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372B1 - Appatarus for roilling wire rod and roill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tarus for roilling wire rod and roill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372B1
KR100961372B1 KR1020070140280A KR20070140280A KR100961372B1 KR 100961372 B1 KR100961372 B1 KR 100961372B1 KR 1020070140280 A KR1020070140280 A KR 1020070140280A KR 20070140280 A KR20070140280 A KR 20070140280A KR 100961372 B1 KR100961372 B1 KR 10096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ed material
rolled
rolling mi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1294A (en
Inventor
윤철
정태원
김원봉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ublication of KR2009007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2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21B1/1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in a 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6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vertically, e.g. 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소재에 발생되는 크롭 량이 감소되며, 긁힘 및/또는 주름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ing device and a rolling method for wire rods that reduce the amount of crops generated in the rolled material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scratches and / or wrink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압연장치는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평롤로 구성되는 1차 압연기와;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평롤로 구성되는 2차 압연기와; 폭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3차 압연기와;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4차 압연기와; 폭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5차 압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Wire rod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imary rolling mill composed of flat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the roll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econdary rolling mill composed of flat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tertiary rolling mill composed of ball roll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width direction; A fourth rolling mill composed of ball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fth rolling mill consisting of a ball roll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erform the rolling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의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의 크롭 량을 저감시켜, 실수율 향상과 압연소재의 주름성 결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연소재의 긁힘 및/또는 주름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efects of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reduce the crop amount of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and improve the error rate and prevent wrinkles of the rolled material, The occurrence of scratches and / or wrinkles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minimized.

선재, 압연, 크롭, 결함, 공형압연 Wire Rod, Rolled, Crop, Defect, Rolled

Description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APPATARUS FOR ROILLING WIRE ROD AND ROILLING METHOD USING THE SAME} Rolling device and rolling method of wire rod {APPATARUS FOR ROILLING WIRE ROD AND ROIL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연소재에 발생되는 크롭 량이 감소되며, 긁힘 및/또는 주름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ing device and a rolling method for wire rods that reduce the amount of crops generated in the rolled material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scratches and / or wrinkles.

일반적으로 선재압연은 정사각형 빌레트를 압연소재로 초기에 박스형 공형압연을 거친 후 타원(Oval)과 라운드(Round)형상의 공형압연 공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소정의 라운드형상 선재를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면이 160 x 160mm인 빌레트 소재를 가열로에서 빌레트의 강의 종류에 따라서 선재압연이 가능한 940~1200℃로 가열하여 압연을 수행한다. In general, wire rod rolling is a square billet rolled material initially subjected to box-shaped rolling and then repeatedly performed an oval and round-shaped rolling process to produce a predetermined round wire. In general, rolling is performed by heating a billet material having a cross section of 160 x 160 mm at a heating furnace of 940 to 1200 ° C., which can be wire-ro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steel of the billet.

이러한 압연과정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압연, 중간 조압연, 중간 사상압연, 사상압연의 연속 압연을 거쳐 직경이 약 5.5~42mm인 선재제품을 생산하게 되고, 이후 냉각 및 권취, 열처리, 제품검사, 평량 및 제품을 창고에 적재하는 등의 일련 과정을 거치게 된다. This rolling process, as shown in Figure 1, through the continuous rolling of rough rolling, intermediate rough rolling, intermediate finishing rolling, finishing rolling, to produce a wire rod product having a diameter of about 5.5 ~ 42mm, then cooled and wound, heat treatment This includes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product inspection, basis weight, and loading of products into the warehouse.

이러한 선재압연을 위한 초기과정에 있어서, 압연공정의 박스형 공형압연 후, 타원의 공형압연과 라운드형상의 공형압연을 거치는 동안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에 크롭(Crop)의 발생량이 증가하게 되고, 압연소재 겹침 및/또는 주름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고정된 선재 가이드 접촉에 의한 긁힘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기도 한다. In the initial process for wire rod rolling, after the box-shaped rolling of the rolling process, the amount of cropping is increased during the rolling of the ellipse and the round-shaped rolling. Defects such as overlapping and / or wrinkling of rolled materials are generated. In addition, defects such as scratching due to fixed wire guide contact may occur.

통상적으로 선재압연은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정사각형 밸레트로 이루어지는 압연소재를 초기에 박스형 공형압연을 거친 후 타원(Oval)과 라운드(Round)형상의 공형압연 공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는 라운드형상 선재를 생산하고 있다. 이 경우, 선재 조압연공정 각각의 압연기 전후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구가이드(13a 내지 13e)와 출구가이드(16a 내지 16e)가 배치되어 압연소재(1)(예를 들어 빌레트)를 선재압연의 각 공형롤(10a 내지 10e)에 정확히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ypically, wire rod rolling is performed by rolling a rolled material consisting of a square pallet at an initial stage, as shown in FIGS. 2 and 3, by repeatedly performing an oval and round-shaped round rolling process. Produces round wire rods with diameter. In this case, before and after each rolling mill of the wire rough rolling process, the inlet guides 13a to 13e and the outlet guides 16a to 16e are arranged to roll the rolled material 1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illet) is configured to guide the ball rolls 10a to 10e of the wire rod accurately.

일반적으로 열간압연의 압하량에 따른 폭 퍼짐량은 In general, the spreading width according to the rolling reduction of hot rolling is

△b = (h1- h2) x (0.23 내지 0.25) Δb = (h1-h2) x (0.23 to 0.25)

로 정해진다. 여기서, △b는 폭퍼짐 량, h1은 압연전 두께, 그리고, h2은 압연후 두께이다. It is decided. Where? B is the amount of spreading, h1 is the thickness before rolling, and h2 is the thickness after rolling.

한편, 선재압연의 경우, 정사각형 빌레트에 의해 수행되므로 압연량에 따른 폭퍼짐량은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ire rolling, since the width is carried out by the square billet, the spreading amount according to the rolling amount is

△b = (h1- h2) x (0.25 내지 0.28)Δb = (h1-h2) x (0.25 to 0.28)

로 정해진다. 여기서, △b는 폭퍼짐 량, h1은 압연전 두께, 그리고, h2은 압연후 두께이다. It is decided. Where? B is the amount of spreading, h1 is the thickness before rolling, and h2 is the thickness after rolling.

또한, 선재 조압연의 초기압연기 박스형 공형압연의 폭퍼짐량은In addition, the amount of spreading of the initial rolling mill box-shaped rolling mill

△b = (h1- h2) x (0.32 내지 0.36)Δb = (h1-h2) x (0.32 to 0.36)

로 정해진다. 여기서, △b는 폭퍼짐 량, h1은 압연전 두께, 그리고, h2은 압연후 두께이다. It is decided. Where? B is the amount of spreading, h1 is the thickness before rolling, and h2 is the thickness after rolling.

그러므로, 열간 선재압연은 고온 가열된 160 x 160mm 규격의 압연소재(1)가 초기압연을 거친 후에, 압연소재(1)의 크기는 대략 127mm x 172mm 규격으로 된다. 선재압연 중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선재압연 두 번째 압연롤(공형롤)로 방출되는 시점에 압연라인의 돌발적인 장애요인에 의한 압연작업을 중단하고 가열로 측으로 압연소재를 재장입 되는 사례가 간헐 적으로 발생되므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기압연기 입구가이드(13)의 크기(Gs)는 압연소재(1) 폭 크기(Bs)에 비하여 10~20mm정도 크게 설정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hot wire rolling, after the high temperature heated 160 x 160 mm rolled material 1 undergoes initial rolling, the size of the rolled material 1 is about 127 mm x 172 mm. When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is released to the second rolling roll (coil roll) during the wire rolling, the rolling work is interrupted due to an unexpected obstacle of the rolling line and the reloading of the rolled material into the furnace is intermittent. As shown in FIG. 4B, the size Gs of the initial rolling mill inlet guide 13 is set to about 10 to 20 mm larger than the width Bs of the rolled material 1.

한편, 종래의 선재 조압연 압연기에는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기(10a,10b)의 유입 측과 출구 측에 각각의 입구 가이드(13a,13b) 및 출구 가이드(16a,16b)가 한 쌍의 마주보는 압연기(10a,10b)의 공형롤 그루브 내측 깊숙히 근접 위치하게 배치되어 압연소재를 공형롤 패스라인 중심부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압연기(10a,10b)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의 선 단부를 안내하여 다음 압연기로 압연소재의 선 단부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입구 가이드(13a,13b) 및 출구 가이드(16a,16b)는 고정수단(14)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고 있다. 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wire rough rolling mill, as shown in FIG. 4C, a pair of inlet guides 13a and 13b and outlet guides 16a and 16b are provided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mills 10a and 10b, respectively. The rolling mills 10a and 10b of the rolling mills are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ner side of the ball roll grooves so that the rolled materials can be accurately guided to the centers of the ball roll passlines, and the rolled materials discharged from the rolling mills 10a and 10b. The end of the wire is guided to the next rolling mill to guide the end of the rolled material. The inlet guide 13a, 13b and the outlet guide 16a, 16b comprised in this way are attached in the position fixed by the fixing means 14.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각 압연기(10a,10b)의 공형롤 을 교체하고 자 하는 경우, 각 압연기(10a,10b)에 장착되는 입구 가이드(13a,13b) 및 출구 가이드(16a,16b)의 고정수단(14)을 제거한 후, 입구 가이드(13a,13b) 및 출구 가이드(16a,16b)를 분리하여야만 공형롤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작업자의 업무부하가 크게 가중되고 있다. Due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all rolls of the rolling mills 10a and 10b are to be replaced, the inlet guides 13a and 13b and the exit guides 16a and 16b mounted to the rolling mills 10a and 10b are fixed. After removal of the means 14, the inlet guides 13a and 13b and the outlet guides 16a and 16b must be separated so that the ball roll can be replaced. By such a structure, the work load of a worker is greatly weighted.

그리고, 연속된 선재압연으로 입구가이드 및 출구가이드의 고온 가열현상에 따른 냉각작업 공정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므로, 공형롤 교체작업 지연에 따른 비 가동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since the cooling operation process is additionally provided according to the high temperature heating phenomenon of the inlet guide and the outlet guide by continuous wire roll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n-operation time is increased due to the delayed replacement of the roll.

