쿨링코일(30)의 다음에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히트코일(40)은 도 4를 참고하여, 동절에기 유입된 실내 공기(①)를 가열시켜 난방 공기(⑤)로 변환시키는 것이고, 상기 히트코일(40)의 다음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가습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⑤)에 가습시켜 습도를 부여한 공기(⑥)로 변환시킨다.
상기 가습기(50)는 외부에서 관을 통해 전달된 가습수를 증발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렇게, 동절기에 실내를 난방하면서 습도도 알맞게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 상기 히트코일(40)은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쿨링코일(30)과 관을 통해 히트펌프(41)가 연결되고, 상기 히트펌프(41)는 히트코일(40)과 연결되어 동절기에는 쿨링코일(30)에 고 온, 고압의 냉매를 이송시켜 히트코일(40)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의 외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절기에 사용되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의 습공기선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절기에 사용되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의 습공기선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니트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필터장치
20 : 제습장치 21 : 제습용 쿨링코일
22 : 제습용 재열코일 30 : 쿨링코일
40 : 히트코일 41 : 히트펌프
50 : 가습기 60 : 송풍기
70 : 압축기 80 : 응축기
90 : 팽창밸브 100 :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Claims (4)

  1.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70)와,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반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80)와, 상기 응축기(8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로 변환하는 팽창밸브(90)와, 상기 팽창밸브(90)에 의해 변환된 저온, 저압의 액 냉매가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쿨링코일(30)과,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직접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히트코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①)가 유입되도록 일단부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배출되도록 끝단부에 배출구(12)가 형성된 유니트(10)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①)가 유니트(10)의 내부 유입구 측에 일체형으로 형성 설치되는 제습용 쿨링코일(21)과, 제습용 재열코일(22)을 통과해 제습된 공기(②,③)로 변환시키는 제습장치(20)와;
    상기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절기시, 상기 제습장치(20)를 통과한 공기(②,③)를 냉각시키는 쿨링코일(30)과;
    상기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되되, 동절기시, 유입된 실내 공기(①)를 가열시키는 히트코일(40)과;
    상기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히트코일(40)을 통과한 공기(⑤)를 외부에서 관을 통해 전달된 가습수를 증발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50)와;
    상기 유니트(10)의 내부 배출구 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습장치(20)와 쿨링코일(30)과 히트코일(40)과 가습기(50)를 통과한 공기(④,⑥)를 배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키는 송풍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70)와,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반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80)와, 상기 응축기(8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로 변환하는 팽창밸브(90)를 포함하여 구성된 장치가 쿨링코일(30)과, 제습용 쿨링코일(21)과, 히트코일(40)과, 제습용 재열코일(22)에 일괄적으로 연결되거나 각각 별도로 하나씩 연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2.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70)와,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반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80)와, 상기 응축기(8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로 변환하는 팽창밸브(90)와, 상기 팽창밸브(90)에 의해 변환된 저온, 저압의 액 냉매가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쿨링코일(30)과,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직접 공급받아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히트코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100)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①)가 유입되도록 일단부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배출되도록 끝단부에 배출구(12)가 형성된 유니트(10)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①)가 유니트(10)의 내부 유입구 측에 일체형으로 형성 설치되는 제습용 쿨링코일(21)과, 제습용 재열코일(22)을 통과해 제습된 공기(②,③)로 변환시키는 제습장치(20)와;
    상기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절기시, 상기 제습장치(20)를 통과한 공기(②,③)를 냉각시키는 쿨링코일(30)과;
    상기 유니트(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쿨링코일(30)과 관으로 연결되고, 동절기시, 상기 관의 일단부에 설치된 히트펌프(41)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를 쿨링코일(30)에 전달하는 히트코일(40)과;
    상기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되되, 동절기에 상기 쿨링코일(30)을 통과한 공기(⑤)를 외부에서 관을 통해 전달된 가습수를 증발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50)와;
    상기 유니트(10)의 내부 배출구(12) 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습장치(20)와 쿨링코일(30)과 히트코일(40)과 가습기(50)를 통과한 공기(④,⑥)를 배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키는 송풍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는 압축기(70)와, 상기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반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80)와, 상기 응축기(80)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체로 변환하는 팽창밸브(90)를 포함하여 구성된 장치가 쿨링코일(30)과, 제습용 쿨링코일(21)과, 히트코일(40)과, 제습용 재열코일(22)에 일괄적으로 연결되거나 각각 별도로 하나씩 연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80088105A 2008-09-08 2008-09-08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KR10096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05A KR100961935B1 (ko) 2008-09-08 2008-09-08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05A KR100961935B1 (ko) 2008-09-08 2008-09-08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354A KR20100029354A (ko) 2010-03-17
KR100961935B1 true KR100961935B1 (ko) 2010-06-10