한편, 선재압연은 라운드형상의 선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타원(Oval)형상의 공형압연과 라운드(Round)형상의 공형압연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두 번째 압연연기 압연공정에서 타원(Oval)형상 압연소재를 원활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초기 정사각형 압연소재의 압연중 모서리부 구속력 증가에 따른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주름성 결함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연소재를 압연 패스라인으로 정확히 안내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초기압연기(10a)의 압연기롤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스형 공형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produce a round wire, Oval-shaped and round rolling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in the second rolling-mill rolling process, the Oval-shaped rolling is performed. The material can be obtained smoothly, and also it prevents the edge wrinkles of the rolled material due to the increase of the binding force of the edges during the rolling of the initial square rolled material, and also provides the function of accurately guiding the rolled material to the rolling pass line. In order to do this, a box-shaped mold portion 11a is formed in the rolling mill roll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a as shown in FIG.

이러한 박스형 공형부(11a)를 갖는 공형롤(10)은 롤 몸체부에 공형롤 구르부형상을 가공하는 가공작업 공정이 필수적이므로 롤의 가공작업 공정이 복잡함과 아울러 롤의 공형 초기 가공작업에 따른 롤의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In the ball roll 10 having the box-shaped ball portion 11a, a processing operation process for processing the ball roll portion in the roll body part is essential, so that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roll is complicated and the roll initial processing operatio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oll is increased.

또한, 공형롤의 작업롤 지름이 작게 구성되어 초기압연의 치입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데, 상기한 초기압연기 압연롤의 입구 가이드(13a) 크기(Gs)가 d압연소재(1) 크기(Bs)에 비하여 10 내지 20mm 크게 설정되어 있어 압연소재를 초기압연기 공형롤에 정확히 안내하지 못하는 경우가 간헐적으로 발생되며, 압연소재(1)가 가열로의 조로작업 이상으로 U형으로 만곡지거나, 가열로에서 압연소재(1)가 사행 추출되어 입구 가이드(13a)를 거쳐 초기 압연기에서 공형압연이 이루어질 경우, 압연소재의 측면부가 상기 가이드(13a) 벽면에 심하게 마찰되어 치명적인 긁힌 흠이 간헐 적으로 발생되고 있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work roll diameter of the ball roll is made small, it causes the dentability of the initial rolling. The inlet guide 13a size Gs of the initial rolling mill rolling roll is the size of the d rolling material 1 As it is set to 10 to 20mm larger than Bs), the rolled material cannot be accurately guided to the initial rolling mill roll, and the rolled material (1) is bent to U-shape or more than the heating work of the heating furnace. When the rolling material 1 is meanderingly extracted from the furnace and the rolling is performed in the initial rolling mill via the inlet guide 13a, the side surface of the rolling material is severely rubbed on the wall of the guide 13a, and a fatal scratch is intermittently generated. It was.

그리고, 초기압연기 박스형 공형압연은 압연소재의 모서리부를 강하게 구속함으로 압연소재의 모서리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신비가 증가하게 되고,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 크롭 발생량이 증가하게 되어 선재압연 실수율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initial rolling mill box-shaped rolling is strongly constrained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to increase the draw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as shown in Figure 6a and 6b, the amount of cropping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The increase in wire rods is causing a decline in wire rod error rates.

상기한 바와 같이 선재압연의 두 번째 압연공정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원(Oval)형상의 공형롤 압연으로, 초기 압연공정의 박스형 공형롤에서 방출되는 압연소재(1)가 타원(Oval)형상의 공형부(12a)에 치입하게 되면, 박스형 압연소재(1)의 모서리(1a)부 압하비가 압연소재의 중앙부(1b) 압하비보다 크게 이루어지므로, 두 번째 타원형상의 공형롤(10b)압연을 거친 압연소재(1)의 폭퍼짐량은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olling process of wire rod rolling is an oval-shaped ball roll rolling as shown in FIGS. 7A and 7B, and the rolling material 1 released from the box-shaped roll of the initial rolling process is an ellipse. (Oval) is inserted into the hole 12a of the box-shaped rolled material (1), since the reduction ratio of the corner (1a) portion of the box-shaped rolled material (1) is made larger than the center portion (1b) of the rolled material, 10b) the spreading amount of the rolled rolled material (1)

△b = (h1- h2) x (0.34 내지 0.37)Δb = (h1-h2) x (0.34 to 0.37)

로 정해진다. 여기서, △b는 폭퍼짐 량, h1은 압연전 두께, 그리고, h2은 압연후 두께이다. It is decided. Where? B is the amount of spreading, h1 is the thickness before rolling, and h2 is the thickness after rolling.

그러므로, 열간선재 압연은 고온 가열된 초기압연 공정에서 방출된 127 x 172mm의 사각형상을 갖는 압연소재(1)가 두 번째 압연기(10b)에 의해 공형압연을 거치면 압연소재의 크기는 대략 라운드 상/하면 간의 중앙부 두께가 112mm 이고, 측면부 폭의 크기는 181mm 정도의 타원형상 압연단면(112 x 181mm)을 갖는 압연소재(1)로 성형된다. Therefore, hot wire rolling is carried out when the rolled material 1 having a square shape of 127 x 172 mm released in the hot-rolled initial rolling process is subjected to co-rolling by the second rolling mill 10b. The central part thickness between the lower surfaces is 112 mm, and the side part width is formed of a rolled material 1 having an elliptical rolling cross section (112 x 181 mm) of about 181 mm.

이와 같이, 압하량에 비하여 폭퍼짐 비율이 크게 증가 되는 원인은 공형롤의 패스라인 중심부(WRG)보다 공형롤의 단부(WRG1)측 공형롤의 직경이 확장되므로 공형롤 단부(WRG1)측으로 갈수록 압연소재의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압연소재(1)의 타원형상을 갖는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압하율은 압연소재의 중심부 두께보다 배정도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타원형상의 압연소재 중앙부 압하율은 대략 11.8% 정도이고, 타원형상의 압연소재 측면부 압하율은 대략 37% 정도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spreading ratio is grea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rolling reduction is that the diameter of the ball roll is increased toward the ball roll end (WRG1) because the diameter of the ball roll is extende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pass line (WRG) of the ball roll. Since the speed of the material increases, the edge reduction ratio of the rolled material having the elliptical shape of the rolled material 1 increases by about twice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Generally, the oval-shaped rolling material center part reduction rate is about 11.8%, and the oval-shaped rolling material side part reduction rate is about 37%.

사각형상의 압연소재(1) 중심부가 상기 공형롤의 압연패스 라인 중심부에 접촉되어 압연소재의 중앙부 압연작업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압연소재의 모서리부(1a)는 The corner portion 1a of the rolled material is formed when the center of the rectangular rolled material 1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rolling pass line of the ball roll to perform the center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820) 모서리부 압연 압하량이 eh1 만큼 진행되고, 압연소재(1)의 모서리부 일부만 폭퍼짐량 bB만큼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B, the rolling reduc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820 proceeds by eh1, and only a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1 has a width spreading amount bB.

즉, 압연소재(820)의 중심부가 공형롤에 접촉되어 압연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That is, when the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820 is in contact with the ball roll to roll the

- 압연소재의 중심부 압하량 = h0 -Rolling reduction in the center of rolled material = h0

-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압하량 = eh1 -Rolling reduction of edge of rolled material = eh1

-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폭퍼짐량 = bB -Edge spread of rolled material = bB

- 압연소재의 측면 중심부 폭 퍼짐량 = 0-Spreading width of central part of rolled material = 0

임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이후, 압연소재(1)의 폭중심부에 압연작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Thereafter, when the rolling action is completed in the width center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1,

- 압연소재의 중앙부 압하량 = h2 -Center rolling reduction of rolled material = h2

-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폭퍼짐량 = eh1 -Edge spread of rolled material = eh1

-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폭퍼짐량 = fB1 -Edge spread of rolled material = fB1

- 압연소재의 측면 중심부 폭 퍼짐량 = fB-Spreading width of central part of rolled material = fB

이고, 여기서 상기 fB1 > fBWhere fB1> fB

임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따라서, 도 8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압연소재(1)의 모서리는 측면 중심부보다 외곽으로 돌출되는데,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폭퍼짐 현상은 압연소재의 모서리부 온도 및 냉각실 열정도, 모서리부의 연신 및 폭퍼짐 비율의 차이가 발생되어 압연소재(1)의 모서리부에서 압연소재의 측면 중심부 측으로 주름성을 갖는 폭퍼짐이 이루어지며, 일부는 도 8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치명적인 주름성 결함을 발생하고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8a,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1) protrud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ide, the edge portion spreading phenomenon of the rolled material is the edge temperature and cooling chamber passion of the rolled material, elongation and width of the edge A difference in spreading ratio is generated, and a wider spreading is made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1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and some of the fatal wrinkled defects are generated as shown in FIG. 8B.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형롤의 패스라인 중심부에서 단부측으로 갈수록 공형롤의 직경이 아래와 같이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구조이므로, 박스형 압연소재가 처음으로 접촉하여 압연되는 공형롤 직경인 WRG1 지점은 공형롤 직경이 약 548mm일 때, 압하율은 약 37%이고, 박스형 압연소재 중앙부가 접촉하여 압 연되는 공형롤 최소 직경인 WRG 지점은 공형롤 직경이 약 522mm일 때, 압하율이 약 12%이며, WRG1 지점의 직경은 WRG 지점의 직경의 105% 정도이다. 이 경우,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의 스크랩 크롭 길이는 약 81mm가 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7a, since the diameter of the ball roll is expanded as follows from the center of the pass line of the ball roll toward the end side, WRG1 is a ball roll diameter that is rolled by contacting the box-shaped rolling material for the first time The point is about 548mm when the diameter of the ball roll is about 37%, and the WRG point, which is the minimum diameter of the ball roll rolled by contacting the center of the box-shaped rolled material, is about 522mm when the diameter of the roll is about 522mm. 12% and the diameter of the WRG1 point is about 105% of the diameter of the WRG point. In this case, the scrap crop length of the tip and tail portions of the rolled material is about 81 mm.

그러므로, WRG1 지점의 공형롤 속도는 WRG 지점의 공형롤 속도 보다 대략 105% 정도 크게 이루어져, 압하율에 따른 연신율 차이가 발생하므로 두 번째 공형롤을 거친 타원형상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 크롭 발생으로 선재 제품의 실수율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Therefore, the roll roll speed at the WRG1 point is approximately 105% larger than the roll roll speed at the WRG point, resulting in a difference in elongation according to the rolling reduction, resulting in cropping of the tip and tail of the elliptical rolled material that passed through the second roll. It is the cause of lowering the error rate of wire rod produc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arising in the conventional rolling device and rolling method of the wire ro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의 크롭 발생 량을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crop generation of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압연소재의 긁힘 및/또는 주름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cratches and / or wrinkles of the rolled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조압연 초기압연기 및 두 번째 압연기 입구측에 압연소재를 안내하는 롤러가이드에 의하여 압연 롤에 압연소재의 안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압연소재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ly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rolling roll by the roller guide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to the roughing initial rolling mill and the second rolling mill inlet side to prevent the twisting of the rolled material.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압연롤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어 압연롤의 교체로 인한 공정의 휴지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rolling roll to minimize the downtime of the process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rolling rol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선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ire ro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선재의 생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wire rod.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 rolling device and a rolling method of a wir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의 크롭 발생 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being configured to reduce the amount of crop generation of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장치는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에 대한 1차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평롤로 구성되는 1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2차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평롤로 구성되는 2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폭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3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4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폭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5차 압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mary rolling mill composed of flat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the rolling in the primary thickness direction for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A secondary rolling mill composed of flat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secondary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 tertiary rolling mill composed of ball roll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 fourth rolling mill composed of ball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fth rolling mill consisting of a ball roll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erform the rolling in the width direction for the rolled material.

이 경우, 1차 압연기의 평롤은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사각형을 이루는 압연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2차 압연기의 평롤은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사각형을 이루는 압연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flat roll of the primary rolling mil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rolling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is square, and the flat roll of the secondary rolling mil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rolling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ing material is square. have.

한편, 3차 압연기의 공형롤은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라운드가 형성되는 사각형을 이루는 압연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4차 압연기의 공형롤은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타원형을 이루는 압연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5차 압연기의 공형롤은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원형을 이루는 압연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ll roll of the tertiary rolling mil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ing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forms a square in which a round is formed. In addition, the ball roll of the fourth rolling mil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ing of which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is elliptical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ball roll of the fifth rolling mil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rolling is per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한편, 3차 압연기는 소정의 직선부가 형성되고, 직선부 양단에 접선호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박스형 공형롤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4차 압연기는 타원 곡선면이 형성되고, 곡선면 양단에 접선으로 이어지는 접선면이 형성되는 타원형 공형롤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5차 압연기는 라운드 곡선면이 형성되고, 곡선 면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라운드형 공형롤이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rtiary rolling mill may be provided with a box-shaped ball roll in which a predetermined linear portion is formed, and a tangent arc and an inclined surface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near portion. In addition, the fourth rolling mill may be provided with an elliptic curved roll formed with an elliptic curved surface, and a tangent surface extending in tangent to both ends of the curved surface. In addition, the fifth rolling mill may be provided with a round ball surface, the round curved surface is formed, both ends of the curved surfac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장치는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에 대한 1차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평롤로 구성되는 1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2차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평롤로 구성되는 2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폭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3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두께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4차 압연기와; 압연소재에 대한 폭 방향의 압연을 수행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공형롤로 구성되는 5차 압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압연기 중 어느 일 이상의 압연기의 유입구 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압연소재를 압연기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lling apparatus, comprising: a primary rolling machine including flat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a primary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olling material discharged from a heating furnace; A secondary rolling mill composed of flat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secondary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 tertiary rolling mill composed of ball roll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 fourth rolling mill composed of ball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roll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t comprises a fifth rolling mill consisting of a ball roll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erform the rolling in the width direction for the rolled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inlet side of any one or more of the rolling mills rolling material in the inlet of the rolling mill It may further comprise a side guide to guide to.

이 경우, 가열로와 1차 압연기 사이 및 1차 압연기와 2차 압연기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압연소재를 압연기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1차 압연기 및 2차 압연기의 배출구 측에는 배출되는 압연소재가 다음 압연기로 안내되도록 출구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출구 가이드와 2차 압연기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압연소재를 압연기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ide guide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primary rolling mill and between the primary rolling mill and the secondary rolling mill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inlet of the rolling mill.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side of the primary rolling mill and the secondary rolling mill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it guide so that the discharged rolling material is guided to the next rolling mill,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the exit guide and the secondary rolling mill to transfer the rolling material to the inlet of the rolling mill. Guiding side guides may be provided.

이 경우,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의 중심이 패스라인과 일치하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가 뒤틀리지 않도록 고정되어 압연기의 유입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이드 가이 드는 압연소재의 배출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압연소재의 배출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의 배출을 감지하도록 압연소재의 배출 측에 검출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ide guide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to coincide with the pass line. On the other hand, the side guide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inlet side of the rolling mill is fixed so that the rolled material is not twisted. And, the side guide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t the same speed as the discharge rate of the rolled material or faster than the discharge rate of the rolled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e side guid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tector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to detect the discharge of the rolled material.

이 경우, 사이드 가이드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이송부에 장착되어 이송부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와; 가이드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작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ide guides are guide rails; A conveying part mounted to be reciprocated along the guide rail; A drive unit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for the transfer unit to reciprocate; A guide mounted on the transfer part and provided to reciproc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part;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drive for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for the guide to reciprocate.

그리고, 4차 압연기의 전후에 압연소재의 안내를 위해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5차 압연기의 전후에 압연소재의 안내를 위해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nd, the guide may be further provided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ourth rolling mill. In addition, a guide may be further provided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ifth rolling mil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방법은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에 대하여 1차 두께 방향으로 평롤에 의한 압연을 수행하는 단계와; 1차 압연된 압연소재에 대하여 2차 두께 방향으로 평롤에 의한 압연을 수행하는 단계와; 2차 압연된 압연소재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공형롤에 의한 압연을 수행하는 단계와; 3차 압연된 압연소재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공형롤에 의한 압연을 수행하는 단계와; 4차 압연된 압연소재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공형롤에 의한 압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Roll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erforming the rolling by the flat roll in the primary thickness direction for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Performing rolling by the flat roll in the secondary thickness direction on the first rolled rolled material; Performing rolling by the ball roll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secondary rolled rolled material; Performing rolling by the ball roll in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third rolled rolled material; It may also comprise the step of performing the rolling by the ball roll in the width direction for the fourth rolled rolling material.

이 경우, 1차 및 2차 압연단계는 상기 압연소재를 사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압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3차 압연단계는 상기 압연소재를 라운드가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압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4차 압연단계는 상기 압연소재를 타원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압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5차 압연단계는 상기 압연소재를 원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압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in the first and second rolling steps, the rolling material may be roll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third rolling step, the rolling material may be roll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a round is formed. In addition, the fourth rolling step may be made to roll the rolled material to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fifth rolling step, the rolling material may be roll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의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ects of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의 크롭 량을 저감시켜, 실수율 향상과 압연소재의 주름성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rop amount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to improve the error rate and to prevent wrinkled defects of the rolled material.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소재의 휘어진 상태로 유입되거나 뒤틀어진 상태로 유입되지 않도록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긁힘 및/또는 주름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ction is made so as not to be introduced into the curved state or the twisted state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minimized the occurrence of scratches and / or wrinkles.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압연 초기압연기 및 두 번째 압연기 입구측에 압연소재를 안내하는 롤러가이드에 의하여 압연 롤에 압연소재의 안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압연소재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of the rolling material to the rolling roll can be stably prevented by the roller guide for guiding the rolling material to the roughing initial rolling mill and the second rolling mill inlet side, thereby preventing the twisting of the rolling material.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재의 품질과 생상성이 향상될 수 있다. And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wire rod can be improv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롤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어 압연롤의 교체로 인한 공정의 휴지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공정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rolling rolls to minimize the rest of the process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rolling roll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ocess tim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rolling device and the rolling method of the wire r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being configured such that the area of defects occurring at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의 압연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일 예를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인 빌레트를 평면 방향-평면 방향-측면 방향-평면 방향-측면 방향의 압연 방식으로 조합된 조압연 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one example of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olling device of the wir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billet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plane direction-plane direction-side direction-plane direction-side The combined rough rolling process in the rolling manner of the direction can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압연되는 선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의 크롭 발생 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로, 상기의 평면 방향의 초기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100b)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롤로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for reducing the cropping amount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of the wire rod to be rolled,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n the planar direction may be composed of a flat roll as shown in FIG. have.

그리고,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초기 압연기(100a)의 유입부측에는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110)를 초기 압연기(100a)로 투입되도록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입구가이드(16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압연기(100a)의 출구에는 초기 압연기(100a)의 출구 측에 근접되도록 박스형 출구가이드(162a) 배치되어 압연소재를 다음 압연기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가이드(162a)는 고정볼트 및/또는 클램프 장치 등에 의해 상기 압연기(100a)의 출구에 장착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9a, the inlet guide 161a configured to be reciprocated so that the rolling material 110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is introduced into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t the inlet side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outlet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may be arranged to approach the exit side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box-shaped outlet guide 162a to be configured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next rolling mill. The outlet guide 162a may be mounted at the outlet of the rolling mill 100a by a fixing bolt and / or a clamp device.

그리고, 상기 초기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에는 초기 압연기(100a) 출구방향에서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 좀더 정확하게는 출구가이드(162a)와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입구가이드(161b)가 배치되어 초기 압연기(100a)에서 방출되는 압연소재(110)가 압연 패스라인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안내하여 두 번째 압연기(100b)로 투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between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n the exit direction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more precisely between the exit guide 162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An inlet guide 161b configured to reciprocate may be disposed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110 discharged from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to be guided to the rolling pass line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have.

또한,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출구에는 평형롤의 배출 측으로 근접되도록 박스형 출구가이드(162b)가 배치되어 압연소재를 다음 압연기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가이드(162b)는 고정볼트 및/또는 클램프 장치 등에 의하여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출구에 장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next rolling mill is provided with a box-shaped outlet guide (162b) to be close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balance roll. The outlet guide 162b may be mounted at the outlet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by a fixing bolt and / or a clamp device.

한편, 세 번째 압연기(100c)는 V-스탠드 방식의 압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압연기(100c)의 압연롤은 압연소재(110)의 양 측면에 배치되도록 수 직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세 번째 압연기(100c)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형롤(100c)에는 그루브(101c)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rolling mill 100c may be composed of a rolling mill of the V-stand type. The rolling rolls of the third rolling mill 100c may be vertically arranged to b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rolling material 110.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third rolling mill 100c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grooves 101c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ball roll 100c.

그리고, 상기 세 번째 압연기(100c)의 유입구 측에는 압연소재(110)를 안내하는 롤러방식의 입구가이드(161c)가 상기 공형롤(100c)의 유입 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구가이드(161c)는 고정볼트 및/또는 클램프 장치 등에 의해 공형롤(100c)의 유입 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형롤(100c)의 배출구 측에는 출구가이드(162c)가 공형롤(100c)의 배출구 측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압연소재(110)의 선단부를 다음 압연기로 안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roller type inlet guide 161c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11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inlet side of the ball roll 100c on the inlet side of the third mill 100c. In this case, the inlet guide 161c may be mounted on the inflow side of the ball roll 100c by a fixing bolt and / or a clamp device. In addition, an outlet guide 162c may be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ball roll 100c so as to be close to the outlet side of the ball roll 100c to guide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110 to the next rolling mill.