Family

ID=4217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105A KR100961935B1 (ko) 2008-09-08 2008-09-08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9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887A (ko) 2014-12-19 2016-06-30 주식회사 대신이앤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항온항습실용 공기조화기
KR20180079035A (ko) * 2016-12-30 2018-07-10 (주)이에스 항온항습 공조설비
KR20230001251A (ko) 2021-06-28 2023-01-04 박승태 항온항습기 및 항온항습기의 운전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810B1 (ko) * 2012-12-18 2013-02-08 온시스텍 주식회사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제습장치
KR101592197B1 (ko) 2014-05-26 2016-02-18 박춘경 하나의 삼방밸브와 하나의 스톱밸브만으로 재열량의 가감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KR101977605B1 (ko) * 2018-07-27 2019-09-03 (주)대림냉열이엔지 건조장치
CN108954579A (zh) * 2018-08-17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处理设备
CN112050492A (zh) * 2020-09-25 2020-12-08 浙江国祥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型恒温恒湿机组
CN113218011A (zh) * 2021-06-09 2021-08-06 河南励耕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文物库房的热管回收型恒温恒湿机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865B1 (ko) 2001-08-10 2004-04-27 주식회사 에이알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항온항습장치 및 방법
KR100459675B1 (ko) 2002-11-06 2004-12-03 주식회사 아텍에너지 항온항습장치
KR100581276B1 (ko) * 2004-03-11 2006-05-22 김인태 항온,항습용 공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865B1 (ko) 2001-08-10 2004-04-27 주식회사 에이알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항온항습장치 및 방법
KR100459675B1 (ko) 2002-11-06 2004-12-03 주식회사 아텍에너지 항온항습장치
KR100581276B1 (ko) * 2004-03-11 2006-05-22 김인태 항온,항습용 공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887A (ko) 2014-12-19 2016-06-30 주식회사 대신이앤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항온항습실용 공기조화기
KR20180079035A (ko) * 2016-12-30 2018-07-10 (주)이에스 항온항습 공조설비
KR102087737B1 (ko) * 2016-12-30 2020-03-11 (주)이에스 항온항습 공조설비
KR20230001251A (ko) 2021-06-28 2023-01-04 박승태 항온항습기 및 항온항습기의 운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354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935B1 (ko) 공기조화 항온항습장치
CN201858726U (zh) 一种全热回收的调湿新风热泵
EP0843781B1 (en) A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cooling air
CN201527053U (zh) 一种节能型恒温恒湿空调机组
CN201488149U (zh) 出风温度固定的加湿除湿机
CN104534605B (zh) 一种用于空调器焓差室的节能制冷装置
CN201163119Y (zh) 节能空调
CN105042748B (zh) 机房空调器
CN101900379B (zh) 具有室温调节功能的节能除湿机
KR101013485B1 (ko) 공기열원 히트펌프 제습 건조기
CN110748973A (zh) 空调系统及空调系统控制方法
KR20150141064A (ko) 제습냉방 시스템
CN101581485A (zh) 全工况调温除湿机
CN203949470U (zh) 除湿烘干加热热泵机组
CN211041211U (zh) 一种除湿器及烘干室
CN202835916U (zh) 一种蒸发式热泵除湿调温机组
KR101355957B1 (ko) 압축기 토출열원을 이용한 항온항습기
CN110726187A (zh) 具有低温制冷与除湿功能的制冷装置
CN203633194U (zh) 一种自动化的粮食储存用恒温除湿机组
KR101231810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제습장치
CN106765965B (zh) 分流式水冷型恒温恒湿空调机的控制方法
KR20110126960A (ko)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1971960B1 (ko) 히터와 폐열을 활용한 제습 시스템
CN211146704U (zh) 空调系统
WO2021208397A1 (zh) 一种除湿烘干设备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