네 번째 압연기(100d)는 H-스탠드 방식의 압연기로 압연롤은 압연소재(110)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수평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연롤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루브(101d)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공형롤(100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네 번째 압연기(100d)의 유입구 측에는 입구가이드(161a)가 상기 공형롤(100d)의 입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입구가이드(161a)는 고정볼트 및/또는 클램프 장치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형롤(100d)의 출구 측에는 출구가이드(162d)가 상기 공형롤(100d)의 출구 측으로부터 근접되게 배치되어 압연소재(110)의 선단부를 다음 압연기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is a rolling mill of the H-stand type, and the rolling rolls may be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arranged so as to b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rolling material 110. In this case, the rolling roll may be composed of a ball roll (100d) in which the groove 101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n inlet guide 161a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inlet side of the ball roll 100d on the inlet side of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In this case, the inlet guide 161a may be a fixing bolt and / or a clamp device. It can be mounted by. On the other hand, the exit guide 162d on the outlet side of the ball roll (100d) may be arranged close to the exit side of the ball roll (100d)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front end of the rolled material 110 to the next rolling mill.

다섯 번째 압연기(100e)는 V-스탠드 방식의 압연기로 압연롤은 압연소재(110)의 양 측면에 배치되도록 수직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연롤은 도 11에 도시된 세 번째 압연기(100c)과 유사한 구조로, 라운드 형상의 그루브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공형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연기(100e)의 유입구 측에는 압연소재(110)를 안내하는 롤러방식의 입구가이드(161e)가 상기 공형롤의 유입 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입구가이드(161e)는 고정볼트 및/또는 클램프 장치 등에 의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연기(100e)의 공형롤 출구 측에는 출구가이드(162e)가 상기 공형롤의 출구 측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압연소재의 선단부를 다음 압연기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fth rolling mill 100e is a rolling mill of the V-stand type, and the rolling rolls may be vertically arranged such that the rolling roll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lling material 110. The rolling roll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rolling mill 100c illustrated in FIG. 11, and may include a ball roll in which grooves of a round shape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let side of the rolling mill 100e, a roller type inlet guide 161e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110 may be disposed to be close to the inlet side of the ball roll. In this case, the inlet guide 161e is fixed bolts. And / or by a clamp device or the like. In addition, an exit guide 162e may be disposed on the exit side of the ball roll of the rolling mill 100e to be close to the exit side of the ball roll to guide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to the next rolling mill.

다른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첫 번째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는 상기 예에서와 같이, 평롤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첫 번째 압연기(100a)의 유입부 측에는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110)를 인도받아 압연소재의 선단부를 초기 압연기(100a)로 투입되도록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사이드 가이드(6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may be configured as flat rolls, as in the above example, and in this case, at the inlet side of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 side guide 600 configured to be reciprocated so as to receive the rolled material 110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and to be introduced into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첫 번째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에는 첫 번째 압연기(100a)의 배출 측 방향과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에도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사이드 가이드(600)가 배치되어, 첫 번째 압연기(100a)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를 인도받아 압연소재의 선단부를 두 번째 압연기(100b)로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ide guide 6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to reciprocate between the discharge side direction of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n order to receive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rst rolling mill 100a,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그리고, 두 번째 압연기(100b)의 배출 측부터 다섯 번째 압연기(100e)의 배출 측까지 배치되는 각각의 가이드(162b,161c,162c,162d,162dc,161e,162e)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guides 162b, 161c, 162c, 162d, 162dc, 161e, and 162e disposed from the discharge side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fifth rolling mill 100e are illustrated in FIG. 9A. It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such as.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첫 번째 초기 압연기(100a) 및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압연롤이 그루브가 없는 평롤압연 방식이고, 압연소재의 빌렛트 두께가 일반 강판의 압연소재보다 두꺼우므로, 압연작업시 간헐적으로 압연소재가 비틀어진 상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a,600b)는 압연소재를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압연기(100a,100b) 입구 측으로 이동하면서 압연소재를 상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압연기(100a,100b)의 입구로 안내하면서 압연롤에 강재로 밀어서 치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lling rolls of the first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s a flat roll rolling method without grooves, and the billet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is thicker than the rolled material of the general steel sheet, intermittent rolling during rolling In order to prevent the material from flowing in a twisted state, the side guides 600a and 600b move to the inlet side of the first or second rolling mills 100a and 100b while fixing the rolled material. The first or second rolling mill (100a, 100b) while being guided to the inlet of the rolling roll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steel.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예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a,600b)는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데, 베이스(610)부에 가이드 레일(620)이 고정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620)에는 이송부(630)가 상기 가이드 레일(620)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630)는 상기 베이스(610) 또는 가이드 레일(620)에 구비되는 구동부(640)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가이드 레일(620)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부(630)와 상기 가이드 레일(62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the side guides 600a and 600b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and the guide rail 620 may be formed in the base 610. It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and the transfer unit 630 may be mounted on the guide rail 620 to reciprocally slide along the guide rail 620. In this case, the transfer part 630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part 640 provided in the base 610 or the guide rail 620 to be reciprocally slidable along the guide rail 620. The transfer unit 630 and the guide rail 620 may be formed of a sliding structure known generally.

그리고, 상기 이송부(630)에는 압연소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6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50)는 가열로 또는 첫 번째 압연기(100a)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의 휨, 유동 및/또는 비틀림 등의 방지를 위하여 압연소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로 상기 가이드(650)는 압연소재의 이동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작용력이 압연소재에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650)가 압연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63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650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The guide 6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ed material may be fixed to prevent bending, flow, and / or twisting of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or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the guide 6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guide 650 is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uch that an action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is applied to the rolled material.

일 예로, 상기 가이드(650)는 이송부(630)에 압연소재의 폭(두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을 위하여 상기 이송부(630)에는 가이드 구동부(66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구동부(660)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으로 상기 가이드(650)를 슬라이딩 시키는 작동부(670)가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uide 650 may be slidably installed in the transfer part 630 in the width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 guide driving unit 660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630 for the sliding driving, and an operating unit 670 for sliding the guide 650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guide driving unit 660 may be provided. .

이 경우, 상기 가이드 구동부(660)는 이송부(630)에 구비되는 장착부(631)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670)는 일 단부가 상기 가이드 구동부(660)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부가 상기 가이드(65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구동부(660)의 구동력으로 가이드(650)를 슬라이딩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동부(660)가 회전 모터로 구성되는 경우,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작동부(670)는 작동부(670)의 구동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661)에 맞물리는 렉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피니언(661)의 상,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을 하게 되면, 구동 피니언에 맞물린 상,하 작동부(67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이드(65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가이드 구동부(660)는 실린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650)는 실린더의 로드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동력 전달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예시된 구성 이외에도 가이드(650)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 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guide driver 660 may be mounted to the mounting unit 631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630. In addition,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670 is connected to the guide driver 66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uide 650 to drive the guide 65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guide driver 660. You can. When the guide driver 660 is composed of a rotating motor, as shown in FIG. 13B, the actuator 670 is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part 661 configured as the drive pinion of the actuator 670. A gear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driving pin 661.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the upper and lower operating portions 670 engaged with the driving pinion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guides 650 can move closer or farther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guide driver 660 may be made of a cylinder-like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guide 65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rod of the cylinder, or may be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unit. In addition to the above illustrated configuration, it may be made of a general configuration that can provide the operating force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guide 650.

상기 작동부(670)가 렉 기어를 구비하는 작동바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구동 피니언의 하부에 배치되는 작동부(670)는 상기 이송부(630)의 장착 구멍(632)을 관통하여 도시상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가이드(650)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구동 피니언의 상부에 배치되는 작동부(670)는 도시상 좌측에 배치되는 가이드(650)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작동부(670)는 상기 이송부(630)에 구비되는 지지부(68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680)는 작동부(670)에 결합되는 가이드(650)가 안정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작동부(67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operating part 670 has a structure of an operating bar having a rack gear, the operating part 670 disposed below the driving pinion passes through the mounting hole 632 of the transfer part 630 to the right in the city. It may be configured to couple to the guide 650 disposed in the, and the operating unit 670 disposed on the top of the drive pinion may be configured to couple to the guide 650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illustration. In this case, each operation unit 670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680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630. Meanwhile, the support part 68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operation part 670 such that the guide 650 coupled to the operation part 670 is disposed in a stable stat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110)가 비틀어진 상태로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가이드(650)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가이드(650)내로 유입되는 경우, 도 1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구동부(660)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650)에 의해 압연소재(110)를 밀착하게 되어, 상기 압연소재(110)가 비틀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side guide 600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650 of the side guide 600 in a state where the rolled material 110 is twisted,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or to one side. When introduced into the guide 650 of the side guide 600 in a biased state, as shown in FIG. 14C, the guide driving unit 660 operates to closely contact the rolled material 110 by the guide 650. Thus, the rolled material 110 may be guid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guide 600 without being twisted.

즉,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는 가이드(650)가 압연 패스라인을 중심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어 압연소재가 유입될 때,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650)는 가이드 구동부(66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작동부(670)가 상기 가이드(650)를 압연 패스라인 측으로 이동시켜, 압연소재(110)의 중심이 압연 패스라인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압연소재가 비틀어지지 않은 교정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That is, the side guide 600 maintains an open state when the guide 650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rolling pass line and the rolled material is introduced. The guide 650 moves the guide 650 to the rolling pass line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guide driver 660, so that the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110 is at the center of the rolling pass line. While being placed, the rolled material is guided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in an untwisted and calibrated state.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는 선재 조압연 초기 압연기(100a)의 유입 측, 그리고, 상기 첫 번째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배출 측에는 감지부(60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601)는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110)를 감지하여 도 14c에서와 같이 압연소재(110)가 비틀어지지 않은 교정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가이드 구동부(66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ide guide 600 is arranged at an inflow side of the wire rough rolling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S. 15A and 15B, the sensing unit 60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side guide 600. The sensing unit 601 detects the rolled material 110 discharged from the side guide 600 and as shown in FIG. 14C, the side guide (s) to be transported in a calibrated state without being twisted. The guide driving unit 660 of the 60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 사이드(600)는 도 16a 내지 도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도 16a는 사이드 가이드(600)가 대기상태로 가열로와 첫 번째 압연기(100a) 사이에 배치된 사이드 가이드(600)는 가열로의 배출 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첫 번째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에 배치된 사이드 가이드(600)는 첫 번째 압연기(100a)의 배출 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ide side 600 can operate as shown in FIGS. 16A-16E. 16A shows that the side guide 600 is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first rolling mill 100a with the side guide 600 at the standby state,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heating furnace, and with the first rolling mill 100a. The side guide 600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first rolling mill 100a.

도 1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110)는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가이드(650)를 통해 압연소재(110)가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에서 배출되면, 감지부(601)에 의해 압연소재(110)의 배출상태를 감지하여,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의 이송상태를 교정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6B, the rolled material 110 discharged from the heating furnace is detected when the rolled material 110 is discharged from the side guide 600 through the guide 650 of the side guide 600. By detect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rolled material 110 by the unit 601, as shown in Figure 15b, to correct the transport state of the rolled material.

이와 같이 압연소재(110)가 교정된 후, 도 1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 이드 가이드(600)의 구동부(640)가 작동하여 이송부(630)가 첫 번째 압연기(100a)의 유입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이동 속도는 압연소재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이송되어 상기 첫 번째 압연기(100a)의 유입 측에 압연소재(110)의 선단부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After the rolled material 110 is calibra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6C, the driving unit 640 of the side guide 600 is operated to move the conveying unit 630 to the inflow side of the first rolling mill 100a. Done. In this case, the movement speed of the side guide 600 may be transferr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110 flows into the inflow side of the first rolling mill 100a.

이와 같이 첫 번째 압연기(100a)에 유입되어 압연된 압연소재(110)는 첫 번째 압연기(100a)에서 배출되는데, 이 경우, 도 1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가 초기 압연기(100a)의 출구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입구 측이 초기 압연기(100b)의 출구 측에 근접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첫 번째 압연기(100a)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110)가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olled material 110 introduced into and rolled into the first rolling mill 100a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rolling mill 100a.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6D, the side guide 600 is an initial rolling mill ( In the state moved to the outlet side of the 100a, the inlet side of the side guide 600 is disposed so as to be close to the outlet side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b), the rolled material 110 discharged from the first rolling mill (100a) ) May be guided by the side guide 600.

상기 첫 번째 압연기(100a)에서 배출된 압연소재가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가이드(650)를 통해 배출되면,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압연기(100a,100b) 사이에 배치된 감지부(601)에 의해 압연소재(110)의 배출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의 이송상태를 교정하게 된다. When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rst rolling mill 100a is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650 of the side guide 600, the sensing unit 601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ing mills 100a and 100b. By detect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rolled material 110 by, as described above, to correct the transfer state of the rolled material.

이와 같이 압연소재(110)가 교정된 후, 도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구동부(640)가 작동하여 이송부(630)가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유입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의 이동 속도는 압연소재의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이송되어 상기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유입 측에 압연소재(110)의 선단부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After the rolled material 110 is calibrated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16E, the driving unit 640 of the side guide 600 is operated to move the conveying unit 630 to the inflow side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do. Even in this case, the moving speed of the side guide 600 may be transferr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110 flows into the inflow side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에 의해 안내되는 압연소재의 압연을 위한 각각의 압연기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Each of the rolling mills for rolling the rolled material guided by the side guide 600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상기한 초기압연기(100a) 및 두 번째 압연기(100b)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 롤(101a,101b)은 그루브가 없는 평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110)는 초기압연기(100a) 및 두 번째 압연기(100b)에 의해 압연되어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은 규격으로 압연될 수 있다.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as shown in Figure 10, the rolling rolls (101a, 101b) may be made of a flat roll structure without groove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17, the rolling material 110 may be rolled by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to be rolled to the standard as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압연전Before rolling 압연후After rolling 압하율Rolling reduction 감면비Reduction fee 소재형상Material shape 초기압연Initial rolling 160 x 160160 x 160 120 x 171120 x 171 25%25% 19.8%19.8% 사각형Square 두 번째 압연Second rolling 120 x 171120 x 171 107 x 174107 x 174 10.810.8 9.26%9.26% 사각형Square

이와 같이 압연되는 압연소재(110)의 선단부 및 꼬리부의 모서리 연신율은 아래와 같다. The edge elongation of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110 rolled in this way is as follows.

- 모서리부 작업롤 직경 WR1 = 압연소재 폭 중심부 작업롤 직경 WR-Work roll diameter at the edge part WR1 = Rolling material width center work roll diameter WR

- 선단부 모서리 연신율 ≒ 선단부 폭 중심부 연신율 -Tip Elongation 모서리 Tip Width Center Elongation

- 꼬리부 모서리 연신율 ≒ 꼬리부 폭 중심부 연신율-Tail edge elongation ≒ tail width center elongation

구분
division
압연방법
Rolling method
Shear Crop 길이Shear Crop Length Sample 수
Sample number
선단부Tip 꼬리부Tail 합계Sum 종래Conventional 그루브 있음With groove 131131 131131 262262 7070 본 발명Invention 그루브 없음No groove 5050 절단 없음No cutting 5050 7070

위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연에 의해, 압연소재의 선단부와 꼬리부의 연신비는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 연신율과 유사한 연신비를 갖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압연소재 대하여 일정한 연신비로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는 단면적의 중앙부가 외부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스크랩 크롭 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above, it can be seen that by the rolling, the draw ratio of the tip and tail portions of the rolled material has a draw ratio similar to that of the center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That is, the rolling can be made at a constant draw ratio with respect to the rolled material. Therefore,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form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is protrud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crap crop amount can be greatly reduced.

구분
division
압연 방법
Rolling method
두께 크기Thickness size 모서리 형상
Corner geometry
좌측left side 중심부center 우측right 초기압연Initial rolling 그루브 없음No groove 117117 120120 117.5117.5 라운드round 두 번째압연Second rolling 그루브 없음No groove 105105 107107 105105 라운드round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압연기(100a) 및 두 번째 압연기(100b)를 거친 압연소재의 단면 형상은 이미 공지된 압연작용 특성에 따라서 압연소재의 에지드롭 현상이 발생되어 압연소재의 에지부 크기는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 크기보다 작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이로써 초기압연 및 두 번째 압연기를 거친 압연소재의 모서리는 라운드형상을 갖게 된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olling material passed through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s an edge drop phenomenon of the rolled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known rolling 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lled material It is a common phenomenon that the size of the edge portion of is smaller than the width center size of the rolled material. Accordingly,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passed through the initial rolling and the second rolling mill has a round shape.

세 번째 압연기(100c)는 V-스탠드(수직 압연기 배열)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연소재의 폭 압연을 하게 된다. 상기 세 번째 압연기(100c)는 그루브(101c)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압연롤로 구성되며, 공형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rolling mill 100c is configured in a V-stand (vertical rolling mill arrangement) manner, and the width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The third rolling mill 100c is composed of a rolling roll in which the grooves 101c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formed of a ball roll.

예를 들어, 상기 세 번째 압연기(100c)는 공형롤의 축방향 직선부의 내면 거리가 대략 102.0mm로 구성될 수 있고, 공형롤의 그루부 사이의 돌출부 거리는 대략 137.7mm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루부에서 직선내면을 잇는 사선부를 이루는 각도는 대략 15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선과 상기 내면이 접하는 부분에는 반경 15mm 원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돌출된 그루브와 사선간의 접선은 반경 12mm 원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그루부 외곽에서 상기의 공형롤 내면간의 거리는 25mm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rolling mill 100c may have an inner surface distance of about 102.0 mm in the axial linear portion of the ball roll, and a protrusion distance between the grooves of the ball roll may be about 137.7 mm. The angle forming the diagonal line connecting the straight inner surface at the groove may be approximately 15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part where the oblique line and the inner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made of a circular arc of 15mm, the tangent between the projecting groove and the oblique line may be made of a 12mm radius of arc,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roll in the outer edge of the protruding groove It can be composed of 25mm.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세 번째 압연기(100c)의 압연롤은 그루브가 형성되는 공형롤로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번째 압연기에서 방출된 압연소재를 수직 배열된 방식으로 압연소재의 폭 방향에서 압연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olling roll of the third rolling mill 100c, which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ball-shaped roll in which grooves are formed, as shown in FIGS. 18A and 18B, and the rolling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econd rolling mill is vertically arranged. The rolling action can be made in the width direction.

이 경우, 압연소재(110)는 압연롤(100c)에 처음 접촉되어 압연이 이루어지는 "WRG3" 지점에서 압연소재(110) 폭 중심부와 압연소재(110) 측면부에 접촉되는 압연작업 롤의 직경 "WRG"와 "WRG3"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압연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압연소재의 측면 모서리부 연신율은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 연신율과 유사한 연신비를 갖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의 모서리 이상 돌출되는 연신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압연소재의 단면적에 대하여 일정한 연신비로 압연이 이루어지게 되어, 압연소재 선단부 및 꼬리부의 압연형상은 단면적의 중앙부가 외부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스크랩 크롭 량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olling material 110 is in contact with the rolling roll 100c and the diameter of the rolling work rol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rolling material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olling material 110 at the "WRG3" point at which rolling occurs. Since "WRG3" is made of the same diameter and the rolling action is made, the elongation of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may have a draw ratio similar to the elongation of the center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In addition, the stretch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over the edges of the rolled material tip and the tail, and rolling is performed at a constant draw ratio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rolled shape of the rolled material tip and the tail is curved outward. Protruding form can greatly reduce the amount of scrap crop.

이후 압연소재가 압연롤의 "WRG4" 지점으로 말려 들어가 압연소재(110)에 대한 압연작용이 이루어지면, 이때부터 압연소재(110)의 모서리부가 공형롤의 그루브 형성지점의 "WRG4" 지점과 접촉되면서 압연작용이 시작되며, 압연소재(110)가 압연롤의 "WRG" 지점을 지날 때에는 압연이 완료되는 시점으로 압연소재(110)의 폭 퍼짐 현상이 가장 크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압연소재(110)의 폭 퍼짐은 압연소재의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때 압연소재의 모서리부의 폭 퍼짐은 상기한 공형롤 그루브 직경 "WRb"와 접선호 반경 15mm에 의하여 구속되어 압연소재의 모서리는 대략 반경 R15mm 이하의 라운드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세 번째 압연기에서 방출되는 압연소재의 단면 크기는 대략 123mm x 123mm 이고, 모서리부는 반경 R15mm 이하의 라운드 형상으로 압연될 수 있다. Then, when the rolled material is rolled to the "WRG4" point of the rolling roll and a rolling action is performed on the rolled material 110, from this point,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110 contacts the "WRG4" point of the groove forming point of the ball roll. As the rolling operation starts, when the rolling material 110 passes the " WRG " point of the rolling roll, the spreading of the rolled material 110 occurs at the point when rolling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width spread of the rolled material 110 has a form that is sprea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to the side, wherein the width spread of the edg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to the ball roll groove diameter "WRb" and the tangential arc radius 15mm It is constrained by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forms a round of approximately R15mm or less radius.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third rolling mill is approximately 123 mm x 123 mm, and the edge portion may be rolled into a round shape having a radius of R15 mm or less.

네 번째 압연기(100d)는 상기한 바와 같이 H-스탠드(수평압연기 배열) 압연방식인바 상기의 세 번째 압연기에서 배출된 압연소재에 대하여 두께 압연을 실시하는 것으로, 압연소재의 형상을 라운드 형상으로 압연하도록 상기의 네 번째 압연기의 공형롤 형상은 일정간격의 그루브(101d)가 형성되는 공형롤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is a H-stand (horizontal rolling mill arrangement) roll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rolling mill discharges th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third rolling mill, and rolls the shape of the rolled material into a round shape. In order to form the ball roll of the fourth rolling mill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 roll 101d may be formed as a ball roll.

이 경우, 공형롤의 축방향으로 대략 반경 323.6mm의 곡선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형롤의 축방향 곡선면의 직선간 거리는 대략 120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형롤을 이루는 그루브 사이의 거리는 대략 177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곡선면의 양단부에는 반경 30mm의 접선호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그루브의 돌출부는 상기 접선호와 10mm 호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루부 외곽에서 상기의 공형롤 내면간의 최대 거리는 34mm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approximately 323.6 mm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ll roll may be form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lines of the axial curved surface of the ball roll may be approximately 12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oves forming the ball roll is approximately. It can be made of 177mm. Meanwhile, a tangent arc having a radius of 30 mm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urved surface, and the protrusion of the groove may be configured to form a 10 mm arc with the tangent arc, and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roll at the outside of the groove is 34 mm. It may be made of.

이렇게 형성된 네 번째 압연롤(100d)은 그루브가 형성된 공형롤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압연 방식으로 압연소재(110)의 두께방향으로 압연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압연소재(110)가 압연롤에 처음 접촉되어 압연이 이루어지는 "WRG5" 지점에서는 압연소재(110) 측면 모서리가 먼저 접촉되는데, 이때 수평 직선부를 갖는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는 공형롤의 곡선면 중심과는 접촉을 이루지 않게 된다. The fourth rolling roll 100d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 ball-shaped roll formed with grooves, and as shown in FIGS. 19A and 19B, a rolling action is per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110 in a horizontal rolling manner. At the "WRG5" point where the rolled material 110 is first contacted with the rolling roll and the rolling is performed, the side edges of the rolled material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no contact with.

그러므로 압연소재의 모서리부에서 압연작용이 먼저 이루어지면서, 점차적으로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로 압연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압연소재의 모서리부의 압연작용과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 압연작용의 작업롤 반경의 차이가 클수록 압연소재 모서리부 압하율 및 연신율이 압연소재 폭 중심부 압연작용보다 크게 이루어지므로 압연소재의 모서리부의 연신율에 따른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 스크랩 크롭 량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압연소재의 모서리 압하량이 집중되면 압연소재의 모서리부측으로 연신율과 폭퍼짐이 집중되므로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를 기준으로 모서리부로 갈수록 압연소재의 폭이 증가하는 현상, 즉,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몰하는 압연소재의 측면 중심부 주름형태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olling action is performed first at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and gradually the rolling action is carried out to the width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k roll radius of the rolling action of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width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is rolled. The larger the larger the rolling reduction and elongation of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than the rolling action of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the greater the amount of scrap cracking of the tip and tail of the rolled material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In addition, when the edge rolling amount of the rolled material is concentrated, the elongation and spread of the rolled material are concentrated on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increases toward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that is,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Defects in the form of wrinkle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generated.

따라서, 네 번째 압연기(100d)의 공형롤 곡선면 반경은 대략 323.6mm의 크기로 구성하고, 상기 곡선면의 반경은 180mm 내지 380mm 범위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네 번째 압연기(100d) 공형롤의 중앙부 곡선면 단부 위치에 또 다른 반경 15 내지 40mm의 접선면이 연장되게 형성하여, 압연소재의 두께 압연에 따른 폭퍼짐량을 구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radius of the curved roll surface of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is composed of approximately 323.6mm, th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180mm to 380mm. In addition, a tangential surface having another radius of 15 to 40 mm may be extended to the curved position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of the ball roll to restrain the amount of spreading due to the thickness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예를 들어, 상기 또 다른 접선면 반경이 15mm 이하이면, 압연소재의 폭퍼짐 구속력을 크게 제한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접선면 반경이 40mm 이상이면, 압연소재의 측면 두께가 크게 형성될 수 있어, 다음 압연공정인 라운드 형상의 공형롤에 압연소재 모서리부와 압연소재 폭 중심부간의 작업롤 직경차가 크게 발생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other tangential surface radius is less than 15mm, a case may be largely limited to the spreading constraint force of the rolled material, if the tangential surface radius is more than 40mm, the sid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formed large Therefore, a large work roll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largely generated in the round-shaped ball roll, which is the next rolling proces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네 번째 압연기(100d)의 공형롤에 의해 압연된 압연소재의 형상은 다음 압연기(100e) 공형롤의 압연조건에 적합한 압연소재로 압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압연조건으로, 네 번째 압연기(100d)에 의해 압연되는 압연소재의 측면부(110a)는 다음 압연기(100e) 공형롤 그루브(101e)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압연소재(110)는 다섯 번째 압연기(100e)에 의해 압연이 개시된 후에는 압연소재의 모서리(110b)와 압연소재의 측면부(110a)가 공형롤에 함께 접하도록 압연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연될 때, 상기 압연소재(1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면(110c)은 공형 압연시 폭퍼짐에 의하여 라운드형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타원으로 돌출되게 압연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shape of the rolled material rolled by the ball roll of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lled into a rolled material suitable for the rolling conditions of the ball mill 100e next roll. Under such rolling conditions, the side portion 110a of the rolled material rolled by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next roll mill 100e ball roll groove 101e, and the rolled material 110 After rolling is started by the fifth rolling mill 100e, the edge 110b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side portion 110a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rolled to contact the ball roll together. When rolling in this wa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10c on the basi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110 may be rolled to protrude in an ellipse so that it can be guided in a round shape by the spreading during the ball rolling.

상기 네 번째 압연기(100d)에 의해 압연된 압연소재(110)는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섯 번째 압연기(100e)로 투입되어 압연이 수행되는데, 상기 다섯 번째 압연기(100e)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압연소재(110)의 폭 방향에 대한 압연이 수행되어 압연소재가 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압연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섯 번째 압연기(100e)는 세 번째 압연기와 같은 공형롤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세 번째 압연기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20, the rolled material 110 rolled by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is introduced into a fifth rolling mill 100e to perform rolling, and the fifth rolling mill 100e is in a vertical direction. The rolled material may be ro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110 to perform rolling so that the rolled material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fifth rolling mill 100e may have a configuration of the same roll as the third rolling mill, and grooves having dimensions smaller than those of the third rolling mill may be forme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압연되는 경우, 압연소재의 측면 두께크기를 제한하게 되므로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음 압연공정인 라운드형상의 압연공정에서 압연소재의 취입성 및 모서리부 폭 퍼짐량을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sid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is limited, as shown in FIG. 21, in the round rolling process, which is the next rolling process, the blownability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spread of the edge width may be reduced.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압연소재로 정사격형의 빌렛트 소재를 이용하여 라운드형상의 선재를 제조하는 선재 조압연공정의 H-H-V-H-V 방식으로 압연작업이 이루어져 선재 조압연공정에서 라운드형상의 선재를 제조하게 된다. Referring to one example of the rol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olling work in the HHVHV method of the wire rod rough rolling process for producing a round wire using a billet material of the square type as a rolling material This is made in the wire rod rough rolling process to produce a round wire.

상기 고온 가열된 압연소재는 도 9a 또는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작업이 이루어져 아래와 같이 다섯 번째 압연기에서 라운드형상의 선재를 제조하게 된다.The high temperature heated rolled material is as shown in Figure 9a or 9b, the rolling operation is made to produce a round wire in the fifth rolling mill as follows.

구분
division
압연
방법
Rolling
Way
두께thickness width 압연소재
단면형상
Rolled Material
Cross section shape
측면side 중심부center 압연소재Rolled Material 빌레트Billet 160160 160160 160160 사각형Square 1차 압연1st rolling 평롤Flat roll 117117 120120 170170 사각형Square 2차 압연Secondary rolling 평롤Flat roll 105105 107107 174174 사각형Square 3차 압연3rd rolling 공형롤Ball roll 114114 123123 123123 라운드 사각형Round rectangle 4차 압연4th rolling 공형롤Ball roll 56.556.5 8383 150150 타원형Oval 5차 압연5th rolling 공형롤Ball roll 100100 원형circle

고온 가열된 빌렛트 선단부가 도 1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기 압연기(100a)의 사이드 가이드(600) 출구 측을 통과하여 감지부(6010에 의해 압연소재(110)의 배출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는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110)의 측면부를 가압하여 압연소재를 패스라인 중심으로 유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6B, when the hot-heated billet tip is passed through the exit side of the side guide 600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discharge state of the rolled material 110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10, As shown in FIG. 15B, the side guide 600 presses the sid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110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 line.

이와 같이 유도된 압연소재(110)는 도 1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이드 가이드(600)가 초기 압연기(100a)의 롤 주 속도보다 빠른 속도 또는 동일한 속도로 초기 압연기 입구 측으로 이동하여 압연소재(110)를 초기 압연기(100a)의 롤에 유입시키게 된다. 이 경우, 사이드 가이드(600)의 이동속도가 첫 번째 압연기(100a)의 롤 주 속도보다 빠른 경우, 압연소재(110)는 상기 초기 압연기(100a)의 롤에 강제 유입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연소재의 치입성이 우수하게 될 수 있고, 압연소재가 패스라인 중심에서 가이드(650)에 의해 강하게 가압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압연소재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적으로 압연롤에 유입된 상태에서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6C, the rolled material 110 induced as described above moves the side guide 600 to the inlet side of the initial rolling mill at a speed faster than or equal to the roll main speed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 Is introduced into the roll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In this case,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side guide 600 is faster than the roll main speed of the first rolling mill 100a, the rolled material 110 may be forced into the roll of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In this case, the dentability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excellent, and since the rolled material is maintained in a strongly pressurized state by the guide 650 at the center of the pass line, the rolled material is normally applied to the rolled roll as shown in FIG. 10. The rolling can be made in the inflow state.

상기와 같이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초기 압연기 롤에 취입되는 시점에 상기 가열로와 첫 번째 압연기(100a)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 가이드(600)는 압연소재가 진행 할 수 있도록, 가이드(650)가 오픈되어, 초기 압연기(100a)에서 압연작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압연소재를 안내하게 되고 초기 압연에서 압연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가열로와 첫 번째 압연기(100a)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 가이드(600)는 압연소재의 이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 이동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guide 600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t the time when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is blown into the initial rolling mill roll, the guide 650 is opened so that the rolling material can proceed.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time when the rolling operation is completed in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ide guide 600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rolling operation in the initial roll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to move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이, 고온 가열된 압연소재의 선단부는 초기 압연기(100a)에 의하여 압연이 이루어진 후, 초기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 가이드(600)를 통과하게 되고, 감지부(601)에 의해 압연소재가 검출되면,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는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의 측면부를 가압하도록 작동되어 압연소재를 패스라인 중심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압연소재가 패스라인 중심으로 유도된 후에는 사이드 가이드(600)가 초기 압연기(100a)의 롤 주 속도로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압연롤 입구 측으로 진입하여 압연소재를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압연롤 입구로 정확히 안내하게 된다. As such, the front end of the hot-rolled roll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side guide 600 disposed between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after the rolling is performed by the initial rolling mill 100a. When the rolled material is detected by the part 601, the side guide 600 is operated to press the sid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as shown in Figure 15b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center of the pass line. After the rolled material is guided to the center of the pass line, the side guide 600 enters the rolling roll inlet side of the second mill 100b at the roll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initial mill 100a to transfer the rolled material to the second mill 100b. It is guided exactly to the rolling roll inlet of.

이와 같이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압연롤 입구로 정확히 안내된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압연롤에 취입되는 시점에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가 진행할 수 있도록 오픈되고, 두 번째 압연기에서 압연작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압연소재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두 번째 압연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accurately guided to the rolling roll inlet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is blown into the rolling roll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the side guide is opened to allow the rolled material to proceed. The rolling material is guided until the rolling operation is completed in the rolling mill. At the time when the second rol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side guide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 경우에도, 두 번째 압연이 이루어질 때, 압연소재를 패스라인 중심에서 강하게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압연소재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적으로 압연롤에 유입된 상태에서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Even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rolling is made, the rolled material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pass line so that the rolling material can be rolled in a state in which the rolled material is normally introduced into the rolling roll as shown in FIG. 10. .

이후 고온 가열된 압연소재 선단부는 두 번째 압연기에 의하여 연속 압연이 이루어진 후, 두 번째 압연기(100b)의 출구가이드(162b)를 통과하여 세 번째 압연기(100c) 입구 롤러가이드(161c)의 안내를 받아서 사각형의 박스형 공형압연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After the hot material of the hot rolled rolling material is continuously rolled by the second rolling mill, and then passed through the outlet guide 162b of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to receive the guide of the inlet roller guide 161c of the third rolling mill 100c. Square box-shaped rolling may be performed as follows.

이 경우, 압연소재의 두께와 폭은 약 123mm x 123mm이고, 압연소재의 두께와 폭의 직선부 거리는 약 102.0mm이며, 압연소재 모서리부는 약 반경 15mm의 원호로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is about 123mm x 123mm, the distance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thickness and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is about 102.0mm, the rolling material edge portion can be rolled with an arc of about 15mm radius.

상기한 바와 같이 고온의 압연소재가 입구 롤러가이드 및 세 번째 압연기의 박스형 공형롤 모서리 구속력에 의하여 상술한 압연소재 폭과 두께의 크기가 동일한 압연소재의 평행사변형 압연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압연기(100c)로부터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방출될 때, 압연소재의 비틀림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번째 압연기로부터 방출된 사각의 압연소재가 공형압연이 이루어지면서 압연소재의 모서리부와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간으로 접촉되는 공형롤의 워킹롤 직경(WRG3, WRG)이 유사함으로써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의 스크랩 크롭량이 감소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parallelogram rolling of the rolled material having the same width and thickness as the above-described rolled material may be prevented by the hot rolled material having the inlet roller guide and the box-shaped ball roll edge restraint force of the third rolling mill. In addition, when the tip of the rolled material is released from the third rolling mill (100c), the twisting phenomenon of the rolled material can also be prevented. And, as shown in Figure 18a and 18b, the rolling roll of the square roll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econd rolling mill is made of the ball rolling contact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width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as the ball rolling is made The similarity of (WRG3, WRG) can reduce the amount of scrap cropping of the tip and tail portions of the rolled material.

상기 압연소재 선단부는 세 번째 압연기에 의하여 연속 압연이 이루어지고, 세 번째 압연기 출구 가이드(162c)를 통과하여 네 번째 압연기 입구가이드(161d)의 안내를 받아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연소재의 상,하부의 모양이 타원을 이루는 타원 공형압연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olling material front end is continuously rolled by the third rolling mill, and is passed through the third rolling mill outlet guide 162c and guided by the fourth rolling mill inlet guide 161d, as shown in FIGS. 19A and 19B. Elliptic ball rolling forming the ellips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made as follows.

이 경우, 압연소재의 최대 두께와 최대 폭은 대략 83mm x 150mm이고, 압연소재의 상/하부는 대략 반경 323.6mm이며, 상기 압연소재의 측면 두께는 대략 56.5mm로 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연소재의 상/하부 측면은 대략 반경 30mm의 접선호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공형롤 그루브간 롤갭은 대략 19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ximum thickness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is approximately 83mm x 150m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lled material is approximately 323.6mm in radius, the side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made of approximately 56.5mm roll,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olled material may be formed with a tangent arc of approximately 30mm radius. In this case, the roll gap between the pair of ball roll grooves may be approximately 19 mm.

이와 같이, 사각의 라운드형으로 압연된 압연소재는 네 번째 압연기(100d)에서 타원의 공형압연이 이루어지게 되어, 압연소재의 모서리부와 압연소재의 폭 중심부간으로 접촉되는 공형롤의 워킹롤 반경(WRG5 : 251.3, WRG : 245.3) 차가 대략 6mm 이내로 형성되게 압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연에 의해,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의 스크랩 크롭량이 감소하게 될 수 있고, 압연소재는 상기와 같이 타원형태로 모양으로 압여되어 다음 압연기의 라운드형 압연작업성을 용이하게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olling material rolled in a square round shape has an elliptic ball rolling in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and the working roll radius of the ball roll contacted between the edge of the rolled material and the width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WRG5: 251.3, WRG: 245.3) The difference can be rolled to form within about 6 mm. By such rolling, the scrap crop amount of the front end and the tail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reduced, and the rolled material can be pressed into an oval shape as described above to facilitate the round rolling workability of the next rolling mill.

상기 압연소재 선단부는 네 번째 압연기(100d)에 의하여 연속 압연이 이루어지고, 네 번째 압연기(100d)의 출구가이드(162d)를 통과하여, 다섯 번째 압연기(100e)의 입구롤러가이드(161e)의 안내를 받아 다섯 번째 압연기(100e)에 의해 압연소재의 모양이 라운드형상을 이루는 라운드 공형압연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압연과정에 의해 압연소재는 약 직경 ∮100mm의 선재로 생산될 수 있다. The rolling material front end is continuously rolled by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passes through the exit guide 162d of the fourth rolling mill 100d, and guides the inlet roller guide 161e of the fifth rolling mill 100e. Received by the fifth rolling mill (100e) is a round ball rolling is made to form a round shape of the rolled material, by this rolling process the rolled material can be produced with a wire of approximately 100mm diameter.

상기 압연소재 선단부는 다섯 번째 압연기(100e)에 의하여 연속 압연이 이루어진 후, 다섯 번째 압연기(100e)의 출구가이드(162e)를 통과하여 크롭쉬어 장치에 의하여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 스크랩처리를 한 후 중간 조압연공정에서 통상의 선재압연으로 선재압연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end of the rolled material is subjected to continuous rolling by the fifth rolling mill 100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exit guide 162e of the fifth rolling mill 100e to scrape the front end and the tail of the rolled material by the cropping device. After the intermediate rough rolling process, the wire rod is made by ordinary wire rolling.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가이드(600)가 가열로와 첫 번째 압연기(100a) 사이와 첫 번째 압연기(100a)와 두 번째 압연기(10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상기 사이드 가이드(600)는 상기 각 압연기(100a,100b,100c,100d,100e) 모두의 유입구 측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ide guide 6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side guide 600 is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nd between the first rolling mill 100a and the second rolling mill 100b. 600 may be arranged on the inlet side of each of the mills (100a, 100b, 100c, 100d, 100e).

상기 설명된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은 각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rolling device and the rolling method of the wire rod described above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by the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도 1은 일반적인 선재 작업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wire rod work process.

도 2는 종래의 선재 조압연 각 압연구간의 단면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rolling section of the conventional wire rough rolling.

도 3은 종래의 선재 조압연 공정의 압연롤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 rolling roll shape of a conventional wire rough rolling process.

도 4a는 종래의 선재 조압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4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 rough rolling process.

도 4b는 종래의 선재 초기압연기 입구가이드와 빌렛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re rod initial rolling mill inlet guide and the billet in the prior art.

도 4c는 종래의 선재 압연기에 구비되는 가이드에 의해 압연소재가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d material is guided by a guide provided in a conventional wire rolling mill.

도 5는 종래의 선재 조압연 그루브 압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 rough rolling groove mill.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조압연 구간 압연소재의 선단부 및 꼬리부에 발생한 크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crops occurring at the tip and tail portions of a conventional rough rolling section rolled material.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선재 조압연 두 번째 압연기의 공형롤 작업을 예시한 도면이다. 7a and 7b is a view illustrating a ball roll operation of a conventional rough rolling second rolling mill.

도 8a 및 도 8b는 종래의 조압연 두 번째 압연기에서 방출된 압연소재의 단면형상과 압연소재 측면에서 주름이 발생된 상태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8a and 8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conventional rough rolling second mill and the state in which wrinkles occurred in th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조압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9A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 rough rol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조압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9B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 rough roll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압연기에 의한 압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rolled state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rolling mi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 압연기의 공형롤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illustrating a ball roll shape of the tertiary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차 압연기의 공형롤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illustrating a ball roll shape of the fourth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조압연 공정에 구비되는 사이드 가이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3A and 13B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ide guide provided in a wire rough rol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사이드 가이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4A to 14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ide guide shown in FIGS. 13A and 13B.

도 15a 및 도 15b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사이드 가이드에 의해 압연소재가 교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5A and 15B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ibrating a rolled material by the side guides illustrated in FIGS. 13A and 13B.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가이드에 의해 압연소재가 안내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6A to 16E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a rolled material is guided by a side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및 2차 압연기에 의한 압연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lling process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rolling mi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 압연기에 의한 압연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18A and 1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olling process by a tertiary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차 압연기에 의한 압연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19A and 1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olling process by a fourth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차 압연기에 의한 압연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20 is a view illustrating a rolling process by the fifth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에 의해 압연된 선재의 단부에 발생한 크롭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1 is a view illustrating a crop form generated at an end portion of a wire rod rolled by a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0 ... 압연장치 100a,100b,100c,100d,100e ... 압연기1000 ... rolling equipment 100a, 100b, 100c, 100d, 100e ... rolling mill

101c,101d ... 그루브 110 ... 압연소재101c, 101d ... Groove 110 ... Rolled Material

161a,161b,161c,161d,161e,162a,162b,162c,162d,162e ... 가이드161a, 161b, 161c, 161d, 161e, 162a, 162b, 162c, 162d, 162e ... Guide

Claims (24)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1차 압연이 수행되게 평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1차 압연기와;A primary rolling machine in which the flat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rimary rolling is per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urnace can be rolled into a rectangle;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2차 압연이 더 수행되게 평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2차 압연기와;A secondary rolling machine in which flat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secondary rolling is further per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to a rectangle;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라운드가 형성되는 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폭 방향으로 3차 압연이 더 수행되게 공형롤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3차 압연기와;A tertiary rolling mill in which the ball roll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tertiary rolling is further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to a square in which a round is formed;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타원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4차 압연이 수행되게 공형롤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4차 압연기와;A fourth rolling mill in which the ball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ourth rolling is per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is elliptically rolled;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원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폭 방향으로 5차 압연이 수행되게 공형롤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5차 압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재의 압연장치. And a fifth rolling mill in which vertical roll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fifth rolling may be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ing material may be rolled in a circular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압연기는 소정의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 양단에 접선호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박스형 공형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The wire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tiary rolling mill is provided with a box-shaped ball roll having a predetermined linear portion and a tangent arc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nea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압연기는 타원 곡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곡선면 양단에 접선으로 이어지는 접선면이 형성되는 타원형 공형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rolling mill is an elliptic curved surface is formed, the rolling device of the wire ro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elliptical ball roll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curved surface tangent to the tang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차 압연기는 라운드 곡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곡선면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라운드형 공형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The roll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fth rolling mill has a round curved surface formed with round curved surfaces, and round ball roll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urved surface to protrude to the outside.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1차 압연이 수행되게 평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1차 압연기와;A primary rolling machine in which the flat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rimary rolling is per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urnace can be rolled into a rectangle;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2차 압연이 더 수행되게 평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2차 압연기와;A secondary rolling machine in which flat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secondary rolling is further per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to a rectangle;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라운드가 형성되는 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폭 방향으로 3차 압연이 더 수행되게 공형롤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3차 압연기와;A tertiary rolling mill in which the ball roll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tertiary rolling is further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to a square in which a round is formed;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타원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4차 압연이 수행되게 공형롤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4차 압연기와;A fourth rolling mill in which the ball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ourth rolling is per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ed material is elliptically rolled;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원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폭 방향으로 5차 압연이 수행되게 공형롤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5차 압연기;A fifth rolling mill in which the ball roll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fth rolling is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ing material can be roll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압연기 중 어느 일 이상의 압연기의 유입구 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압연소재를 압연기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And a side guide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inlet side of at least one of the rolling mills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inlet of the rolling mil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와 1차 압연기 사이 및 1차 압연기와 2차 압연기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압연소재를 압연기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de of the heating furnace and the primary rolling mill and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rolling mill is configured to be movable to guide the rolled material to the inlet of the rolling m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ing of the wire rod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압연기 및 2차 압연기의 배출구 측에는 배출되는 압연소재가 다음 압연기로 안내되도록 출구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출구 가이드와 2차 압연기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압연소재를 압연기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utlet sid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rolling mill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it guide so that the discharged rolling material is guided to the next rolling mill,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the outlet guide and the secondary rolling mill is rolled material Rolling apparatus of the wire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guide is provided to guide the inlet of the rolling mill.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의 중심이 패스라인과 일치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The wire rod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side guides are guided so that the center of the rolled material coincides with the pass line.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가 뒤틀리지 않도록 고정되어 압연기의 유입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The wire rod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side guide is fixed so that the rolled material is not twisted and guided to the inflow side of the rolling mill.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의 배출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압연소재의 배출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The wire rod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side guides move at a speed equal to or higher than a discharge speed of the rolled material.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소재의 배출 측에 검출부가 더 구비되어 압연소재의 배출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The wire rod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side guide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unit at a discharge side of the rolled material to detect discharge of the rolled material.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는 The side gu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가이드 레일과; With guide rails;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부와; A conveying unit mounted reciprocally along the guide rail; 상기 이송부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A drive unit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for the transfer unit to reciprocate; 상기 이송부에 장착되어 이송부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와; A guide mounted to the transfer part and provided to reciproc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part; 상기 가이드가 왕복운동을 하도록 작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장치. Rolling apparatus of the wire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drive for providing an actuation force for the guide to reciproca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압연기의 전후에 압연소재의 안내를 위해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The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guide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ourth rolling mil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5차 압연기의 전후에 압연소재의 안내를 위해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The 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guide for guiding the rolled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ifth rolling mill.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1차 압연기에 의해 1차 압연이 수행되는 단계와;Primary rolling is performed by a primary rolling mill in which flat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lling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urnace can be rolled into a rectangle; 상기 1차 압연된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직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2차 압연기에 의해 2차 압연이 수행되는 단계와;Performing secondary rolling by a secondary rolling mill having flat roll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rimary rolled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to a rectangular shape; 상기 2차 압연된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라운드가 형성되는 사각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폭 방향에 대하여 공형롤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3차 압연기에 의해 3차 압연이 수행되는 단계와;Tertiary rolling is performed by a tertiary rolling mill in which a ball roll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econdary rolled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to a square in which a round is formed; 상기 3차 압연된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타원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공형롤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4차 압연기에 의해 4차 압연이 수행되는 단계와;Performing a fourth rolling by a fourth rolling mill in which ball rol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third rolled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 an elliptical shape; 상기 4차 압연된 압연소재의 단면구조가 원형으로 압연될 수 있도록 압연소재의 폭 방향에 대하여 공형롤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5차 압연기에 의해 5차 압연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압연방법. 5th rolling is performed by a fifth rolling mill in which a ball roll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ourth rolled rolled material can be rolled in a circular shape. A rolling method of a wire ro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40280A 2007-12-26 2007-12-28 Appatarus for roilling wire rod and roil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613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7497 2007-12-26
KR1020070137497 200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94A KR20090071294A (en) 2009-07-01
KR100961372B1 true KR100961372B1 (en) 2010-06-07

Family

ID=4132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280A KR100961372B1 (en) 2007-12-26 2007-12-28 Appatarus for roilling wire rod and roill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3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257B1 (en) * 2011-03-31 2013-05-07 주식회사 포스코 Rough Mill and Rolling Method
KR20200062689A (en)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포스코 Roll Forg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237A1 (en) * 2012-03-02 2013-09-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Guide roll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438774B1 (en) * 2012-12-27 2014-09-05 주식회사 포스코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CN106513435B (en) * 2016-12-05 2018-10-09 一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Flat Die Steel continuous reversible rolls unit and Flat Die Steel milling method
KR101988286B1 (en) * 2017-10-25 2019-09-3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removing surface defects of wire rod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wire rod having the same
WO2019103367A1 (en) * 2017-11-22 2019-05-31 리녹스 주식회사 Continuous rolling-drawing processing apparatus
CN116078810B (en) * 2023-02-17 2023-11-07 科城精铜(广州)有限公司 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ensile strength of copper r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402A (en) * 1985-08-26 1987-02-27 Kawasaki Steel Corp Continuous forward and backward rolling method for steel bar
KR100356160B1 (en) 1997-12-23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Roll for wire rod and the rolling method using the ro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402A (en) * 1985-08-26 1987-02-27 Kawasaki Steel Corp Continuous forward and backward rolling method for steel bar
KR100356160B1 (en) 1997-12-23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Roll for wire rod and the rolling method using the ro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257B1 (en) * 2011-03-31 2013-05-07 주식회사 포스코 Rough Mill and Rolling Method
KR20200062689A (en)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포스코 Roll Forging Apparatus
KR102348556B1 (en) * 2018-11-27 2022-01-06 주식회사 포스코 Roll For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94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372B1 (en) Appatarus for roilling wire rod and roilling method using the same
JP4544371B2 (en) T-section steel manufacturing method and rolling equipment line
TWI625172B (en) Composite cold rolling line
JP2009006397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t-shaped steel and rolling equipment line
RU2563394C2 (en) Line for production of longitudinal weld large-diameter tubes
JP4997934B2 (en) Guide device
KR101366495B1 (en) Roller leveler and leveling roll therefor
JP4623230B2 (en) T-section steel hot rolling line cooling device, T-section steel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JP6172109B2 (en) Hot rolled steel sheet rolling method
JPH09182903A (en) Method and device for hot rolling or wire rod
JP2016078025A (en) Rolling method for hot rolled steel plate
JP6922668B2 (en) Hot rolling method and hot rolling machine line
JP2005125332A (en) Method for straightening wide thick plate product
KR20140074069A (en) Sizing pr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15540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ing a tube
JP4457888B2 (e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of sizing press in hot rolling.
RU2302916C1 (en) Reinforcing wire production method
JP6090212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thick-walled electro-resistance tube
JP5614177B2 (en) Thick steel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row
JP5139845B2 (en) Combined rolling line for H-section steel and flat steel
JPH05146807A (en) Edging press anvil for hot slab
JP625245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strength thick-walled ERW steel pipe
JP6888520B2 (en) Slab width reduction method and width reduction device
EP2937154A1 (en) Mandrel of coil box
JP2006205210A (en) Method for adjusting opening of side guide of finish rolling mill in hot rolling, and hot-rolled metal plat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